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0278U - 공기주입관이 구비된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공기주입관이 구비된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0278U
KR19980060278U KR2019970004307U KR19970004307U KR19980060278U KR 19980060278 U KR19980060278 U KR 19980060278U KR 2019970004307 U KR2019970004307 U KR 2019970004307U KR 19970004307 U KR19970004307 U KR 19970004307U KR 19980060278 U KR19980060278 U KR 199800602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tainer
container
injection pipe
contents
air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3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태
Original Assignee
황의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의태 filed Critical 황의태
Priority to KR20199700043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0278U/ko
Publication of KR199800602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278U/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음료용기나 물통등의 상부에 주출구가 구비된 액체용기의 내용물 배출시 배출되는 내용물이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한 공기주입관이 구비된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공기주입관이 구비된 액체용기는 상단부가 액체용기의 주출구에 위치하고 하단부가 용기의 바닥부 부근에 위치하도록 액체용기의 내벽 일측에 공기주입관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때 상기 공기주입관은 액체용기의 내벽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공기주입관이 구비된 액체용기는 용기내 내용물의 배출시 공기주입관을 통해서 일정속도와 양으로 외부의 공기가 용기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주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속도가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배출된 내용물이 담겨지는 컵의 외부로 튀거나 컵을 넘어뜨리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주입관이 구비된 액체용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액체용기에 대한 정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액체용기에 대한 일부절결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액체용기에 대한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액체용기1a : 주출구
1b : 고정구2. 공기주입관
본 고안은 액체용기의 구조개선에 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액체용기의 내부에 공기주입관을 설치하여 용기내부의 액상 내용물을 따를 때 일정한 유출속도를 유지한 가운데 안정적으로 유출되도록 한 공기주입관이 구비된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병이나 캔을 비롯한 물통등의 음료용기에 채워져 있는 음료를 마시기 위해 뚜껑이나 마개를 제거한 후 컵 등의 다른 용기에 따르거나 직접입에 대고 마시거나 하는 경우에는 용기의 주출구를 통해서 유출되는 음료가 일정한 유속을 가지고 안정적으로 유출되기 보다는 단속적으로 유속이나 유량이 변화되어 유출된다.
한편, 음료용기중에 채워져 있던 음료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해서는 대개 직립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음료용기의 주출구가 원래의 위치로부터 아랫쪽으로 향하도록 기울임으로써 주출구를 통해서 용기의 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용기내부의 음료배출과정은 용기 내부에 담겨 있던 음료가 공기로 대체되는 과정이라 할 것인 바, 음료의 유출시 일정량이 안정적으로 유출되지 못하는 데는 용기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및 이에 따른 용기내부의 압력변화에 기인하고 있다.
이를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용기배부에 채워져 있는 음료를 주출구를 통해서 유출시킬 때는 외부의 공기가 용기내부로 유입되는 데, 이때 용기배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주출구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긴 하나 기포의 형태로 용기 내부의 윗쪽을 향하여 이동함에 있어 그 기포가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이동함에 따라 용기 내부의 압력 역시도 단속적으로 변화되어 유출되는 음료의 속도 및 유량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다시말하면, 용기의 주출구를 통해서 유출되는 음료는 일정한 속도와 유량으로 유출되지 못하고 콸콸 쏟아져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의 주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음료의 배출양 및 속도가 단속적으로 크게 변화됨에 따라 그 배출되는 음료가 컵에 담겨지도록 하는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빠른 유속과 많은 양으로 컵의 내부로 유입된 음료는 컵의 외부로 튀어나가게 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컵이 넘어져서 유출되는 음료가 컵 주면의 바닥을 적시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음료용기내의 음료를 따를 때 나타나는 상기의 현상을 경험에 의해 익히 알고 있는 어느 정도 연령 이상의 사용자의 경우에는 용기내부의 액체내용을 따를 때 그 용기를 서서히 기울여서 배출되는 내용물이 왈칵 쏟아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되나, 특히 저연령층의 사용자나 어른이라 하더라도 자칫 방심한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음료 배출속도의 급격한 변화에 의한 폐해를 당하기 쉬운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음료용기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목적에서 개발된 것으로,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담겨 있는 액체용기의 주출구로부터 용기 내부의 거의 바닥부에 이르는 길이를 갖는 공기주입관을 설치하여 내용물의 배출시에 배출속도 및 배출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공기주입관이 구비된 액체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로서 상부에 내용물의 배출을 위한 주출구가 구비된 액체용기와 그 액체용기의 주출구로부터 용기 안쪽의 거의 바닥면에 이르는 길이를 갖고 용기의 내벽에 따라 설치되는 공기주입관으로 이루어진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고안의 공기주입관이 내장되어지는 액체용기의 종류로는 각종 유제품이나 청량음료를 비롯한 음료수 용기로서의 유리병, 플래스틱 용기, 카톤팩, 물통 및 캔류 등의 액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모든 종류의 액체용기가 포함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의 공기주입관은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는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합성수지제 빨대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취하게 되며, 이러한 공기주입관의 용기내 고정은 용기의 내벽에 형성되는 고정부재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제 1 도는 본 고안의 공기주입관이 내장된 음료용기의 일실시예 구조에 대한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액체용기(1)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어 그 내부에 설치된 공기주입관(2)이 외부로 드러난 형태를 취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기주입관이 구비된 액체용기는 그 상부의 주출구(1a)에 형성된 마개가 제거된 상태로서 주출구(1a)로부터 액체용기(1)내부의 거의 바닥부에 이르기까지 공기주입관(2)이 일측 내벽을 따라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공기주입관(2)은 액체용기(1)의 내벽과 일치하는 형상으로서 액체용기(1)의 내벽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1b)에 의해서 액체용기(1)의 내벽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1b)의 갯수는 액체용기(1)의 형상이나 크기등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한개 또는 그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제 2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등으로 이루어진 물통등의 액체용기에 공기주입관이 설치된 구조에 대한 일부절결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역시도 앞서 살펴본 바의 제 1 도에서돠 마찬가지로 액체용기(1)의 주출구(1a)측으로부터 일측 용기내벽을 따라 공기주입관(2)이 내장되어 용기내벽상에 형성된 고정구(1b)에 의해 고정된 구조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의 두 실시예에서는 액체용기(1)와 별도로 공기주입관(2)을 제작하여 공기주입관(2)이 액체용기(1)의 내벽부에 부착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액체용기의 제작단계에서 공기주입관(2)이 용기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인 바, 이러한 경우에는 공기주입관(2)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구(1b)가 필요없게 된다.
