KR19980062279U - 회전식 노즐을 구비한 가습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노즐을 구비한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2279U
KR19980062279U KR2019970006588U KR19970006588U KR19980062279U KR 19980062279 U KR19980062279 U KR 19980062279U KR 2019970006588 U KR2019970006588 U KR 2019970006588U KR 19970006588 U KR19970006588 U KR 19970006588U KR 19980062279 U KR19980062279 U KR 199800622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nozzle
main body
discharge por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두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06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2279U/ko
Publication of KR19980062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279U/ko

Links

Landscapes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출구로부터 실내로 취출되는 가습 입자가 극한된 방향으로만 분무되지 않고 전방향으로 균일하게 분무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노즐을 구비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물을 저장하여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물통, 그 공급되는 물을 담수시키는 가습조를 구비한 본체, 그 본체의 가습조에 설치되어 물을 미세한 가습 입자로 바꾸어 주는 진동자, 그 미세한 가습 입자를 본체의 무화관을 통해 외부로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기로 이루어진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무화관의 상단에, 가습풍에 의해 회전되도록 유선형의 토출구를 갖는 노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식 노즐을 구비한 가습기
본 고안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가습 입자가 외부로 취출되는 노즐을 회전시킴으로써, 취출되는 가습 입자의 가습방향을 전방향으로 하여 균일한 가습을 이룰 수 있는 회전식 노즐을 갖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습기의 한 예를 도 1에 도시하였는바, 이를 간단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습기(100)는 물을 저장하여 간헐적으로 공급해 주는 물통(103)과, 그 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담수시키는 가습조(111)을 구비한 본체(107)와, 그 본체(107)의 가습조(111)에 설치되어 담수된 물을 미세한 가습 입자로 바꾸어 주는 진동자(119), 그 미세한 가습 입자를 본체(107)의 무화관(125)을 통해 외부로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기(117)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물이 담겨진 물통(103)은 가습조(111)에 소정량의 물을 일정하게 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저면 일측으로 유입 밸브(105)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물통(103)이 안착시 유입 밸브(105)가 본체(107)의 물받이(109)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턱(115)에 눌려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본체(107)의 하단 일측에는 송풍기(117)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물통(103)이 얹혀지는 물받이(109)와 이 물받이(109) 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진동자(119)가 장착된 가습조(111)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가습조(111)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플로트 스위치(121)가 장착되어 있으며, 가습조(111)의 일측에는 송풍기(117)에서 송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송풍로(1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무화관(125)은 가습조(111)의 상단에 형성되며 진동자(119)에 의해서 만들어진 가습 입자가 송풍로(113)에서 취출되는 공기와 함께 토출구(127)를 통해 가습기(100)의 외부로 송출하도록 하측은 개구되어 있고 상측에는 토출구(127)가 형성되어 있는 노즐(129)이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습기(100)는 우선, 물통(103)의 유입 밸브(105)를 통하여 물받이(109)로 흘러 나온 물은 이 물받이(109)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가습조(111)로 유입된다. 이렇게 가습조(111)에 담수되는 물은 가습조 바닥(123)에 장착된 진동자(119)의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미세한 가습 입자로 바뀌게 되며, 이는 송풍로(113)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상측에 장착된 무화관(125)을 통해 토출구(127)를 거쳐 외부로 분무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가습기는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가스 입자의 취출방향에 있어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즉, 무화관(125)을 통해 토출구(127)로 분무되는 가습 입자는 토출구(127)의 방향에 따라 일정한 방향만으로 분무되므로 실내를 골고루 가습하지 못하고 일부 공간만을 가습했다.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가습이 이루어지는 방향의 바닥은 가습 입자에 의해 젖게 되며, 한쪽 방향으로만 가습을 하기 때문에 가습의 확산거리가 짧아 가습 효율을 저하시켰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습 입자가 극한된 일방향만으로 취출되지 않고 수시로 취출 방향을 바꾸면서 전방향으로 균일하게 분무되도록 하여 실내의 가습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노즐내의 토출구를 양쪽으로 형성시키고, 노즐이 회전할 수 있도록 토출구 내에 S자 형상을 주어 노즐의 하측으로부터 취출되는 가습풍에 의하여 노즐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습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습기의 내부를 나타낸 일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노즐을 구비한 가습기의 일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노즐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습기 3 : 물통
5 : 유입 밸브 7 : 본체
9 : 물받이 11 : 가습조
13 : 송풍로 15 : 돌출턱
17 : 송풍기 19 : 진동자
21 : 플로트 스위치 23 : 가습조 바닥
25 : 무화관 27 : 토출구
29 : 노즐 31 : 외벽
33 : 칸막이 서랍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습기(1)는 일반적인 가습기와 마찬가지로서, 물을 저장하여 간헐적으로 공급해 주는 물통(3)과, 그 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담수시키는 가습조(11)을 구비한 본체(7)와, 그 본체(7)의 가습조(11)에 설치되어 담수된 물을 미세한 가습 입자로 바꾸어 주는 진동자(19), 그 미세한 가습 입자를 본체(7)의 무화관(25)을 통해 외부로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기(17)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물통(3)의 저면에는 담겨진 물을 가습조(11)에 일정하게 공급시켜 주는 유입 밸브(5)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물통(3)이 안착시 유입 밸브(5)는 본체의 물받이(9) 상부으로 돌출된 돌출턱(15)에 눌려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본체(7)의 하단 일측에는 송풍기(17)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물통(3)이 얹혀지는 물받이(9)와 이 물받이(9) 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진동자(19)가 장착된 가습조(11)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가습조(11)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플로트 스위치(21)가 장착되어 있으며, 가습조(11)의 일측에는 송풍기(17)에서 송출되는 공기가 유입는 송풍로(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무화관(25)은 가습조(11)의 상단에 형성되며 진동자(19)에 의해서 만들어진 가습 입자가 송풍로(13)로부터 취출되는 바람과 함께 토출구(27)를 통해 외부로 송출하는 노즐(29)이 장착되어 있다. 그 노즐의 하측은 개구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토출구(27)가 양쪽으로 굴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토출구(27)의 하단부는 종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단부는 횡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노즐(29)에 형성된 토출구(27)의 한 쪽은 외벽(31)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노즐(29)의 우측으로는 칸막이 서랍(33)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9)에 형성된 토출구(27)는 평면에서 볼 때, S형상을 갖고 있어, 무화관(25)으로부터 취출되는 풍량 및 가습 입자가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Ta와 Tb처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과 노즐(29)을 밀어올리는 양력이 작용하여 노즐(29)이 천천히 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노즐(29)의 양쪽으로 형성된 토출구(27)의 한쪽을 외벽(31)으로 막아 노즐(29)의 회전으로 인하여 가습 입자가 분무될 때 벽이나 다른 부위가 젖게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정 부위만을 가습하고 싶을 때는 칸막이 서랍(33)을 이동시켜 외벽(31)이 끝나는 부위로부터 시작되는 가습의 범위를 좁혀주어 회전하는 노즐(29)에 의해 분무되는 거리를 단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화살표는 칸막이 서랍(33)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물통(3)의 유입 밸브(5)를 통하여 물받이(9)로 흘러 나온 물은 가습조(11)로 유입된다. 이렇게 가습조(11)에 담수된 물은 가습조 바닥(23)에 장착된 진동자(19)의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미세한 가습 입자로 바뀌게 되고, 이는 송풍로(13)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상측에 장착된 노즐(29)의 토출구(27)를 통하여 가습기(1) 외부로 분무된다. 이때, 노즐(29)는 가습 입자를 동반한 송풍기(17)의 가습풍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하는 노즐(29)의 토출구(27)로부터 취출되는 가습 입자는 회전방향을 따라 전방향으로 골고루 분무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무화관으로부터 취출되는 풍량 및 가습 입자을 이용하여 노즐을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가습 입자를 극한된 부위 즉, 일방향만으로 취출되지 않고 수시로 취출 방향을 바꾸면서 전방향으로 균일하게 분무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균일한 가습 입자의 분무를 통해 가습 범위가 더욱 넓어지게 됨으로써, 실내의 가습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구동 장치없이 풍량 및 가습 입자의 흐름에 의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토출구를 회전시키기 위해 별도의 구동 장치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의 효과와 구조가 간단해지는 잇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Claims (3)

