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126A - 비동기식 전송모드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식 전송모드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126A
KR19980047126A KR1019960065569A KR19960065569A KR19980047126A KR 19980047126 A KR19980047126 A KR 19980047126A KR 1019960065569 A KR1019960065569 A KR 1019960065569A KR 19960065569 A KR19960065569 A KR 19960065569A KR 19980047126 A KR19980047126 A KR 19980047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handoff
dedicated virtual
mobile communication
virtu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2096B1 (ko
Inventor
성단근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윤덕용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덕용,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윤덕용
Priority to KR1019960065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096B1/ko
Publication of KR19980047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식 전송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 ATM)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hand-off)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핸드오프 호(call) 처리를 위해 인접한 기지국(Base Station : BS)들 간에 전용 가상 연결(Permanent Virtual Connection : PVC)을 예약 설정해 두고, 이동체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의 비동기식 전송 모드 스위치의 관여 없이 기지국에 의해 핸드오프 호를 처리하며, 핸드오프 호 처리 이후 구 기지국이 교환 가상 연결과 전용 가상 연결, 혹은 전용 가상 연결과 전용 가상 연결 간에 트래픽(traffic)을 상호 연결시켜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핸드오프 호를 신속하게 처리함으로써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핸드오프 도중 비동기식 전송 모드 셀(cell)의 전달 순서를 보존해 주는 것이다.

Description

비동기식 전송모드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본 발명은 비동기식 전송모드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인접 기지국간의 핸드오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에 인접한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셀 : cell)으로 이동하는 경우, 비동기식 전송 모드 스위치의 관여 없이 인접한 기지국 사이에 미리 설정된 전용 가상 연결(Permanent Virtual Connection)을 이용하여 비동기식 전송모드 셀 순서를 보존하면서 신속하게 유선망 내부에서 핸드오프 호(hand-off call)를 처리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여기서는 이동통신 시스템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기지국(base station : 20), 이동체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 30 ) 그리고 공용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 : 30)의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각 구성 부분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동통신 가입자와 기지국(20)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이용하여 음성 통신 외에도 제어 함수, 신호화 함수 등을 만들어 낸다. 또한 시스템의 제어하에서 그 시스템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내의 어떠한 채널로도 튜닝이 가능해야 하며, 각각의 채널은 양방향성 주파수의 쌍으로 구성된다. 제어 신호는 디지털의 형태로 전송되며 수행되어야 할 작업에 따라 음성이나 신호 채널을 통하여 보내진다. 전송기의 전력 레벨은 시스템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20)은 관리하고 있는 무선 채널을 통하여 셀(cell)내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10)로 데이터를 보내거나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의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한다. 기지국(20)은 지상의 링크를 통하여 이동체 교환국(30)과 연결된다.
이동체 교환국(30)은 셀룰러 무선 서비스용 전화 교환기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동체 교환국(30)은 표준 전화 신호를 사용하여 이동통신 시스템과 고정된 전화망간의 중앙 통제 및 접속을 수행한다.
이동체 교환국(30)에서 수행하는 주요 임무로는 페이징(paging), 위치등록(location update), 핸드오프 등이 있다.
그 외에 이동체 교환국(30)은 신호화, 교환 작업, 오디오 회로의 A/D 변환, 온 후크(on-hook), 오프 후크(off-hook) 상태의 검출, 다이얼 펄스 신호화를 위한 회선 감시(line scanning) 등의 통상적인 디지털 스위칭 전환 작업을 수행한다.
