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805U - 자동차용 컵 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805U
KR19980041805U KR2019960054898U KR19960054898U KR19980041805U KR 19980041805 U KR19980041805 U KR 19980041805U KR 2019960054898 U KR2019960054898 U KR 2019960054898U KR 19960054898 U KR19960054898 U KR 19960054898U KR 19980041805 U KR19980041805 U KR 199800418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locker
locking hole
coupled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48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길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48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1805U/ko
Publication of KR199800418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80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콘솔 박스(105)에 형성된 수납홀(120)과, 상기 수납홀(120)에 소정의 길이만큼 출입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컵 홀더(110) 및 상기 컵 홀더(110)에 결합된 컵 홀더 지지부(115)와, 상기 컵 홀더(110)와 컵 홀더 지지부(115)에 형성된 제 1 락킹홀(125)과, 상기 제 1 락킹홀(125)에 결합 및 해제되도록 설치된 락커(130)와, 상기 락커(130)에 형성된 제 2 락킹홀(135)과, 상기 락커(130)의 제 2 락킹홀(135)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스위치(140)로 이루어짐으로써, 자동차의 컵 홀더(11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콘솔 박스(105)에 내장시켜 부피를 점유하지 않고 사용시에만 꺼내어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자동차 실내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컵 홀더.

Description

자동차용 컵 홀더
본 고안은 자동차용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동차의 컵 홀더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콘솔 박스에 내장시켜 부피를 점유하지 않고 사용시에만 꺼내어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컵 홀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된 콘솔 박스(105) 표면에 컵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부로서 하단으로 움푹파여 만들어진 컵 홀더(110)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컵 홀더(110)는 정차중 또는 주행중 운전자 및 승차원이 음료수 등을 마실 경우 상기 콘솔 박스(105)에 형성된 컵 홀더(110)에 컵을 안착시켜 지지시켜 놓음으로서 안전하게 음료수 등을 마실 수 있도록 도모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자동차용 컵 홀더는 컵이 안착되어 있을 때나 안착되어 있지 않을 때나 항상 소정의 공간부를 차지하게 됨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공간 활용성을 저하시키고 기타 동전 박스나 사물함을 위한 공간을 따로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한정된 자동차 실내의 공간 활용성을 더욱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엇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의 컵 홀더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콘솔 박스에 내장시켜 부피를 점유하지 않고 사용시에만 꺼내어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컵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컵 홀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컵 홀더가 내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컵 홀더의 단면으로서 그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5 : 콘솔 박스110 : 컵 홀더
115 : 컵 홀더 지지부120 : 수납홀
125 : 제 1 락킹홀130 : 락커
135 : 제 2 락킹홀140 : 스위치
145 : 힌지150 : 경사면
155 : 스프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컵 홀더는,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콘솔 박스 외측에 차체 바닥면을 향하여 소정의 공간부로 길게 형성된 수납홀과, 상기 수납홀에 소정의 길이만큼 출입이 가능하게 결합된 컵 홀더 및 상기 컵 홀더와 힌지 결합된 컵 홀더 지지부와, 상기 컵 홀더와 컵 홀더 지지부에 형성된 각각의 제 1 락킹홀과, 상기 각각의 제 1 락킹홀에 일단이 결합 및 해제되도록 수납홀과 직각의 방향으로 설치된 락커와, 상기 락커의 중앙부분에 소정의 길이로 일측이 경사져 형성된 제 2 락킹홀과, 상기 락커와 직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2 락킹홀에 삽입 및 해제될 수 있도록 하고 일면이 상기 제 2 락킹홀의 경사면과 대응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락커는 그 다른 끝단에 스위치를 제 2 락킹홀에서 해제시 그 락커가 컵 홀더 및 컵 홀더 지지부에 형성된 제 1 락킹홀에 탄성력에 의해 삽입되도록 스프링을 더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컵 홀더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고 명확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컵 홀더가 내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컵 홀더(110)의 내장 위치는 종래 컵 홀더 영역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종래 컵 홀더 영역은 동전 박스나 기타의 사물함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외측 즉, 콘솔 박스(105) 외측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내장된 컵 홀더(110)를 형성함으로서 운전자 및 승차원이 원할 경우 상기 컵 홀더(110)를 잡아 당겨서 사용할 수 있도록 도모한 것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A-A'선을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컵 홀더의 내장 상태 및 컵 홀더로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 즉, 콘솔 박스(105) 외측에 차체 바닥면을 향하여 길다랗게 소정의 공간부로 형성된 수납홀(120)이 위치되어 있고, 상기 수납홀(120)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출입이 가능한 판 형태의 컵 홀더(110) 및 상기 컵 홀더(110)의 끝부분에 힌지(145) 결합된 컵 홀더 지지부(115)가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컵 홀더(110)에는 물론 컵이 안착될 수 있도록 둥근 형태의 공간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컵 홀더(110) 끝단에 힌지(145)가 결합된 컵 홀더 지지부(115)에서 상기 컵 홀더(110)가 약 90°정도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145)를 형성하였다.
