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634U - 치솔 - Google Patents

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634U
KR19980059634U KR2019980013990U KR19980013990U KR19980059634U KR 19980059634 U KR19980059634 U KR 19980059634U KR 2019980013990 U KR2019980013990 U KR 2019980013990U KR 19980013990 U KR19980013990 U KR 19980013990U KR 19980059634 U KR19980059634 U KR 199800596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pieces
teeth
tube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효문
Original Assignee
박효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효문 filed Critical 박효문
Priority to KR2019980013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9634U/ko
Publication of KR199800596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634U/ko
Priority to US09/356,828 priority patent/US6230356B1/en
Priority to CN99110873A priority patent/CN1121834C/zh
Priority to JP20982699A priority patent/JP3784582B2/ja
Priority to KR2019990017949U priority patent/KR2001712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45Brushes articulated with more than one hing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2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for simultaneous use, e.g. cooperating with each-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2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 A46B7/023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where the bristle carrier retracts or collapses, i.e. for storag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8Supports or guides for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 기술분야 〕
본고안은 세척과 건조를 매우 용이하게 한 치솔에 관한 것이다.
〔 해결하려고하는 기술적 과제 〕
종래의 치솔은 밀집된 치모로 인해 치솔질시 치모사이에 끼인 음식찌꺼기를 제거하는 세척이 용이하지 않아 더욱 세균번식을 증식시키게 되고 음식찌꺼기를 제거하는 세척과정에서 치모를 파단시키거나 절곡시켜 치솔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 여러 가지의 많은 폐단이 있었다.
〔 해결방법의 요지 〕
본고안은 치솔의 치모부를 다수개의 피스로 분리하여 전개되게 하고 이를 사용할 때에만 전개된 피스를 밀접시켜 치솔질을 할 수 있게 한데 있다.
〔 고안의 용도 〕
치아세척용.

