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3919A - 비티엘(btl)로직을 이용한 내부 프로세스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비티엘(btl)로직을 이용한 내부 프로세스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3919A
KR19980043919A KR1019960061900A KR19960061900A KR19980043919A KR 19980043919 A KR19980043919 A KR 19980043919A KR 1019960061900 A KR1019960061900 A KR 1019960061900A KR 19960061900 A KR19960061900 A KR 19960061900A KR 19980043919 A KR19980043919 A KR 19980043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ckplane
btl
control
recei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84194B1 (ko
Inventor
전윤호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1019960061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4194B1/ko
Publication of KR19980043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1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13Details regarding a bu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3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 G06F13/368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with decentralised access control
    • G06F13/37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with decentralised access control using a contention resolving method, e.g. collision detection, collision avo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72Driv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플레인(Backplane)을 이용한 모듈통신에 있어서, 분리된 장비간에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이서넷 통신으로 인한 불필요한 회로 소자의 낭비를 방지하는 동시에 이서넷 공유 버스상의 상태를 콘트롤 모듈에서 확인함으로써 전체 IPC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비티엘(BTL)로직을 이용한 내부 프로세서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것을 위해 본 발명은 콘트롤 PLD로부터 콜리션(Collisijon) 발생 인식신호 및 현재 다른 모듈이 전송중임을 알려주는 신호를 입력받아 시리얼 데이타를 BTL 송수신기에 출력하는 NIC와, 상기 NIC로부터 시리얼 데이타를 입력받아 백플레인(Backplane)에 공유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공유수신 신호를 입력받는 BTL 송신기와, 상기 NIC와 백플레인(Backplane)으로부터 패킷 전송시 액티브 생성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NIC에 이서넷 버스상에서 콜리션 발생인식 신호 및 전송인지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BTL 송수신기에 TTL신호를 백 플레인으로 보내는 콘트롤 신호 및 TTL 신호로 변환하는 콘트롤 신호를 출력하며, 백플레인(Backplane)에는 콜리션 발생인식 신호, 이서넷 버스상에서 현재 다른 모듈이 전송중임을 알려주는 신호, TTL 신호를 백플레인(Backplane)으로 보내는 콘트롤신호, BTL 송수신기에서 백플레인신호를 TTL 신호로 변환하는 콘트롤 신호를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 PLD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비티엘(BTL)로직을 이용한 내부 프로세스 전송장치
본 발명은 이서넷 콘트롤러와 BTL 로직을 이용한 내부 프로세스 전송장치(IPC)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백플레인(Backplane)을 이요한 모듈 통신에 있어서, 분리된 장비간에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이서넷 통신으로 인한 불필요한 회로 소자의 낭비를 방지하는 동시에 이서넷 공유버스 상의 상태를 콘트롤 모듈에서 확인함으로써 전체 IPC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백플레인(Backplane)을 이용한 모듈간의 IPC를 위한 콘트롤 모듈은 도 1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서넷 콘트롤로서, 이서넷 특성 IEEE 802.3 규격에 부합하는 패킷의 전송 및 수신에 필요한 미디어 액세스 콘트롤(MAC) 레이어(LAYER)를 구현하는 NIC(2)와, 패킷 전송에 적합하도록 맨체스터 엔코딩/디코딩을 수행하는 ENDEC(3)과, 하나의 콘트롤보드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슬롯에서 오는 패킷들을 모아서 상기 NIC(2)에 연결시키는 RIC(4)와, 실제의 신호들을 10베이스 2에 적합한 신호를 변환하는 동축 송수신기(5)로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입,출력 모듈(슬레이브모듈)은 도 1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기능의 NIC(2), ENDEC(3), 동축 송수신기(5)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멀티슬롯(Mujlti slot)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하나의 콘트롤 모듈과 다수개의 입,출력 모듈간의 통신을 위하여 이서넷을 이용할때 가능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NIC(2)는 이서넷 콘트롤러로서, 이서넷 특성 IEEE 802.3과 부합하는 패킷의 전송 및 수신에 필요한 미디어 액세스 콘트롤 레이어(MAC layer)를 구현한다.
