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9823U - 자동차 조향장치 유압 실린더의 랙바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향장치 유압 실린더의 랙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9823U
KR19980049823U KR2019960062990U KR19960062990U KR19980049823U KR 19980049823 U KR19980049823 U KR 19980049823U KR 2019960062990 U KR2019960062990 U KR 2019960062990U KR 19960062990 U KR19960062990 U KR 19960062990U KR 19980049823 U KR19980049823 U KR 199800498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bar
ball joint
inner ball
connecti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2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0363Y1 (ko
Inventor
이권호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60062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363Y1/ko
Publication of KR199800498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8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3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 B62D7/16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e.g. between tie-rod and steering kn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의 엔드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써 클립과 같은 간단한 개재수단으로 간단 체결되는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하여 양단 외주면에 링형홈(12)을 형성하고 이 링형홈(12)의 일정위치에는 고정공(14)을 형성한 랙바(1);상기 랙바(1)와 연결하기 위하여 연장부(22)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22) 내측에 상기 링형 홈(24)에 대응하는 연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연장부 외측에서 상기 연결홈과 연통하는 통공을 형성한 조인트부재;상기 조인트 부재와 상기 랙바의 연결부분에 개재되는 써클립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의 연결구조

Description

자동차 조향장치 유압 실린더의 랙바
본 고안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랙바의 양단과 이너 볼 조인트를 연결함에 있어 부품수를 줄이고 연결상태가 견고하며 조립구조 및 과정이 간단하도록 두 개의 서로 대응하는 연결부중 일측이 내측에 타측은 외측에 위치하되 그 연결부분에 써클립을 개재시킨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 연결구조에 관한것이다.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조향 휠과, 이에 연결되는 조향샤프트, 이 샤프트를 외부에서 커버하면서 지지하는 칼럼 튜브와, 상기 조향 샤프트에 연결되어 비틀림 회전력을 전달하는 유니버셜 조인트와, 이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하여 주는 피니언 기어축과, 상기 피니언 기어축에 연결되어 좌,우측 조향력을 전달 받는 랙바로 이루어져 랙바와 연결된 타이로드등의 연결수단을 통해 바퀴를 움직여 자동차를 조향하게 된다.
여기에서 랙바는 수평상태에서 좌,우측으로 좌우 이동되는 이동수단으로써 일부구간은 유압 실린더의 내부에서 유압에 따라 이동되도록 실린더 내측에서 피스톤 부재와 함께 관설되어 있고 일부분은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를 형성하여 피니언 기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수평 이동력으로 바뀌게 되며 양단은 바퀴와 연결되도록 이너 볼 조인트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랙바(100)와 이너 볼 조인트(200)를 연결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중공부 랙바(100)의 단부측 내부면에 일정길이 나선(102)을 형성하고 이너 볼 조인트(200)는 자체의 일측면을 절삭 가공하여 상기 나선(102)에 대응하는 나선(202)을 형성한 돌출봉(204)을 형성하며 이와같은 나선(102)(202)의 대응 맞춤후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탭 와셔(300)를 랙바(100)와 이너 볼 조인트(200)가 나사맞춤으로 연결하는 사이에 개재시킨 뒤 이너 볼 조인트(200)에 탭 와셔(300)을 코킹(caulking) 처리하여서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의 연결구조는 구조의 부품 자체가 복잡하고 이 부품들을 처리하기 위한 조립공정이 많이 소요되고,탭와셔를 동원한 코킹 작업 및 이너 볼 조인트 몸체를 일일이 별도의 가공 작업을 통하여 나선과 이 나선이 형성된 돌출부를 가공해야 되는 번거로움등이 있었다.
따라서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의 연결시 유지되어야 할 내구성 및 체결력등이 유지되면서 상기와 같은 이너 볼 조인트 가공에 따른 가공 공정상의 문제점이 개선된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의 연결구조가 필요로 되어 왔다.
본 고안은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의 연결함에 있어 나사맞춤 연결부가 갖는 나선부분의 이완을 방지하기 위한 탭 와셔와 같은 부품이 불필요하고 이와같은 부품의 생략으로도 같은 연결 강도를 유지하고 오히여 조립 생산 공정이 줄어들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의 연결상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2는 종래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의 연결상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의 연결상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 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랙바, 2: 이너 볼 조인트, 3: 써클립, 12:링형홈, 14: 완주로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단 외주면에 링형홈을 형성하고 이 링형홈의 일정위치에는 고정공을 형성한 랙바와; 상기 랙바와 연결하기 위하여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 내측에 상기 링형 홈에 대응하는 연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연장부 외측에서 상기 연결홈과 연통하는 통공을 형성한 이너 볼 조인트부재; 상기 이너 볼 조인트 부재와 상기 랙바의 연결부분에서 상기 링형홈 및 연결홈에 안착 개재되는 써클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 연결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중 도 3은 본 고안이 실시되는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의 연결부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연결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크게 랙바(1)와, 이 랙바(1)의 양단에 연겨로디기 위한 이너 볼 조인트 부재(2)와,상기 랙바(1)와 이너 볼 조인트 부재(2)의 연결부분에 끼워지는 써클립(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랙바(1)는 중공상의 관체로서 양단 외주면에 링형홈(12)을 일주형성하고 이 링형홈(12)의 일정위치에는 고정공(14)을 관통 형성한다.
이너 볼 조인트 부재(2)는 상기 랙바(1)와 연결하기 위하여 연장부(22)를 형성하되 그 측면에 요입공간(28)을 형성하며, 이 연장부(22)의 안쪽 내측에는 상기 링형홈(12)에 대응하는 연결홈(24)을 형성하며 상기 연장부(12) 외측에는 상기 연결홈(24)과 연통하는 통공(26)을 형성한다.
상기 써클립(3)은 상기 이너 볼 조인트 부재(2)와 상기 랙바(1)의 연결부분에 개재되는 일종의 와셔이다.
이 써클립(3)은 랙바(1)가 상기 이너 볼 조인트부재(2)에 관삽된 상태에서 상기 통공(26)을 통하여 랙바(1)의 링형홈(12)과 연결홈(24)사이에 위치하면서 일정한 접촉력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랙바(1)와 이너 볼 조인트 부재(2)의 조립은 상기 써클립(3)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견고한 체결력을 주기 위하여 랙바(1)와 이너 볼 조인트부재(2)를 관착시킨 상태에서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통공(26)을 통하여 써클립(3)의 일단을 랙바(1)의 상기 고정공(14)에 고정한 뒤 랙바(1)를 회전시키면 써클립(3)의 나머지 부분이 랙바(1)의 단부측 외주면에 형성된 링형홈(12)과 이노 볼 조인트 부재(2)의 내주면에 형성된 연결홈(24)사이에 위치하면서 장착되는 것으로 장착상태에서 외측으로 상당한 탄력을 발휘하면서 랙바(1)와 이노 볼 조인트 부재(2)와 강한 접촉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종래 탭와셔를 이용하여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사이를 연결하는 구조에 있어 나타나는 문제점을 개선하게 되는 바,예를들면 나사맞추된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 부재와의 이완을 방지하기 위한 탭 와셔와 같은 부속수단이 필요하게 되어 부품수 공정수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이너 볼 조인트에 나선이 형성된 돌출부를 가공하기 위하여 이너 볼 조인트 부재의 몸체를 절삭 및 상당하게 가공해야되는 가공 공정상의 번거로움등이 있었으나,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은 단순한 중공상의 관체 삽입후 써클립을 체결하는 과정에 의하여 개선되는 것인바, 단지 랙바에서의 링형홈 및 고정공의 가공 및 이너 볼 조인트 부재의 측면 요입공간, 연결홈 및 통공의 가공과 같은 비교적 가공 난이도가 낮은 간단한 가공공정에 의하여 해결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 부재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양단 외주면에 링형홈을 형성하고 이 링형홈의 일정위치에는 고정공을 형성한 랙바;
    상기 랙바와 연결하기 위하여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 내측에 상기 링형 홈에 대응하는 연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연장부 외측에서 상기 연결홈과 연통하는 통공을 형성한 조인트부재;
    상기 조인트 부재와 상기 랙바의 연결부분에 개재되는 써클립;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의 연결구조
KR2019960062990U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조향장치 유압 실린더의 랙바 KR200150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990U KR200150363Y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조향장치 유압 실린더의 랙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990U KR200150363Y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조향장치 유압 실린더의 랙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823U true KR19980049823U (ko) 1998-10-07
KR200150363Y1 KR200150363Y1 (ko) 1999-07-01

