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655A - 전전자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655A
KR19980045655A KR1019960063865A KR19960063865A KR19980045655A KR 19980045655 A KR19980045655 A KR 19980045655A KR 1019960063865 A KR1019960063865 A KR 1019960063865A KR 19960063865 A KR19960063865 A KR 19960063865A KR 19980045655 A KR19980045655 A KR 19980045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ing
call
unit
frequency
d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태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63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5655A/ko
Publication of KR19980045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655A/ko

Links

Landscapes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TS-1100A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도수 과금을 분리 저장하여 과금의 정확성 및 정확한 과금 내역을 가입자에게 제시하도록하기에 적합한 전전자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DTS-1100A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도수 과금의 경우 가입자당 하나의 도수계를 가지고 발생하는 도수를 누적하여 과금했기 때문에 일반 가입자는 물론 시내 호, 시외 호, 국제 호 등 호의 유형별 과금 내역을 요구하는 가입자에게도 과금 내역을 제공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교환기에서 통화 후, 과금한 도수 과금 데이터를 호 유형별로 도수계를 따로 두어 누적 저장한 후, 과금 정산시 각 호 유형별 과금 요율을 다르게 적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과금을 적용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상술한 결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 저장 장치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TS-1100A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도수 과금을 분리 저장하여 과금의 정확성 및 정확한 과금 내역을 가입자에게 제시하도록하기에 적합한 전전자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DTS-1100A(DTS-1100 개량형) 전전자 교환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TS-1100 개량형 교환기는 국제 표준 전전자교환기로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계위중 시내(Local), 시내/중계(Local/Tandem), CENTREX 용도로 사용되며, 궁극적으로 종합정보통신망(ISDN), 지능망(IN) 등 다양한 망 형태에서의 융통성있는 교환기로 발전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DTS-1100 개량형은 컴퓨터, 반도체, 통신 및 소프트웨어 분야의 최신 기술을 적용하여 개발되었으며 외형적인 크기나, 성능, 서비스 융통성, 망환경 적응성 등에서 볼 때 모든 응용에 적절하며 뛰어난 시스템이다.
DTS-1100 개량형 시스템은 음성(Local/Tandem), CENTREX, ISDN(2B+D, 30B+D) 및 공통선 신호방식(CCS NO.7) 기능 등 기존에 상용화되어 있는 서비스 및 상용화중인 서비스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모두 수용이 가능한 종합정보통신망의 주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졌다.
DTS-1100 개량형의 주된 설계 개념은 시스템의 확장이나 수정이 용이하고, 기술발전에 따라 쉽게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융통성(Flexibility)과 모듈화(Modularity)를 제공하는 개방구조(Open architecture)를 채택하였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시스템 구조는 기술발전에 따른 영향이 최소로 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여기에 보다 더 경제적인 가격으로 가입자에게 첨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경제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있다.
DTS-1100 개량형 시스템 설계시 고려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모듈화 극대화를 통한 하드웨어의 단순화
* 하드웨어 사용효율 극대화를 통한 경제성 실현
* 소프트웨어 처리 기능의 극대화를 통한 경제성 실현
* 서브시스템 조합을 통한 시스템 구성의 융통성 제고
* 하드웨어의 단순화를 통한 운용 및 유지보수성 극대화
* 고성능, 고신뢰도 실현
* 소프트웨어 구현과 유지보수기능 강화
* 새로운 기능 추가 용이성
DTS-1100 개량형은 다양한 패키지로 구성가능하다.
DTS-1100 개량형은 최대 8,192 가입자, 중계선 1,080 채널을 수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1,200 Erlang의 트래픽과 150,000 BHCA(Busy Hour Call Attempts)를 처리할 수 있는 분산제어 개념이 적용되었고, 1개의 랙(RACK) 단위로 1500회선씩 용량이 확장된다.
집선비는 4:1 또는 8:1을 적용할 수 있다.
분산제어구조:
DTS-1100 개량형은 모듈화를 높이고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범용 32bit 및 16bit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이중화프로세서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제어기능은 상위 프로세서 및 하위 프로세서 2단계의 제어계층 구조로 구현된다.
주 프로세서(MP; Main Processor)라고 부르는 상위 프로세서는 호처리, 번호번역, 교환제어, 멀티 주파수(Multi Frequency) 신호처리, 시스템 유지보수 및 운용과 같은 상위 기능 업무를 수행하며, 주변장치 프로세서(PP; Peripheral Processor)라고 부르는 하위 프로세서는 통화로계 감지, 분석, 라인(Line) 신호처리와 같은 하위계층의 실시간 처리를 요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프로세서들에게 다양한 기능들을 분산시킴으로써 기능분산(Function Distribution)이 수행되며 PP와 호처리 프로세서는 시스템이 확장됨에 따라 추가가 용이하도록 부하분산(Load Distribution)방식을 채택하였다.
