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376A -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 - Google Patents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56376A KR19980056376A KR1019960075644A KR19960075644A KR19980056376A KR 19980056376 A KR19980056376 A KR 19980056376A KR 1019960075644 A KR1019960075644 A KR 1019960075644A KR 19960075644 A KR19960075644 A KR 19960075644A KR 19980056376 A KR19980056376 A KR 199800563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umidification
- tank
- purified water
- valv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취수용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35)와, 가습용 정수를 저장하는 가습 탱크(39)와, 상기 정수탱크(35), 가습 탱 크(39 )의 수위를 감지 하는 수위 감지수단(102)과, 상기 정수탱크(35) 및 가습 탱크( 39)의 수위에 따라 원수의 통로를 개폐시키는 원수밸브(51)와, 상기 정수탱크(35)의 수위에 따라 정수탱크(35)로 공급되는 정수의 통로를 개폐시키는 정수밸브(57)와, 상기 가습탱크(39)의 수위에 따라 가습탱크(39)로 공급되는 정수의 통로를 개폐시키는 가습밸브(59)와, 상기 원수밸브(51), 정수밸브(57) 및 가습밸브(59)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18)으로 이루어져, 정수된 물을 취수함과 동시에 정수된 물로 수증기를 발생하는 가습기능을 수행하므로 위생적이면서도 구성이 간단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도물등의 원수에 함유된 유해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정수를 행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된 물로 수증기를 발생하여 실내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물등의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유해한 발암물질을 제거하여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그 정수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및 역삼투압식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역삼투압식은 원수에 압력을 가하여 인공적인 삼투막인 멤브레인(역삼투필터)을 통과시켜 정수를 행하는 것으로,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박테리아, 발암물질 등을 분리제거함과 동시에 순수한 물과 용존산소 등만이 통과된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최첨단 과학산업이나 초정밀전자부품의 세척용 또는 의학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식수를 위한 가정용 정수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역삼투압식 정수기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도꼭지(1)에 연결된 어댑터(2)을 통하여 급수관(3)내로 공급되는 수도물등의 원수는 본체(4)의 배면측에 설치된 전처리필터(5)를 통과하면서 염소성분등의 각종 유해한 유기화합물질이 제거되고, 상기 전처리필터(5)를 통과한 원수는 도시되지 않은 급수밸브에 의해 급수량이 조절됨과 동시에 가압펌프의 구동에 따라 소정압력으로 승압되어 멤브레인(6)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멤브레인(6)으로 유입된 원수는 멤브레인(6)내의 도시되지 않은 다수개의 멤브레인막을 투과하면서 원수에 함유되어있는 각종 중금속이나 발암물질 박테리아등의 세균이 제거되고, 상기 멤브레인(6)을 통과한 원수는 다시 후처리필터(7)를 통과하면서 유독가스등의 냄새가 제거된다.
상기 후처리필터(7)를 통과하면서 유독가스등의 냄새가 제거되어 물맛이 좋아진 정수는 급수공(8)을 통해 정수탱크(9)내에 공급된다.
상기 정수탱크(9)에 정수가 공급되면, 정수탱크(9)에 공급되는 정수량이 만수위(정수탱크에 공급되는 정수를 차단하기 위한 최대정수량)인지 또는 갈수위 (정수탱 크에 정수를 공급하기 시작하기위한 최소정수량)인지를 수위센서에서 감지한다.
