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290U - Adjustable Platform Location Indicator - Google Patents

Adjustable Platform Location Indic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290U
KR19980057290U KR2019970001464U KR19970001464U KR19980057290U KR 19980057290 U KR19980057290 U KR 19980057290U KR 2019970001464 U KR2019970001464 U KR 2019970001464U KR 19970001464 U KR19970001464 U KR 19970001464U KR 19980057290 U KR19980057290 U KR 199800572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position indicator
nut
elevato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46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용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70001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7290U/en
Publication of KR199800572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290U/en

Links

Landscapes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변형 승강장 위치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장 위치 표시기를 제작시, 수평면에 볼트 결합을 위한 너트홀을 형성하고 수직면의 끝부분을 갈고리형으로 제작하며 갈고리의 중간부분에 테이퍼진 걸림쇠를 형성한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쇠홀 및 갈고리 홀을 한 세트로 일정개수 형성한 사이드 패널을 갖도록하여, 위치표시기를 탑재하기 위한 박스가 브라켓보다 깊숙히 파진 상태에서도 상기 너트부를 사이드 패널에서 적절히 조절하여 볼팅채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강기 위치표시기를 정확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승강장 위치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landing position indicator, in particular, when manufacturing the landing position indicator, forming a nut hole for the bolt coupling on the horizontal plane, the end of the vertical surface in the form of hooks and tapered latches in the middle of the hook One nut portion and a side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latch holes and hook holes formed so that the nut portion can be fitted, so that the nut portion side even when the box for mounting the position indicator is dug deeper than the bracket It relates to a variable landing position indic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properly install the elevator position indicator by allowing the panel to adjust the bolting properly.

Description

가변형 승강장 위치 표시기Adjustable Platform Location Indicator

본 고안은 가변형 승강장 위치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장 위치 표시기를 제작시, 수평면에 볼트 결합을 위한 너트홀을 형성하고 수직면의 끝부분을 갈고리형으로 제작하며 갈고리의 중간부분에 테이퍼진 걸림쇠를 형성한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쇠홀 및 갈고리 홀을 한 세트로 일정개수 형성한 사이드 패널을 갖도록하여, 위치표시기를 탑재하기 위한 박스가 브라켓보다 깊숙히 파진 상태에서도 상기 너트부를 사이드 패널에서 적절히 조절하여 볼팅채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강기 위치표시기를 정확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승강장 위치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landing position indicator, in particular, when manufacturing the landing position indicator, forming a nut hole for the bolt coupling on the horizontal plane, the end of the vertical surface in the form of hooks and tapered latches in the middle of the hook One nut portion and a side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latch holes and hook holes formed so that the nut portion can be fitted, so that the nut portion side even when the box for mounting the position indicator is dug deeper than the bracket It relates to a variable landing position indic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properly install the elevator position indicator by allowing the panel to adjust the bolting properly.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승객이 탑승하는 공간을 이루는 카(1)와, 상기 카(1)의 상승 및 하강을 제어위해 카의 무게와 비슷한 무게를 갖으며 카의 이동방향과 반대로 움직이는 균형추(2) 및, 상기 균형추를 제어하여 카의 유동을 조작토록 각종 도르레와 전자제어장치가 설치되는 기계실(3)로 이루어 진다.In general, the structure of the elevator, as shown in Figure 1, the car (1) constituting a passenger boarding space, and has a weight similar to the weight of the car to control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car (1) It consists of a counterweight (2)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movement, and a machine room (3) in which various pulleys and electronic control devices are installed to operate the flow of the car by controlling the counterweight.

그리고 상기 카(1)는 카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고, 균형추(2) 역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움직인다.The car 1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ail installed on the car side, and the counterweight 2 also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ail.