또한 ENDEC(3)은 패킷을 전송하기에 적합하도록 맨체스터 엔코딩/디코딩을 수행한다.
또한 RIC(4)는 하나의 콘트롤 모듈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슬롯에서 오는 이서넷 패킷들을 모아서 NIC(2)에 연결하다.
그리고 등축 송수신기(5)는 실제의 신호들을 10베이스 2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시킨다.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콘트롤 모듈의 요청이 있을때 각 입,출력 모듈에서 필요한 패킷을 보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이서넷 특성(IEEE 802.3)을 만족하면서 백플레인까지 10베이스 2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하게 RIC, ENDEC, 동축 송수신기 등을 연결구성시켜야 하기 때문에 회로 구성이 복합하여 시스템의 설치비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백플레인을 이용한 모듈통신에 있어서, 분리된 장비간에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이서넷 통신으로 인한 불필요한 회로소자의 낭비를 방지하는 동시에 이서넷 공유 버스상의 상태를 콘트롤 모듈에서 확인함으로써 전체 IPC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BTL 로직을 이용한 내부 프로세스 전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콘트롤 PLD로부터 콜리션(Collision)발생 인식신호 및 현재 다른 모듈이 전송중임을 알려주는 신호를 입력받아 시리얼 데이타를 BTL 송수신기 출력하는 NIC와, 상기 NIC로부터 시리얼 데이타를 입력 받아 백플레인(Backplane)에 공유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공유수신신호를 입력받는 BTL 송수신기와, 상기 NIC와 백플레인(Backplane)으로부터 패킷전송시 액티브 생성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NIC에 이서넷 버스상에 콜리션 발생인식신호 및 전송인지신호 출력하는 동시에 BTL 송수신기에 TTL 신호를 백플레인으로 보내는 콘트롤신호 및 TTL 신호로 변환하는 콘트롤신호를 출력하며, 백플레인(Backplane)에는 콜리션 발생인식신호, 이서넷 버스상에서 현재 다른 모듈이 전송중임을 알려주는 신호, TTL 신호를 백플레인(Backplane)으로 보내는 콘트롤신호, BTL 송수신기에서 백플레인 신호를 TTL 신호로 변환하는 콘트롤 신호를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 PLD로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백플레인을 이용한 모듈간의 아이피시(IPC)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가)는 콘트롤 모듈이고,
(나)는 입,출력 모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내부 프로세스 전송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동작설명을 위한 스테이트 머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콘트롤러(NIC)
20:비티엘(BTL) 송수신기
30:콘트롤 피엘디(PLD)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내부 프로세스 전송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롤 PLD(30)로부터 콜리션(Collision) 발생 인식신호(COL-C) 및 현재 다른 모듈이 전송중임을 알려주는 신호(CRS-C)를 입력받아 시리얼 데이타를 BTL 송수신기(20)에 출력하는 NIC(10)와, 상기 NIC(10)로부터 시리얼 데이타(RXD_C)를 입력 받아 백플레인(Backplane)에 공유 송신신호(TXDD)를 출력하는 동시에 공유수신신호(RXDD)를 입력받는 BTL 송수신기(20)와, 상기 NIC(10)와 백플레인(Backplane)으로 부터 패킷전송시 액티브 생성신호(TXE-C)를 입력받고 상기 NIC(10)에 이서넷 버스상에서 콜리션 발생인식신호(COL_C) 및 전송인지신호(CRS_C)를 출력하는 동시에 BTL 송수신기(20)에 TTL 신호를 백 플레인으로 보내는 콘트롤신호(OEA_C) 및 TTL 신호로 변환하는 콘트롤신호(OEB_C)를 출력하며, 백플레인(Backplane)에는 콜리션 발생인식신호(COL_S1~COL_Sn), 이서넷 버스상에서 현재 다른 모듈이 전송중임을 알려주는 신호(CRS_S1~CRS_SN), TTL신호를 백플레인(Backplane)으로 보내는 콘트롤신호(OEA_S1~OEA_Sn), BTL 송수신기에서 백플레인 신호를 TTL 신호로 변환하는 콘트롤 신호(OEB_S1~OEB Sn)를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 PLD(30)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각 신호들을 설명한다.
