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3444A - 구내 nisdn 서비스에서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장치 - Google Patents

구내 nisdn 서비스에서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3444A
KR19980053444A KR1019960072548A KR19960072548A KR19980053444A KR 19980053444 A KR19980053444 A KR 19980053444A KR 1019960072548 A KR1019960072548 A KR 1019960072548A KR 19960072548 A KR19960072548 A KR 19960072548A KR 19980053444 A KR19980053444 A KR 19980053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nte
clock
nisdn
trans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2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7347B1 (ko
Inventor
정교영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1019960072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347B1/ko
Publication of KR19980053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12LAN interconnection over narrowband networks, e.g. N-ISDN, PSTN, X.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PBX((Private Branch Exchange : 구내 교환기)의 고속 데이타 통신에 적당하도록 한 구내 NISDN(Narrow 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 서비스에서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S인터페이스와 U인터페이스를 양쪽으로 접속하고 있는 NTE(Network Termination Equipment)를 PBX와 TE(Terminal Equipment)사이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넓은 서비스 영역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한계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U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NTE를 PBX에 적용함으로써 S인터페이스의 거리 한계가 연장되어 보다 넓은 구내 내에서의 NISDN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구내 NISDN 서비스에서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장치
본 발명은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PBX(구내 교환기)의 고속 데이타 통신에 적당하도록 한 구내 NISDN(Narrow 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 서비스에서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BX(1)와 TE(단말장치)(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구내 NISDN 서비스를 위한 구성에서와 같이 S인터페이스로써 상호 연결되어 있으면서 송신단과 수신단이 분리된 4선 방식이다.
이때, S인터페이스의 전송 부호 방식은 AMI(Alternative Mark Inversion) 방식으로 최대 전송 거리는 1㎞이다.
그리고, S인터페이스에서는 TE(2)와 PBX(1) 사이에서 호설정을 이루기 이전에 S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고 호가 종료되면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도 2에서와 같이 활성/비활성화 과정을 위한 S인터페이스 상에서의 신호 흐름을 도시하였다. 이때의 신호 흐름은 CCITT(Consultative Committee for International telegraphy and telephony) 권고안에 따른다.
즉, 서비스가 없는 경우 S인터페이스는 아이들(Idle) 상태로서 Info0가 존재하고,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활성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TE(2)와 PBX(1)간에 클럭 동기를 맞추기 위한 신호는 Info1, Info2이고, 이에 동기가 맞으면 서비스를 위한 채널로 구성되는 Info3, Info4가 존재하게 된다.
서비스를 종료하면 상호간에 Info0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아이들 상태로 들어간다.
그런데, 전술된 바와 같이 S인터페이스로만 NISDN과 접속된 PBX는 그 전송거리가 1㎞로 제한되어 넓은 지역의 구내에서 설치의 제약을 받는다.
반면, 국설 교환기가 NISDN 서비스를 위해 접속되는 NTE는 상기 PBX(1)와는 달리 그 전송거리가 넓은 U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른 NTE의 일반적인 연결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인터페이스로써 TE와 접속되면서 4선식으로 연결되고, LT(Line termination)와는 U인터페이스로써 접속되면서 2선식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NTE는 도 4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NTE는 S인터페이스와 접속되는 S트랜시버와 U인터페이스와 접속되는 U트랜시버로 구성되고 클럭선과 데이타선으로 연결된다.
이들 각각의 트랜시버는 접속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들어온 신호를 상대 인터페이스에 적당하도록 신호 변환을 해준다.
이때, 각 트랜시버의 동기는 일치해야 한다.
이에 U트랜시버가 U인터페이스에 동기된 클럭을 발생시켜 S트랜시버에 공급하고, S트랜시버는 이 클럭을 받아 S인터페이스를 구동함으로써 동기가 일치된다.
결국, NTE 내부에서 볼 때 U트랜시버는 클럭 마스터이고 S트랜시버는 클럭 슬래이브가 되며, 인터페이스 입장에서 볼 때 U트랜시버는 LT 클럭에 종속되는 클럭 슬래이브이고 S트랜시버는 TE측의 클럭 마스터가 된다.