한편 상기 컵 홀더(110)와 컵 홀더 지지부(115)에는 각각 제 1 락킹홀(1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제 1 락킹홀(125)에는 일단이 결합되거나 또는 해제되는 락커(130)가 상기 수납홀(120)의 긴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고, 역시 상기 락커(130)의 중앙 부분에도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경사진 제 2 락킹홀(13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락킹홀(125)에도 경사면(1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락킹홀(125)에 결합 및 해제되는 락커(130)에도 그 경사면(150)과 대응되는 경사면(150)이 형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락커(130)의 제 2 락킹홀(135)에 삽입 및 해제되며 끝단이 상기 제 2 락킹홀(135)의 경사면(150)과 대응되어 형성된 스위치(140)가 상기 락커(130)와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락커(130)에 형성된 제 2 락킹홀(135) 내부 면적은 상기 스위치(14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락커(130)는 그 다른 끝단에 상기 스위치(140)가 제 2 락킹홀(135)에서 해제될 때 그 락커(130)가 컵 홀더(110) 및 컵 홀더 지지부(115)에 형성된 제 1 락킹홀(125)에 자동적으로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컵 홀더(11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컵 홀더(110) 및 컵 홀더 지지부(115)가 콘솔 박스(105)의 수납홀(120)에 내장되어 있을 때는 상기 스위치(140)는 해제되어 있는 상태이고 따라서 상기 컵 홀더(110)에 형성된 제 1 락킹홀(125)에는 락커(130)가 삽입되어 있지만 일면이 경사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컵 홀더(110)를 잡아서 윗방향으로 올렸을 경우 부드럽게 상기 컵 홀더(110) 및 컵 홀더 지지부(115)가 따라서 올라간다. 그리고 곧 상기 컵 홀더 지지부(115)에 상기 락커(130)가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는 컵 홀더(110)를 약 90°정도 컵 홀더 지지부(115)에서 회전시켜 컵 홀더(110)를 사용하게 되며 이때 상기 컵 홀더 지지부(115)에 형성된 제 1 락킹홀(125)과 락커(130)가 상기 컵 홀더(110)가 하단으로 쳐지지 않도록 지지 및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컵 홀더(1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컵 홀더(110)를 다시 원래의 상태로 회전시켜 위치시키고 스위치(140)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컵 홀더(110)를 하단으로 밀게 되면 상기 스위치(140)에 형성된 경사면(150) 및 락커(130)의 제 2 락킹홀(135)에 형성된 경사면(150)이 대응되어 밀림으로써 락커(130)가 스프링(155)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어서 상기 컵 홀더 지지부(115)에 형성된 제 1 락킹홀(125)에서 상기 락커(130)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컵 홀더(110) 및 컵 홀더 지지부(115)가 완전히 수납홀(120)에 내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컵 홀더(110)의 작동이 완료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비록 이상에서와 같은 실시예들에 한하여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에서 벗어남 없이 여러 가지의 변형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콘솔 박스에 차체 바닥면을 향하여 소정의 공간부로 길게 형성된 수납홀과, 상기 수납홀에 소정의 길이만큼 출입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컵 홀더 및 상기 컵 홀더와 힌지 결합된 컵 홀더 지지부와, 상기 컵 홀더와 컵 홀더 지지부에 형성된 각각의 제 1 락킹홀과, 상기 각각의 제 1 락킹홀에 일단이 결합 및 해제되도록 수납홀과 직각의 방향으로 설치된 락커와, 상기 락커의 중앙 부분에 소정의 길이로 일측이 경사져 형성된 제 2 락킹홀과, 상기 락커와 직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2 락킹홀에 삽입 및 해제될 수 있도록 하고 일면이 상기 제 2 