공용 전화망(40)은 이동체 교환국(30)을 고정된 전화 교환기로 간주한다. 도 1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은 정해진 동작과 정보가 집중되는 제어 센터(control center)를 가지고 있다. 이 제어 센터는 이동체 교환국 중의 하나에 위치하고 전체 시스템에 대한 주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트래픽 분석, 망 관리, 유지, 설비 구성 등의 작업들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예: 셀룰러 폰)를 이용하여 통화 계속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한 기지국 영역(cell)에서 다른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연속적인 통화를 위해서는 신속한 핸드오프 호 처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비동기식 전송모드 망에서 하나의 통신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하여 단-대-단(end-to-end) 사이에 교환가상연결(Switched Virtual Connection : SVC)을 설정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호 접속 요구가 있을 경우에는 연결수락제어(Connection Admission Control : CAC)가 필요하다. 그러나 통상 이것은 복잡한 처리 절차가 필요하며 처리를 위한 긴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때문에, 비동기식 전송 모드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한 기지국에서 통화를 시작하여 통화 중 인접 기지국으로 이동하는 경우 발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핸드오프 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호 처리 절차에 의한 교환 가상 연결을 사용하여 새로운 기지국으로 통화를 연결하게 되면, 핸드오프 호의 처리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특히 대도시 지역과 같이 핸드오프 발생 빈도가 높은 지역에서의 핸드오프 호 처리의 지체는 곧바로 통신 서비스의 품질 저하로 이어진다.
따라서 비동기식 전송모드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서 빠른 핸드오프 호 처리를 위해 새로운 호가 발생했을 때 일정 영역 안에 속한 모든 기지국들로 종단되는 가상 연결들을 설정해 두는 방법이 특허 WO 94/28645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와 같이 새로운 호 설정시 일정 영역 안에 속한 모든 기지국들로 종단되는 가상 연결들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채널 접속 예약에 따른 긴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동기식 전송 모드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잡한 처리를 거치지 않고 비동기식 전송모드 셀 순서를 보존하면서 신속하게 핸드오프 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인접한 기지국간에 미리 예약된 전용 가상 연결(전용 가상 채널 연결 또는 전용 가상 경로 연결)을 이용하여 핸드오프 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인접한 기지국 사이에 예약된 전용 가상 연결을 나타낸 도
도 3a 및 도 3b는 사각형 셀 패턴과 육각형 셀 패턴의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기 지국과 인접한 기지국들과의 전용 가상 연결을 보인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전용 가상 연결을 이용한 핸드오프 전후의 통화로의 형성을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핸드오프 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신호 절차도
도 6은 전용 가상 연결의 사용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각각의 서비스 등급에 따라 별도로 대역을 준비하는 전용 가상 채널 연결을 이용하는 경우와, 모든 서비스 등급의 핸드오프 호가 가상 대역을 공유하는 전용 가상 경로 연결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핸드오프 호 처리 여부 결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통신 단말기20∼28 : 기지국
30 : 이동체 교환국31,32 : 비동기식 전송 모드 스위치
40 : 공용 전화망50 : 전용 가상 연결 그룹
51∼53 : 전용 가상 연결 60 : 교환 가상 연결
70 : 트래픽 상호 연결
비동기식 전송모드 기반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핸드오프 방법은 인접한 기지국 사이에 미리 예약된 전용 가상 연결을 이용하며,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접속 중인 기지국(이하 기지국1이라 한다)에서 새로이 접속을 원하는 인접한 기지국(이하 기지국2라고 한다)으로의 핸드오프가 필요한 시점을 판단하여 핸드오프 호 발생시키는 과정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오프 호에 대해 기지국2가 기지국1로의 역방향 전용 가상 연결을 선택하는 과정과; 기지국2가 선택된 역방향 전용 가상 연결을 기지국1에 알리는 과정과; 기지국1이 기지국2로의 순방향 전용 가상 연결을 선택하는 과정과; 기지국1이 선택된 순방향 전용 가상 연결을 기지국2에 알리는 과정과; 기지국2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핸드오프 준비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과;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지국1과의 접속을 끊고 기지국2와 접속하여 핸드오프를 실행하는 과정과; 기지국2가 기지국1에 핸드오프를 지시하는 과정과; 기지국2의 핸드오프 지시에 의해 기지국1이 전용 가상 연결과 교환 가상 연결 사이에 트래픽을 상호 연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역방향 전용 가상 연결을 선택하는 과정 및 순방향 전용 가상 연결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전용 가상 연결을 제어 관리하는 방법으로는 가상 채널 연결(Virtual Channel Connection)을 이용하여 각각의 서비스 등급에 따라 별도로 대역을 준비하는 방법과 가상 경로 연결(Virtual Path Connection)을 이용하여 모든 서비스 등급이 공유하는 대역을 준비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핸드오프 방법을 이용하여 핸드오프 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인접한 기지국간에 프로토콜 관리평면을 통하여 각각 양방향으로 전용 가상 연결그룹(50)을 미리 예약 설정해야 한다.
