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8197U - 무예봉 - Google Patents

무예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8197U
KR19980058197U KR2019970002576U KR19970002576U KR19980058197U KR 19980058197 U KR19980058197 U KR 19980058197U KR 2019970002576 U KR2019970002576 U KR 2019970002576U KR 19970002576 U KR19970002576 U KR 19970002576U KR 19980058197 U KR19980058197 U KR 199800581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tial arts
rod
ribbons
fixing means
attachmen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2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1804Y1 (ko
Inventor
신영억
Original Assignee
신영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억 filed Critical 신영억
Priority to KR20199700025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804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1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1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8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5/00Clubs for gymnastics or the like, e.g. for swinging exercises
    • A63B15/02Clubs for gymnastics or the like, e.g. for swinging exercis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조용 또는 창작무용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무예봉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기 쌍절곤(1)은 바디부(2)에 장식용 리본이 붙어 있지 않아 일반인들에게 시각적으로 무기로써의 두려움을 주게됨과 더불어 리듬체조 또는 창작무용시 공중에 던졌다 잡는 동작 등에 다소의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무예봉(4)은 상기 쌍절곤(1)의 선단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리본(5)이 각각 부착되는 부착수단(6)과 후단에는 연결끈(7)이 상호 고정되는 고정수단(8)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착수단(6)과 고정수단(8)을 상호 동일체로 연결하는 바디부(2)의 내측에는 각각 일정간격으로 소정깊의 테두리식 요부(9)가 형성됨으로써 일반적으로 무술 또는 운동용으로 사용되는 쌍절곤(1)을 주로 리듬체조 또는 창작무용 등을 위한 무예봉(4)으로 구조변형시켜 일반인 또는 학생들로 하여금 폭넓게 상기 무예봉(4)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예봉(舞藝棒)
본 고안은 체조용 또는 창작무용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무예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무예봉의 일측 선단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리본을 구비하여 상기 무예봉을 통해 적당한 리듬체조 또는 창작무용 등을 할 수 있게 하도록 한 무예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들은 건강체조용으로 보다는 주로 무술용 도구로 쌍절곤(1)을 사용하는데 상기 쌍절곤(1)은 소정의 단면형상을 갖는 일정길이의 바디부(2)와, 상기 바디부(2)의 후단에 상호 고정되는 체인(3)으로 연결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기 쌍절곤(1)은 바디부(2)에 장식용 리본이 붙어 있지 않아 일반인들에게 시각적으로 무기로써의 두려움을 주게됨과 더불어 리듬체조 또는 창작무용시 공중에 던졌다 잡는 동작 등에 다소의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쌍절곤의 선단에 각각 소정길이의 리본을 다수 부착시켜 일반인 또는 학생들로 하여금 주로 리듬체조 또는 창작무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도록 한 무예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무술에 사용되는 쌍절곤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무예봉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의한 무예봉의 선단에 리본이 달린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확대 A-A'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2에 의한 각각의 무예봉의 후단에 연결끈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확대 B-B'단면도이다.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 바디부 4: 무예봉 5: 리본 6: 부착수단 7: 연결끈 8: 고정수단 9: 테두리식 요부 10: 제 1수직형 관통구 11: 테두리부 12: 방사형 관통구 13: 매듭부 14: 제 2수직형 관통구 15: 카운터 싱크부 16: 고정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리듬체조 또는 창작무용 등을 위한 한쌍의 체조용 무예봉의 선단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리본이 각각 부착되는 부착수단과 후단에는 연결끈이 상호 고정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착수단과 고정수단을 상호 동일체로 연결하는 바디부의 내측에는 각각 일정간격으로 소정깊의 테두리식 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듬체조 또는 창작무용을 위한 한쌍의 체조용 무예봉(4)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무예봉(4)은 선단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리본(5)이 각각 부착되는 부착수단(6)과 후단에는 연결끈(7)이 상호 고정되는 고정수단(8)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착수단(6)과 고정수단(8)을 상호 동일체로 연결하는 바디부(2)의 내측에는 각각 일정간격으로 소정깊의 테두리식 요부(9)가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상기 부착수단(6)은 상기 무예봉(4)의 선단측 가상의 중심축에 소정의 깊이로 상기 다수의 리본(5)을 인출시키는 제 1수직형 관통구(1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수직형 관통구(10)에 상응하여 상기 무예봉(4)의 테두리부(11)에는 일정간격으로 상기 각각의 리본(5)을 끼울 수 있게 하는 방사형 관통구(12)가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8)은 상기 무예봉(4)의 후단측 가상의 중심축에 소정의 깊이로 상기 연결끈(7)에 형성되는 매듭부(13)를 인입시키는 소정깊이의 제 2수직형 관통구(14)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2)의 외주면상에는 전후로 각각 카운터 싱크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카운터 싱크부(15)에는 상기 연결끈(7)의 매듭부(13)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6)가 관통되게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참고로, 상기 무예봉(4)의 리본(5)은 여섯가닥의 컬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하겠고 길이는 대략 20 CM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겠다.
