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458A - 인장스프링 - Google Patents
인장스프링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41458A KR19980041458A KR1019960060761A KR19960060761A KR19980041458A KR 19980041458 A KR19980041458 A KR 19980041458A KR 1019960060761 A KR1019960060761 A KR 1019960060761A KR 19960060761 A KR19960060761 A KR 19960060761A KR 19980041458 A KR19980041458 A KR 199800414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sion spring
- elastic
- adjusting
- coil
- tensio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장력을 조절할수 있도록 하는 인장스프링에 관한 것으로서, 실제 장착시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가변조정할 수 있도록하여 호환성을 보유하는 인장스프링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코일을 나선형으로 권선하여서 된 탄성부(12)와, 이 탄성부의 어느 일측에 걸림고리(14)가 형성되는 인장스프링(10)과; 일측에 상기 탄성부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조절부(22)를 갖고, 타측에 체결공(24)이 형성되는 조절부재(20)와; 일측에 상기 체결공(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훅크(32)가 형성되고, 타측에 걸림구멍(34)이 형성되는 고정부재(30)를 구비하여 조절부재(20)의 회전에 의해 탄성부(12)를 조절부로 삽입하거나 인출하여 탄성부의 탄성력을 가변토록함을 특징으로 하여 실제 장착조건에 맞도록 인장스프링력을 조절가능하게 되어 가장 이상적인 탄성값을 갖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되어 탄성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되는 것은 물론 인장스프링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장스프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장력을 조절할수 있도록 하는 인장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은 탄성체가 갖는 특성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산업전반에 걸쳐 널리사용되고 있으며 매우 중요한 기계요소의 하나이다. 이러한 스프링은 주로 하중에 비해 탄성변형률이 큰 스프링강등을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는데, 또한 상기와 같은 스프링은 그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가 개발되고 있는데, 예컨대, 스프링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 원통형으로 구성하는 코일스프링 및 스프링강을 판형상으로 제작한 판스프링등 많은 종류가 개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은 그 힘의 작용방향에 따라 인장코일스프링 및 압축코일스프링 및 비틀림코일스프링 등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은 상기 코일스프링증 인장코일스프링에 관련되는 것으로, 도 1에 참고적으로 대표적인 인장코일스프링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스프링강선등의 양호한 탄성특성을 보유하는 강재를 원통상에 나선형으로 감은 형태를 취하고 있는 탄성부(2)의 양단에 각각 걸림고리(3a)(3b)가 형성되는 인장스프링(1)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걸림고리(3a)(3b)는 대개 어느 하나는 고정체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하중체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으나, 필요에 따라 둘다 하중체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장코일스프링은 양측의 걸림고리(3a)(3b)가 모두 고정체에 걸리는 형태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장코일스프링은 제조시 오차 및 설치부위의 치수오차등으로 인해 실제 작동시 요구되는 탄성범위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코일의 권선되는 지름이 일정한 인장코일스프링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주로 코일을 원통형상상에 나선형으로 감아 형성되므로 제조후 요구되는 탄성력을 정도있게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특히, 실제 장착부에는 그 동작부재들의 마찰 및 부하정도에 따라 실제 설계치와 다른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요구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면,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경우에는 각종 브레이크 장치는 물론 핀치레버 및 텐션레버등 정밀도 있는 탄성력을 요하는 부분이 다수 존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장치들에는 설계시 요구되는 탄성값을 갖는 인장스프링이 설치되어야 하는데, 인장스프링 제조시의 오차는 물론 예컨대 릴과 릴포스트간의 간섭 및 펠트의 조건등 다양한 변화요소가 존재하므로 실제 인장스프링의 탄성값이 다르게 요구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장착시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가변조정할 수 있도록하여 호환성을 보유하는 인장스프링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장스프링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스프링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장스프링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나선홈의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스프링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장스프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장스프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인장스프링12: 탄성부
14: 걸림고리20: 조절부재
22: 조절부22a: 너얼링
24: 체결공26: 나선홈
28: 보강돌기30: 고정부재
32: 훅크34: 걸림구멍
34a: 개방부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을 나선형으로 권선하여서 된 탄성부와, 이 탄성부의 어느 일측에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인장스프링; 일측에 상기 탄성부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조절부를 갖고, 타측에 체결공이 형성되는 조절부재와; 일측에 상기 체결공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훅크가 형성되고, 타측에 걸림구멍이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조절부재의 회전에 의해 탄성부를 조절부로 삽입하거나 인출하여 탄성부의 탄성력을 가변토록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장스프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스프링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통형의 탄성부(12)의 일측에 걸림고리(14)가 형성되는 인장스프링(10)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12)는 코일을 원통형에 나선형으로 권선하여서 된 것으로 인접하는 코일들을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탄성을 보유하는 인장스프링이다.
