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0273U -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발생 경보/확인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발생 경보/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0273U
KR19980050273U KR2019960063444U KR19960063444U KR19980050273U KR 19980050273 U KR19980050273 U KR 19980050273U KR 2019960063444 U KR2019960063444 U KR 2019960063444U KR 19960063444 U KR19960063444 U KR 19960063444U KR 19980050273 U KR19980050273 U KR 199800502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signal
occurred
vehicle
ind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3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구형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60063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0273U/ko
Publication of KR199800502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273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사고 유무를 주위의 차량에게 경보하여주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10)와; 차량의 충격량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20)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50)와; 스피커(60)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의 송신을 중지시키거나, 또는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경보음의 발생을 중지시키도록 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조작스위치부(40)와; 상기 수신장치(10)의 수신 신호출력단과, 상기 충격감지센서(20)의 신호 출력단과, 상기 송신장치(50)의 제어신호 입력단 및 송신 신호 입력단과, 스피커(60)의 신호 입력단과, 조작스위치부(40)의 제어신호 출력단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수신장치(10)를 통해 사고가 발생되었다는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는, 상기 조작스위치부(40)로부터 경보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라는 제어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상기 스프커(60)를 통해 이를 나타내는 신호음을 출력하고, 상기 충격감지센서(20)에서 소정값 이상의 충격량이 검출될 경우에는 이를 자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조작스위치부(40)로부터 사고발생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라는 제어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상기 송신장치(50)를 통해 사고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는 카오디오마이컴(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발생 경보/확인장치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자기 차량의 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 송신하여 타 차량의 운전자에게 인지시킴으로서 2차 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신속한 구난을 요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또한, 타 차량에 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인지하여 안전운전에 만전을 기함으로써 타차량의 사고로 인한 2차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발생 경보/확인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발생 경보/확인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 2 도는 본 고안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발생 경보/확인장치의 사고발생 송신과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제 3 도는 본 고안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발생 경보/확인장치의 사고발생신호 수신과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신장치20 : 충격감지센서
30 : 카오디오마이컴40 : 조작스위치부
50 : 송신장치60 : 스피커
본 고안은 자동차 사고 유무를 주위의 차량에게 경보하여주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송/수신장치를 통해 자동차의 사고발생 유무를 주위의 차량에게 경보하여줌과 동시에, 주위에서 발생된 사고를 인지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사고발생경보장치는, 사고의 발생유무를 검출하는 센서(SENSOR)를 부착한 후, 상기 센서에서 사고가 발생되었음이 인지될 경우, 경광등을 점등시키거나, 또는 경보음 등을 발생하여 주위의 차량에게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었다.
다시말해, 자동차의 충격량을 검출하여 추돌 및 충돌사고를 판단하여, 추돌 또는 충돌사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사고차량에 장착된 경광등을 점등시키거나, 또는 경보음을 발생하여 사고차량의 주위를 운행하는 차량에게 이를 인지시켜, 2차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구난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경광등을 점등시킬 경우에는 굴곡도로등과 같이 시야가 제한된 상황에서는 발생된 사고를 인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소음등에 의해 상기 경보음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더구나, 사고차량 주위를 운행하는 차량이 없을 경우에는 사고 발생을 알릴 수가 없어 구난을 요청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를 통해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인접지역에 차량에게 송신하고, 다른 차량에서 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수신장치를 통해 이를 수신하므로써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구난 요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발생 경보/확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발보 경보/확인장치는,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와; 차량의 충격량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와; 스피커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의 송신을 중지시키거나, 또는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경보음의 발생을 중지시키도록 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조작스위치부와; 상기 수신장치의 수신 신호출력단과, 상기 충격감지센서의 신호 출력단과, 상기 송신장치의 제어신호 입력단 및 송신 신호 입력단과, 스피커의 신호 입력단과, 조작스위치부의 제어신호 출력단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수신장치를 통해 사고가 발생되었다는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는, 상기 조작스위치부로부터 경보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라는 제어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상기 스프커를 통해 이를 나타내는 신호음을 출력하고, 상기 충격감지센서에서 소정값 이상의 충격량이 검출될 경우에는 이를 자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조작스위치부로부터 사고발생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라는 제어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상기 송신장치를 통해 사고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는 카오디오 마이컴(CAR AUDIO MICOM)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발생 경보/확인장치는 자기 차량의 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 송신하여 타 차량에게 알리게 되며, 또한, 타 차량에 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자동 수신하여 운전자에게 인지시켜 주므로써 2차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사고차량의 탑승자를 신속히 구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발생 경보/확인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먼저, 차체에 전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를 자동차 소정의 위치에 부착한 후, 사고 발생시 검출되는 충격량을 다수의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검출하여 사고발생여부의 판단기준이 되는 기준충격량을 설정한다. 또한 상기 설정된 기준충격량을 카오디오마이컴의 내부메모리, 또는 상기 카오디오마이컴의 제어를 받는 외부메모리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충격감지센서는 공지의 충격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특정의 수신주파수를 갖는 공지의 수신장치 및, 상기 수신장치의 수신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를 차량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장치 및 송신장치는 공지의 장치로 이루어진 것이며, 특히, 상기 송신장치는 그 출력을 소정의 값으로 제한하여 자기차량으로부터 소정거리까지만 신호가 전송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수신장치 역시 소정의 수신감도를 갖도록 하여 자기 차량의 위치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서 송신되는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송수신장치의 경우, 송신출력을 너무 크게하여 먼지역을 운행하는 차량의 운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수신장치의 경우에는 자기차량의 위치에서 소정 범위 내의 신호만 검출할 수 있게 하므로써 먼지역에서 발생한 사고로 인하여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스위치부는 다수개의 키(KEY)로 구성되어, 송신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나, 또는 경보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한다.