상기 정수탱크(9)에 공급된 정수량이 만수위인 경우에는 정수탱크(9)내로 정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정수탱크(9)에 공급된 정수량이 갈수위인 경우에는 정수탱크(9)내로 정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정수탱크(9)내에 항상 일정량의 정수가 저장되도록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탱크(9)내에 저장된 정수는 취수레버(10)의 작동에 따라 취수구(11)를 통해 배출됨으로서 취수가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정수기에 있어서는, 실내에 수증기를 발생하는 가습기능을 갖추지 않아 사용자가 실내습도를 조절하고자할 경우 별도로 가습기를 갖추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정수된 물을 취수함과 동시에 정수된 물로 수증기를 발생하는 가습기능을 수행하므로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제품의 복합기능을 요구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수된 물로 수증기를 발생하므로 보다 위생적이고, 가습기의 물을 정수동작에 따라 자동공급하므로 사용하기가 편리한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는 급수되는 원수를 다수개의 필터를 거쳐 정수를 행하는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거쳐 정수된 물을 취수하도록 저장하는 정수탱크와, 상기 필터를 거쳐 정수된 물로 수증기를 발생하도록 저장하는 가습탱크와, 상기 정수탱크 및 가습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과, 상기 정수탱크 및 가습탱크의 수위에 따라 원수의 통로를 개폐시키는 원수밸브와 상기 정수탱크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정수탱크로 공급되는 정수의 통로를 개폐시키는 정수밸브와, 상기 가습탱크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가습탱크로 공급되는 정수의 통로를 개폐시키는 가습밸브와, 상기 수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원수밸브, 정수밸브 및 가습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정수기를 도시한 전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제어장치의 제어블록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제어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5 : 급수관 27 : V필터
29 : 전처리필터 31 : 멤브레인
33 : 후처리필터 35 : 정수탱크
39 : 가습탱크 41 : 가습분출구
51 : 원수밸브 53 : 가압펌프
55 : 농축수밸브 57 : 정수밸브
59 : 가습밸브 73 : 가습발생기
100 : 전원수단 102 :수위감지수단
104 : 정수탱크수위감지부 106 : 가습 탱크수위 감지부
108 : 키이입력수단 118 : 제어수단
120 : 펌프구동수단 122 : 원수밸브구동수단
124 : 농축수밸브구동수단 126 : 정수밸브구동수단
128 : 가습밸브구동수단 130 : 가습발생기구동수단
132 : 표시수단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수기 본체(20)의 전면에는 컵등의 취수용기를 수납하기위한 수납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20)의 배면측에는 수도꼭지(22)에 결합된 연결구(23)에 급수관(25)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관(25)의 타단에는 상기 수도꼭지(22)로부터 연결구(23)를 통해 급수되는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염소성분등의 각종 유해한 유기화합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필터(2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처리필터(29)의 일측에는 상기 전처리필터(29)를 통과한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중 중금속이나 발암물질, 박테리아등의 세균을 제거하도록 내측에 도시되지 않은 다수개의 멤브레인막이 형성된 멤브레인(3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멤브레인(31)의 일측에는 상기 멤브레인(31)을 통과한 원수에 함유된 유독가스등의 냄새성분을 제거하는 후처리필터(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상측에는 상기 후처리필터(33)를 통과한 정수를 저장하여 취수하도록 정수탱크(3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정수탱크(35)의 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취수구를 통해 상기 정수탱크(35)내의 정수가 배출되도록 취수레버(37)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정수탱크(35)의 일측에는 상기 후처리필터(33)를 통과한 정수를 저장하여 수증기를 발생하도록 가습탱크(39)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가습탱크(39)의 상단일측에는 상기 가습탱크(39)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분출시키는 가습분출구(41)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습탱크(39)의 전면에는 상기 정수기의 운전모드(정수, 가습, 가습상태조절 등)와 운전의 시작/정지 등을 입력함과 동시에 키입력에 따른 정수기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콘트롤부(4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20)의 상측에는 상부덮개(45,47)가 결합되며, 상기 본체(20)의 배면측에는 배면덮개(49)가 결합되어진다.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참조부호 27은 수도꼭지(22)로부터 연결구(23)를 통해 급수되는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진흙이나 흙탕물등의 덩어리입자를 제거하도록 그물망으로 형성된 VISUAL필터(이하, V필터라 한다)이고, 상기 V필터(27)의 전단에는 상기 정수탱크(35)와 가습탱크(39)내의 정수량 즉, 상기 정수탱크(35)와 가습탱크(39)의 수위에 따라 개폐 작동되는 원수밸브(5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처리필터(29)와 멤브레인(31)사이에는 상기 전처리필터(29)를 통과하여 상기 멤브레인(31)으로 유입되는 원수가 소정압력을 가지고 상기 멤브레인(31)에서 역삼투압에 의한 정수가 가능하도록 상기 멤브레인(31)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압력을 소정압력으로 승압시키는 가압펌프(5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멤브레인(31)의 하단에는 상기 전처리필터(29)를 통과하여 멤브레인(31)으로 유입된 원수가운데 멤브레인(31)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멤브레인막을 투과하지 못하는 농축수(중금속이나 발암물질, 박테리아 등의 세균이 포함)를 배출하는 농축수밸브(55)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후처리필터(33)의 후단에는 상기정수탱크(35)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정수탱크(35)로 공급되는 정수의 통로를 개폐시키는 정수밸브(5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처리필터(33)의 후단에는 상기 가습탱크(39)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가습탱크(39)로 공급되는 정수의 통로를 개폐시키는 가습밸브(5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정수탱크(35)의 내부후면에는 상기 정수탱크(35)내에 저장된 정수의 양을 감지하는 만수위 및 갈수위 