특히, 상기 무예봉(4)의 바디부(2)는 플라스틱수지 또는 목재로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 하겠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6)는 착탈가능한 스크류(17)와 너트(18)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겠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리듬체조 또는 창작무용을 위한 한쌍의 체조용 무예봉(4)은 선단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리본(5)이 각각 부착되는 부착수단(6)과 후단에는 연결끈(7)이 상호 고정되는 고정수단(8)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착수단(6)과 고정수단(8)을 상호 동일체로 연결하는 바디부(2)의 내측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소정깊의 테두리식 요부(9)가 형성됨으로써 제작자가 상기 무예봉(4)을 이루는 바디부(2)의 선단측 부착수단(6)을 통해 상기 다수의 리본(5)을 부착시킬 수 있게됨과 더불어 상기 바디부(2)의 후단에 상기 고정수단(8)을 통해 상기 연결끈(7)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무예봉(4)을 사용하는 일반인 또는 학생들이 상기 무예봉(4)을 공중으로 던졌다 잡는 동작 등을 하게 될 때 상기 바디부(2)의 리본(5)을 통해 상기 무예봉(4)을 편안하게 잡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2)의 외주면에는 양측으로 각각 테두리식 요부(9)가 형성됨으로써 외적으로 미관이 돗보이게됨과 더불어 사용자가 상기 무예봉(4)의 바디부(2)를 잡고 체조를 하게 될 때 땀 등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부착수단(6)은 상기 무예봉(4)의 선단측 가상의 중심축에 소정의 깊이로 상기 다수의 리본(5)을 인출시키는 제 1수직형 관통구(1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수직형 관통구(10)에 상응하여 상기 무예봉(4)의 테두리부(11)에는 일정간격으로 상기 각각의 리본(5)을 끼울 수 있게 하는 방사형 관통구(12)가 형성됨으로써 제작자가 우선, 상기 무예봉(4)의 테두리부(11)측 각각의 방사형 관통구(12)를 통해 상기 리본(5)을 감싸듯이 순차적으로 각각 끼운후 상기 제 1수직형 관통구(10)를 통해 소정의 집게(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상기 리본(5)의 양측 선단을 동일길이로 각각 인출시켜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계속해서, 상기 고정수단(8)은 상기 무예봉(4)의 후단측 가상의 중심축에 소정의 깊이로 상기 연결끈(7)에 형성되는 매듭부(13)를 인입시키는 소정깊이의 제 2수직형 관통구(14)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2)의 외주면상에는 전후로 각각 카운터 싱크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카운터 싱크부(15)에는 상기 연결끈(7)의 매듭부(13)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6)가 관통되게 구비됨으로써 제작자가 우선, 상기 무예봉(4)의 후단측 제 2수직형 관통구(14)를 통해 상기 연결끈(7)의 매듭부(13)를 끼운후 상기 바디부(2)의 양측 카운터 싱크부(15)에 상기 고정부재(16)를 끼워 상기 연결끈(7)의 매듭부(13)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바디부(2)의 카운터 싱크부(15)에는 미관을 보호하는 테이프가 부착되는 것이 좋겠다.