이후, 제 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신장치(10)의 수신신호 출력단을 카오디오마이컴(30)의 수신신호 입력단에 접속하고, 상기 충격감지센서(20)의 신호 출력단을 상기 카오디오마이컴(30)의 신호 입력단에 접속하며, 상기 조작스위치부(40)의 제어신호 출력단을 상기 카오디오마이컴(30)의 제어신호 입력단에 접속한다. 또한, 송신장치(50)의 신호 입력단을 상기 카오디오마이컴(30)의 송신신호 출력단에 접속하며, 상기 카오디오마이컴(30)의 제어를 통해 소정의 경보신호와 발생되도록 스피커(60)를 접속한다.
그러면, 상기 카오디오마이컴(30)은, 제 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충격감지센서(2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충격량과 비교하여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조작스위치부(40)를 통해 사고발생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라는 제어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상기 송신장치(50)를 통해 사고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또한, 제 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신장치(10)를 통해 사고가 발생되었다는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는, 카오디오 본래의 기능수행을 정지시킨 후, 상기 스피커(60)를 통해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음을, 상기 조작스위치부(40)를 통해 경보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키라는 제어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작스위치부(40)를 통해 경보신호의 출력을 정지시키라는 제어신호가 인가되었을 경우에는, 경보신호의 출력을 중단한 후, 사고발생을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기전 수행하던 카오디오 본래의 기능으로 복귀하여, 전단계에서 수신한 수신전계강도와 다른 수신전계강도를 갖는 신호가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게 된다.
이는, 사고발생차량에서 송신되는 신호로 인하여 지속적인 경보신호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다수의 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 이를 구별하여 나타내주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동일한 송신출력을 갖는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그 거리가 멀어질수록 수신전계강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상기 수신전계강도의 크기로 부터 사고발생차량을 구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송신동작과 수신동작에 있어서는, 그 송신거리를 제한하므로써 타차량에 필요이상의 사고발생경보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며, 마찬가지로 수신거리를 제한하여 필요이상의 경보를 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발생 경보/확인장치는, 특히 자기 차량의 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 송신하여 타 차량의 운전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2차 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신속한 구난을 요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또한, 타 차량에 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인지하여 안전운전에 만전을 기함으로써 타차량의 사고로 인한 2차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와; 차량의 충격량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와; 스피커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의 송신을 중지시키거나, 또는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경보음의 발생을 중지시키도록 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조작스위치부와; 상기 수신장치의 수신 신호출력단과, 상기 충격감지센서의 신호 출력단과, 상기 송신장치의 제어신호 입력단 및 송신 신호 입력단과, 스피커의 신호 입력단과, 조작스위치부의 제어신호 출력단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수신장치를 통해 사고가 발생되었다는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는, 상기 조작스위치부로부터 경보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라는 제어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이를 나타내는 신호음을 출력하고, 상기 충격감지센서에서 소정값 이상의 충격량이 검출될 경우에는 이를 자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조작스위치부로부터 사고발생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라는 제어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상기 송신장치를 통해 사고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는 카오디오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발생 경보/확인장치.
KR2019960063444U 1996-12-30 1996-12-30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발생 경보/확인장치 KR199800502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444U KR19980050273U (ko) 1996-12-30 1996-12-30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발생 경보/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444U KR19980050273U (ko) 1996-12-30 1996-12-30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발생 경보/확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273U true KR19980050273U (ko) 1998-10-07

Family

ID=54001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3444U KR19980050273U (ko) 1996-12-30 1996-12-30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발생 경보/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027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804B1 (ko) * 2006-10-04 2008-06-05 옥은호 자동차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무선 송수신 장치
KR101340431B1 (ko) * 2012-08-31 2013-12-11 최현진 차량 충돌 방지를 위한 도로 교통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804B1 (ko) * 2006-10-04 2008-06-05 옥은호 자동차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무선 송수신 장치
KR101340431B1 (ko) * 2012-08-31 2013-12-11 최현진 차량 충돌 방지를 위한 도로 교통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7078B2 (ja) 走行する直線状連鎖におけるデータの送受信の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20150093135A (ko) 주변 상황 적응형 고속도로 경보 시스템
KR20160112667A (ko) 2차 도로사고 방지를 위한 사고 신호장치
KR19980050273U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사고발생 경보/확인장치
US7898404B2 (en) Vehicle speed exceeded notific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KR20170143405A (ko)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차량 간 안전 도모 시스템 및 방법
US20050082913A1 (en) Vehicle antitheft system
JP2005178698A (ja) 安全発進支援装置
KR101536872B1 (ko) 사고 감지 자동차 범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71581B1 (ko) 차량 경고 시스템
JP2861679B2 (ja) 衝突判断装置
KR0171496B1 (ko) 자동차용 구조신호 송수신장치
KR0128186Y1 (ko) 차량충돌시의 긴급구조신호 발생시스템
KR100466959B1 (ko) 레이더 검출기가 결합된 위험정보 송수신 시스템
KR100673888B1 (ko) 차량용 에이브이 장치를 이용한 신호등 변경 예고 시스템 및 방법
KR100206239B1 (ko)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 경보장치
KR0172687B1 (ko) 자동차의 안전하차장치 및 방법
KR20040043346A (ko) 차량사고 발생 통보장치
KR101190494B1 (ko) 중앙선 침범 방지 시스템 및 방법
RU2022122927A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дорожного движения
KR100276222B1 (ko) 자동차의 상대방 존재 유무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04086B1 (ko) 차량 정보 단말기
JPH09273125A (ja) 工事区間車両侵入検知方法
JPH1049776A (ja) 車両緊急システム
KR100195520B1 (ko) 주차경고 시스템이 내장된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