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8946A -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8946A
KR19980058946A KR1019960078282A KR19960078282A KR19980058946A KR 19980058946 A KR19980058946 A KR 19980058946A KR 1019960078282 A KR1019960078282 A KR 1019960078282A KR 19960078282 A KR19960078282 A KR 19960078282A KR 19980058946 A KR19980058946 A KR 19980058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
dielectric constant
oxide
dielectric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8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석
임정택
Original Assignee
조희재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재,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희재
Priority to KR1019960078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8946A/ko
Publication of KR19980058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946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티탄산 바륨(BaTiO3) 100mol%, 산화세슘(CeO2) 4∼6mol%, 산화티탄(TiO2) 6∼8mol%, 산화코발트(Co2O3) 0.05∼0.1mol%, 산화다이스프로슘(Dy2O3) 0.05∼0.1mol%를 기본 구성물로 갖는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의 유전변화율이 -20∼80℃의 범위 내에서 25℃에서 유전율을 기준으로 -82% 내지 +22%를 나타내는 EIA(Electronic Industry Association)규격의 Y5V 온도특성을 만족하고, 상온에서 안정한 온도특성을 갖으며,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재료로 사용되는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 조성물에관한것이다.

Description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
본 발명은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재료로 사용되는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유전체 자기조성물이라 함은 -20∼80℃에서 25℃의 유전율을 기준으로 유전별화율 -82% 내지 +22%인 EIA(Electronic Industry Association)규격의 Y5V 온도특성을 갖는 물질이다.
종래의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 조성물은 티탄산 바륨(BaTiO3)을 주성분으로 하여 지르콘산 칼슘(CaZrO3), 지르콘산 바륨(BaZrO3), 티탄산 칼슘(CaTiO3), 티탄산 스트론튬(SrTiO3) 등의 산화물이 첨가된 유전체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조성된 종래의 유전체 자기 조성물들은 상온에서 높은 유전율을 갖는 반면, 절연 파괴전압이 낮고, 1,350℃ 이상의 높은 소결온도를 갖기 때문에 1300℃ 이하의 저온에서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얻어내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전율이 9,500 이상, 1,310℃ 이하의 온도에서 소결이 가능하고 -20∼80℃까지 25℃의 유전율을 기준으로 유전변화율 -82% 내지 +22%를 만족하는 Y5V 온도특성을 갖는 유전체 분말을 제조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티탄산 바륨(BaTiO3) 100mol%, 산화세슘(CeO2) 4∼6mol%, 산화티탄(TiO2) 6∼8mol%, 산화코발트(Co2O3) 0.05∼0.1mol%, 산화다이스프로슘(Dy2O3) 0.05∼0.1mol%로 조성된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 조성물에 관한것이다.
산화세슘(CeO2)은 유전율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고, 산화티탄(TiO2)은 소결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범위 이외에서는 온도특성이 벗어나며, 낮은 유전율을 갖는다. 산화코발트(Co2O3)는 유전율을 증가시키면서 온도특성을 완화시키나 0.1mol% 이상이면 소결성이 악화되고 유전손실이 증가된다.
산화다이스프로슘(Dy2O3)은 유전손실을 낮추는 역할을 하지만 상기 범위 이외에서는 유전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표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티탄산 바륨(BaTiO3) 100mol%, 산화세슘(CeO2) 4∼6mol%, 산화티탄(TiO2) 6∼8mol%, 산화코발트(Co2O3) 0.05∼0.1mol%, 산화다이스프로슘(Dy2O3) 0.05∼0.1mol%를 각각의 범위 내에서 적절한 양을 탈이온수와 함께 혼합한다.
