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1453U -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1453U
KR19980051453U KR2019960064630U KR19960064630U KR19980051453U KR 19980051453 U KR19980051453 U KR 19980051453U KR 2019960064630 U KR2019960064630 U KR 2019960064630U KR 19960064630 U KR19960064630 U KR 19960064630U KR 19980051453 U KR19980051453 U KR 199800514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urned
ignition key
battery
tai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4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천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4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1453U/ko
Publication of KR199800514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453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1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상등 어셈블리(11)와 미등 어셈블리(12)가 입력단에 접속되어 방향 지시등(LP1)은 점등되지 않고 미등(LP3)만 점등된 상태에서 점화 스위치(IGN)가 오프됨이 감지되면 배터리(B) 방전 위험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20)과, 상기 마이컴(2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점화키의 탈거를 제한하는 점화키 탈거 제한 솔레노이드(30)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비상등과 미등의 점등 여부에 따라 점화키 탈거를 선택적으로 제한하여 미등이 점등된 상태로 차량이 장시간 주차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의 방전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의 미등이 점등된 상태로 장시간 주차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의 방전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 차량의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배터리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여 차량의 최초 시동하거나 도난 방지 장치나 비상 경고등 등의 주요 부품에 상시 전원을 공급하며, 교류전원을 생성하는 교류 반전기의 구동 전에는 유일한 전원 공급원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차량의 미등이 점등된 상태로 장시간 주차될 경우 배터리가 방전될 우려가 있다.
특히, 미등 점등을 필요로 하는 주간 운행 후에는 미등의 점등 상태가 확연히 드러나지 않아 간헐적으로 운전자는 미등이 등화된 상태로 차량을 주차하게 되며 이는 배터리의 방전 현상을 야기시킨다.
이에, 급기야 완전 방전 상태를 초래하여 차량이 자체 동력으로는 운행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의 비상등과 미등의 점등 여부에 따라 점화키 탈거를 선택적으로 제한하여 미등이 점등된 상태로 차량이 장시간 주차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의 방전 현상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비상등 어셈블리SW1 : 비상 스위치
F/U : 플레셔 유니트SW2 : 방향 지시 스위치
LP1 : 방향 지시등
12 : 미등 어셈블리SW3 : 미등 스위치
LP3 : 미등RLY : 릴레이
IGN : 점화 스위치ALT : 교류 발전기
B : 배터리
20 : 마이컴30 : 점화키 탈거 제한 솔레노이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는, 비상등 어셈블리와 미등 어셈블리가 입력단에 접속되어 비상등은 점등되지 않고 미등만 점등된 상태에서 점화 스위치가 오프됨이 감지되면 배터리 방전 위험 신호를 출력하는 방전 위험 신호수단과, 상기 방전 위험 신호수단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점화키의 탈거를 제한하는 점화기 탈거 제한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의 회로도이다.
상기 방전 위험 신호수단은 비상등 어셈블리(11)와 미등 어셈블리(12) 및 점화 스위치(IGN)의 오프모드가 입력단에 접속된 마이컴(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점화키 탈거 제한수단은 점화키박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컴(20)의 출력신호에 따라 자화되어 점화키의 탈거를 제한하는 점화키 탈거 제한 솔레노이드(30)로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조부호 11의 비상등 어셈블리는 비상 스위치(SW1)와 플레셔 유니트(F/U), 방향 지시 스위치(SW2) 및 방향 지시등(LP1)으로 이루어지고, 12의 미등 어셈블리는 미등 스위치(SW3)와 미등(LP3)으로 이루어진다.
B는 배터리이고, ALT는 교류 발전기이며, RLY는 미등 스위치(SW3)와 연동되는 릴레이이다.
이하, 본 고안인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의 작용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로 운행중 문제가 발생되어 차량을 주·정차시킬 경우에는 통상 운전자는 비상 스위치(SW1)를 온시키며, 이에 방향 지시등(LP1)이 점멸 등화되어 비상등 기능을 수행한다.