도 2는 인접한 기지국간에 예약 설정된 전용 가상 연결 그룹(50)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동체 교환국의 비동기식 전송 모드 스위치(31)와 연결된 인접한 기지국1,2,3(21∼23) 및 비동기식 전송 모드 스위치(32)와 연결된 인접한 기지국4,5,6(24∼26) 사이는 물론 서로 다른 비동기식 전송 모드 스위치(31)(32)에 속한 인접한 기지국(23)(24) 사이에 양방향으로 전용 가상 연결을 프로토콜 관리 평면을 통하여 미리 예약 설정해 둔다. 여기서 전용 가상 연결 그룹(50)이라 함은 여러개의 전용 가상 연결의 모임을 말하며, 기지국간에 설정되는 전용 가상 연결의 필요한 용량은 인접한 기지국간의 핸드오프 트래픽과 핸드오프 실패 확률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도 3a 및 도 3b는 사각형 셀 패턴과 육각형 셀 패턴의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기지국(27)(28)과 인접한 기지국들과의 전용 가상 연결된 모습을 예시한 것으로, 도 2에서와 같은 전용 가상 연결 그룹(50)을 인접한 기지국 간에만 구성하여 신속하게 핸드오프를 처리 가능하게 한다.
도 4a 및 도 4b는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이동하는 경우 핸드오프 전후의 통화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핸드오프 전의 상황을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이용하여 기지국1(21)의 서비스 영역(cell) 내에서 호를 발생시키면 기지국1(21)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를 위해 이동체 교환국의 비동기식 전송 모드 스위치(31)와 교환 가상 연결(60)을 한다. 그러면 이동체 교환국의 비동기식 전송 모드 스위치가 공용 전화망과의 연결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과 통화 가능하도록 한다.
기지국1(21)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통화를 시작한 사용자가 통화 중에 계속 이동하여 기지국2(22)와의 셀 경계에 근접하여 기지국1(21)의 신호 세기(파이럿 신호)가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기지국2(22)에 핸드오프 호를 발생시켜 핸드오프를 요청하고, 이것이 수용되어 기지국1(21)에서 기지국2(22)로 핸드오프가 이루어지면 도 4b와 같은 통화 경로가 형성된다.
도 4b에서 알 수 있듯이 기지국1(21)에서 기지국2(22)로의 핸드오프가 이루어지면 통화 경로는 이미 설정되어 있던 교환 가상 연결(60)과 기지국1(21)과 기지국2(22) 사이에 예약되어 있는 전용 가상 연결 그룹(50) 중의 어느 한 전용 가상 연결(51)을 경유하게 되고, 기지국1(21)은 교환 가상 연결(60)과 전용 가상 연결(51)사이에서 사용자의 트래픽을 상호 연결(bypass : 70 ) 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화중에 타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내로 이동하여도 연속적으로 통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프 호 처리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핸드오프 호 처리과정을 나타낸 신호 절차도로서, 기지국1(21)을 통하여 통화중인 이동통신 단말기(10)가 기지국2(22)의 서비스 영역 내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핸드오프 호를 발생시켜 기지국2(22)에 핸드오프를 요청한다(S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기지국2(22)로 송신되는 핸드오프 요청 메시지에는 사용자 서비스의 종류와 기지국1(21)의 주소를 나타내는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핸드오프 호를 수신한 기지국2(22)는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현재 무선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1(21)과의 사이에 예약 설정된 역방향 전용 가상 연결 그룹 중에서 요구된 핸드오프 호를 수용하기 위하여 가용 역방향 전용 가상 연결 중 하나를 선택한다(S2). 여기서 역방향이라는 것은 핸드오프가 발생된 방향의 반대방향, 즉 기지국2(22)에서 기지국1(21)로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어서 기지국2(22)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요구된 핸드오프 호 처리를 위하여 선택된 역방향 전용 가상 연결을 기지국1(21)에 알린다(S3).