이때 혼합은 볼 밀링(Ball Milling) 방법을 이용하며, 산화 아르곤(ZrO2) 볼과 우레탄 용기를 사용한다. 건조된 분말을 결합체와 유발로 혼합하고, 금형 유압프레스를 사용해 직경 10mm, 두께 1.5mm의 원형 시편을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한 시편을 ZrO2세터(setter)에 놓고 공기 압의 전기로 중에서 1,240∼1,300℃의 온도로 2시간 소결한다. 소결된 시편의 양면에 은전극을 프린팅 방법으로 7mm 직경의 원형으로 도포한 다음, 열처리하여 유전상수, 유전손실, 절연저항,유전율의 온도특성(TCC : Temperature Coeffiicient of Capacitance%)을 측정한 결과, 유전상수는 25℃에서 9,500∼11,000Khz, 유전손실은 0.9∼2.1%, 절연저항은 1.3×1012∼8.3×1012, 유전율의 온도특성(TCC : Temperature Coeffiicient of Capacitance)은 -20℃에서 -37∼-28%, 80℃에서 -79∼-62%인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
티탄산 바륨(BaTiO3) 100mol%, 산화세슘(CeO2) 4mol%, 산화티탄(TiO2) 8mol%, 산화코발트(Co2O3) 0.05mol%, 산화다이스프로슘(Dy2O3) 0.05mol%를 구성 성분으로 갖는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을 소결온도 1,310℃에서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결과, 유전상수는 25℃에서 9,900KHz, 유전손실은 2.1%, 절연저항은 2.3×1012Ωcm, 유전율의 온도특성(TCC : Temperature Coeffiicient of Capacitance)은 -20℃와 80℃에서 각각 -33%와 -67%인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2]
티탄산 바륨(BaTiO3) 100mol%, 산화세슘(CeO2) 4mol%, 산화티탄(TiO2) 8mol%, 산화코발트(Co2O3) 0.1mol%, 산화다이스프로슘(Dy2O3) 0.05mol%를 구성 성분으로 갖는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을 소결온도 1,290℃에서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결과, 유전상수는 25℃에서 9,800KHz, 유전손실은 2.0%, 절연저항은 5.4×1012Ωcm, 유전율의 온도특성(TCC : Temperature Coeffiicient of Capacitance)은 -20℃와 80℃에서 각각 -35%와 -72%인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3]
티탄산 바륨(BaTiO3) 100mol%, 산화세슘(CeO2) 4mol%, 산화티탄(TiO2) 8mol%, 산화코발트(Co2O3) 0.1mol%, 산화다이스프로슘(Dy2O3) 0.1mol%를 구성 성분으로 갖는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을 소결온도 1,280℃에서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결과, 유전상수는 25℃에서 10,500KHz, 유전손실은 1.8%, 절연저항은 8.2×1012Ωcm, 유전율의 온도특성(TCC : Temperature Coeffiicient of Capacitance)은 -20℃와 80℃에서 각각 -28%와 -62%인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4]
티탄산 바륨(BaTiO3) 100mol%, 산화세슘(CeO2) 54mol%, 산화티탄(TiO2) 7mol%, 산화코발트(Co2O3) 0.05mol%, 산화다이스프로슘(Dy2O3) 0.05mol%를 구성 성분으로 갖는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을 소결온도 1,300℃에서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결과, 유전상수는 25℃에서 9,600KHz, 유전손실은 1.7%, 절연저항은 7.2×1012Ωcm, 유전율의 온도특성(TCC : Temperature Coeffiicient of Capacitance)은 -20℃와 80℃에서 각각 -30%와 -72%인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5]
티탄산 바륨(BaTiO3) 100mol%, 산화세슘(CeO2) 54mol%, 산화티탄(TiO2) 7mol%, 산화코발트(Co2O3) 0.1mol%, 산화다이스프로슘(Dy2O3) 0.05mol%를 구성 성분으로 갖는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을 소결온도 1,270℃에서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결과, 유전상수는 25℃에서 9,800KHz, 유전손실은 1.6%, 절연저항은 8.3×1012Ωcm, 유전율의 온도특성(TCC : Temperature Coeffiicient of Capacitance)은 -20℃와 80℃에서 각각 -35%와 -79%인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6]
티탄산 바륨(BaTiO3) 100mol%, 산화세슘(CeO2) 5mol%, 산화티탄(TiO2) 7mol%, 산화코발트(Co2O3) 0.1mol%, 산화다이스프로슘(Dy2O3) 0.1mol%를 구성 성분으로 갖는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을 소결온도 1,270℃에서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결과, 유전상수는 25℃에서 11,000KHz, 유전손실은 1.2%, 절연저항은 1.4×1012Ωcm, 유전율의 온도특성(TCC : Temperature Coeffiicient of Capacitance)은 -20℃와 80℃에서 각각 -28%와 -75%인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7]
티탄산 바륨(BaTiO3) 100mol%, 산화세슘(CeO2) 6mol%, 산화티탄(TiO2) 6mol%, 산화코발트(Co2O3) 0.05mol%, 산화다이스프로슘(Dy2O3) 0.05mol%를 구성 성분으로 갖는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을 소결온도 1,300℃에서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결과, 유전상수는 25℃에서 9,800KHz, 유전손실은 1.8%, 절연저항은 1.3×1012Ωcm, 유전율의 온도특성(TCC : Temperature Coeffiicient of Capacitance)은 -20℃와 80℃에서 각각 -32%와 -66%인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8]
