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507A - 하수 및 폐수 중의 생물학적 질소와 인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하수 및 폐수 중의 생물학적 질소와 인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507A
KR19980041507A KR1019960060810A KR19960060810A KR19980041507A KR 19980041507 A KR19980041507 A KR 19980041507A KR 1019960060810 A KR1019960060810 A KR 1019960060810A KR 19960060810 A KR19960060810 A KR 19960060810A KR 19980041507 A KR19980041507 A KR 19980041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us
tank
sewage
nitrogen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5251B1 (ko
Inventor
이용희
정금희
정용대
박종복
Original Assignee
안덕기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덕기,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덕기
Priority to KR101996006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5251B1/ko
Publication of KR19980041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5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denit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하폐수처리가 가지고 있었던 질소 및 인의 생물학적 처리한계 즉, 질소의 경우 50∼70%에 불과했던 질소제거효율을 95% 이상으로 높이고, 질소처리와 병행하여 인을 고효율로 처리할 수 있어 하수 및 폐수의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Description

하수 및 폐수 중의 생물학적 질소와 인 제거방법
현재 국내외의 하수 및 폐수처리방법으로 널리 채택되고 있는 공정은 처리대상 하폐수를 혐기/무산소조에 유입시키고, 혐기/무산소조에서 탈질단계를 거친 폐수를 포기조에서 포기하고, 침전조를 거친 후 슬러지를 최초의 혐기/무산소조로 반송하는 단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존 하폐수 처리공정만으로는 하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다량의 질소 및 인을 처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하폐수처리공정이 가지고 있었던 질소 및 인의 처리한계 즉, 질소의 경우 50∼70%에 불과했던 질소제거효율을 95% 이상으로 높이고, 인 제거효율도 92% 이상으로 높임으로써 하수 및 폐수의 효율적인 처리를 가능하게 하며, 외부탄소원으로 메탄올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반응시간을 줄임으로써 초기 건설투자비를 현저히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 및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 및 방법을 기존 하폐수처리공정과 연계하여 실시하는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 또는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에 관한 것이다. 좀더 자세히는 하수 또는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 및 인을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하수 및 폐수 중의 질소는 대부분 암모니아성 질소로 존재하는데, 이 암모니아성 질소는 질소제거공정 중 질산화 반응조로부터 질산화를 거쳐 질산성 질소로 전환되고, 전환된 질산성 질소 중 50∼60% 정도는 기존의 탈질공정 중 첫단의 무산소조에서 제거된다. 인 제거방법은 혐기성 조와 호기성 반응조를 이용하며, 동시에 질소제거가 가능하도록 하여도 질소와 인은 처리되지 못한 채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하폐수 처리공정을 통하여 처리되지 못한 질소 및 인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려는 것이다.
기존 탈질공정을 거쳐 본 발명의 장치로 유입되는 질산성 질소는 먼저 무산소조를 거치면서 질소가스로 전환되고 전환된 질소가스는 무산소조나 포기조를 거치면서 슬러지로부터 이탈되어 공기 중으로 확산된다.
또한, 하수 및 폐수 중에 존재하는 인은 기존의 하폐수 처리방법인 탈질공정을 거치는 동안에는 거의 처리되지 않았다. 그리하여, 혐기조와 포기조를 이용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인의 제거가 가능하다. 좀더 자세히는 혐기조 내에서 미생물이 아세테이트를 섭취하여 PHB(poly-β-hydroxybutyrates) 또는 PHA(polyhydroxyalkanoates)와 같은 저장물질을 형성하는데, 이 과정에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어 ATP나 폴리인산(poly phosphate) 상에 존재하는 인을 방출함으로써 에너지를 얻는다. 이렇게 미생물 내에 저장된 저장물질과 방출된 인은 포기조를 거치면서 질산성 질소나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이용해 일부 저장물질이 생물학적으로 산화됨과 동시에 이 과정에 필요한 인을 흡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미생물은 액상 중에 존재하는 인을 과잉섭취하게 되어 처리하고자 하는 하수 및 폐수 내의 인은 제거된다.