또, 미등 스위치(SW3)를 온시키며, 이에 미등(LP3)이 점등되어 차량의 식별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점화 스위치(IGN)가 오프되면 비상등 어셈블리(11)와 미등 어셈블리(12)가 입력단에 접속된 마이컴(20)이 이를 감지하며, 방향 지시등(LP1)과 미등(LP3)이 모두 점등된 상태이므로 차량의 비상 상황을 판단하여 출력단에 접속된 점화키 탈거 제한 솔레노이드(30)에 배터리 방전 위험 신호 즉, 제어 전류를 출력하지 않는다.
반면, 상기 마이컴(20)은 점화 스위치(IGN)가 오프될 때 비상등 어셈블리(11)를 체크하여 방향 지시등(LP1)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가 감지되고 미등 어셈블리(12)를 체크하여 미등(LP3)이 점등된 상태가 감지되면 운전자의 미등 스위치(SW3) 오류 조작을 판단한다.
이에, 출력단에 접속되고 점화키박스의 일측에 설치된 점화키 탈거 제한 솔레노이드(30)에 배터리 방전 위험 신호 즉, 제어 전류를 출력하며, 전류가 인가된 점화키 탈거 제한 솔레노이드(30)가 자화된다.
그러므로, 점화키박스에서 점화키의 탈거가 제한되어 운전자에게 미등(LP3)이 비정상적으로 점등되었음을 경고하여 오프도작을 유도함으로써, 미등(LP3)의 장시간 점등으로 인한 배터리의 방전 현상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는, 차량의 비상등과 미등의 점등 여부에 따라 점화키 탈거를 선택적으로 제한하여 미등이 점등된 상태로 차량이 장시간 주차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의 방전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비상등 어셈블리와 미등 어셈블리가 입력단에 접속되어 비상등은 점등되지 않고 미등만 점등된 상태에서 점화 스위치가 오프됨이 감지되면 배터리 방전 위험 신호를 출력하는 방전 위험 신호수단과, 상기 방전 위험 신호수단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점화키의 탈거를 제한하는 점화키 탈거 제한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KR2019960064630U 1996-12-30 1996-12-30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KR199800514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630U KR19980051453U (ko) 1996-12-30 1996-12-30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630U KR19980051453U (ko) 1996-12-30 1996-12-30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453U true KR19980051453U (ko) 1998-10-07

Family

ID=5400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4630U KR19980051453U (ko) 1996-12-30 1996-12-30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145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1453U (ko)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KR20000001081U (ko) 배터리 방전 방지 및 미등과 안개등 제어장치
KR100285450B1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0137571Y1 (ko) 자동차의 경고 표시등 고장 경보 장치
KR0133753B1 (ko) 자동차의 미등 및 차폭등 자동 오프 장치
KR100208595B1 (ko) 자동차의 미등점등 감지장치
KR0123503Y1 (ko) 차량용 제동등 회로
KR19980026034A (ko) 차폭등 소등 경보장치
KR0121416Y1 (ko) 자동차의 램프점등시 배터리 방전 차단장치
KR970006404B1 (ko) 차량의 배터리방전 예방 장치
KR0144757B1 (ko) 스페어전구 자동점등장치
KR19990030462U (ko) 차량의 주간 헤드램프 온 방지장치
KR100282910B1 (ko) 자동차의 경고장치
KR0127547Y1 (ko) 자동차의 안전 표시판 제어장치
KR100240408B1 (ko) 자동차의 램프 자동 소등 방법
KR19990047615A (ko) 미등 자동점등 장치
KR19980073711A (ko) 자동차 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KR19980028418U (ko) 비상등 작동 상태에서의 방향 지시 장치
KR19980050327A (ko) 자동차의 미등점등 경보방법
KR19980031492U (ko) 자동차의 번호판등 점등장치
KR19990041814U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19980045057U (ko) 광량검출센서를 이용한 헤드라이트 오동작 방지장치
KR19980040196U (ko) 자동차 제동등의 단선 경고회로
KR19980048231A (ko) 자동차의 라이트 전원장치
KR19990032547A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를 위한 비상 점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