Description

치솔
본고안은 세척과 건조를 매우 용이하게 한 치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치모가 식모된 치모부를 다수개의 피스로 분리하여 축지부를 중심으로 전개되게 하고 치솔을 사용할 때에는 전개된 피스를 계합구로서 밀접시켜 통상과 같이 치솔질을 할 수 있게 한 위생적인 개량치솔에 관련된다.
종래의 치솔은 손잡이의 선단에 형성한 치모부에 무수한 치모가 밀집상태로 식모되어 있으므로 치솔질을 한후 손으로 뿌려 치모부의 믈을 빼내어도 완전히 제거되지 되지 않게 되고 또한 잦은 치솔질과 대개 실내의 욕실에 보관하는 관계로 공기소통이 원활하지 아니하여 항상 물기를 머금은 상태에 있으므로 세균이 무수하게 번식하여 매우 비위생적인 것으로 실험결과 밝혀진 바 있으며, 또한 밀집된 치모로 인해 치솔질시 치모사이에 끼인 음식찌꺼기를 제거하는 세척이 용이하지 않아 더욱 세균번식을 증식시키게 되고 음식찌꺼기를 제거하는 세척과정에서 치모를 파단시키거나 절곡시켜 치솔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 여러 가지의 많은 폐단이 있었다.
본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치솔의 치모부를 다수개의 피스로 분리하여 전개되게 하고 이를 사용할 때에만 전개된 피스를 밀접시켜 치솔질을 할 수 있게 하므로서 종래의 폐단을 해소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고안의 일부 전개사시도
제 2 도는 본고안의 측단면도
제 3 도는 본고안의 전개상태 평면단면도
제 4 도는 본고안의 횡단면도
〔 도면부호의 명칭 〕
1 : 치솔대 2 : 치모부 2' : 기부
3 : 치모 4 : 스프링 5 : 핀
6 : 계합관 7 : 삽입관 8 : 삽지부
9 : 치모대 10 : 걸림공 11 : 걸림돌기
12 : 판스프링 2a,2b,2c : 피스
손잡이를 형성하는 치솔대(1)의 치모부(2)에 치모(3)를 무수히 식모한 통상의 치솔에 있어서, 치모부(2)를 길고 가느다란 다수개의 피스로 분리하되 중간의 고정피스(2b)를 중심으로 한 양측에 전개피스(2a)(2c)를 스프링(4)으로 외향탄발되게 부착하여 그 하단을 기부(2')에 핀(5)으로 유착하고 치솔대(1)의 선단에는 스프링(4)으로 외향탄발된 전개피스(2a)(2c)를 밀접시켜 결속하는 계합관(6)을 슬라이딩되게 설치하며, 피스(2a)(2b)(2c)는 삽입관(7)과 이에 삽탈자재되는 삽지부(8)를 가진 치모대(9)로 분리 구성하고 삽지부(8)의 상면과 저면에 삽입관(7)의 걸림공(10)에 끼워지는 걸림돌기(11)와 이를 상향탄지하는 판스프링(12)을 각각 설치한 구조로 되어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3,13' 는 계합관(6)을 고정하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이다.
이와같이 된 본고안은 치솔대(1)의 치모부(2)를 가느다란 다수개의 피스로 분리하되 중간의 고정피스(2b)를 중심으로 한 양측에 전개피스(2a)(2c)를 스프링(4)으로 외향탄발되게 설치하여 그 하단을 기부(2')에 핀(5)으로 유착한 것이므로 치모부(2)에 식모된 치모(3)는 서로 붙지 않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게 되는데 치솔을 사용할 때에는 치솔대(1)의 선단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된 계합관(6)을 치모부(2)의 기부(2')쪽으로 슬라이딩 이송시켜 고정돌기(13)를 고정공(13')에 고정시키게 되면 고정피스(2b)의 양측에 전개된 전개피스(2a)(2c)가 스프링(4)을 압축시키면서 고정피스(2b)쪽으로 오므려져 이와함께 붙게되므로 벌어진 치모(3)가 일반적인 치솔과 같이 서로 밀착되어 치솔질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치솔질이 끝난 후에는 계합관(6)의 고정돌기(13)를 고정공(13')으로 부터 분리시켜 계합관(6)을 치솔대(1)쪽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키게되면 전개피스(2a)(2c)가 스프링(4)의 탄발복귀력에 의해 기부(2')의 핀(5)을 중심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치모(3)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짐에 따라 이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건조가 매우 빠르게 되고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수개의 피스로 분리된 치모부(2)의 고정피스(2b)와 전개피스(2a)(2c)는 삽입관(7)과 이에 삽탈자재되는 삽지부(8)를 가진 치모대(9)로 분리구성되어 있으므로 일정기간 사용하여 치모(3)가 마모되면 치모대(9)만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면 되는데 삽입관(7)에는 걸림공(10)이 뚫려있고 이에 삽입되는 삽지부(8)에는 걸림돌기(11)와 판스프링(12)이 상면과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치모대(9)의 삽지부(8)를 삽입관(7)에 끼워넣어 걸림돌기(11)가 걸림공(10)에 걸리도록 하면 삽지부(8)의 저면에 부착된 판스프링(12)의 탄성으로 걸림돌기(11)가 걸림공(10)에 긴밀하게 끼워져 있게 되어 치솔질이 가능하며 치모(3)가 마모되었을 때에는 삽지부(8)를 아래로 약간 누르면서 걸림돌기(11)를 걸림공(10)으로 빼내면 치모대(9)가 삽입관(7)으로 부터 간단히 빠지게 되므로 새로운 치모대(9)를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관(7)에 끼워넣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고안은 치솔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치모(3)의 사이가 벌어지게 되어 있으므로 치솔의 세척이 매우 용이하고 특히 건조가 빠르게 이루어져 항상 건조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므로서 위생적인 효과가 매우 크다.