센서(61,6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습탱크(39)의 내부후면에는 상기 가습탱크(39)내에 저장된 정수의 양을 감지하는 만수위 및 갈수위센서(67,6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습탱크(39)내에는 상기 가습분출구(41)를 통해 분출되는 수증기를 발생하는 가습발생기(7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65,71은 상기 만수위 및 갈수위센서(61,63), (67,69)의 감지전극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를 제어하는 회로블록도를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수단(100)은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상기 정수기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수위감지수단(102)은 상기 정수탱크(35)내에 공급되어 저장되는 정수량 즉, 상기 정수탱크(35)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만수위 및 저수위센서(61,63)로 이루어진 정수탱크수위감지부(104)와, 상기 가습탱크(3)내에 공급되어 저장되는 정수량 즉, 상기 가습탱크(39)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만수위 및 저수위센서(67,69)로 이루어진 가습탱크수위감지부(10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키이입력수단(108)은 상기 정수기의 정수기능을 선택하는 정수키(110)와, 상기 정수기의 가습기능을 선택하는 가습키(112)와, 상기 정수기의 가습상태(예를들면, 분무량)를 조절하는 가습조절키(114)와, 상기 정수기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는 전원키(116)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수단(118)은 상기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정수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상기 키이입력수단(108)에 의해 입력된 키이신호에 따라 상기 정수기의 정수기능과 가습기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써, 이 제어수단(118)은 상기 수위감지수단(102)에 의해 감지된 상기정수탱크(35)와 가습탱크(39)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정수기의 정수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펌프구동수단(120)은 상기 수위감지수단(102)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정수탱크(35)와 가습탱크(39)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정수탱크(35)와 가습탱크(39)내에 정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18)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가압펌프(53)를 구동제어하고, 원수밸브구동수단(122)은 상기 수위감지수단(102)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정수탱크(35)와 가습탱크(39)의 수위에 따라 상기 수도꼭지(22)로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18)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원수밸브(51)를 구동제어한다.
농축수밸브구동수단(124)은 상기 멤브레인(31)으로 유입된 원수가운데 멤브레인(31)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멤브레인 막을 투과하지 못하는 농축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18)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농축수밸브(55)를 구동제어하고, 정수밸브구동수단(126)은 상기 정수탱크수위감지부(104)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정수탱크(35)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정수탱크(35)로 공급되는 정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18)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정수밸브(57)를 구동제어한다.
또, 가습밸브구동수단(128)은 상기 가습탱크수위감지부(106)에의해 감지된 상기 가습탱크(39)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가습탱크(39)로 공급되는 정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18)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가습밸브(59 )를 구동제어 하고, 가습발생기구동수단(130)은 상기 가습탱크(39)에서 분출되는 수증기를 발생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18)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가습발생기(73)를 구동제어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표시수단(132)은 상기 키이입력수단(108)에 의해 입력된 키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18)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정수동작상태와 가습동작상태를 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제어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써, 도5a 및 도5b에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먼저, 정수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수단(100)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이 상기정수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되어 각 구동회로 및 제어수단(118)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S1에서는 상기 전원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제어수단(118)에서 입력받아 정수기를 초기화시키고, 스텝S2에서는 취수용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35)의 정수량 즉, 정수탱크(35)의 수위를 정수탱크수위감지부(104)에서 감지하여 그 감지된 수위데이타를 제어수단(118)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수단(106)에서는 정수탱크수위감지부(104)의 만수위 및 저수위센서(61,63)의 출력전압인 수위감지전압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정수탱크(35)에 공급된 정수량이 저수위인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2에서의 판별결과, 정수탱크(35)의 수위가 저수위인 경우(YES일 정우)에는 정수탱크(35)내에 정수를 공급하기위한 정수동작을 수행하도록 스텝S3에서 제어수단(118)은 원수밸브(51), 정수밸브(57)를 개방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원수밸브구동수단(122)과 정수밸브구동수단(126)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원수밸브구동수단(122)에서는 제어수단(118)의 제어에 따라 원수밸브(51)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공급하여 원수밸브(51)를 개방시키고, 정수밸브구동수단(126 )에서는 제어수단(118)의 제어에 따라 정수밸브(57)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공급하여 정수밸브(57)를 개방시킨다.