Family

ID=1948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2990U KR200150363Y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조향장치 유압 실린더의 랙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36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693B1 (ko) * 2000-04-10 2002-05-22 밍 루 자동차 스티어링 장치용 이너볼 조인트부의 연결구조
KR20020080008A (ko) * 2001-04-10 2002-10-23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조향장치의 볼조인트
KR20020087694A (ko) * 2001-05-16 2002-11-23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조향장치의 이너볼조인트
KR100764234B1 (ko) * 2003-12-09 2007-10-05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 바와 볼 하우징간의 조립부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693B1 (ko) * 2000-04-10 2002-05-22 밍 루 자동차 스티어링 장치용 이너볼 조인트부의 연결구조
KR20020080008A (ko) * 2001-04-10 2002-10-23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조향장치의 볼조인트
KR20020087694A (ko) * 2001-05-16 2002-11-23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조향장치의 이너볼조인트
KR100764234B1 (ko) * 2003-12-09 2007-10-05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 바와 볼 하우징간의 조립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0363Y1 (ko) 199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5028B1 (ko) 충격 흡수식 스티어링 샤프트의 제조 방법
US20110129294A1 (en) Shaft connection structure
CN108423065B (zh) 一种少齿差行星齿轮主动转向系统及其控制方法
US4967858A (en) Power steering apparatus with unitary torque sensor and worm driving housing
US6279953B1 (en) Flexible mount for an intermediate steering column
KR200150363Y1 (ko) 자동차 조향장치 유압 실린더의 랙바
US6062762A (en) Angle joint for chassis parts in a motor vehicle
US5853194A (en) Collapsible steering shaft assembly
KR101027026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RU2494906C2 (ru) Корпус рулевой рейки с поперечными сужениями
KR200160763Y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 연결구조
KR200160762Y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 연결구조
EP172403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riveshaft assembly
CN110953256B (zh) 带止动器的伸缩轴
EP0262148B1 (en) Reach adjustable steering column
KR200285615Y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바와 이너 볼 조인트 체결구조
KR100764165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마운팅 구조
JP2006001423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100707004B1 (ko)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랙 하우징
KR101989913B1 (ko) 자동차용 조향축
KR101421334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
KR100440289B1 (ko)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구조
KR100707002B1 (ko) 차량용 스티어링장치의 유압제어밸브
KR100848488B1 (ko) 자동차의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0738442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벨로우즈 씰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