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1243U - 전지 - Google Patents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1243U
KR19980051243U KR2019960064420U KR19960064420U KR19980051243U KR 19980051243 U KR19980051243 U KR 19980051243U KR 2019960064420 U KR2019960064420 U KR 2019960064420U KR 19960064420 U KR19960064420 U KR 19960064420U KR 19980051243 U KR19980051243 U KR 199800512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sitive electrode
ring
coupl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4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수
김강재
조성훈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2019960064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1243U/ko
Publication of KR199800512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243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양극과 음극이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전극조립체와, 전극조립체의 양극과 연결되는 캡어셈블리(3)와, 전극조립체가 삽입되고 전극조립체의 음극과 연결되는 캔(2)과, 캔(2)의 밑면에 부착되는 음극단자(10)와, 캡어셈블리(3)의 윗면에 부착되고 캔(2)의 밑면에 부착된 음극단자(1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양극단자(4)를 포함하는 전지를 제공한다.
양극단자(4)는 중앙에 결합홈(5)이 형성되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결합홈(5)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결합고리(6)에 의하여 형성되며, 음극단자(10)는 양극단자(4)의 결합홈(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2)와 양극단자(4)의 결합고리(6)가 결합되고 바깥고리(11)에 의하여 형성되는 고리결합홈(13)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지
본 고안은 캔의 바닥에 음극단자를 용접하고 캡어셈블리의 윗면에 양극단자를 용접하여 양극 및 음극의 결합과 분리를 정확하게 쉽게 한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는 1회의 충전과 방전을 행하고 폐기하는 일차전지와, 계속하여 충전과 방전을 행하여 사용하는 이차전지가 있다. 상기한 전지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 원통형 전지와,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된 각형 전지가 있다.
상기한 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전극조립체와, 상기한 전극조립체의 양극과 연결되는 캡어셈블리와, 상기한 전극조립체가 삽입되고 상기한 전극조립체의 음극과 연결되는 캔과, 상기한 캡어셈블리와 캔 사이에 삽입되어 절연 및 밀봉을 행하는 가스켓과, 상기한 캔과 전극조립체 및 전극조립체와 캡어셈블리 사이의 절연을 행하는 절연링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전지는 캡어셈블리가 양극단자로 사용되고 캔이 음극단자로 사용되므로 단자 사이에 접촉불량이 자주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캔에는 음극단자를 부착하고 캡어셈블리에는 양극단자를 부착하여 단자끼리의 결합 및 분리가 확실하고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전극조립체와, 상기한 전극조립체의 양극과 연결되는 캡어셈블리와, 상기한 전극조립체가 삽입되고 상기한 전극조립체의 음극과 연결되는 캔과, 상기한 캔의 밑면에 부착되는 음극단자와, 상기한 캡어셈블리의 윗면에 부착되고 상기한 캔의 밑면에 부착되는 음극단자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양극단자를 포함한다.
상기한 양극단자는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결합고리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결합고리에 의하여 중앙에 결합홈이 형성된다.
또 상기한 음극단자는 상기한 양극단자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상기한 양극단자의 결합고리가 결합되고 바깥고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고리결합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전지는 복수의 전지를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여 조전지를 형성할때에 상기한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서로 결합함과 결합돌기 및 고리결합홈과 결합고리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되므로 단자끼리의 연결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극단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극단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단자연결선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캔3:캡어셈블리4:양극단자
5:결합홈6:결합고리10:음극단자
11:결합돌기12:고리결합홈13:바깥고리
22:단자돌기24:단자연결선25:단자결합홈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전지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지의 일실시예는 양극과 음극이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전극조립체(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와, 상기한 전극조립체의 양극과 연결되는 캡어셈블리(3)와, 상기한 전극조립체가 삽입되고 상기한 전극조립체의 음극과 연결되는 캔(2)과, 상기한 캔(2)의 밑면에 부착되는 음극단자(10)와, 상기한 캡어셈블리(3)의 윗면에 부착되고 상기한 캔(2)의 밑면에 부착된 음극단자(1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양극단자(4)를 포함한다.
상기한 양극단자(4)와 음극단자(10)의 부착은 저항용접을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양극단자(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에 결합홈(5)이 형성되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결합홈(5)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결합고리(6)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 상기한 음극단자(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양극단자(4)의 결합홈(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2)와 상기한 양극단자(4)의 결합고리(6)가 결합되고 바깥고리(11)에 의하여 형성되는 고리결합홈(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전지는 복수의 전지를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여 조전지를 형성할때에 상기한 양극단자(4)와 음극단자(10)가 서로 결합홈(5)과 결합돌기(12) 및 고리결합홈(13)과 결합고리(6)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되므로 단자끼리의 연결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극단자(4)와 음극단자(10)의 형상을 본따서 단자연결선(24)의 양쪽 단자를 부착하여 사용하면 더욱 효율적이다. 즉 한쪽은 상기한 양극단자(4)의 결합홈(5)에 결합되는 단자돌기(22)를 부착하고 다른 쪽에는 상기한 음극단자(10)의 고리결합홈(13) 및 결합돌기(12)와 결합하는 단자고리(26) 및 단자결합홈(25)를 형성하여 부착하면 복수의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조전지를 형성할 때에 편리하다.
또 상기와 달리 양쪽 모두 단자돌기(22)를 부착하거나 단자고리(26)를 부착하면 복수의 전지를 병렬로 연결하여 조전지를 형성할 때에 편리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양극단자(4)에 결합홈(5)과 결합고리(6)를 형성하고 음극단자(10)에 결합돌기(12)와 고리결합홈(13)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양극단자에 결합돌기와 고리결합홈을 형성하고 음극단자에 결합홈과 결합고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전지에 의하면 캔에 부착된 음극단자와 캡어셈블리에 부착된 양극단자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서로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단자끼리의 결합이 확실하고 손쉽게 이루어진다.
특히 다수의 전지를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조전지에 있어서는 더욱 큰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2)