상기 원수밸브(51)가 개방되면, 수도꼭지(22)로부터 연결구(23)를 통해 급수관(25)내로 수도물등의 원수가 급수되기 시작하는데 , 제어수단(118)은 급수관(25)내로 급수되어 멤브레인(31)으로 유입되는 원수를 소정압력으로 승압시키도록 가압펌프(53)를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펌프구동수단(121)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펌프구동수단(120)에서는 제어수단(118)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가압펌프(53)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공급하여 가압펌프(53)를 구동시킨다.
상기 가압펌프(53)가 구동되면, 스텝S4에서는 원수밸브(51)의 개방에 따라 수도꼭지(22)로부터 급수관(25)내로 급수되는 원수에 함유된 진흙이나 흙탕물 등의 덩어리입자가 V필터(27)를 통과하면서 제거되고, 상기 V필터(27)를 통과한 원수는 전처리필터(29)를 통과하면서 염소성분등의 각종 유해한 유기화합물질이 제거되며, 전처리필터(29)를 통과한 원수는 가암펌프(53)를 통해 다시 멤브레인(31)으로 유입된다.
상기 멤브레인(31)으로 유입된 원수는 가압펌프(53)의 구동에 따라 소정압력으로 승압되어 멤브레인(31)을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멤브레인(31)으로 유입된 원수는 멤브레인(31)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멤브레인막을 투과하면서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중금속이나, 발암물질, 박테리아등의 세균이 제거된다.
상기 멤브레인(31)을 통과한 원수는 다시 후처리필터(33)를 통과하면서 유독가스등의 냄새가 제거된 후, 도시되지 않은 급수공을 통해 정수탱크(35)내로 공급되는 정수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스텝S5에서 제어수단(118)은 상기 키이입력수단(108)으로부터 키이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여, 키이신호가 입력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6으로 나아가서 가습키(112)가 온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6에서의 판별결과 가습키(112)가 온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정수기의 가습기능이 동작되는 상태라고 판단하여 스텝S7로 나아가서 가습용 정수를 저장하는 가습탱크(39)의 정수량 즉, 가습탱크(39)의 수위를 가습탱크수위감지부(106)에서 감지하어그 감지된 수위데이타를 제어수단(118)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수단(106)에서는 가습탱크수위감지부(106)의 만수위 및 저수위센서(67,69)의 출력전압인 수위감지전압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가습탱크(39)에 공급된 정수량이 저수위인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7에서의 판별결과, 가습탱크(39)의 수위가 저수위가 아닌 정우(NO일 정우)에는 가습탱크(39)에 정수를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습탱크(39)의 수위가 저수위로 떨어질때까지 정수동작을 대기 하면서 스텝S8에서는 상기 키이입력수단(108)의 가습조절키(114)에 의해 조절된 가습상태(예를들면, 분무량)로 가습탱크(39)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의 분출량을 조절한다.
이어서 , 스텝S9에서 제어수단(118)은 가습탱크(39)에서 수증기가 발생하도록 가습발생기(73)를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가습발생기구동수단(13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가습발생기구동수단(130)에서는 제어수단(118)으로부터 출력 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가습발생기(73)를 구동시킴으로써 가습탱크(39)에서 발생 되는 수증기가 가습분출구(41)를 통해 실내로 분출되어 실내습도를조절한다.
이때, 스텝 S10에서는 수증기 발생에 따라 변화하는 가습탱크(39)의 수위를 가습탱크수위감지부(106)에서 감지하여 그 감지된 수위 데이타를 제어수단(118)에 출력하면, 제어수단(106)에서는 가습탱크수위감지부(106)의 만수위 및 저수위센서(67,69)의 수위감지전압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가습탱크(39)에 공급된 정수량이 만수위인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10에서의 판별결과, 가습탱크(39)의 수위가 만수위인 경우(YES일 정우)에는 가습탱크(39)내에 정수를 공급하기위한 정수동작을 중지해야 하므로 스텝S11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18)은 가습밸브(59)를 폐쇄하기위한 제어신호를 가습밸브구동수단(128)에 출력한다.
이에따라, 상기 가습밸브구동수단(128)에서는 제어수단(118)의 제어에 따라 가습밸브(59)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하여 가습밸브(59)를 폐쇄시킨다.