다음, 제 3 도로 도시된 본 고안의 공기주입관이 구비된 액체용기의 내용물 배출과정을 보인 사시도를 통하여 내용물의 배출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액체용기(1)의 상부에 채워져 있던 마개를 제거한 후에 배출된 내용물을 옮겨담을 컵(3)등을 테이블 등의 상면에 얹어놓은 상태에서 액체용기(1)를 기울여서 주출구(1a)부분이 아랫쪽으로 향하도록 하게 되면 용기내부에 있던 내용물이 컵(3)의 안쪽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액체용기(1)내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액체용기(1)를 파지할 때 공기주입관(2)이 고정된 면이 윗쪽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하는 바, 이때 액체용기(1)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에는 공기주입관(2) 형성면의 파악이 용이하나, 불투명 재질의 용기의 경우에는 어느 쪽이 공기주입관(2) 형성면인가를 파악하는 데 곤란하므로 이때에는 용기의 외부에 공기주입관 형성면 표시를 행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액체용기(1)의 주출구(1a)를 통해 내용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때에는 공기주입관(2)을 따라 외부의 공기가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액체용기(1)의 내부로 유입되는 데, 이때 공기주입관(2)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속도 및 유입양은 공기주입관(2)의 관경에 의해 정해진 속도와 양을 유입되기 때문에 주출구(1a)를 통해서 컵(3)으로 배출되는 액상 내용물의 배출속도는 큰 변화가 없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게 되어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기주입관(2)이 구비된 액체용기(1)는 내부에 담겨져 있던 액상내용물의 배출시 공기주입관(2)을 통해서 용기내부로 정속적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배출속도나 양에 급격한 변화가 없이 일정하게 안정적으로 배출됨에 따라 배출되는 내용물이 컵등의 용기 밖으로 튀거나 급격한 배출에 의한 충격에 의해서 컵등이 넘어지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액상 내용물이 담겨지는 액체용기(1)에 있어서, 상단부가 액체용기(1)의 주출구(1a)에 위치하고 하단부가 용기의 바닥부 부근에 위치하도록 액체용기(1)의 내벽 일측에 공기주입관(2)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관이 구비된 액체용기.
KR2019970004307U 1997-03-10 1997-03-10 공기주입관이 구비된 액체용기 KR1998006027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307U KR19980060278U (ko) 1997-03-10 1997-03-10 공기주입관이 구비된 액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307U KR19980060278U (ko) 1997-03-10 1997-03-10 공기주입관이 구비된 액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278U true KR19980060278U (ko) 1998-11-05

Family

ID=6967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307U KR19980060278U (ko) 1997-03-10 1997-03-10 공기주입관이 구비된 액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027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8879A1 (en) * 1999-10-18 2001-04-26 Yun Yong Jin Liquid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8879A1 (en) * 1999-10-18 2001-04-26 Yun Yong Jin Liquid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38036B (zh) 液体容器
JP4980378B2 (ja) 液体エアレータ装置
JP3890382B2 (ja) 液体容器
US3168221A (en) Vent means for bottles and jugs
US7523840B2 (en) Plural chamber drinking cup
US5346106A (en) Container having no-glug pouring spout
US5845807A (en) Drinking cup with pouring spout
US4222504A (en) Drip preventive spout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in pouring wines
JPH09504441A (ja) 飲料供給ピッチャー
EP0728111A1 (en) Pourer for pouring at least two different liquids
US5503284A (en) Single continuous wall, multi-chamber container
JPS6077872A (ja) 插入式注出器
AU2002346879B2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pouring liquids
EP1463672B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a dual phase fluid product
KR19980060278U (ko) 공기주입관이 구비된 액체용기
JP5311040B2 (ja) 詰め替え容器
US5443184A (en) Fluid pouring container with asymmetrical solids separator
US6305584B1 (en) Dispensing cover assembly
US4846378A (en) Self-sealing nozzle
US2815155A (en) Pouring spout
US755723A (en) Liquid-dispensing apparatus.
GB2353266A (en) Container for a flowable substance, in particular a liquid
JP2001354253A (ja) 液体注出容器
KR19990067330A (ko) 토들러용 액체 분배 컵
RU2766328C2 (ru) Круж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