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422A - 코드분할다중접속(cdma)이동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sms)를 이용한 과금정보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코드분할다중접속(cdma)이동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sms)를 이용한 과금정보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422A
KR19980047422A KR1019960065915A KR19960065915A KR19980047422A KR 19980047422 A KR19980047422 A KR 19980047422A KR 1019960065915 A KR1019960065915 A KR 1019960065915A KR 19960065915 A KR19960065915 A KR 19960065915A KR 19980047422 A KR19980047422 A KR 19980047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nsmission
billing information
message
terminal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2663B1 (ko
Inventor
김현욱
김성일
고진호
이인홍
이성범
Original Assignee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정욱
Priority to KR1019960065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663B1/ko
Publication of KR1998004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과금정보 전송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온라인 방식으로 이동공중무선전화기의 요금을 제어하기 위하여 이동교환기에서 생성되는 과금정보를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여 재 가공한 후에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의 단전문서비스(SMS)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과금정보를 이동교환기에서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금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과금정보가 생성되면 단전문서비스 데이타 포맷에 따라 과금정보 전송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망의 전방향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로 전송하고, 단말기에서는 과금정보 전송메시지를 과금정보 전송메시지 포맷에 따라 복호화하여 그 내용에 따라 요금을 증가하거나 요금변동내역을 저장한 후에 사용자에게 출력하므로써, 잦은 요금변동에 대하여 오차가 없이 빠른 시간내에 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온라인 방식으로 과금변동사항을 처리할 수 있어 단말기를 쉽게 제어할 수 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단말기에 과금정보를 전송하는데 이용됨.

Description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SMS)를 이용한 과금정보 전송 방법
본 발명은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한 과금정보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방식을 이용한 서비스중에 개인이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에 사용되는 단말기로는 임대단말기와 이동공중무선전화기가 있다.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임대단말기는 스마트카드 구입시 정해진 금액을 이동전화기를 사용할 때마다 삭감하는 형태로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는 단말기이다. 이동공중무선전화기는 택시, 버스, 및 철도 등에 장착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사용되는 전화기로 이동통신의 대중화와 더불어 매우 많은 발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임대단말기와 이동공중무선전화기의 과금방식은 현재 이동전화 시스템과 별도의 과금이 이루어지는 오프라인(off-line) 방식이다. 이 방식은 이동전화 시스템과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휴일과 야간 등의 요금할인 정책과 국제통화시의 제어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온라인 방식으로 이동공중무선전화기의 요금을 제어하기 위하여 이동교환기에서 생성되는 과금정보를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여 재 가공한 후에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의 단전문서비스(SMS)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과금정보를 이동교환기에서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금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기의 일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단말기의 일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과금정보 전송메시지의 포맷도,
도 5 는 본 발명의 서비스 인식자(Teleservice Identifier)에 대한 설명도,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과금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처리 흐름도,
도 8 은 IS-95-A의 페이징 채널 메시지에 대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공중통신망 12 : 메시지 센터
13 : 이동교환기 14 : 기지국
15 : 단말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 적용되는 과금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과금정보가 생성되면 이동교환기는 과금정보를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고, 과금정보를 수신한 상기 메시지 센터에서는 단전문서비스(SMS) 데이타 포맷에 따라 과금정보 전송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망의 전방향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는 과금정보 전송메시지를 수신하면 과금정보 전송메시지 포맷에 따라 복호화하여 그 내용에 따라 요금을 증가하거나 요금변동내역을 저장한 후에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단말기는 과금정보 전송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통신망의 역방향 채널을 통하여 과금정보 수신완료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의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1은 공중통신망, 12는 메시지 센터, 13은 이동교환기, 14는 기지국, 15는 단말기를 각각 나타낸다.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단전문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과금정보를 이동교환기에서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시지 센터(MC : Message Center)(12)는 이동교환기(13)와 접속하여 단전문서비스를 수행하고, 공중통신망(PSTN : Public Swtching Telephone Network)(11)과 연결된 이동교환기(13)는 메시지 센터(12)와 연동하여 과금정보(도수정보)를 단전문서비스 포맷에 맞게 가공한 후에 이동전화 기지국(BSC : Base Station Controller)(14)을 통하여 단말기(15)로 전송하며, 가입자의 단말기(15)는 기지국(14)으로부터 과금정보(도수정보)를 수신하여 과금처리를 수행한다. 즉, 이동교환기(MSC)(13)에서는 통화시작과 동시에 1도수 증가정보를 메시지 센터(12)로 전송하고 통화가 개시되면 1도수 시간마다 도수증가정보를 메시지 센터(MC)(12)로 전송한다. 그러면, 메시지 센터(12)에서는 이동교환기(13)로부터 수신한 도수증가정보를 후술하는 도 4 의 과금정보 전송메시지 포맷에 의거하여 단전문서비스(SMS) 형태로 재 가공한 후에 이동교환기(13)와 기지국(14)을 통하여 단말기(15)로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14)은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통신망의 전방향 채널인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과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17)을 이용하여 단말기(15)로 과금정보를 전송한다. 특히,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통신망의 전방향 채널인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이용할 경우에는 데이타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를 데이타 전송 메시지로 이용하여 단전문 메시지(SMS)를 해당 단말기(15)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기(15)는 해당 메시지를 오류없이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의 역방향 채널인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16)을 이용하여 기지국(14)과 이동교환기(13)를 통해 메시지 센터(12)로 전송한다.