Claims (2)

  1. 손잡이를 형성하는 치솔대(1)의 치모부(2)에 치모(3)를 무수히 식모한 통상의 치솔에 있어서, 치모부(2)를 길고 가느다란 다수개의 피스로 분리하되 중간의 고정피스(2b)를 중심으로 한 양측에 전개피스(2a)(2c)를 스프링(4)으로 외향탄발되게 부착하여 그 하단을 기부(2')에 핀(5)으로 유착하고 치솔대(1)의 선단에는 스프링(4)으로 외향탄발된 전개피스(2a)(2c)를 밀접시켜 결속하는 계합관(6)을 슬라이딩되게 설치하여서 되는 치솔.
  2. 제 1 항에 있어서, 피스(2a)(2b)(2c)를 삽입관(7)과 이에 삽탈자재되는 삽지부(8)를 가진 치모대(9)로 분리 구성하고 삽지부(8)의 상면과 저면에 삽입관(7)의 걸림공(10)에 끼워지는 걸림돌기(11)와 이를 상향탄지하는 판스프링(12)을 각각 설치하여서 되는 칫솔.
KR2019980013990U 1998-07-24 1998-07-24 치솔 KR19980059634U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990U KR19980059634U (ko) 1998-07-24 1998-07-24 치솔
US09/356,828 US6230356B1 (en) 1998-07-24 1999-07-19 Toothbrush
CN99110873A CN1121834C (zh) 1998-07-24 1999-07-23 牙刷
JP20982699A JP3784582B2 (ja) 1998-07-24 1999-07-23 歯ブラシ
KR2019990017949U KR200171281Y1 (ko) 1998-07-24 1999-08-27 치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990U KR19980059634U (ko) 1998-07-24 1998-07-24 치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949U Division KR200171281Y1 (ko) 1998-07-24 1999-08-27 치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634U true KR19980059634U (ko) 1998-10-26

Family

ID=195364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990U KR19980059634U (ko) 1998-07-24 1998-07-24 치솔
KR2019990017949U KR200171281Y1 (ko) 1998-07-24 1999-08-27 치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949U KR200171281Y1 (ko) 1998-07-24 1999-08-27 치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8005963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910B1 (ko) * 2001-09-27 2004-12-23 박효문 치모피스 성형장치
KR100656887B1 (ko) * 2005-11-22 2006-12-13 전동진 칫솔모의 폭조절이 가능한 칫솔
KR20190103881A (ko) * 2018-02-28 2019-09-05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822B1 (ko) * 2020-10-21 2021-07-30 김동주 칫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910B1 (ko) * 2001-09-27 2004-12-23 박효문 치모피스 성형장치
KR100656887B1 (ko) * 2005-11-22 2006-12-13 전동진 칫솔모의 폭조절이 가능한 칫솔
KR20190103881A (ko) * 2018-02-28 2019-09-05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281Y1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41740A (ja) 歯ブラシ
US8549693B2 (en) Tooth cleaning device
KR102569015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구강 관리 칫솔
CZ291881B6 (cs) Čistič mezizubních prostorů a způsob jeho výroby
JP3191472U (ja) 機能を向上した楊枝
JP2007530131A (ja) 歯ブラシ
JP2010264211A (ja) ブラシ掃除具付き歯ブラシ
KR200171281Y1 (ko) 치솔
US8997299B2 (en) Tooth cleaning device
KR200484576Y1 (ko) 칫솔
EP1046359A1 (en) An improved structure of a brush
CN210144081U (zh) 防倾倒口腔清洁用具的替换结构
JP3115363U (ja) 耳掻き
KR200195362Y1 (ko) 치모부가 전개되는 치솔
KR200171282Y1 (ko) 치솔
KR200171283Y1 (ko) 치솔
KR19990017624U (ko) 실리콘칫솔
KR20140109055A (ko) 청결력 향상을 위한 치솔
KR200205564Y1 (ko) 칫솔
KR200377954Y1 (ko) 골무형 치아 및 치간 세정도구
KR200375311Y1 (ko)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WO2017213388A1 (ko) 교체 가능한 헤드를 구비한 칫솔
KR200345613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치간칫솔
KR200171284Y1 (ko) 치솔
JP2005065927A (ja) 強度補強箒及び清掃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