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3855U - 천정기중기용 통키(Tong Key)의 작동상태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천정기중기용 통키(Tong Key)의 작동상태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3855U
KR19980043855U KR2019960056978U KR19960056978U KR19980043855U KR 19980043855 U KR19980043855 U KR 19980043855U KR 2019960056978 U KR2019960056978 U KR 2019960056978U KR 19960056978 U KR19960056978 U KR 19960056978U KR 19980043855 U KR19980043855 U KR 199800438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ong
reference point
overhead crane
oper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6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99442Y1 (ko
Inventor
신재훈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60056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442Y1/ko
Publication of KR199800438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8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4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기중기에 설치되어 운반물은 찝는 장치인 통(Tong) 설비의 오픈 및 클로스용 키의 잠김 또는 해제 여부를 천정기중기의 운전실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한 통키의 작동상태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의 상부에 통키의 잠김 및 해제 동작시 상하로 움직이는 기준점과 이 기준점을 밀어올리는 스토퍼와, 상기 기준점의 어느 일부분을 지칭하는 기준봉으로 구성함에 따라, 통키의 잠김 및 해제 동작시의 싯점을 기준점과 기준봉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천정기중기용 통키(Tong Key)의 작동상태 확인장치
본 고안은 천정기중기용 통키(Tong Key) 설비의 오픈 및 클로스용 키의 잠김 또는 해제 여부를 천정기중기의 운전실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한 통키의 작동상태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Tong) 설비는 천정기중기의 권상용 와이어드럼에 수가닥의 와이어로프로 연결되어 지상의 슬라브 및 기타 고하중의 철강제품을 찝어 운반하는 장치이다.
통은 제품을 찝고 놓을 시 오픈·클로스(open close)를 해야 하는데 오픈클로스는 통키(Tong Key)가 키홈에 잠김 및 해제됨으로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키의 해제 상태 즉, 통 클로스는 운반하기 위한 부하물에 통(Tong)을 권하하여 올려놓고 통키가 키홀 내부에서 자동회전될 때까지 권하하면 키홀에서 키가 잠긴 것이 해제되고, 이때 다시 통을 권상하면 키가 키홀에서 빠지면서 통이 클로스 되어 주편을 찝게 된다.
키의 잠김상태 즉, 통 오픈 통은 권하하여 키홀에서 빠져나온 키가 키홀에 삽입될 때까지 권하하면, 키가 키홀 내부에 회전하면서 키홀에 잠기게 되어 이때 통을 다시 권상하면 통은 오픈된다.
통에 오픈·클로스 작업을 수행해온 종래의 방식은 통키 잠김 해제 작동시 키가 통(Tong)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상부의 천정기중기 운전실에서 하부로 내려다 본 상태에서 작업함으로 인해 키의 확인이 불가능하여 얼마만큼 권하하여야 통키가 작동되고 해제되는지의 표준이 없었다.
또한, 키를 잠김 및 해제시키는 과정에서 통(Tong)을 권하시킬 경우 통에 충격이 전달되어 균열이 원인이 되고, 또한 와이어로프가 텐션(Tension)을 잃게 되어 통을 권상할 때 쉬이브(Sheave)홈 밖으로 와이어로프가 이탈되어 쉬이브와 통 구조물 사이에 끼이게 되면서 와이어로프의 정상 복구시 꼬임 또는 비틀림이 발생되어 수명이 저하되고 복구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통키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천정기중기 운전자가 통키의 잠김 또는 해제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천정기중기용 통키의 작동상태 확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의 상부에 통키의 잠김 및 해제 동작시 상하로 움직이는 기준점과 이 기준점을 상부로 밀어올리는 스토퍼와, 상기 기준점의 어느 일부분을 지칭하는 기준봉으로 구성함에 따라, 통키의 잠김 및 해제 동작시의 싯점을 기준점과 기준봉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통키의 작동상태 확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가)(나)는 상기 통키의 작동상태와 해재상태를 각각 나타낸 통의 정면구성도,
도 3 (가)(나)는 상기 통키의 작동상태와 해재상태를 각각 나타낸 통의 측면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통(Tong)11 : 상부빔
12 : 하부빔13 : 키
14 : 키홀15 : 와이어로프
20 : 작동바21 : 기준점
22 : 사각관체30 : 하부스토퍼
31 : 파이프32 : 세트볼트
40 : 지시봉
이하, 본 고안의 천정기중기용 통키의 작동상태 확인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통키의 작동상태 확인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및 도 3 은 상기 통키의 잠김상태와 해재상태를 각각 나타낸 정면 및 측면구성도로서, 와이어로프(15)의 작용에 의해 권상 및 권하되는 통(10)의 상부빔(11)을 관통하여 상단에 기준점(21)을 구비한 작동바(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바(20)는 사각형상으로 상부빔(11)에 부착한 사각관체(22)에 승강가능하게 안내되며, 작동바(20)의 하단은 통(10)의 하부빔(12)에 설치한 하부스토퍼(30)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하부스토퍼(30)는 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직경이 다른 2개의 파이프(31)가 결합되어 세트볼트(32)로 고정되며, 작동바(20)가 설치된 상부빔(11)의 일측에는 기준점(21)의 일부분을 지지치하는 지시봉(4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천정기중기 운전자가 통(Tong)에 찝힌 주편(100)을 오픈하고자 할 때 통(10)을 권하하여 주편(100)이 지상에 닿은 상태에서 일단 정지한 후 다시 권하를 함에 따라 통이 오픈되면서 상부빔(11)에 형성된 키가 하부빔(12)의 키홀(14)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권하를 정지하면, 키(13)가 키홀(14)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키홀(14)내부에 잠기고 다시 권상하면 통은 오픈되어 권상된다.