COL은 이서넷버스 상에서 콜리션(Collision)이 일어났음을 NIC(10)에서 알려주는 신호이고, CRS는 이서넷버스상에서 현재 다른 모듈이 전송중임을 알려주는 신호이고, TXE는 NIC(10)가 패킷 전송시에 액티브로 만드는 신호이며, TXD는 NIC(10)에서 나오는 시리얼 데이타이고, RXD는 NIC(10)가 수신하는 시리얼 데이타이다.
또한 OEA는 BTL 송수신기(20)의 콘트롤신호로 TTL 신호를 백플레인(Backplane)으로 보내는 콘트롤신호이고, OEB는 BTL 송수신기(20)에서 백플레인신호를 TTL 신호로 변환하는 콘트롤 신호이고, -C는 콘트롤 모듈에 관련된 것들을 의미하며, -Sn는 n번째 슬레이브 모듈에 관련된 신호임을 의미하고, TXDD는 공유 송신신호, RXDD는 공유 수신신호이다.
도 2에서 콘트롤 PLD(30)는 콘트롤 모듈과 각 슬레이브모듈(입,출력모듈)의 TXE신호를 감지하여 내부의 클럭에 동기에 맞추어서 TXE 신호에 따른 스테이트머신(State Machine)을 동작시킨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에 각 TXE 신호들이 인액티브(Inactive)일때 아이들상태(IDLE state)에 있으면서 CRS 신호를 인액티브(Inactive)로 하여 각 NIC(10)로 보낸다.
또한 초기상태에서 각 OEA,신호는 액티브(active)로 하여 버퍼를 개방시킨다.
이때 COL 신호는 인액티브(Inactive)로 한다.
여기서 한가지 중요한 점은 모듈간의 IPC 형태에 있어서, IPC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콘트롤 모듈의 요청에 의하여 슬레이브 모듈의 응답이 오는 것이다.
물론 슬레이브 모듈자체의 문제 발생시 콘트롤 모듈로 트랩(Trap)을 거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그 발생빈도가 작다고 볼 수 있다.
만일 콘트롤 모듈 또는 슬레이브 모듈 중의 어느 하나(m번재로 가정)의 TXE신호가 액티브상태로 되면 스테이트 머신(State machine)은 USED상태가 되고,신호를 액티브(active)로 만들어서 TXE 신호가 액티브(active)인 모듈에 대해서만 BTL 송수신기(20)의 버퍼를 개방시키고 나머지는 폐쇄시킨다.
그리고 m번째를 제외한 나머지 모듈에 대하여는 CRS 신호는 액티브(active)로 만들어서 이서넷 버스를 이미 다른 모듈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린다.
USED 상태를 만들었던 모듈이 원하는 패킷 전송이 끝나면 TXE 신호를 인액티브(Inactive)로 만들어, 스테이트머신(State machine)은 다시 아이들(IDLE)상태로 오게 된다.
한편 아이들(IDLE) 상태에 있다가 2개 이상의 TXE 신호가 동시에 액티브(active)가 될때 콜리션 스테이트(COLLISION State)가 되면서 모든신호를 인액티브(Inactive)로 만들고 모든 모듈의 CRS 신호를 액티브(active)로 만든다.
또한 모든 COL신호로 액티브(active)로 만든다.
그러면 이서넷 IEEE 802.3의 규약에 의해서 NIC(10)는 TXE 신호를 인액티브(Inactive)로 만든다.
스테이트 머신(State machine)은 아이들(IDLE)상태가 되고 모든 NIC(10)은 랜덤한 시간 후에 재전송을 실시한다.