본 발명은 기존 하폐수처리공정에 본 발명의 방법을 추가하여 재처리함으로써 법에 규정된 배출기준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하여 기존 탈질공정에 추가되는 공정 및 장치는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장치는 혐기조; 무산소조; 포기조; 및 침전조로 구성된다. 혐기조와 무산소조에 적절한 인의 방출과 탈질을 위하여 아세테이트 주입량을 실험을 거쳐 결정한 후, 기존 공정에 의한 처리수를 본 공정의 무산소조로 유입하고 그 후 포기조를 거쳐 침전조로 이송되며, 침전조에서 반송슬러지를 무산소조 전단의 혐기조로 유입하며, 무산소조와 혐기조에는 상기와 같이 결정된 적정량의 아세테이트를 주입함으로써 탈질 95%, 탈인 92%라는 높은 제거효율을 얻었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추가공정에 있어서 기존 공정에서 배출되는 유출수(1)는 탈질조인 무산소조(4)로 유입되어 아세테이트를 외부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탈질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 때 필요한 유입 아세테이트의 양은 기존 공정 처리수의 질산성 질소를 연속측정(15)함으로써 결정되며, 이와 같이 결정된 최적량의 아세테이트를 주입함(14)으로써 탈질효율 및 에너지효율을 높였다.
무산소조 단계 이후의 산소조에서는 슬러지에 결합되어 있는 질소가스를 스트리핑(stripping)하여 공기 중으로 이탈시키게 된다.
침전조(8)를 거친 슬러지는 무산소조 전단에 위치한 혐기조(2)로 반송된다. 혐기조에서는 미생물이 외부 탄소원인 아세테이트를 섭취하여 저장물질(PHB, PHA)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ATP나 폴리인산에 포함되어 있는 인을 방출시켜 에너지를 얻게 되므로 인의 방출이 일어나게 된다. 이 혐기조에서도 무산소조에서의 외부 아세테이트 주입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적정량의 아세테이트를 주입하여 인방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방출된 인은 무산소조(4)와 포기조(6)를 거치면서 질산성 질소나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이용해 일부 저장물질이 생물학적으로 산화됨과 동시에 이 과정에 필요한 인을 흡수하게 된다. 무산소조 다음의 포기조에서 미생물 내에 남아 있는 저장물질은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하여 산화될 때 그 결과로 ATP나 폴리인산의 형태로 잠재에너지를 합성하게 되는데, 이 때 미생물은 액상 중에 존재하는 인을 과잉섭취하게 되어 처리하고자 하는 하수 및 폐수 내의 인은 제거된다.
기존 하폐수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를 본 발명 장치의 첫단인 혐기조에 유입시키는 경우에는 질산에 의하여 혐기조에서의 인방출이 저해되므로 기존공정 처리수는 무산소조로 유입시켰다.
실시예
용인시 하수종말처리장에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유입하수는 1일에 10톤의 규모로 유입수질은 총질소 70mg/l, 총인 8mg/l이었으며,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여 처리하였을 때 총질소 2mg/l, 총인 0.5mg/l 이하의 측정치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때 혐기조와 무산소조 체류시간은 각각 20분으로 하였으며, 산소조 체류시간은 60분으로 하였다. 질산성 질소 1mg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적정 아세테이트의 양은 4mg이었으며, 인 1mg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적정 아세테이트의 양은 2.5mg이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단일 탈질공정에서의 처리한계 즉, 50∼70%에 불과했던 질소제거효율을 95% 이상으로 높이며, 기존 공정에서 불가능했던 인의 제거를 가능케 함으로써 하수 및 폐수의 효율적인 처리를 가능하게 하며, 외부탄소원으로 메탄올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아세테이트를 외부탄소원으로 이용함으로써 반응시간을 줄이고 초기 건설투자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단선적인 탈질공정이 낮은 질소의 처리효율을 나타내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동시에 하폐수 중의 인을 처리하고자 기존 하폐수처리방법인 탈질공정에 본 발명의 방법을 추가함으로써 하수 및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Claims (6)

  1. 기존 하폐수처리공정에 무산소조 공정; 포기조 공정; 침전조 공정; 슬러지 반송공정; 혐기조 공정; 무산소조 공정; 포기조 공정; 침전조 공정을 부가하는 하수 및 폐수 중의 질소와 인의 생물학적 제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둔 무산소조 공정 및 혐기조 공정에는 외부 탄소원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폐수 중의 질소와 인의 생물학적 제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탄소원으로 아세테이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폐수 중의 질소와 인의 생물학적 제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테이트의 최적 투입량은 질산성 질소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폐수 중의 질소와 인의 생물학적 제거방법.