상기 통키의 잠김 및 해제 동작시 통이 오픈되면서 하부빔(12)의 일측에 설치된 하부스토퍼(30)가 작동바(20)을 밀어올리면, 이 작동바(20)와 연결된 기준점(21)은 위로 상승되고 그 일측의 지시봉(40)은 기준점(21)의 숫자 40→30→20→10→0㎝을 순차적으로 가르키며 기준봉(8)이 0으로 표시된 기준선과 일치됨과 동시에 통키(B)는 키홀(14)에 잠긴다.
이 동작을 천정기중기 운전실에서 확인하고 권하를 정지시키면, 통키(B)가 키홈(14)에 잠김으로 과권하되지 않은 상태에서 키(B)를 잠기게 할 수 있다.
또한 통키(B)가 키홈(14)에 잠기기 40㎝ 전부터 기준점(21)이 상승되기 시작하므로 천정기중기 운전실에서 통키(B)가 몇 ㎝ 더 권하되어야 키홀(14)에 잠기고 해제되는가를 감지할 수가 있다.
오픈된 통(10)에 주편(100)을 찝을 때에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작업을 수행하면 되고, 1~3매의 어떤 매수의 주편을 오픈·클로스하든지 기준점 작동은 상기와같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연 고소의 천정기중기 운전실에서 운전자가 통키의 잠김 및 해제작동시점을 기준점과 지시봉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통키의 작용으로 쉬이브 홈으로부터의 와이어로프의 이탈방지 및 통 설비에 충격전달방지로 설비사고가 방지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등 실용상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와이어로프(15)의 작용에 의해 권상 및 권하되는 통(10)의 상부빔(11)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단에 기준점(21)을 구비한 작동바(20)와,
    상기 작동바(20)를 승강안내되게 지지하는 상부빔(11)에 부착한 사각관체(22)와,
    상기, 작동바(20)의 하단은 통(10)의 하부빔(12)에 설치한 하부스토퍼(30)와.
    작동바(20)가 설치된 상부빔(11)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준점(21)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지시봉(40)을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기중기용 통키(Tong Key)의 작동상태 확인장치.
KR2019960056978U 1996-12-26 1996-12-26 천정기중기용 통키의 작동상태 확인장치 KR200199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978U KR200199442Y1 (ko) 1996-12-26 1996-12-26 천정기중기용 통키의 작동상태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978U KR200199442Y1 (ko) 1996-12-26 1996-12-26 천정기중기용 통키의 작동상태 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855U true KR19980043855U (ko) 1998-09-25
KR200199442Y1 KR200199442Y1 (ko) 2000-11-01

Family

ID=19483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6978U KR200199442Y1 (ko) 1996-12-26 1996-12-26 천정기중기용 통키의 작동상태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4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3337A (zh) * 2015-04-16 2015-07-29 山东电力建设第二工程公司 离合器快速排气装置及排气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3337A (zh) * 2015-04-16 2015-07-29 山东电力建设第二工程公司 离合器快速排气装置及排气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442Y1 (ko) 200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6207A (en) Casing stabbing apparatus
US2711803A (en) Folding lifting booms
US4423697A (en) Device for locking chain, wire, cable, or the like to a stationary structure, particularly a boat deck
US3307871A (en) Toggle device for lifting heavy objects
US6375242B1 (en) Load clipping device for crane
CN103863972B (zh) 叉车吊装工具及其吊装方法
KR200199442Y1 (ko) 천정기중기용 통키의 작동상태 확인장치
US4280628A (en) Anti-two block system
EP0661232A1 (en) A lifting device
US5152567A (en) Safety release hoisting shackle
EP3424864B1 (en) Release mechanism
CN100430560C (zh) 井盖启闭装置
EP0160021B1 (en) A device for lifting and handling objects
US5820186A (en) Apparatus for lifting pipes and other objects
WO2010085155A1 (en) Automatic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of load
CN211691536U (zh) 一种清水混凝土外墙挂板简易提升机构
CN114396057A (zh) 用于栈桥下高跨度基坑内支撑的静力切割施工方法
KR102099320B1 (ko) 해머안전장치를 가진 항타장치
KR200310041Y1 (ko) 맨홀뚜껑 개폐장치
CN211851705U (zh) 一种液压吊卡夹紧辅助装置
CN220564115U (zh) 一种半圆板吊具
CN220393060U (zh) 一种大直径灌注桩超重钢筋笼吊装固定平台
CN219259318U (zh) 一种起重机用吊具
KR100784425B1 (ko) 크레인 주권후크의 자동잠김 및 잠김확인장치
CN218843094U (zh) 一种内涨式起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