티탄산 바륨(BaTiO3) 100mol%, 산화세슘(CeO2) 6mol%, 산화티탄(TiO2) 6mol%, 산화코발트(Co2O3) 0.1mol%, 산화다이스프로슘(Dy2O3) 0.05mol%를 구성 성분으로 갖는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을 소결온도 1,280℃에서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결과, 유전상수는 25℃에서 9,500KHz, 유전손실은 1.5%, 절연저항은 7.5×1012Ωcm, 유전율의 온도특성(TCC : Temperature Coeffiicient of Capacitance)은 -20℃와 80℃에서 각각 -37%와 -72%인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9]
티탄산 바륨(BaTiO3) 100mol%, 산화세슘(CeO2) 6mol%, 산화티탄(TiO2) 6mol%, 산화코발트(Co2O3) 0.1mol%, 산화다이스프로슘(Dy2O3) 0.1mol%를 구성 성분으로 갖는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을 소결온도 1,280℃에서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결과, 유전상수는 25℃에서 9,700KHz, 유전손실은 0.9%, 절연저항은 2.5×1012Ωcm, 유전율의 온도특성(TCC : Temperature Coeffiicient of Capacitance )은 -20℃와 80℃에서 각각 -29%와 -75%인 특성을 나타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은 9,500KHz 이상의 고유전율을 갖고, 1.3×1012Ωcm 이상의 절연저항과, 1,310℃ 이하의 소결온도를 갖고 있으며, 유전변화율이 -20∼80℃의 범위 내에서 25℃에서 유전율을 기준으로 -82% 내지 +22%를 나타내는 EIA(Electronic Industry Association)규격의 Y5V 온도특성을 만족하므로 고신뢰성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티탄산 바륨(BaTiO3) 100mol%, 산화세슘(CeO2) 4∼6mol%, 산화티탄(TiO2) 6∼8mol%, 산화코발트(Co2O3) 0.05∼0.1mol%, 산화다이스프로슘(Dy2O3) ]0.05∼0.1mol%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 조성물.
KR1019960078282A 1996-12-30 1996-12-30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 KR19980058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282A KR19980058946A (ko) 1996-12-30 1996-12-30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282A KR19980058946A (ko) 1996-12-30 1996-12-30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946A true KR19980058946A (ko) 1998-10-07

Family

ID=66423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8282A KR19980058946A (ko) 1996-12-30 1996-12-30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89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4230B1 (ko) 내환원성 유전체 자기 조성물
JP2002362970A (ja) 誘電体磁器組成物及び磁器コンデンサ
KR930004747B1 (ko) 자기 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KR0174719B1 (ko)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
KR19980058946A (ko)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
KR19980058943A (ko)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
KR19980058945A (ko)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
KR100413633B1 (ko)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
KR0119124B1 (ko) 내환원성 유전체 조성물
KR100196406B1 (ko)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
KR100196404B1 (ko)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
JP2869900B2 (ja) 非還元性誘電体磁器組成物
KR19980058944A (ko)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
KR100196405B1 (ko)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
KR19980046582A (ko) 고유전율 유전체 자기조성물
KR940011689B1 (ko) 온도보상용 유전체 자기 조성물
KR19980020389A (ko) 고주파 대용량 세라믹콘덴서용 유전체조성물
KR940008654B1 (ko) 산화붕소와 산화동을 함유한 고유전율 티탄산바륨계 세라믹 유전체 조성물
JP3185333B2 (ja) 非還元性誘電体磁器組成物
KR950008599B1 (ko) 온도보상용 유전체 자기 조성물
KR940004144B1 (ko) 유전체 자기조성물
KR100206388B1 (ko) 내환원성 유전체 조성물
KR940003970B1 (ko) 저온소결용 고유전율 티탄산바륨계 세라믹 유전체조성물
KR940006426B1 (ko) 유전체 자기 조성물
JP3333017B2 (ja) 温度補償用誘電体磁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