이와 같이 S인터페이스와 U인터페이스를 양쪽으로 접속하고 있는 NTE를 NISDN 서비스를 위한 PBX에 적용하게 되면 PBX의 서비스 영역이 더 확대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S인터페이스와 U인터페이스를 양쪽으로 접속하고 있는 NTE를 PBX와 TE사이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넓은 서비스 영역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한계의 문제점을 극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구내 NISDN 서비스에서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장치는, NISDN 서비스 제공을 위해 S인터페이스로 접속되면서 송신단과 수신단이 분리된 4선식 방식으로 연결된 PBX와 TE를 포함하는 구내 NISDN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PBX와 S인터페이스로써 접속되면서 4선식으로 연결되어 클럭을 발생하여 PBX측으로 공급하는 제1NTE와; 상기 제1NTE와는 U인터페이스로써 접속되면서 2선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TE와는 S인터페이스로써 접속되면서 4선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NTE에서 공급되는 클럭에 따라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제2N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구내 NISDN 서비스를 위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활성/비활성화를 위한 S인터페이스 상에서의 신호 흐름도,
도 3은 일반적인 NISDN에서 NTE의 장착 위치도,
도 4는 도 3에서 NTE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내 NISDN 서비스에서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도 5에서 제1NTE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활성/비활성화를 위한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PBX(Private Branch Exchange) 2 : TE(Terminal Equipment)
10-1,10-2 : 제1NTE(Network Termination Equipment)
20-1,20-2 : 제2NTE 11 : S트랜시버(Transceiver)
12 : U트랜시버 13 : 클럭발생기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내 NISDN 서비스에서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도 5에서 제1NTE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활성/비활성화를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은 PBX(1)와 TE(2-1)(2-2) 사이에 제1NTE(10-1)(10-2)와 제2NTE(20-1)(20-2)가 연결 구성된다.
이때, TE(2-1)(2-2)와 제2NTE(20-1)(20-2), PBX(1)와 제1NTE(10-1)(10-2)는 S인터페이스로써 접속되고 4선식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NTE(01-1)(10-2)와 제2NTE(20-1)(20-2)는 U인터페이스로써 접속되고 2선식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NTE(10-1)(10-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트랜시버(11)와, U트랜시버(12)와, 클럭발생기(1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S트랜시버(11)는 상기 PBX(1)와의 S인터페이스와 접속되면서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상기 U트랜시버(12)는 상기 S트랜시버(11)와 데이타 라인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제2NTE(20-1)(20-2)와의 U인터페이스와 접속되어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상기 클럭발생기(13)는 상기 각 트랜시버(11)(12)의 동작에 필요한 클럭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1NTE(10-1)(10-2) 내부에서 볼 때 각 트랜시버(11)(12)는 클럭을 받으므로 클럭 슬래이브로 동작하고, 인터페이스 입장에서 볼 때 U트랜시버(12)는 U인터페이스의 클럭 마스터가 되고, S트랜시버(11)는 S인터페이스의 클럭 마스터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2NTE(20-1)(20-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NTE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제2NTE(20-1)(20-2)는 상기 제1NTE(10-1)(10-2)에서 제공되는 클럭으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을 도 7의 활성/비활성화를 위한 신호 흐름도를 같이하여 설명한다. 이때의 신호 흐름은 CCITT 권고안에 따른다.
우선, 호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그런데, 호 설정 이전에는 아이들 상태에 있게 되므로 도 7에서와 같이 S인터페이스 상에서는 Info0, U인터페이스 상에서는 SL0,SN0가 존재하게 된다.
PBX(1)에서 호설정을 위하여 Info2를 제1NTE(10-1)로 입력하면 U인터페이스 상에서 제1NTE(10-1)와 제2NTE(20-1) 간에 동기를 맞추기 위한 과정이 진행되고, 이에 동기가 맞으면 SL3T,SN3T 신호가 U인터페이스 상에 존재하게 된다.
이때의 동기는 제1NTE(10-1)의 클럭발생기(13)에서 발생하는 클럭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U인터페이스 상에 SL3T,SN3T 신호가 존재할 동안, S인터페이스 상에서는 Info3,Info4가 존재하게 된다.
이 또한 제1NTE(10-1)의 클럭발생기(13)에 의한 클럭에 모두 동기된다.