한편, 이동교환기(13)는 일반적인 단전문서비스(SMS) 데이타 전송과는 달리 단말기(15)가 통화중이므로 채널의 상태를 파악할 필요없이 바로 도수증가신호를 전송하면 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기의 일예시도로서, 도면에서 21은 이동공중무선전화기, 22는 차량용 핸즈프리(Hands Free), 23은 전원부, 24는 스피커, 25는 마이크, 26은 외부 안테나, 27은 요금표시부를 각각 나타낸다.
이동공중무선전화기는 택시, 버스, 및 철도 등 이동체에 장착하거나 일반 유선전화망이 설치되지 않는 장소에서 일반 공공용으로 사용된다. 향후 이동통신의 발전으로 이러한 이동공중무선전화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와 더불어 부가서비스 및 기타 응용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동공중무선전화기는 사용자가 사용한 금액을 요금표시부에 나타내게 되며, 사용자는 이를 현금으로 지불하게 된다.
이동공중무선전화기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의 이동공중무선전화기(21)를 차량에 장착하였을 때, 수화기를 사용하지 않고 통화(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한 차량용 핸즈프리(22)와 더불어 이를 지원하는 스피커(24), 마이크(25), 그리고 차량 외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안테나(26)가 있으며, 이들 구성요소들에 전원공급을 지원하는 일반적인 직류전원인 전원부(23)가 있다. 그리고, 통화관련 요금을 처리하고 사용자에게 표시해주는 요금표시부(27)가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단말기의 일예시도로서, 도면에서 31은 안테나, 32는 액정표시부, 33은 자판부, 34는 스마트카드 장착부를 각각 나타낸다.
스마트카드를 내장한 단말기는, 단말기에 부착된 안테나(31), 통화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출력하는 액정표시부(LCD)(32),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자판부(10), 및 단말기에 스마트 카드를 넣을 수 있는 스마트카드 장착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스마트카드는 카드형태의 반도체에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및 입출력부를 가지고 있으며, 유효한 카드를 가진 이용자만이 사용 가능하다. 약정된 금액을 이용하여 통화하는 스마트카드를 선지불 카드(prepaid card)라고도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과금정보 전송메시지의 포맷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문자세트는 국제 표준화 기구(ISO) 7비트 문자세트(ISO 646-1983E : ASCII)를 말하며, 이동교환기(13)에서는 7비트로 이루어진 문자세트의 최상위 비트(MSB)에 0을 첨가하여 1바이트를 만든 후에 단말기(15)로 전송하고, 과금용 단말기(15)에서는 최상위 비트의 0을 제거하고 해석한다.
제어코드(Control Code)(41)는 2 바이트로 구성되며, 과금용 단말기(15)에 대한 도수증가 명령과 과금내역 변경상태를 전송한다. 아스키(ASCII) 코드는 7비트로 구성되고, 전송은 한 바이트 단위로 전송되므로 이동교환기(13)에서는 최상위 비트(MSB)에 0을 첨가하여 전송하고, 과금용 단말기(15)에서는 이를 제거하고 복호하여야 한다. 이때, 도수증가는 코드 '//'(2F)로 표시하고, 과금내역 변경은 코드 '--'(2D)로 표시한다. 여기에서 코드 '/'와 코드 '-'는 국제 표준화 기구(ISO) 7 비트 문자세트(ISO 646-1983E : ASCII)를 이용한다.
과금상태 코드(Status)(42)는 2 바이트로서 숫자 2자리로 구성되며, 국내통화, 국제통화, 야간할인, 및 휴일할인 등의 정보를 전송한다. 0은 일반 국내단일 통화를 나타내고, 11은 야간할인 통화을 나타내며, 22는 휴일할인 통화를 각각 나타내고, 나머지 번호는 국제통화용(지역군별 분류 : ITU-T 분류방법)이다.