  1. 물을 저장하여 간헐적으로 공급해 주는 물통(3)과, 그 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담수시키는 가습조(11)을 구비한 본체(7)와, 그 본체(7)의 가습조(11)에 설치되어 담수된 물을 미세한 가습 입자로 바꾸어 주는 진동자(19), 그 미세한 가습 입자를 본체(7)의 무화관(25)을 통해 외부로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기(17)로 이루어진 가습기(1)에 있어서, 상기 무화관(25)의 상단에, 가습풍에 의해 회전되도록 유선형의 토출구(27)를 갖는 노즐(2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27)는 평면에서 S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9)의 일측면에 토출구(27)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칸막이 서랍(33)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2019970006588U 1997-03-31 1997-03-31 회전식 노즐을 구비한 가습기 KR199800622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588U KR19980062279U (ko) 1997-03-31 1997-03-31 회전식 노즐을 구비한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588U KR19980062279U (ko) 1997-03-31 1997-03-31 회전식 노즐을 구비한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279U true KR19980062279U (ko) 1998-11-16

Family

ID=6968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588U KR19980062279U (ko) 1997-03-31 1997-03-31 회전식 노즐을 구비한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227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851B1 (ko) 방향기능이 겸비된 세척이 간편한 초음파 가습기
KR101180598B1 (ko) 분리형 초음파 가습기
KR100836684B1 (ko) 낙수 소음 방지를 위한 가습기의 분무관
KR101381948B1 (ko) 가습기
CN113983592B (zh) 双腔加湿器
JP2000505540A (ja) 空気の加湿・洗浄装置
WO2019111814A1 (ja) 液体微細化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換気装置、空気清浄機、空気調和機
JP6960567B2 (ja) 加湿装置
KR100977857B1 (ko)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
JP2007285565A (ja) 加湿装置
KR20070066142A (ko) 공기청정기
KR19980062279U (ko) 회전식 노즐을 구비한 가습기
KR101679577B1 (ko) 상부급수식 초음파 가습기
JP3926600B2 (ja) 加湿装置
US4240991A (en) Humidifier
JP2008284124A (ja) サウナ用マイナスイオンミスト発生装置
KR200360077Y1 (ko) 가습기의 분무장치
KR102253578B1 (ko) 와류를 형성하는 초음파 가습기
KR19980062280U (ko) 가습방향 조절이 가능한 가습기
JP6573958B2 (ja) 超音波式加湿器
CN206755465U (zh) 雾化结构、空调器的室内机及空调器
KR100743505B1 (ko) 기화식 가습기
KR19990023984U (ko) 분무방향 조절장치를 갖는 가습기
KR101731976B1 (ko) 직수 연결형 가습기
JP7273155B2 (ja) 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