이어서, 스텝S12에서는 상기 스텝S4에서의 정수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정수탱크(35)의 수위를 정수탱크수위감지부(104)에서 감지하여 그 감지된 수위데이타를 제어수단(118)에 출력하면, 제어수단(106)에서는 정수탱크수위감지부(104)의 만수위 및 저수위센서(61,63)의 수위감지전압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정수탱크(35)에 공급된 정수량이 만수위인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12에서의 판별결과, 정수탱크(35)의 수위가 만수위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정수탱크(35)내에 정수를 계속해서 공급해야 하므로 상기 스텝S4로 복귀하여 정수동작을 수행하면서 스텝S4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S12에서의 판별결과, 정수탱크(35)의 수위가 만수위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정수탱크(35)내에 정수를 공급하기위한 정수동작을 중지해야 하므로 스텝S13로 나아가서 제어수단(118)은 원수밸브(51)와 정수밸브(59)를 폐쇄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원수밸브구동수단(122)과 정수밸브구동수단(126)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원수밸브구동수단(122)에서는 제어수단(118)의 제어에 따라 원수밸브(51)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하여 원수밸브(51)를 폐쇄시키고, 정수밸브구동수단(126)에서는 제어수단(118)의 제어에 따라 정수밸브(59)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하여 정수밸브(59)를 폐쇄시킨다.
이와 동시에, 펌프구동수단(120)에서는 제어수단(118)의 제어에 따라 가압펌프(53)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하여 가압펌프(53)를 정지시킨다.
상기 원수밸브(51)와 정수밸브(59)가 폐쇄되고 가압펌프(53)가 정지되면, 수도꼭지(22)로부터 급수관(25)내로 급수되는 원수의 공급이 차단되어 정수탱크(35)내에는 정수가 더이상 공급되지 않게된다.
한편, 상기 스텝S7에서의 판별결과, 가습탱크(39)의 수위가 저수위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가습탱크(39)내에 정수를 공급하기위한 정수동작을 수행하도록 스텝S14에서 제어수단(118)은 원수밸브(51), 가습밸브(59 )를 개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원수밸브구동수단(122)과 가습밸브구동수단(128)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원수밸브구동수단(122)에서는 제어수단(118)의 제어에 따라 원수밸브(51)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공급하여 원수밸브(51)를 개방시키고, 가습밸브구동수단(128)에서는 제어수단(118)의 제어에 따라 가습밸브(59)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공급하여 가습밸브(59)를 개방시킨다.
상기 원수밸브(51)가 개방되면, 수도꼭지(22)로부터 연결구(23)를 통해 급수관(25)내로 수도물등의 원수가 급수되기 시작하는데, 제어수단(118)은 급수관(25)내 로 급수되어 멤브레인(31)으로 유입되는 원수를 소정압력으로 승압시키도록 가압펌프(53)를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펌프구동수단(12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펌프구동수단(120)에서는 제어수단(118)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가압펌프(53)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공급하여 가압펌프(53)를 구동시킨다.
상기 가압펌프(53)가 구동되면, 원수밸브(51)의 개방에 따라 수도꼭지(22)로부터 급수관(25)내로 급수되는 원수에 함유된 진흙이나 흙탕물 등의 덩어리입자가 V필터(27)를 통과하면서 제거되고, 상기 V필터(27)를 통과한 원수는 전처리필터(29)를 통과하면저 염소성분등의 각종 유해한 유기화합물질어 제거되며, 전처리필터(29)를 통과한 원수는 가압펌프(53)를 통해 다시 멤브레인(31)으로 유입된다.
상기 멤브레인(31)으로 유입된 원수는 가압펌프(53)의 구동에 따라 소정압력으로 승압되어 멤브레인(31)을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멤브레인(31)으로 유입된 원수는 멤브레인(31)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멤브레인막을 투과하면서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중금속이나, 발암물질, 박테리아등의 세균이 제거된다.