시간도수(43)는 요금관련 하나의 도수에 대한 시간을 나타낸다. 4바이트로 구성되며, 분(2자리)과 초(2자리)를 나타낸다.
예) 1 도수 : 0230(2분 30초가 한 도수)
가격도수(44)는 요금관련 한 도수에 대한 금액을 나타낸다. 4바이트로 구성되며, 4자리까지의 금액의 표현이 가능하다.
예) 1 도수 : 0100(한 도수 요금이 100원)
도 5 는 본 발명의 서비스 인식자(Teleservice Identifier)에 대한 설명도이다.
단전문서비스중에서 도 4 에서 기술한 과금정보 전송메시지를 구분하는 방법은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데이타 통신 표준안에 정의된 서비스 인식자(Teleservice Identifier)에서 예약(reserved)된 항목을 이용한다.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과금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교환기(MSC)(13)에서는 통화시작과 동시에 1도수 요금증가 통보메시지를 메시지 센터(12)로 전송하고, 이후 통화중에 1 도수의 요금이 증가하게 되면 이를 메시지 센터(12)로 전송하며, 요금변동사항이 있으면 메시지 센터(12)로 전송한다(61). 메시지 센터(12)에서는 과금정보 통보메시지를 단전문서비스(SMS) 데이타 포맷에 맞게 제 정의하여 과금정보 전송메시지를 이동교환기(13)로 전송한다(62).
이동교환기(13)에서는 과금정보 전송메시지를 수신하여 기지국(BSC)(14)을 통하여 단말기(15)로 전송한다(63,64). 이때,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전화망(13,14)에서는 전방향 채널(forward channel)인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또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이용하여 과금정보 전송메시지를 단말기(15)로 전송한다.
단말기(15)에서는 과금정보 전송메시지를 수신하면 과금정보 전송메시지 포맷에 따라 복호화하여 요금을 증가하거나 요금변동내역을 저장한 후에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한편, 단말기(15)는 과금정보 전송메시지의 정확한 수신여부를 메시지 센터(12)로 알리기 위하여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13,14)의 역방향 채널인 액세스 채널(access cannel)을 통하여 과금정보 수신완료 메시지를 메시지 센터(12)로 전송한다(65,66,67).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처리 흐름도이다.
과금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15)의 신호처리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15)는 기지국(14)으로부터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의 전방향 채널인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면(71) 단전문서비스(SMS)인지를 판단한다(72). 이때, 단말기(15)는 데이타 전송메시지(data burst message : 00001001)를 인식하여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단전문서비스(SMS) 데이타를 인식한다.
단전문서비스인지를 판단한 결과, 단전문서비스(SMS)에 의한 데이타 전송이 아니면 도 8 에 제시한 페이징 채널 메시지 타입에 의하여 처리하고(73), 단전문서비스(SMS)에 의한 데이타 전송이면 도 5 에 제시한 서비스 인식자(Telservice identifier)를 인식하여 과금정보 전송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74).
과금정보 전송메시지인지를 판단한 결과, 과금정보 전송메시지가 아니면 서비스 인식자(teleservice identifier)에 따라 메시지 전송서비스, 생활정보서비스, 및 VMS(Voice Mail System)와 같은 해당 단전문서비스(SMS)를 수행하고(75), 과금정보 전송메시지이면 이를 도 4 에서 정의한 과금정보 전송메시지 포맷으로 복호화하여 제어정보에 따라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한다(76).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한 결과, 요금변경 메시지이면 새로운 요금변경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고(77), 요금증가 메시지이면 현재 요금에서 1도수 요금을 증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78).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공중무선전화기의 요금을 제어하기 위하여 이동교환기에서 생성되는 과금정보를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여 재 가공한 후에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의 단전문서비스(SMS)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과금정보를 이동교환기에서 단말기로 전송하므로써, 자동으로 요금변동을 수행할 수 있고, 잦은 요금변동에 대하여 오차가 없이 빠른 시간내에 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온라인 방식으로 과금변동사항을 처리할 수 있어 이동공중무선전화기와 과금용 단말기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이동통신망에 적용되는 과금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과금정보가 생성되면 이동교환기는 과금정보를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고, 과금정보를 수신한 상기 메시지 센터에서는 단전문서비스(SMS) 데이타 포맷에 따라 과금정보 전송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망의 전방향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는 과금정보 전송메시지를 수신하면 과금정보 전송메시지 포맷에 따라 복호화하여 그 내용에 따라 요금을 증가하거나 요금변동내역을 저장한 후에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단말기는 과금정보 전송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통신망의 역방향 채널을 통하여 과금정보 수신완료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과금정보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망의 전방향 채널을 통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전문서비스(SMS)인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 결과, 단전문서비스(SMS)에 의한 데이타 전송이 아니면 페이징 채널 메시지 명령에 따라 처리하고, 단전문서비스(SMS)에 의한 데이타 전송이면 서비스 인식자(Telservice identifier)를 인식하여 과금정보 전송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 결과, 과금정보 전송메시지가 아니면 서비스 인식자(teleservice identifier)에 따라 해당 단전문서비스(SMS)를 수행하고, 과금정보 전송메시지이면 과금정보 전송메시지 포맷으로 복호화하여 제어정보에 따라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6 단계의 판단 결과, 요금변경 메시지이면 새로운 요금변경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출력하며, 요금증가 메시지이면 현재 요금에서 소정 금액의 요금을 증가하고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정보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의 단전문서비스(SMS)를 판단하는 과정은,
    데이타 전송메시지(data burst message : 00001001)를 인식하여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단전문서비스(SMS)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정보 전송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향 채널(forward channel)은,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정보 전송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향 채널(forward channel)은,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정보 전송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채널은,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정보 전송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정보 전송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에 대한 도수증가 명령과 과금내역 변경상태를 전송하는 제어코드(Control Code);
    상기 단말기에 대한 과금정보의 상태를 나타내는 과금상태 코드;
    요금관련 하나의 도수에 대한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도수; 및
    요금관련 하나의 도수에 대한 금액을 나타내는 가격도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정보 전송 방법.