이러한 동기가 모두 일치하게 되면 호 설정이 이루어지고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 후, 서비스가 종료되어 호 복구 과정이 진행되면 PBX(1)에서 제1NTE(10-1)로 Info0를 입력하게 되는데, 이에 의해 U인터페이스 상에서는 SL0,SN0가 존재하게 되어 아이들 상태가 되고 S인터페이스 상에서도 Info0가 존재하여 아이들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PBX와 TE 사이에 구성되어 U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NTE에 의한 활성/비활성화 과정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구내 서비스 영역이 더욱더 넓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U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NTE를 PBX에 적용함으로써 S인터페이스의 거리 한계가 연장되어 보다 넓은 구내 내에서의 NISDN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

  1. NISDN 서비스 제공을 위해 S인터페이스로 접속되면서 송신단과 수신단이 분리된 4선식 방식으로 연결된 PBX와 TE를 포함하는 구내 NISDN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PBX와 S인터페이스로써 접속되면서 4선식으로 연결되어 클럭을 발생하여 PBX측으로 공급하는 제1NTE와;
    상기 제1NTE와는 U인터페이스로써 접속되면서 2선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TE와는 S인터페이스로써 접속되면서 4선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NTE에서 공급되는 클럭에 따라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제2N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NISDN 서비스에서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NTE는 상기 PBX와의 S인터페이스와 접속되면서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S인터페이스 상으로 클럭을 공급하는 S트랜시버와;
    상기 S트랜시버와 데이타 라인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제2NTE와의 U인터페이스와 접속되어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U인터페이스 상으로 클럭을 공급하는 U트랜시버와;
    상기 각 트랜시버의 동작에 필요한 클럭을 제공하는 클럭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NISDN 서비스에서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NTE는 상기 TE와의 S인터페이스와 접속되면서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S인터페이스 상으로 클럭을 공급하는 S트랜시버와;
    상기 S트랜시버와 데이타 및 클럭 라인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제1NTE와의 U인터페이스와 접속되어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NTE에서 제공되는 클럭을 상기 S트랜시버로 제공하는 U트랜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NISDN 서비스에서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장치.
KR1019960072548A 1996-12-26 1996-12-26 구내 nisdn 서비스에서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장치 KR100217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548A KR100217347B1 (ko) 1996-12-26 1996-12-26 구내 nisdn 서비스에서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548A KR100217347B1 (ko) 1996-12-26 1996-12-26 구내 nisdn 서비스에서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444A true KR19980053444A (ko) 1998-09-25
KR100217347B1 KR100217347B1 (ko) 1999-09-01

Family

ID=1949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2548A KR100217347B1 (ko) 1996-12-26 1996-12-26 구내 nisdn 서비스에서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3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765A (ko) * 2002-05-07 2003-11-12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26498B1 (ko) * 1998-04-17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교환기의 가입자 연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498B1 (ko) * 1998-04-17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교환기의 가입자 연결 장치
KR20030086765A (ko) * 2002-05-07 2003-11-12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7347B1 (ko)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2089A (en) Digital loop transceiver for interfacing a digital PABX to a digital subscriber set via a subscriber line
KR100286791B1 (ko) 네트워크 링크 엔드포인트 자격검출
US5457560A (en) Fiber optic tele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continuous downlink, burst uplink transmission format with preset uplink guard band
US4860287A (en) Network having a synchronizer for synchronization between a primary and a remote station
US5185738A (en) Fiberoptic telephone systems
US5014306A (en) Voice and data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52630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hook transmission for digital loop carrier channel units
US4689789A (en) Method for producing internal connections between two-terminal equipments installed in a bus structure at one and the same subscriber of a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US5654815A (en) Synchronization method as well as synchronizing units, terminal and exchange therefor
KR970003531B1 (ko) 음성 및 데이타의 시분할 멀티플렉싱을 위해 분산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US5341418A (en) ISDN terminal adapter for access from analog signal equipment of four-wire full duplex type to ISDN
US4739205A (en) Telephone signal multiplexing system
KR100217347B1 (ko) 구내 nisdn 서비스에서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장치
US4835766A (en)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a sequence of digital signals flowing through a subscriber line
JP2745694B2 (ja) 双方向バス伝送方式
US5579313A (en) Method of multiplexing speech signal and control signal in ISDN B-channels for an exchange system
KR100285717B1 (ko) 교환시스템에서의가입자신호직접변환방법
EP0103324A2 (en) Simultaneous voice and data transmission circuit having a digital loop transceiver
KR0137633B1 (ko) 터미널 어댑터 다중화 장치
KR960002676B1 (ko) 종합정보통신망 중용량 망종단장치의 스위칭 제어장치
KR100197427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망동기 장치
JPS6128252A (ja) 内線転送可能な伝送装置
FI96653C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iirin 109 ohjaamiseksi digitaalisessa monipisteverkossa
KR0131558B1 (ko) 고속 데이터 전용회선 서비스 장치
JP2752928B2 (ja) Insネット64用のdsu−端末間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