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5673U - 박막형 스피커 - Google Patents

박막형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5673U
KR19980055673U KR2019980009373U KR19980009373U KR19980055673U KR 19980055673 U KR19980055673 U KR 19980055673U KR 2019980009373 U KR2019980009373 U KR 2019980009373U KR 19980009373 U KR19980009373 U KR 19980009373U KR 19980055673 U KR19980055673 U KR 199800556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agnet
base substrate
yok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49471Y1 (ko
Inventor
한봉희
Original Assignee
한봉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봉희 filed Critical 한봉희
Priority to KR2019980009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471Y1/ko
Publication of KR19980055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6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471Y1/ko

Links

Abstract

음파가 전달되는 음향공이 형성된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원주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측벽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그릴; 상기 하우징 그릴의 후방에 결합되며, 도자성 요오크가 결합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도자성 요오크에 결합되는 마그네트; 및 음향신호에 따라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이 설치되며, 상기 마그네트와 전자기력에 의해 상호 작용함으로써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그릴의 측벽의 단부에 있는 플랜지부를 상기 베이스 기판 상면으로 구부려 코킹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기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스피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박막형 스피커
본 고안은 소형 전자 제품 등에 채용되는 박막형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며 나아가 스피커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박막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출력을 가지는 스피커는 오디오, TV 등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의 발달과 휴대용 전자기기의 개발에 따라 이들 소형화된 제품에 채용되어 사용될 박막형 스피커의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박막형 스피커는 소형일 뿐만 아니라 용도에 부응하도록 경량이어야 하며 반면 출력 음질의 신뢰성이 확보되어야만 한다.
본 출원인이 1996년 10월 14일 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3746호에는 이러한 박막형 스피커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면을 참조하면,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원형 베이스 프레임(10)의 중앙부에는 금속성의 요크(11)가 안착 결합된다. 상기 요크(11) 위에는 마그네트(12)가 안착 결합되고, 다시 이 마그네트(12) 위에는 플레이트(13)가 부착된다. 상기 플레이트(13)는 마그네트(12)의 자력선이 흐를 수 있는 도자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어서, 상기 플레이트(13)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진동판(14)이 설치된다. 이 진동판(14)의 원주부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링 형태의 림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의 원주부에는 단차를 가진 돌출턱(10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진동판(14)의 림이 상기 돌출턱(10a)의 단차 위에 지지되어 부착됨으로써 상기 진동판(14)은 베이스 프레임(10)에 유지된다.
상기 진동판(14)의 중앙부 근처에는 보이스 코일(15)이 설치되는데, 이 보이스 코일(15)은 마그네트(12)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보이스 코일(15)은 미도시된 홀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외부회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음향신호에 따라 상기 보이스 코일(15)에 전류가 흘러 이로 인해 발생한 자장과 상기 마그네트(12)의 자장에 의해 진동판(14)이 진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판(14)의 상부에는 그릴(16)이 부착된다. 상기 그릴(16)은 진동판(14)의 상면에 설치되어 진동판(14) 및 내부 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 진동판(14)의 진동에 의한 소리가 외부로 전달되도록 한다. 미도시된 참조부호 17은 상기 진동판(14)이 진동할 수 있도록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박막형 스피커의 조립에 있어서, 마그네트(12)와 플레이트(13)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따라서, 접착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접착제가 흘러 다른 부품의 기능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그릴(16)의 결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전면에 결합되는 그릴(16)은 일반적으로 평평한 디스크의 형태로서, 그릴(16)의 원주단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돌출턱(10a)에 형성된 단차에 안착되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이때, 단차 위에 지지되어 있던 진동판(14)의 외주부 또한 함께 일체로 접합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조립 공정에 따르면, 상기 그릴(16)의 접착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접착과정에서 접착제가 상기 진동판(14)으로 번져 진동판(14)의 성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높다. 또한, 이러한 모든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생산성 또한 낮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박막형 스피커의 조립 공정 및 조립 방법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상기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를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그릴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조립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그로 인한 출력 음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박막형 스피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박막형 스피커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형 스피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박막형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박막형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박막형 스피커의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30...하우징 그릴 31...음향공
30a...전면 플레이트 30b...측벽
30c..단차 30d...플랜지부
32...베이스 기판 33...통공
34...개구부 35...단자
40...요오크 42...마그네트
44...플레이트 40a,42a,44a...제1,제2,제3결합공
50...진동판 52...보이스 코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박막형 스피커는, 음파가 전달되는 음향공이 형성된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원주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측벽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그릴; 상기 하우징 그릴의 후방에 결합되며, 도자성 요오크가 결합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도자성 요오크에 결합되는 마그네트; 및 음향신호에 따라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이 설치되며, 상기 마그네트와 전자기력에 의해 상호 작용함으로써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그릴의 측벽의 단부에 있는 플랜지부를 상기 베이스 기판 상면으로 구부려 코킹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기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파가 전달되는 음향공이 형성된 하우징 그릴; 상기 하우징 그릴의 후방에 결합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에 결합되며, 그 중심에 제1결합공이 형성된 요오크; 상기 요오크에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공과 대응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된 마그네크; 상기 마그네크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공과 