상기 멤브레인(31)을 통과한 원수는 다시 후처리필터(33)를 통과하면서 유독가스등의 냄새가 제거된 후, 가습밸브(59)를 통해 가습탱크(39)내로 공급되는 정수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스텝S15에서 제어수단(118)은 상기 가습탱크(39)로 정수가 공급되는동안 가습탱크(39)에서 수증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습발생기(73)를 정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가습발생기구동수단(13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가습발생기구동수단(130)에서는 제어수단(118)의 제어에 따라 가습발생기(73)를 정지시키면서 상기 스텝S10으로 나아가서 스텝S10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텝S2에서의 판별결과, 정수탱크(35)의 수위가 저수위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12로 나아가서 스텝S12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상기 스텝S5에서의 판별결과, 키이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12로 나아가서 스텝S12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하며, 상기 스텝S6에서의 판별결과, 가습키(112)가 온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12로 나아가서 스텝S12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또, 상기 스텝S10에서의 판별결과 정수탱크(35)의 수위가 만수위가 아닌 경우(N0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14로 나아가서 스텝S14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가습탱크(39)를 정수기에 설치한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냉온수기, 약수통, 생수통, 수도꼭지, 자판기 등의 물을 사용하는 모든 제품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에 의하면, 정수된 물을 취수합과 동시에 정수된 물로 수증기를 발생하는 가습기능을 수행하므로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제품의 복합기능을 요구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정수된 물로 수증기를 발생하므로 보다 위생적이면서도 가습기의 물을 정수동작에 따라 자동공급하므로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Claims (4)
- 급수되는 원수를 다수개의 필터(27,29,31,33)를 거쳐 정수를 행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27,29,31,33)를 거쳐 정수된 물을 취수하도록 저장하는 정수탱크(35)와, 상기 필터(27,29,31,33)를 거쳐 정수된 물로 수증기를 발생하도록 저장하는 가습탱크(39)와, 상기 정수탱크(35) 및 가습탱크(39)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수단(102)과, 상기 정수탱크(35) 및 가습탱크(39)의 수위에 따라 원수의 통로를 개폐시키는 원수밸브(51)와, 상기 정수탱크(35)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정수탱크(35)로 공급되는 정수의 통로를 개폐시키는 정수밸브(57)와, 상기 가습탱크(39)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가습탱크(39)로 공급되는 정수의 통로를 개폐시키는 가습밸브(59)와, 상기 수위감지수단(102)에 의해 감지된 수위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원수밸브(51), 정수밸브(57) 및 가습밸브(59)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1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습탱크(39)내에는 실내습도를 조절하도록 수증기를 발생하는 가습발생기(7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습탱크(39)의 일측에는 발생되는 수증기를 실내로 분출시키는 가습분출구(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수단(102)은 상기 정수탱크(35)의 수위를 감지하는 정수탱크수위감지부(104)와, 상기 가습탱크(39)의 수위를 감지하는 가습탱크수위감지부(106)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75644A KR19980056376A (ko) | 1996-12-28 | 1996-12-28 |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75644A KR19980056376A (ko) | 1996-12-28 | 1996-12-28 |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6376A true KR19980056376A (ko) | 1998-09-25 |
Family
ID=6639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75644A KR19980056376A (ko) | 1996-12-28 | 1996-12-28 |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5637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0256A (ko) * | 2019-04-12 | 2020-10-21 | 이형섭 | 가습기용 물의 생성 기능을 갖는 정수기 |
-
1996
- 1996-12-28 KR KR1019960075644A patent/KR1998005637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0256A (ko) * | 2019-04-12 | 2020-10-21 | 이형섭 | 가습기용 물의 생성 기능을 갖는 정수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75885B1 (ko) | 정수기의 급수차단장치 | |
JP2698060B2 (ja) | 浄水器のフィルタ取替え時期報知装置 | |
US4784763A (en) | Water purification machine | |
KR0175886B1 (ko) | 정수기의 누수감지장치 | |
US5855796A (en) | Water discharg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water purifier tank | |
KR101444786B1 (ko) |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 |
KR0175882B1 (ko) | 정수기의 수위감지장치 | |
KR0175887B1 (ko) | 정수기의 펌프제어장치 | |
KR19980056376A (ko) |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 | |
KR101093891B1 (ko) | 정수기 | |
KR100666555B1 (ko) |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순환작동방법 | |
JPH09248552A (ja) | 浄水供給装置 | |
KR0175888B1 (ko) | 정수기 | |
KR200292228Y1 (ko) | 폐수 정화용 밸브수단을 구비한 역삼투압방식의 냉온정수기 | |
KR200277037Y1 (ko) | 역삼투압 방식의 냉온정수기 | |
KR0159587B1 (ko) | 음료수 재순환 정수기 | |
KR100688388B1 (ko) | 정수기 및 은공급수단작동방법 | |
KR0175883B1 (ko) | 정수기 | |
JPH03161088A (ja) | 逆浸透膜式浄水機およびその運転方法 | |
KR19980056372A (ko) | 정수기의 제어장치 | |
KR200203570Y1 (ko) | 역삼투압 정수기의 폐수재활용장치 | |
KR20240151437A (ko) |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476323B1 (ko) |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 |
JPH1033952A (ja) | 浄水器のポンプ制御装置 | |
KR0175884B1 (ko) | 정수기의 제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