  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이동공중무선전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정보 전송 방법.
  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과금용 이동전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정보 전송 방법.
KR1019960065915A 1996-12-14 1996-12-14 무선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과금정보 전송 방법 KR100222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915A KR100222663B1 (ko) 1996-12-14 1996-12-14 무선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과금정보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915A KR100222663B1 (ko) 1996-12-14 1996-12-14 무선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과금정보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422A true KR19980047422A (ko) 1998-09-15
KR100222663B1 KR100222663B1 (ko) 1999-10-01

Family

ID=19487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915A KR100222663B1 (ko) 1996-12-14 1996-12-14 무선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과금정보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6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622A (ko) * 2002-01-18 2003-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단문메시지를 과금하는 방법
KR20040021198A (ko) * 2002-09-03 2004-03-10 주식회사 온세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기의 정보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795A (ko) * 2000-03-18 2001-10-23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선불카드 가입자에게 통화잔액과사용시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KR20030089145A (ko) * 2002-05-16 2003-1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선납된 통신 요금의 재충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571B1 (ko) * 1996-09-12 1999-08-16 서정욱 코드분할다중 접속 통신망에서 단문서비스(sms)를 이용한 생활정보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622A (ko) * 2002-01-18 2003-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단문메시지를 과금하는 방법
KR20040021198A (ko) * 2002-09-03 2004-03-10 주식회사 온세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기의 정보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2663B1 (ko) 199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9284B2 (ja) 音声およびデータ処理通信ネットワークのメッセージ転送装置
US6430406B1 (en) Credit information in a mobile phone
US6434378B1 (en) Pre-paid cellular telephone system
JP3950943B2 (ja) ユーザ識別子の割り当て方法
CN100461949C (zh) 一种呼叫处理方法、终端设备及通信系统
EP0997032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replaceable battery and prepaid calling time
US20090034703A1 (en) Prepaid Calling Time Processing: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re-Paid Calling Time in a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69257A (ko) 통화 셋업 프로세스
CA22774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text and audio for sponsored calls
US201401793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ellular Phone No-Charge Transactions
US7146154B1 (en) Method of informing charging data to mobile terminal in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222663B1 (ko) 무선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과금정보 전송 방법
KR1004903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공중 전화 통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216571B1 (ko) 코드분할다중 접속 통신망에서 단문서비스(sms)를 이용한 생활정보서비스 방법
US6681105B1 (en) Mobile radiotelephone method and system and terminal used in such a system
KR20070079541A (ko) 가입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수행 방법 및 이를위한 통신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JPH10126531A (ja) 無線電話装置とサービス制御局と通信料金管理装置
KR100222662B1 (ko) 무선통신망에서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요금변동사항 전송 방법
KR20010067886A (ko) 후크(hook)상태를 감지하고 선/후불카드의 입력번호를자동 송출하는 ACR 단말기
US6208722B1 (en) Method of accepting charges in individual connections and a telephone network and terminal
CN100550937C (zh) 一种在线式无线公话的实现方法
KR19990041046A (ko) 위성통신단말기의 고투과 페이징 모드에서 호전환 방법
CN100550938C (zh) 一种gsm网络在线式公话的实现方法
KR20010059671A (k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과금 내역 통지 방법
CN100571300C (zh) 一种gsm网络在线式公话的实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