운영체계:
DTS-1100 개량형 시스템의 운용체계는 기본적으로 FIFO(First In First Out)에 의한 프로세스(Process)관리를 수행하며, 사안에 따라 긴급을 요하는 처리 수행을 위해 인터럽트(Interrupt) 처리와 실시간 처리를 요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리얼 타임 클록(Real Time Clock)을 운용한다.
또한, 프로세서간 통신처리를 수행하고, 제어계의 이중화처리를 수행한다.
프로그래밍 언어:
DTS-1100 개량형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C 언어를, 그리고 실시간을 요하는 하드웨어 정합처리를 위해서는 어셈블(Assemble) 언어를 채택하고 있다.
리던던시(Redundancy):
시스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DTS-1100 개량형의 주요 부분들 즉, 주 프로세서(MP), 주변장치 프로세서(PP) 등과 같은 모든 제어계와 스위치, 망동기 장치 및 신호장치 등이 각각 2중화되어 있다.
과거의 교환기가 특정 용도에 따라 제각기 개발되어 사용된 경우와는 달리 DTS-1100 개량형은 설계 당시부터 보다 광범위한 적용 범위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 나갈 수 있도록 발전성, 그리고 융통성이 고려되었다.
PSTN에서의 적용:
DTS-1100 개량형은 시내/중계 교환 기능을 제공한다.
원격 가입자를 위해 480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원격교환장치(RASM: Remote Access Switch Module)를 제공한다.
사설 망(Private Network)에서의 적용:
DTS-1100 개량형은 센트릭스 기능을 제공한다.
센트릭스 기능은 가입자의 일부를 별도의 사설 그룹으로 묶어 동일 그룹내에서는 별도의 사설 교환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안내대를 포함한 별도의 사설망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DTS-1100 개량형은 최대 32개 센트릭스 그룹을 구성할 수 있으며, 64대의 안내대 접속이 가능하다.
동일 그룹내에서는 대리응답, 통화중 호 전환 등의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CCS No.7 Signaling Network에서의 적용:
DTS-1100 개량형은 공통선 신호 장치를 수용하여 신호단국(SP: Signalling Point)의 기능을 실행한다.
기능적으로는 SEP 기능을 보유한다.
ISDN에서의 적용:
DTS-1100 개량형은 이종 통신망과의 연동은 물론 각종 정보통신기기와 정합되어 다양한 음성, 비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고도의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정보통신망(ISDN)에 적합하도록 응용 부문의 개발이 가속화되어 SS(Signalling System) No.7 공통선 신호 방식, ISDN 가입자 억세스(Access) 기능, 운용자 서비스, 집중화된 운용 및 유지보수, 부가가치 서비스와 같은 진보된 망기능들을 수용하게 될 것이다.
과거의 교환기는 수용되는 망에 따라 국설 교환기(Public Switching System), 사설 교환기(Private Switching System), 이동 교환기(Mobile Switching System) 등으로 구분되었다.
DTS-1100 개량형 시스템은 하나의 시스템으로 이 모든 교환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해 나갈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DTS-1100A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도수 과금의 경우 가입자당 하나의 도수계를 가지고 발생하는 도수를 누적하여 과금했기 때문에 일반 가입자는 물론 시내 호, 시외 호, 국제 호 등 호의 유형별 과금 내역을 요구하는 가입자에게도 과금 내역을 제공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교환기에서 통화 후, 과금한 도수 과금 데이터를 호 유형별로 도수계를 따로 두어 누적 저장한 후, 과금 정산시 각 호 유형별(시내 호, 시외 호, 국제 호 등) 과금 요율을 다르게 적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과금을 적용할 수 있도록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 저장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 제어부20 : 과금 정보 생성부
30 : 도수 과금 처리부40 : 호 유형별 저장부
50 : 도수 과금 덤프부60 : 과금 저장부
70 : 과금 처리 정보 저장부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 저장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교환기의 각종 호를 제어하는 호 제어부(10)와, 상술한 호 제어부(10)의 호 제어에 따라 과금에 필요한 통화 내역을 생성하는 과금 정보 생성부(20)와, 과금 처리 정보 및 상술한 과금 정보 생성부(20)로부터의 통화 내역에 따라 과금 도수를 계산하는 도수 과금 처리부(30)와, 상술한 도수 과금 처리부(30)의 과금 도수를 호 유형별로 저장시키는 호 유형별 저장부(40)와, 운용자가 도수 과금 덤프(dump)를 요구할 경우 상술한 유형별 저장부(40)로부터의 과금 도수를 덤프하는 도수 과금 덤프부(50)와, 상술한 도수 과금 덤프부(50)의 결과를 저장하는 과금 저장부(60)와, 상술한 도수 과금 처리부(30)에 상술한 과금 처리 정보를 제공하는 과금 처리 정보 저장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 제어부(10)는 해당 가입자의 호 시도에 의한 교환기의 각종 호를 제어하며, 과금 정보 생성부(20)는 상술한 호 제어부(10)의 호 제어에 따라 과금에 필요한 통화 내역을 생성한다.