또한, 상기 카(1)와 균형추(2)가 위치하는 공간의 최 하부에는 버퍼빔(4, 5)이 각각 위치하는데, 이는 카(1)가 정격속도보다 1.3배 이상 빠른 속도로 하강시에는 기계실에 위치한 속도 조절기의 전기적 스위치 동작으로 권상기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카를 멈출 수 있지만, 만약 전기적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버퍼빔(4, 5)을 이용하여 카(1)가 바닥에 충돌할 때 또는 균형추(2)가 바닥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진다.In addition, buffer beams 4 and 5 ar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pace in which 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2 are located, which is when the car 1 descends at a speed 1.3 times faster than the rated speed. The hoisting brake can be stopped by the electric switch operation of the speed controller located in the machine room. However, if the electric switch does not work, when the car 1 hits the floor using the buffer beams 4 and 5, Or counterweight (2) is installed to minimize the impact that occurs when the impact on the floor.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에 승차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엘리베이터 승강기 조작 스위치(11)를 외부에 설치하는데, 이는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조작 스위치(11)의 표면에 설치된 푸시버튼(12)을 온 시키면 기계실에서 이를 인지하여 균형추(2) 및 엘리베어터의 도어를 제어함으로써 승객이 카(1)에 탑승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get on the elevator as shown in Figure 2 elevator elevator operating switch 11 is installed on the outside, the passenger to turn on the push button 12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operation switch 11 to use the elevator. Then, the machine room recognizes this and guides the passenger to board the car 1 by controlling the balance weight 2 and the door of the elevator.

상기 승강기 조작 스위치(11)는 승객의 조작이 편리한 벽면의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는데,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먼저 박스(13)를 벽면에 고정한후 브라켓(14)을 삽입하고, 그 위에 조작버튼이 설치되는 커버(15)를 덮고 볼트(16)로 체결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The elevator operation switch 11 is installed at a constant height of the wall surface for convenient operation of the passenger, as shown in FIG. 3, after first fixing the box 13 to the wall surface and inserting the bracket 14 thereon, the operation button is placed thereon. Covering the cover 15 is installed and is fastened with a bolt (16).

그런데 상기 박스(13)는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한 벽면 공사중 미리 제작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제어용 장치가 내장되는 브라켓(14)을 삽입시 제대로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By the way, because the box 13 is made in advance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surface for the elevator installation, there is a case that does not fit properly when inserting the bracket 14 in which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s built.

따라서 도 4와 같이 브라켓(14) 삽입후 커버(15)를 덮고 볼트(16)로 체결하면 커버(15)와 브라켓(14)간의 갭(GAP)이 발생하여 단단히 고정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4, when the cover 15 is inserted after the bracket 14 is inserted and fastened with the bolt 16, a gap GAP between the cover 15 and the bracket 14 occurs and it is difficult to firmly fix the cover 15.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너트와 박스의 사이드 부위를 변형하여 박스가 일정길이 후퇴한 상태에서도 너트를 적절히 조작하여 브라켓과 커버의 체결을 단단히 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modifying the side portion of the nut and the box to ensure the fastening of the bracket and the cover by properly operating the nut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box is retracted a certain length.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고안은 수평면에 볼트 결합을 위한 너트홀을 형성하고 수직면의 끝부분을 갈고리형으로 제작하며 갈고리의 중간부분에 테이퍼진 걸림쇠를 형성한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쇠홀 및 갈고리 홀을 한 세트로 일정개수 형성한 사이드 패널을 갖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nut hole for bolt coupling in a horizontal plane, the end portion of the vertical surface is made of hook type, and a nut part having a tapered catch in the middle of the hook, and a latch hole for fitting the nut part and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ide panel form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hook holes.

도 1은 엘리베이터의 움직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movement of an elevator.

도 2는 엘리베이터 승차 제어용 수동 스위치.2 is a manual switch for elevator ride control.

도 3은 수동 스위치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nual switch.