그리고 상기 인장스프링(10)의 탄성부(12)와 결합되는 조절부재(20)가 구비된다. 이 조절부재(20)는 상기 탄성부(12)의 외주연에 나사결합형태로 결합되는 조절부(22)가 형성되고, 조절부(22)의 반대측에 체결공(2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조절부재(20)는 비교적 높은 경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측에 상기 체결공(24)에 삽입되는 훅크(32)가 형성되고 타측에 걸림구멍(34)이 형성되는 고정부재(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림구멍(34)은 이동체 또는 고정체에 고정되며, 상기 훅크(32)는 체결공(24)에 삽입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따르면 상기 조절부(22)는 탄성부의 외주연과 결합되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내주연에는 나선홈(26)이 형성된다. 이 나선홈(26)은 반원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반경은 상기 탄성부(12)의 코일직경보다 크거나 갖게 구성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조립시 코일과 타이트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동일하게 구성됨이 좋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홈(26)과 그에 인접하는 나선홈(26)들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하는 것에 의해 보강돌기(28)가 형성된다. 이 보강돌기(28)는 상기 탄성부(12)의 코일과 코일사이로 삽입되어 축방향 하중을 지탱하는 것으로, 축방향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스프링은 인장스프링(10)과 조절부재(20)와, 고정부재(30)를 결합한 상태에서 걸림고리(14)와 걸림구멍(34)을 해당하는 설치부에 걸어놓은 상태에서 탄성부(12)를 나선홈(26)에 대해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일이 나선홈(26)을 따라 조절부(22)내측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회전시키면 조절부(22)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조절부(22)의 보강돌기(28)는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어 있는 코일과 코일을 이격시키며 그들 사이로 진입하게 되므로 상기 이격된 코일에는 탄성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은 나선홈(26)상에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자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제한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절부(22)를 인장스프링(10)의 탄성부(12)내로 삽입하는 길이가 길수록 실제 탄성력을 유발시키는 코일의 유효권선수가 감소하게 되므로 탄성력이 증가하게 되고, 반대로 돌출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코일 유효권선수가 증가하게 되므로 탄성력이 감소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장스프링이 동일한 재질 및 코일직경과, 동일한 권선직경을 갖는다고 가정하면 그 탄성력은 코일의 전체길이(권선수)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절부(22)를 탄성부(12)내로 삽입하게 되면 조절부(22)외측에 결합되는 부분은 나선홈(26)들에 의해 탄성작용을 상실하게 되어 실제 탄성작용을 수행하는 유효권선수가 감소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탄성력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장착부에 인장스프링을 장착한후 탄성력을 측정하여 요구되는 탄성값이 나오지 않을 경우에는 장착한 상태를 유지하고, 그에 상당하는 만큼 조절부재(20)를 회전시켜 조절부(22)를 탄성부(12)내로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것에 의해 코일의 유효권선수를 변화시키므로써 탄성력을 조절하여 요구되는 탄성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에 따르면 상기 걸림구멍(34)은 어느 일측에 개방부(34a)를 형성하여 고정을 편리하게 이룰 수 있다. 즉, 고정시 그 고정하는 부분이 폐곡선 형태의 구멍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나타낸 형태의 걸림구멍 즉, 폐곡선 형태의 구멍으로는 결합이 불가능하므로 상기와 같이 개방부(34a)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에 따르면 상기 조절부재(20)는 주연을 삼각이상의 다각형 형태로 제작하여 조절부재(2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절부재(20)는 고정부재(30)와 인장스프링(10)을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을 이루게되므로 회전시 미끄럼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인장스프링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조정성을 양호하게 제공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20)의 주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얼링(22a)등을 형성하여 회전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장스프링은 탄성부와 나사형태의 결합을 이루는 조절부재를 구비하여 탄성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필요에 따라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가변토록하므로써 실제 장착조건에 맞도록 스프링력을 조절가능하게 되어 가장 이상적인 탄성값을 갖도록 설치할 수 있게되므로 탄성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되는 것은 물론 인장스프링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7)