  5. 인방출을 위한 혐기조; 탈질반응을 위한 무산소조; 포기조; 침전조; 슬러지 반송라인으로 구성된 하수 및 폐수 중의 질소와 인의 생물학적 제거장치.
  6. 기존 하폐수처리장치 후단에 제 5항의 상기 제거장치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폐수 중의 질소와 인의 생물학적 제거방법.
KR1019960060810A 1996-11-30 1996-11-30 하수 및 폐수 중의 생물학적 질소와 인 제거방법 KR100235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810A KR100235251B1 (ko) 1996-11-30 1996-11-30 하수 및 폐수 중의 생물학적 질소와 인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810A KR100235251B1 (ko) 1996-11-30 1996-11-30 하수 및 폐수 중의 생물학적 질소와 인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507A true KR19980041507A (ko) 1998-08-17
KR100235251B1 KR100235251B1 (ko) 1999-12-15

Family

ID=1948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810A KR100235251B1 (ko) 1996-11-30 1996-11-30 하수 및 폐수 중의 생물학적 질소와 인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52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009B1 (ko) * 2000-06-10 2003-07-12 장덕 기존공정의 처리수로부터 질소와 인을 추가로 제거하기위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413B1 (ko) * 1999-07-03 2003-03-08 주식회사 제오텍 외부 유기 탄소원을 이용한 하수의 질소, 인 제거방법
KR101264414B1 (ko) 2012-09-26 2013-05-14 김규태 인 축적 미생물을 이용한 총인 및 총질소의 제거를 위한 하폐수의 처리 방법
CN106006975B (zh) * 2016-07-29 2019-04-23 扬州市洁源排水有限公司 内部碳源优化利用的aao污水处理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039B1 (ko) * 1992-12-09 1995-07-24 삼성종합건설주식회사 유기성 하·폐수의 생물학적 질소·인 제거방법
JP3385063B2 (ja) * 1993-04-13 2003-03-10 株式会社荏原総合研究所 窒素・リン含有有機性排水の処理方法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009B1 (ko) * 2000-06-10 2003-07-12 장덕 기존공정의 처리수로부터 질소와 인을 추가로 제거하기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5251B1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0438A (en) Treatment of wastewater through enhanced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KR100235250B1 (ko) 다단의 무산소반응조를 사용하는 질소 및 인의제거를 위한 폐수 처리 장치
KR100386224B1 (ko) 축산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KR100390633B1 (ko) 무산소·혐기형 연속회분식 반응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생물학적 질소·인 제거방법
KR100430382B1 (ko) 고농도 유기물, 질소, 인 함유 축산폐수의 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처리 시스템
KR100235251B1 (ko) 하수 및 폐수 중의 생물학적 질소와 인 제거방법
KR100705541B1 (ko) 하·폐수에서 영양염류를 제거하기 위한 하·폐수처리방법 및장치
KR19980071903A (ko) 혐기발효조를 이용한 개량된 하·폐수의 영양소 제거방법
JPS6254075B2 (ko)
KR20010011875A (ko) 고농도 폐수의 생물학적 질소제거방법 및 그 장치
JPS6133638B2 (ko)
KR100438323B1 (ko) 생물학적 고도처리에 의한 하수, 폐수 처리방법
KR100321679B1 (ko) 분배유입방식을이용한폐수의정화방법
KR100460851B1 (ko) 내부 반송이 필요 없는 하폐수 고도처리 장치
KR20010076873A (ko) 혐기-호기-무산소 시스템을 이용한 침출수의 고농도유기물 및 질소 제거 방법
JP4464035B2 (ja) 汚泥返流水の処理方法
KR100423801B1 (ko) 하폐수 고도 처리 시스템
JP2004105872A (ja) 廃水処理方法
JP2002059200A (ja) 汚水と汚泥の処理方法
KR950000212B1 (ko) 폐수의 정화방법
KR20010084760A (ko) 침전지 내장형 고급 하폐수 처리방법
KR100463480B1 (ko) 하폐수로부터 질소와 인을 제거하는 방법
KR100318367B1 (ko) 폐수처리장치
KR100283127B1 (ko) 탈질 및 탈인 공정이 포함된 폐수 처리 방법
KR100453453B1 (ko) 질소와 인을 함유하는 하폐수의 처리장치 및 그 장치를이용한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