그리하면 기지국1(21)은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요구된 핸드오프 호 처리를 위한 순방향 전용 가상 연결 중 하나를 선택하고(S4) 그 정보를 기지국2(22)에 전송한다(S5). 여기서 순방향이란 핸드오프가 발생된 방향, 즉 기지국1(21)에서 기지국2(22)로의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의 종류가 한가지이고 그 서비스가 요구하는 대역이 양방향으로 동일하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약된 전용 가상 연결 그룹이 순방향, 역방향으로 각각 3개씩이며, 이 중에서 양방향 모두 2개씩은 이미 사용중이고 한개씩 가용하다면, 기지국1(21)은 가용 순방향 전용 가상 연결(52)을 선택하고, 기지국2(22)는 가용 역방향 전용 가상 연결(53)을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전용 가상 연결의 선택에 관한 결정은 이동체 교환국의 비동기식 전송 모드 스위치(31)의 관여 없이 기지국1,2(21)(22)에 의해서 행해진다.
기지국1(21)로부터 선택된 순방향 전용 가상 연결(52)의 정보가 기지국2(22)에 전송되면 기지국2(22)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핸드오프 준비 메시지를 송신한다(S6). 후속하여 기지국2(22)의 핸드오프 준비 메시지를 전송받은 이동통신 단말기(10)가 기지국1(21)과의 접속을 끊고 기지국2(22)에 접속하여 핸드오프 메시지를 기지국2(22)에 송신하면(S7), 기지국2(22)는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기지국1(21)에 송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자신에 접속되었음을 알린다(S8).
기지국1(21)은 기지국2(22)로부터의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받은 후에는 교환 가상 연결(60)과 앞서 선택된 전용 가상 연결(52) 간의 트래픽을 상호 연결(70)시켜 준다(S9).
이로써 도 4b와 같은 통화로가 형성되고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기지국2(22)와 무선 채널을 통하여 통화 가능하게 된다.
이 때 기지국1(21)은 사용자의 통화를 통과시키면서 동시에 비동기식 전송 모드 셀의 전달 순서를 보존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이동하여 기지국3(23)의 서비스 영역 내로 옮겨가게 되면, 앞서 설명한 핸드오프 호 처리과정(S1∼S9)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핸드오프 한다. 이때 기지국2(22)와 기지국3(23) 사이에 예약 설정된 전용 가상 연결이 핸드오프 호 처리를 위해 사용되며, 기지국2(22)는 이 전용 가상 연결과 기지국1(21)과 기지국2(22) 사이에 이미 사용중인 전용 가상 연결들 간에 트래픽을 상호 연결시켜 이동통신 단말기(10)가 기지국3(23)과 무선 채널을 통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전용 가상 연결의 대역 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다중 속도 서비스 등급으로 한 개의 서비스가 순방향으로는 각각의 대역을 요구하며 역방향으로는 각각의 대역을 요구하는 L 종류의 서비스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21)과 기지국2(22)가 서로 인접해 있고, 상기의 L개의 서비스 등급에 의해 핸드오프가 기지국1(21)에서 기지국2(22)로 각각개씩 발생하고, 기지국2(22)에서 기지국1(21)로 각각개씩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해당 호들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지국1(21)과 기지국2(22)의 경계에서 현재 필요한 전체 가상 연결 대역은 기지국1(21)에서 기지국2(22)방향으로과 같고, 기지국2(22)에서 기지국1(21)방향으로는와 같다.