대응하는 제3결합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제1, 제2 및 제3결합공을 관통하여 이들을 리벳팅에 의해 결합시키는 리벳; 및 음향신호에 따라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이 설치되며, 상기 마그네트와 전자기력에 의해 상호 작용함으로써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박막형 스피커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박막형 스피커의 조립된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그 분해 사시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박막형 스피커는 스피커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 그릴(3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그릴(30)은 스피커 전면 플레이트(30a)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30a)의 원주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측벽(30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30a)에는 스피커 동작시 소리가 외부로 전달되기 위한 복수의 음향공(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플레이트(30a)와 측벽(30b)의 경계부에는 단차(30c)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피커 내부 부품의 조립시 지지를 용이하기 위해서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하우징 그릴(30)의 측벽(30b)의 원주단부에는 후술되는 베이스 기판(32)과 결합시 구부려져 코킹되는 플랜지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그릴(30)은 바람직하게 금속으로 제작되며, 프레스 등에 의해 상기 전면 플레이트(30a) 및 측벽(30b)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그릴(30)의 후방에는 베이스 기판(32)이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기판(32)은 스피커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외부회로와 연결되기 위한 터미널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베이스 기판(32)은 통상의 인쇄 회로 기판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32)의 중앙부에는 개구부(34)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34) 근처에는 복수의 통공(33)이 형성된다. 이러한 통공(33)은 스피커 내부와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 기판(32)의 하면 원주부에는 약간 돌출된 돌출원주부(3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진동판(5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베이스 기판(32)의 개구부(34)에는 요오크(4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요오크(40)의 중심에는 제1결합공(4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요오크(40)에는 마그네트(42)가 수용되는데 이 마그네트(42)에도 상기 요오크(40)의 제1결합공(40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공(4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오크(40)는 상기 마그네트(42)의 자성을 유속시킬 수 있는 도자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기판(32)은 요오크(40)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단자패턴이 형성된 터미널 보오드의 역할을 동시에 한다. 대안으로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요오크(40)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그 후면에 결합되는 터미널 보오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42) 위에는 다시 플레이트(44)가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44)에도 상기 제1 및 제2결합공(40a,42a)과 대응하는 제3결합공(44a)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50은 진동판(50)을 나타내며 그 중심부에는 음향신호에 따라 전류가 인가되는 보이스 코일(52)이 감겨 있다. 상기 진동판(50)은 합성수지 등과 같은 이미 알려진 통상의 재료로 제조되며, 그 결합 및 지지를 위해 상기 진동판(50)의 원주부에는 지지림(5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가진 본 고안의 박막형 스피커의 조립을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그릴(30)의 단차(30c)부에 진동판(50)이 놓여져 지지된다. 이때, 상기 진동판(50)의 원주부에 형성된 지지림(51)이 상기 단차(30c)부에 안착됨으로써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지지방식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32)의 개구부(34)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요오크(40)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그 위에 마그네트(42) 및 플레이트(44)가 차례로 결합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요오크(40), 마그네트(42) 및 플레이트(44)의 결합은 접착제에 의하지 않고 리벳(60)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진다.
즉, 상기 요오크(40), 마그네트(42) 및 플레이트(44)에 각각 형성된 제1, 제2 및 제3결합공을 차례로 관통하도록 리벳(60)을 삽입하고 이를 리벳(60)팅함으로써 체결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구조는 별도의 접착제 없이 상기 부품들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렇게 요오크(40), 마그네트(42) 및 플레이트(44)가 조립된 베이스 기판(32)은 상기 하우징 그릴(30)의 후방에 수용되어 결합된다. 즉,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기판(32)은 진동판(50)이 결합된 하우징 그릴(30)의 단차(30c)부에 그 원주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하우징 그릴(30) 내에 완전히 수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기판(32)의 원주부에 형성된 돌출원주부(32a)가 상기 단차(30c)부에 지지된 진동판(50)의 지지림(51) 위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방식이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와 같이 진동판(50) 위에 베이스 기판(32)이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며 얼마든지 그 변형예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판(50)에 설치된 보이스 코일(52)은 상기 마그네트(42)와 요오크(40)에 인접하여 일정간격으로 유지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하우징 그릴(30)의 측벽(30b)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30a)를 베이스 기판(32) 상면위로 구부려 젖힘으로써 상기 베이스 기판(32)을 고정시킨다. 본 고안의 이러한 결합특징은 종래의 접착제 사용을 배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판(50)에 설치된 보이스 코일(52)의 와이어는 베이스 기판(32)의 단부에 형성된 인출홈(32b)을 통해 밖으로 인출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35)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단자(35)는 스피커가 장착되는 제품에 따라 외부회로 또는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다른 박막형 스피커의 동작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52)에 음향 신호에 따라 소정의 전류가 인가되면 이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력이 상기 마그네트(42) 및 요오크(40)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진동판(50)을 진동시키게 된다.
상기 진동판(50)으로부터 발생된 음파는 음향공(31)을 따라 외부로 전달되며, 이때 상기 통공(33)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상기 진동판(50)의 원활한 진동을 돕는다.
본 고안에 따른 박막형 스피커는 요오크(40), 마그네트(42) 및 플레이트(44)를 접착제에 의해 결합시키지 않고 리벳(60)에 의해 간단히 리벳(60)팅시킴으로써 결합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결합력 또한 향상된다.
또한, 베이스 기판(32) 및 모든 내부 부품들을 수용하는 하우징 그릴(30)을 채용하고, 상기 하우징 그릴(30) 원주부의 플랜지를 구부려 코킹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기판(32)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역시 접착제의 사용을 배제시키며 그 결합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박막형 스피커의 조립공정시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므로 종래 접착제 사용에 따른 번짐 및 이로 인한 스피커 재생성능 저하 문제등을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한정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되었으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Claims (4)