그 이후는 처음 스테이트 머신(state machine)의 아이들 상태(초기상태)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시스템에서 각 모듈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이서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경우에 불필요한 상용 I.C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시스템 가격을 저렴화할 수 있는 동시에 이서넷 공유 버스상의 상태를 콘트롤 모듈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어서, 전체 IPC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콘트롤 PLD로부터 콜리션(Collision)발생 인식신호 및 현재 다른 모듈이 전송중임을 알려주는 신호를 입력받아 시리얼 데이타를 BTL 송수신기에 출력하는 NIC와, 상기 NIC로부터 시리얼 데이타를 입력받아 백플레인(BACKPLANE)에 공유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공유 수신신호를 입력받는 BTL 송수신기와,
    상기 NIC와 백플레인(Backplane)으로부터 패킷 전송시 액티브 생성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NIC에 이서넷 버스상에서 콜리션 발생인식신호 및 전송인지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BTL 송수신기에 TTL 신호를 백플레인으로 보내는 콘트롤 신호 및 TTL 신호로 변환하는 콘트롤신호를 출력하며, 백플레인(Backplane)에는 콜리션 발생인식신호, 이서넷 버스상에서 현재 다른 모듈이 전송중임을 알려주는 신호, TTL 신호를 백플레인(Backplane)으로 보내는 콘트롤신호, BTL 송수신기에서 백플레인 신호를 TTL 신호로 변환하는 콘트롤신호를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 PL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티엘(BTL)로직을 이용한 내부 프로세스 전송장치.
KR1019960061900A 1996-12-05 1996-12-05 비티엘로직을 이용한 내부 프로세스 전송장치 KR0184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900A KR0184194B1 (ko) 1996-12-05 1996-12-05 비티엘로직을 이용한 내부 프로세스 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900A KR0184194B1 (ko) 1996-12-05 1996-12-05 비티엘로직을 이용한 내부 프로세스 전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919A true KR19980043919A (ko) 1998-09-05
KR0184194B1 KR0184194B1 (ko) 1999-05-15

Family

ID=1948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900A KR0184194B1 (ko) 1996-12-05 1996-12-05 비티엘로직을 이용한 내부 프로세스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41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4194B1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9026A (en) Multi-port network interface
US49186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computer work stations
US6192422B1 (en) Repeater with flow control device transmitting congestion indication data from output port buffer to associated network node upon port input buffer crossing threshold level
EP0753950B1 (en) Adaptive repeater system
EP0422914B1 (en) Station-to-station full duplex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96990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a 10/100/1G/10G base-T PHY device for single channel and shared channel networks
US7991017B2 (en)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US6347345B1 (en) Information transfer apparatus having control unit with BTL transceiver applying transmission enable signal inputted from ethernet processor module through backplane to control unit
US6519229B1 (en) Transmission path interface apparatus
US5267238A (en) Network interface units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network interface unit
US6111890A (en) Gigabuffer lite repeater scheme
WO2013166673A1 (en) Full-duplex ethernet communications over coaxial links using time-division duplexing
US5734675A (en) Receiver sharing for demand priority access method repeaters
JP2009512345A (ja) 衝突型データネットワークのキャパシティーを増大させるシステムと方法
US74065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input instrumentation buses
JPS5829244A (ja) デ−タ通信方式
US202100444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ouble message arbitration
KR0184194B1 (ko) 비티엘로직을 이용한 내부 프로세스 전송장치
EP1361777B1 (en) A synchronous communication protocol for asynchronous devices
RU2423007C1 (ru) Детерминированная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KR100334417B1 (ko) 점대점 구조를 갖는 백 플랜 시스템
JP4897393B2 (ja) データ伝送装置
US20030058841A1 (en) Anti-offline device adapted to be used in home PNA compliant network system and the data packet transmission method thereof
JPS60254943A (ja) バス型lanシステムにおけるデ−タ伝送方式
WO1994009581A1 (en) Full duplex ether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