실제 전용 가상 연결을 제어 관리하는 방법으로는 각각의 서비스 등급에 따라 별도로 대역을 준비하는 가상 채널 연결(Virtual Channel Connection)을 이용하는 방법과, 모든 서비스 등급의 핸드오프 호가 가상 대역을 공유하는 방식인 가상 경로 연결(Virtual Path Connection) 방법이 있다.
도 7a는 각각의 서비스 등급에 따라 별도의 대역을 준비하는 전용 가상 채널 연결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핸드오프 호 처리 여부를 결정하는 흐름도이고, 도 7b는 모든 서비스 등급의 핸드오프 호가 가상 대역을 공유하는 방식인 전용 가상 경로 연결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핸드오프 호 처리 여부를 결정하는 흐름도 이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여 각각의 서비스 등급에 따라 별도로 대역을 준비하는 전용 가상 채널 연결을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각 서비스 등급마다 각 방향으로대역의 전용 가상 연결을 준비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서비스 등급인 호를 발생시켜 인접한 기지국2(22)에 핸드오프를 요청한다(S10).
그러면 기지국2(22)가를 만족하는가를 판단하고(S11), 이 조건을 만족하면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1(21)이를 만족하는가를 판단하여(S12),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핸드오프 호를 수락하고(S13), 그렇지 않으면 핸드오프 호를 거절(S14)한다.
이어서 도 7b를 참조하여 모든 서비스 등급의 핸드오프 호가 가상 대역을 공유하는 방식인 전용 가상 경로 연결을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각 방향으로대역의 전용 가상 연결을 준비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서비스 등급인 호를 발생시켜 인접한 기지2(22)에 핸드오프를 요청한다(S15).
그러면 기지국2(22)가를 만족하는가를 판단하고(S16), 조건을 만족하면 다시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1(21)이를 만족하는가를 판단하여(S17), 상기 조건을 경우에만 핸드오프 호를 수락하고(S18), 그렇지 않으면 핸드오프 호를 거절(S19)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용 가상 연결을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은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B-ISDN) 프로토콜 기준 모델의 제어 평면에서 일반적으로 호 연결을 위해 교환 가상 연결이 필요할 때마다 호 연결 수락 제어 과정을 거쳐 설정되는 것과는 달리, 호 연결 수락 제어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고, 전용 가상 연결은 관리 평면을 통하여 망 관리자에 의해 인접된 기지국간에 미리 고정적으로 설정되며, 이동체 교환국의 비동기식 전송 모드 스위치의 관여 없이 기지국의 분산 처리 기능에 의해 인접 기지국간 유선망에서의 핸드오프를 신속하게 처리함으로써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드오프 직후에는 구 기지국이 사용자 트래픽을 상호 연결시키면서 비동기식 전송모드 셀 전달 순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청구 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동기식 전송모드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의 일 실시예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인접한 기지국 사이에 미리 예약 설정된 전용 가상 연결을 이용하여 비동기식 전송모드 셀 순서를 보존하면서 핸드오프 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 모드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접속 중인 기지국(기지국1)에서 새로이 접속을 원하는 인접한 기지국(기지국2)으로의 핸드오프가 필요한 시점을 판단하여 핸드오프 호 발생시키는 과정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오프 호에 대해 기지국2가 기지국1로의 역방향 전용 가상 연결을 선택하는 과정과; 기지국2가 선택된 역방향 전용 가상 연결을 기지국1에 알리는 과정과; 기지국1이 기지국2로의 순방향 전용 가상 연결을 선택하는 과정과; 기지국1이 선택된 순방향 전용 가상 연결을 기지국2에 알리는 과정과; 기지국2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핸드오프 준비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과;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지국1과의 접속을 끊고 기지국2와 접속하여 핸드오프를 실행하는 과정과; 기지국2가 기지국1에 핸드오프를 지시하는 과정과; 기지국2의 핸드오프 지시에 의해 기지국1이 전용 가상 연결과 교환 가상 연결 사이에 트래픽을 상호 연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전용 가상 연결을 선택하는 과정과 순방향 전용 가상 연결을 선택하는 과정은 전용 가상 연결을 제어 관리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서비스 등급에 따라 별도로 대역을 준비하는 전용 가상 채널 연결 방법 또는 모든 서비스 등급의 핸드오프 호가 가상 대역을 공유하는 전용 가상 경로 연결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서비스 등급에 따라 별도로 대역을 준비하는 전용 가상 채널 연결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의 핸드오프 호의 처리 여부 결정은 각 서비스 등급마다 각 방향으로대역의 전용 가상 연결을 준비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서비스 등급인 호를 발생시켜 인접한 기지국(기지국2)에 핸드오프를 요청하면 기지국2가 조건를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기지국1)이 조건를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핸드오프 호를 수락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들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핸드오프 호를 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서비스 등급의 핸드오프 호가 가상 대역을 공유하는전용 가상 경로 연결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의 핸드오프 호의 처리 여부의 결정은 각 방향으로대역의 전체 가상 연결을 준비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서비스 등급인 호의 발생시켜 인접한 기지국(기지국2)에 핸드오프를 요청에 의해 기지국2가 조건를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기지국1)이 