락킹홀의 경사면과 대응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스위치로 이루어짐으로써, 자동차의 컵 홀더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콘솔 박스에 내장시켜 부피를 점유하지 않고 사용시에만 꺼내어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컵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콘솔 박스(105) 외측에 차체 바닥면을 향하여 소정의 공간부로 길게 형성된 수납홀(120)과, 상기 수납홀(120)에 소정의 길이만큼 출입이 가능하게 결합된 컵 홀더(110) 및 상기 컵 홀더(110)와 힌지(145) 결합된 컵 홀더 지지부(115)와, 상기 컵 홀더(110)와 컵 홀더 지지부(115)에 형성된 각각의 제 1 락킹홀(125)과, 상기 각각의 제 1 락킹홀(125)에 일단이 결합 및 해제되도록 수납홀(120)과 직각의 방향으로 설치된 락커(130)와, 상기 락커(130)의 중앙부분에 소정의 길이로 일측이 경사져 형성된 제 2 락킹홀(135)과, 상기 락커(130)와 직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2 락킹홀(135)에 삽입 및 해제될 수 있도록 하고 일면이 상기 제 2 락킹홀(135)의 경사면(150)과 대응된 경사면(150)을 갖도록 형성된 스위치(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커(130)는 그 다른 끝단에 스위치(140)를 제 2 락킹홀(135)에서 해제시 그 락커(130)가 컵 홀더(110) 및 컵 홀더 지지부(115)에 형성된 제 1 락킹홀(125)에 자동적으로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5)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KR2019960054898U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컵 홀더 KR199800418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898U KR19980041805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898U KR19980041805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컵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805U true KR19980041805U (ko) 1998-09-25

Family

ID=5399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4898U KR19980041805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180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235B1 (ko) 음료 용기용 홀더
KR19980041805U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0131035Y1 (ko) 자동차의 컵홀더
KR0117963Y1 (ko) 컵홀더를 갖춘 자동차의 콘솔박스
JP3622831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KR200152927Y1 (ko) 자동차의 접이식 컵홀더구조
KR100330900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0137683Y1 (ko) 차량용 컵 홀더
KR200197395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9980066759U (ko) 자동차의 티슈통 홀더
KR0136709Y1 (ko) 자동차용 음료수 용기 홀더
KR0118848Y1 (ko) 자동차의 다용도 콘솔 박스
KR0175099B1 (ko) 컵홀더 기능을 갖는 수납구
KR0116322Y1 (ko) 콘솔박스에서의 컵홀더구조
KR0132242Y1 (ko) 컵받이가 내장된 자동차용 글러브박스
KR200161270Y1 (ko) 컵 홀더를 설치한 콘솔
KR19980036413U (ko) 차량용 컵 홀더
KR19980013302U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9980042235U (ko) 자동차의 컵 홀더
KR19980013632U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9980056496A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9980018347U (ko) 차량용 콘솔박스
KR19980034720U (ko) 자동차의 콘솔 리드
KR19990026897U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KR19980056631A (ko) 자동차의 콘솔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