도 4는 도 3의 일실시예도.Figure 4 is an embodiment of Figure 3;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b)은 본 고안을 이용한 동작상태도.Figure 6 (a, 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도.7 is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승강기 조작스위치 12: 푸시버튼11: elevator operation switch 12: pushbutton

13: 박스 14: 브라켓13: Box 14: Bracket

15: 커버 16: 볼트15: Cover 16: Bolt

20: 너트부 30: 사이드 패널20: nut part 30: side panel

이하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고안에 이용되는 너트부(20)의 구성도로써, 수평면에 볼트 결합을 위한 너트홀(21)을 형성하고 수직면의 끝부분을 갈고리형(22)으로 제작하며 갈고리(22)의 중간부분에 테이퍼진 걸림쇠(23)를 형성한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nut portion 2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ming a nut hole 21 for coupling the bolt in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end of the vertical surface to the hook type 22 and the hook 22 A tapered clasp 23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그리고 상기 너트부가 삽입되는 박스에는 도 6A와 같이 너트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쇠홀(31-1, 31-2) 및 갈고리 홀(32-1, 32-2)을 한 세트로 일정개수 형성한 사이드 패널(30)을 갖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In addition, the box into which the nut part is inserted includes a predetermined number of latch holes 31-1 and 31-2 and hook holes 32-1 and 32-2 in one set so that the nut part can be fitted as shown in FIG. 6A. It has a configuration to have the side panel 30.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고안에서 도 6A는 박스(13)의 깊이가 정상적으로 형성된 노말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너트부(20)를 사이드 패널(30)의 두 번째 갈고리홀(31-2)과 걸림쇠홀(32-2)에 결합시키면 너트홀(21)이 수평면 상으로 드러나 커버(15)를 덮고 볼트(16)로 너트홀(21)에 결합시키면 된다.6A shows a normal state in which the depth of the box 13 is normally 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nut part 20 has a second hook hole 31-2 and a latch of the side panel 30. When coupled to the hole 32-2, the nut hole 21 is exposed on the horizontal surface, and covers the cover 15 and is coupled to the nut hole 21 with the bolt 16.

한편 도 6B는 박스의 깊이가 정상적인 깊이 보다 더 들어가게 제작되었을 때 너트부(20)를 브라켓(14)의 사이드 패널(30)에 결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첫번째 갈고리 홀(31-1)을 통하여 갈고리(22)를 통과시키고, 상기 갈고리(22)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걸림쇠(23)는 첫 번째 걸림쇠홀(32-1)에 고정되는 구조를 이룬다.6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nut part 20 is coupled to the side panel 30 of the bracket 14 when the depth of the box is made larger than the normal depth, and the first hook hole 31-1 is shown. Pass the hook 22 through, and the latch 23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hook 22 forms a structure fixed to the first latch hole (32-1).

따라서 갈고리(22)와 걸림쇠(23)를 갈고리홀(31-1)과 걸림쇠홀(32-1)로 붙잡음으로써 너트부(20)는 일정한 높이에서 단단히 고정되며, 도 7에 나타낸 바와같이 브라켓(14)이 박스(13)에 상응하여 내부로 들어가더라도 너트부(20)를 일정길이 돌출시켜 커버(15)로 덮고 볼트 결합시키므로 볼트(16)와 너트부(20) 사이에 갭이 발생하지 않고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Therefore, by holding the hook 22 and the latch 23 with the hook hole 31-1 and the latch hole 32-1, the nut portion 20 is firmly fixed at a constant height, as shown in FIG. Even if 14 enters the box 13, the nut part 20 is protruded by a certain length to cover the cover 15 and is bolted together, so that a gap does not occur between the bolt 16 and the nut part 20. Can be tightly coupled.

한편, 33은 박스와 벽 사이의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너트부(20)의 갈고리(22)가 갈고리홀(32-1, 32-2)에 끼워질 때 박스 외부로 돌출하기 때문에 갈고리(22)가 차지하는 공간을 미리 확보해야 함을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33 means a space between the box and the wall, which is because the hook 22 of the nut part 20 protrudes out of the box when fitted into the hook holes 32-1 and 32-2. It indicates that the space occupied by 22) must be secured in advance.