  1. 음파가 전달되는 음향공이 형성된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원주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측벽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그릴;
    상기 하우징 그릴의 후방에 결합되며, 도자성 요오크가 결합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도자성 요오크에 결합되는 마그네트; 및
    음향신호에 따라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이 설치되며, 상기 마그네트와 전자기력에 의해 상호 작용함으로써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그릴의 측벽의 단부에 있는 플랜지부를 상기 베이스 기판 상면으로 구부려 코킹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기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오크, 마그네트 및 플레이트에는 각각 대응하는 제1, 제2 및 제3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2 및 제3결합공에 리벳을 관통시켜 리벳팅함으로써 상기 요오크, 마그네트 및 상기 플레이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스피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중앙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에 상기 요오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스피커.
  4. 음파가 전달되는 음향공이 형성된 하우징 그릴;
    상기 하우징 그릴의 후방에 결합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에 결합되며, 그 중심에 제1결합공이 형성된 요오크;
    상기 요오크에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공과 대응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된 마그네크;
    상기 마그네크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공과 대응하는 제3결합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제1, 제2 및 제3결합공을 관통하여 이들을 리벳팅에 의해 결합시키는 리벳; 및
    음향신호에 따라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이 설치되며, 상기 마그네트와 전자기력에 의해 상호 작용함으로써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박막형 스피커.
KR2019980009373U 1998-06-02 1998-06-02 박막형스피커 KR2002494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373U KR200249471Y1 (ko) 1998-06-02 1998-06-02 박막형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373U KR200249471Y1 (ko) 1998-06-02 1998-06-02 박막형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673U true KR19980055673U (ko) 1998-10-07
KR200249471Y1 KR200249471Y1 (ko) 2001-11-17

Family

ID=6951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373U KR200249471Y1 (ko) 1998-06-02 1998-06-02 박막형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4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327B1 (ko) * 2007-05-22 2008-03-10 (주)대한특수금속 폐자로를 구성하는 음향기기의 플레이트 결합 구조 및 방법
KR20160024136A (ko) * 2014-08-25 2016-03-04 유옥정 슬림 스피커용 진동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고성능 슬림 스피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327B1 (ko) * 2007-05-22 2008-03-10 (주)대한특수금속 폐자로를 구성하는 음향기기의 플레이트 결합 구조 및 방법
KR20160024136A (ko) * 2014-08-25 2016-03-04 유옥정 슬림 스피커용 진동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고성능 슬림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471Y1 (ko) 200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4448B2 (en) Speaker with elastic plate coupled to diaphragm
US20060072248A1 (en) Electro-dynamic exciter
US20050271236A1 (en) Coaxial speake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412221B1 (ko) 휴대 전화기용 소형 스피커
JP2002010392A (ja) スピーカユニット
KR101927961B1 (ko) 스피커 및 스피커의 제조방법
US20050276436A1 (en) Speaker device
US20080002850A1 (en) Speaker and manufacturing method
CN113099367A (zh) 扬声器、扬声器模组及电子设备
US7346182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674274B2 (en) Speaker
KR200249471Y1 (ko) 박막형스피커
JP2007060445A (ja) 電気音響変換器の端子取り付け方法と構造並びに電気音響変換器
CN111836175B (zh) 微型扬声器
CN108886666B (zh) 具有改良框架结构的电声换能器
JP2005277866A (ja) 樹脂フレーム、スピーカー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ー装置
US6751324B2 (en) Speaker device
JP3812103B2 (ja) スピーカの製造方法
KR100511218B1 (ko) 전자음향변환기의 구조
JP3747575B2 (ja) スピーカ
CN219834359U (zh) 声学装置
KR200304258Y1 (ko) 전자음향변환기의 구조
KR200245062Y1 (ko) 이어폰유니트
KR200254790Y1 (ko) 이어폰의 스피커 조립 구조
KR200276119Y1 (ko) 마이크로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