다음, 도수 과금 처리부(30)는 과금 처리 정보 및 상술한 과금 정보 생성부(20)로부터의 통화 내역에 따라 과금 서비스 및 과금 할인 등을 적용하여 과금 도수를 계산한다.
또한, 호 유형별 저장부(40)는 상술한 도수 과금 처리부(30)의 과금 도수를 시내 호, 시외 호, 국제 호 등의 호 유형별로 저장시키며, 도수 과금 덤프부(50)는 운용자가 도수 과금 덤프를 요구할 경우 상술한 유형별 저장부(40)로부터의 과금 도수를 덤프한다.
그리고 과금 저장부(60)는 상술한 도수 과금 덤프부(50)의 결과를 저장하며, 과금 처리 정보 저장부(70)는 상술한 과금 처리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술한 도수 과금 처리부(30)에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기에서 통화 후, 과금한 도수 과금 데이터를 호 유형별로 도수계를 따로 두어 누적 저장한 후, 과금 정산시 각 호 유형별 과금 요율을 다르게 적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과금을 적용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가입자의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전자 교환기의 각종 호를 제어하는 호 제어부(10);
    상기 호 제어부(10)의 호 제어에 따라 과금에 필요한 통화 내역을 생성하는 과금 정보 생성부(20);
    과금 처리 정보 및 상기 과금 정보 생성부(20)로부터의 통화 내역에 따라 과금 도수를 계산하는 도수 과금 처리부(30);
    상기 도수 과금 처리부(30)의 과금 도수를 호 유형별로 저장시키는 호 유형별 저장부(40);
    운용자가 도수 과금 덤프를 요구할 경우 상기 유형별 저장부(40)로부터의 과금 도수를 덤프하는 도수 과금 덤프부(50);
    상기 도수 과금 덤프부(50)의 결과를 저장하는 과금 저장부(60);
    상기 도수 과금 처리부(30)에 상기 과금 처리 정보를 제공하는 과금 처리 정보 저장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전자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 저장 장치.
KR1019960063865A 1996-12-10 1996-12-10 전전자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 저장 장치 KR19980045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865A KR19980045655A (ko) 1996-12-10 1996-12-10 전전자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 저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865A KR19980045655A (ko) 1996-12-10 1996-12-10 전전자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 저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655A true KR19980045655A (ko) 1998-09-15

Family

ID=6652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865A KR19980045655A (ko) 1996-12-10 1996-12-10 전전자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56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540A (ko) * 1997-08-16 1999-03-05 윤종용 사설 교환기에서 과금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540A (ko) * 1997-08-16 1999-03-05 윤종용 사설 교환기에서 과금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0410A (en) Dynamic resource allocation process for a service control point in an advanced intelligent network system
KR19980045655A (ko) 전전자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 저장 장치
CN1340985A (zh) 一种在移动网上实现虚拟专用网业务的方法及系统
KR100210802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통계 데이터 저장 장치
KR10021080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통계 데이터 동시 수집 방법
EP0893034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telligent network architectures
KR10021079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r2 신호 정합 방법
KR100210792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라인 신호 정합 방법
KR10021079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라인 신호 정합 방법
KR018268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하드웨어 구조
KR0182696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링크
KR19980045654A (ko) 전전자 교환기의 경보 상태 출력장치
KR100214137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데이터 생성 방법
KR0182682B1 (ko) 전전자 교환기의 구조
KR100206475B1 (ko) 교환시스템의 지능망 서비스 구현방법
KR94000878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No.7 공통선 신호방식 처리 장치
CA2357440C (en) Load shared architecture for an ss7 node
KR100233240B1 (ko)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기에서의 공중 교환 전화망 가입자 안내방송 요구 형상에 따른 안내방송 연결 제어 방법
Leakey Current and medium term developments in switching
Choi et al. A Service Switching Point for Intelligent Networks
KR10020829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호 제한 방법
Abbott et al. No. 10A remote switching system: System overview
KR100208289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국설/센트릭스/사설 수용에 따른 링연결주기 방법
KR017640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채널 점유 방법
KR19980055996A (ko) 전전자 교환기의 스위치 보드 시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