  1. 양극과 음극이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전극조립체와, 상기한 전극조립체의 양극과 연결되는 캡어셈블리(3)와, 상기한 전극조립체가 삽입되고 상기한 전극조립체의 음극과 연결되는 캔(2)과, 상기한 캔(2)의 밑면에 부착되는 음극단자(10)와, 상기한 캡어셈블리(3)의 윗면에 부착되고 상기한 캔(2)의 밑면에 부착된 음극단자(1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양극단자(4)를 포함하는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양극단자(4)는 중앙에 결합홈(5)이 형성되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결합홈(5)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결합고리(6)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한 음극단자(10)는 상기한 양극단자(4)의 결합홈(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2)와 상기한 양극단자(4)의 결합고리(6)가 결합되고 바깥고리(11)에 의하여 형성되는 고리결합홈(13)으로 이루어지는 전지.
KR2019960064420U 1996-12-30 1996-12-30 전지 KR199800512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420U KR19980051243U (ko) 1996-12-30 1996-12-30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4420U KR19980051243U (ko) 1996-12-30 1996-12-30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243U true KR19980051243U (ko) 1998-10-07

Family

ID=5400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4420U KR19980051243U (ko) 1996-12-30 1996-12-30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124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319B1 (ko) * 2006-08-21 2008-05-08 주식회사 네스캡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단위 셀, 이들의 연결방법 및 상기직렬연결된 단위셀을 구비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319B1 (ko) * 2006-08-21 2008-05-08 주식회사 네스캡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단위 셀, 이들의 연결방법 및 상기직렬연결된 단위셀을 구비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8270C (en) High performance battery and current collector therefor
SE0103135D0 (sv) A bipolar battery, a biplate assembly and a battery charger
EP1030399A4 (en) NON-AQUEOUS ELECTROLYTIC CELL
EP1217681A3 (en) Sealed lead-acid cells and batteries
TW364224B (en) Cylindrical storage battery
EP1437779A3 (en) Electrode group for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CN210897346U (zh) 一种电池
KR19980051243U (ko) 전지
KR20000020535A (ko)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CN110085950B (zh) 适用于金属空气电池的电池结构及其电池组结构
KR20220048373A (ko) 버튼형 이차전지
CN217114687U (zh) 一种以负极盖盖顶作为负极的电池的隔离圈
CN219575880U (zh) 圆柱电池的装配结构、圆柱电池、电池模组和电池包
KR970031053A (ko) 알카리 2차 전지의 캡 어셈블리 조립구조 및 그 방법
CN216085226U (zh) 铅酸蓄电池并联极板
GB2023914A (en) Cell casing and grommet therefor
KR200266306Y1 (ko) 이차 전지
KR970005578Y1 (ko) 재충전 배터리(battery)의 터미털(terminal)구조
JPH0737235Y2 (ja) 電 池
KR19990013208U (ko) 이차 전지
JPH0171867U (ko)
JPS61162949U (ko)
JPH08148136A (ja) 電池パック
JPS62122053A (ja) 集合電池
JPH09251859A (ja) 鉛蓄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