위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무예봉(4)은 선단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리본(5)이 각각 부착되는 부착수단(6)과 후단에는 연결끈(7)이 상호 고정되는 고정수단(8)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착수단(6)과 고정수단(8)을 상호 동일체로 연결하는 바디부(2)의 내측에는 각각 일정간격으로 소정깊의 테두리식 요부(9)가 형성됨으로써 일반적으로 무술 또는 운동용으로 사용되는 쌍절곤(1)을 주로 리듬체조 또는 창작무용 등을 위한 무예봉(4)으로 구조변형시켜 일반인 또는 학생들로 하여금 폭넓게 상기 무예봉(4)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리듬체조 또는 창작무용을 위한 한쌍의 체조용 무예봉(4)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무예봉(4)은 선단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리본(5)이 각각 부착되는 부착수단(6)과 후단에는 연결끈(7)이 상호 고정되는 고정수단(8)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착수단(6)과 고정수단(8)을 상호 동일체로 연결하는 바디부(2)의 내측에는 각각 일정간격으로 소정깊의 테두리식 요부(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예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6)은 상기 무예봉(4)의 선단측 가상의 중심축에 소정의 깊이로 상기 다수의 리본(5)을 인출시키는 제 1수직형 관통구(1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수직형 관통구(10)에 상응하여 상기 무예봉(4)의 테두리부(11)에는 일정간격으로 상기 각각의 리본(5)을 끼울 수 있게 하는 방사형 관통구(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예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8)은 상기 무예봉(4)의 후단측 가상의 중심축에 소정의 깊이로 상기 연결끈(7)에 형성되는 매듭부(13)를 인입시키는 소정깊이의 제 2수직형 관통구(14)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2)의 외주면상에는 전후로 각각 카운터 싱크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카운터 싱크부(15)에는 상기 연결끈(7)의 매듭부(13)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6)가 관통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예봉.
KR2019970002576U 1997-02-20 1997-02-20 무예봉 KR2001618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576U KR200161804Y1 (ko) 1997-02-20 1997-02-20 무예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576U KR200161804Y1 (ko) 1997-02-20 1997-02-20 무예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197U true KR19980058197U (ko) 1998-10-26
KR200161804Y1 KR200161804Y1 (ko) 1999-12-01

Family

ID=1949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2576U KR200161804Y1 (ko) 1997-02-20 1997-02-20 무예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8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63B1 (ko) * 2005-05-27 2006-11-23 마선옥 경무봉
KR102085461B1 (ko) * 2018-11-29 2020-04-20 허기철 수련용 봉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7964A1 (en) * 2007-03-28 2008-10-02 Sang-Min Lee Twins stick
KR102636255B1 (ko) 2023-06-13 2024-02-15 (주)드림텍 감속기 오일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63B1 (ko) * 2005-05-27 2006-11-23 마선옥 경무봉
KR102085461B1 (ko) * 2018-11-29 2020-04-20 허기철 수련용 봉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1804Y1 (ko) 199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2077A (en) Wrist band for tennis rackets and the like
KR970027166U (ko) 시각적 표시부를 갖는 골프 클럽 헤드
US5492324A (en) Tennis racket with enhanced handle kit
ZA963643B (en) Large golf club head with large diameter tip shaft
BR9402673A (pt) Taco de golfe e processo de formar uma conexão de uma haste com a cabeça de um taco de golfe.
US60042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tag game
KR200161804Y1 (ko) 무예봉
WO2016019613A1 (zh) 一种舞吧跳跳球
US3323796A (en) Jousting apparatus
US20100240500A1 (en) Handle for skipping rop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4585420A (en) Molded rubber ski rope handle with continuous closed finger protector
WO2016019612A1 (zh) 一种健身减肥跳跳球
KR200272967Y1 (ko)
Agard Prospero Caliban Cricket
CN217548934U (zh) 一种新型防断线球拍
CN219154126U (zh) 一种防脱落的工艺品挂件
JP2569328B2 (ja) ラケツトのフレ−ム
CN217163127U (zh) 一种组装式兵道训练剑
CN215609274U (zh) 飞镖保护套
CN210251098U (zh) 功能足球彩色指示标志杆
CN211435090U (zh) 一种儿童组合玩具
KR19990009108U (ko) 착용식 야광 풍선
JP2004202181A (ja) ソフト棍及びソフト多節棍
KR200171533Y1 (ko) 회전이 용이한 줄넘기
KR890009258Y1 (ko) 장식용 머리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