조건를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핸드오프 호를 수락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들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핸드오프 호를 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모드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KR1019960065569A 1996-12-13 1996-12-13 비동기식 전송모드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KR10022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569A KR100222096B1 (ko) 1996-12-13 1996-12-13 비동기식 전송모드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569A KR100222096B1 (ko) 1996-12-13 1996-12-13 비동기식 전송모드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126A true KR19980047126A (ko) 1998-09-15
KR100222096B1 KR100222096B1 (ko) 1999-10-01

Family

ID=1948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569A KR100222096B1 (ko) 1996-12-13 1996-12-13 비동기식 전송모드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0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381A (ko) * 2001-03-09 2002-09-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다른 시스템들 사이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703B1 (ko) 2006-08-02 2012-10-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비동기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381A (ko) * 2001-03-09 2002-09-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다른 시스템들 사이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2096B1 (ko) 199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4149A (en) Base station controlled handoff method and apparatus
EP10713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se station controlled handoff
US5857153A (en)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having seamless interoperability between exchanges while providing voice, asynchronous data and facsimile services in multiple frequency hyperbands
FI100084B (fi) Radiopuhelinliikenteen solukkojärjestelmä, joka on varustettu suojauks ella puhelunmenetystä vastaan
KR100455243B1 (ko) 시스템간소프트핸드오프를지원하는시스템간호출
AU752989B2 (en) A system and method for reconnecting a disconnected low priority call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454665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선택 및 분산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EP0923845B1 (en) Inter-exchange signalling for in-call service change requests
EP1060631B1 (en) Call admission control using cell condition information from plural cells
KR100509407B1 (ko) 시스템간 소프트 핸드오프
US5761623A (en)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having seamless interoperability between exchanges while supporting operation in multiple frequency hyperbands
KR19980702326A (ko) 기지국 제어기간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A46827C2 (uk) Спосіб переведення зв'язку абонентського пристрою у безпровідній системі зв'язку (варіанти), спосіб роботи абонентського пристрою у цій системі та стільникова телефонна система, що забезпечує обслуговування абонентського пристрою
AU7318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the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after performing an inter-MSC soft handoff in a cellular system
EP0920230A1 (en) Hand-off switching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KR19980084251A (ko)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간 연속 하드핸드오프 감소방법
EP0888022A2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for improving performance and compatibility
AU715374B2 (en) Remote vocoding over a long distance link
KR100222096B1 (ko) 비동기식 전송모드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JP2693924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ハンドオフ方法
JP4705208B2 (ja) 脱落呼を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00070899A1 (en) Method for conducting handoff back communication scenarios
JP3479883B2 (ja) ハンドオーバ方法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5956645A (en) Mobility messaging using unnumbered information frames
EP1665858B1 (en) Communication control entity and its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