- 코일을 나선형으로 권선하여서 된 탄성부(12)와, 이 탄성부의 어느 일측에 걸림고리(14)가 형성되는 인장스프링(10)과;일측에 상기 탄성부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조절부(22)를 갖고, 타측에 체결공(24)이 형성되는 조절부재(20)와;일측에 상기 체결공(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훅크(32)가 형성되고, 타측에 걸림구멍(34)이 형성되는 고정부재(30)를 구비하여 조절부재(20)의 회전에 의해 탄성부(12)를 조절부로 삽입하거나 인출하여 탄성부의 탄성력을 가변토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스프링.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22)는 내주연상에 탄성부(12)의 외주연에 나사형태로 결합되는 나선홈(2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스프링.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홈(26)은 반원형단면을 갖으며, 그 내경은 상기 코일의 직경보다 같거나 크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스프링.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나선홈(26)과 그에 인접하는 나선홈(26)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탄성부(12)의 인접하는 코일사이로 삽입되어 축방향 하중을 지탱하는 보강돌기(28)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스프링.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멍(34)은 어느 일측을 개방부(34a)를 형성하여 고리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스프링.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20)의 주연은 삼각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스프링.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20)의 주연에는 너얼링(22a)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스프링.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60761A KR19980041458A (ko) | 1996-11-30 | 1996-11-30 | 인장스프링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60761A KR19980041458A (ko) | 1996-11-30 | 1996-11-30 | 인장스프링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1458A true KR19980041458A (ko) | 1998-08-17 |
Family
ID=6647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60761A KR19980041458A (ko) | 1996-11-30 | 1996-11-30 | 인장스프링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4145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0291A (ko) * | 2020-02-06 | 2021-08-17 | 박용섭 | 사용이 편리한 소형 유압작키 |
-
1996
- 1996-11-30 KR KR1019960060761A patent/KR1998004145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00291A (ko) * | 2020-02-06 | 2021-08-17 | 박용섭 | 사용이 편리한 소형 유압작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331490B1 (en) | Shaft-locking device | |
RU2129981C1 (ru) |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US4428546A (en) | Adjustable spool assembly | |
EP0402924B1 (en) | Hinge device for coupling a member rotatably to another | |
US5503375A (en) | Coil spring with ends adapted for coupling without welding | |
US5791638A (en) | Coil spring with ends adapted for coupling without welding | |
CA2522039C (en) | Retractable cord reels for use with flat electrical cable | |
JP3848366B2 (ja) | 蛇形把持部材付きの係止具 | |
EP0646732B1 (en) | Core element length adjustment mechanism for control cable | |
KR20020035122A (ko) | 랩 스프링 차양 작동기 | |
US10287810B2 (en) | Pivot device and method of generating asymmetric friction torque | |
KR20010093625A (ko) | 비대칭 와이어로프 이격장치 및 제조방법 | |
KR19980041458A (ko) | 인장스프링 | |
US20210108693A1 (en) | Torque adjustment mechanism | |
KR19980041460A (ko) | 인장스프링 | |
US4623105A (en) | Video cassette | |
KR19980041461A (ko) | 인장스프링 | |
KR19980041457A (ko) | 인장스프링 | |
US4719992A (en) | B-motor with floating locking plug | |
US5704748A (en) | Self-locking machine screw | |
US5103708A (en) | Gearless tuner | |
US20070084012A1 (en) | Noise-reducing plug, and do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
CA2163482A1 (en) | Barrel folding reel | |
US4155130A (en) | Means for restraining cross helical spin-out | |
US2993689A (en) | Power sp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