상기에서 갈고리홀(31-1, 31-2)과 걸림쇠홀(32-1, 32-2)은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일정개수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hook holes 31-1 and 31-2 and the latch holes 32-1 and 32-2 may be manufactured in a predetermined number as desired by the user.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위치 표시기를 제작시 박스의 깊이에 관계없이 브라켓과 커버의 공간에 갭이 생기지 않토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커버와 브라켓이 단단히 결합되어 위치표시기를 정확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vent gaps in the space between the bracket and the cover regardless of the depth of the box when manufacturing the position indicator of the elevator. Therefore, the cover and the bracket are firmly coupled so that the position indicator can be correctly installed. This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advantage.

Claims (1)

승강장 위치 조작 스위치를 제작시, 수평면에 볼트 결합을 위한 너트홀(21)이 형성되고 수직면의 끝부분을 갈고리형(22)으로 제작하며 갈고리(22)의 중간부분에 테이퍼진 걸림쇠(23)를 형성하는 너트부(20)를 브라켓(14)에 구비하고, 상기 너트부(20)가 삽입되는 사이드 패널(30)에는 너트부(20)의 걸림쇠(23)와 갈고리(22)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쇠홀(31-1, 31-2) 및 갈고리 홀(32-1, 32-2) 세트를 일정개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승강장 위치 표시기.When manufacturing the platform position operation switch, the nut hole 21 for bolting is formed in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end of the vertical plane is formed in the hook type 22, and the tapered catch 23 in the middle of the hook 22 is formed. The bracket 20 has a nut part 20 to be formed, and the clasp 23 and the hook 22 of the nut part 20 are fitted to the side panel 30 into which the nut part 20 is inserted. A variable platform position indicator, characterized in that a predetermined number of sets of latch holes 31-1, 31-2 and hook holes 32-1, 32-2 are formed.
KR2019970001464U 1997-01-31 1997-01-31 Adjustable Platform Location Indicator KR1998005729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464U KR19980057290U (en) 1997-01-31 1997-01-31 Adjustable Platform Location Indic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464U KR19980057290U (en) 1997-01-31 1997-01-31 Adjustable Platform Location Indic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290U true KR19980057290U (en) 1998-10-15

Family

ID=6968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464U KR19980057290U (en) 1997-01-31 1997-01-31 Adjustable Platform Location Indic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7290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9724A1 (en) Traction sheave elevator and machine space for a traction sheave elevator
KR102566855B1 (en) Elevator overrun systems
EP1433734B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EP1020393B1 (en) Elevator
JP2888394B2 (en) Elevator work floor
US20010045329A1 (en) Elevator system having governor positioned under controller in hoistway at top floor level
JP2000335859A (en) Curing apparatus for elevator landing opening part
KR19980057290U (en) Adjustable Platform Location Indicator
EP1346942B1 (en) Car upper handrail device of elevator
KR100714941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KR900004973Y1 (en) Detection system of position of elevator
KR100941955B1 (en) Traction machine structure for an elevator and cage assembly
KR20090122740A (en) The device for preventing returing of the elevator door
JP4867285B2 (en) Elevator hoistway wiring system
WO2003104130A1 (en) Elevator
JP2019108175A (en) Elevator apparatus
KR100455502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elevator traction machine
JPH0121073B2 (en)
JPS6260355B2 (en)
KR100346283B1 (en) Sticking structure of Rope fixing equipment in Elevator
KR100964722B1 (en) Traction machine structure for an elevator and cage assembly
KR950004103Y1 (en) Elevator movable handrail
KR100336352B1 (en) Control panel loading device for elevator
KR200268013Y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a hanger case of an elevator door
JP3222771B2 (en) Mounting structure of the opening frame of the elevator la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