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396U -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396U
KR19980041396U KR2019960054488U KR19960054488U KR19980041396U KR 19980041396 U KR19980041396 U KR 19980041396U KR 2019960054488 U KR2019960054488 U KR 2019960054488U KR 19960054488 U KR19960054488 U KR 19960054488U KR 19980041396 U KR19980041396 U KR 199800413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filter paper
hose
fixed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4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37811Y1 (ko
Inventor
이진환
Original Assignee
이민우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우,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filed Critical 이민우
Priority to KR2019960054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811Y1/ko
Publication of KR199800413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3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8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활성탄 여과지(濾過池)내에 활성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호이스트와 대차에 의해 전후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흡입펌프를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후로 이동되는 호이스트와 좌우로 이동되는 대차에 활성탄을 배출할 수 있는 흡입펌프에 의해 활성탄 여과지내의 활성탄을 원할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활성탄 여과지의 전체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활성탄 여과지에 호이스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의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활성탄 여과지에 호이스트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호이스트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호스리프트의 일부절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호스리프트에 구동모우터가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호이스트 12.. 상판 14,14a.. 이동바퀴
16.. 제1구동모우터 16a..제2구동모우터 18,18a.. 보조바퀴
20.. 대차 22..지지대 24.. 바퀴
26.. 구동모우터 28.. 와이어 30.. 고정로울러
40.. 흡입모우터 42.. 흡입호스 50.. 호스리프트
52.. 브라켓트 54.. 회전드럼 56.. 회전판
57.. 고정너트 58.. 연결관 60.. 조임너트
62.. 배출호스 70.. 모우터 80.. 와이어권취드럼
[고안의상세한설명]
[고안의목적]
본 고안은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활성탄 여과지(濾過池)내에는 정수를 활성탄층으로 통과시키므로서 정수에 함유된 각종 유기물 및 무기물이 활성탄에 유착되도록 하여 정수처리하며, 장기간의 사용후는 원할한 정수처리를 위하여 활성탄에 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이때, 여과지내의 활성탄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상기 활성탄을 배출시키는 흡입펌프를 호이스트에 의해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며 배출시키므로서 여과지내의 활성탄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안이속하는기술분야및그분야의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정수처리장치는 수원지에서 원수가 유입되면 1차적으로 비교적 비중이 높은 이물질들을 침사지(沈砂池)에서 침전시키고, 2차로 혼화지에서 분말활성탄 및 정수약품을 투입하여 응집반응시켜 미세한 불순물과 함께 응집된 이물질을 재침전 시키거나 수면위로 뜨는 부유물(이하 거품이라 함)등을 제거하는 다음 단계로 침전지와 사여과지를 통과한 후 최종적으로 염소가 투입되어 정수에 함유된 세균등을 살균한 후 각 가정으로 식수로서 공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침전지와 사여과지를 통과한 정수가 최종적으로 염소가 투입되어 살균작용이 이루어져 식수로 공급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정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세균 및 유,무기물등은 산업발전과 과학의 발달로 새로운 물질(페놀수지, ABS수지, 생물학적 유,무기물 등)등이 존재하게 되어 기존의 정수처리 즉, 염소에 의해 살균처리되지 않는 상기의 물질들로 인하여 완전한 정수,정화를 하지 못하여 식수로서 음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상기의 정수과정에서 염소가 투입되기전 정수를 오존처리하여 정수속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을 살균처리하고 작은 입상의 활성탄이 내재된 여과지에서 활성탄을 거치면서 미세한 유,무기물이 활성탄에 유착되도록 한 후 염소로 재살균하여 음용하기에 적합한 물을 각 가정으로 공급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정수과정에서 활성탄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활성탄에 유착되는 각종의 불순물과 유,무기물이 쌓이게 되어 정수의 효과가 떨어지는 반감작용이 발생하게 되고 더 나아가서는 이물질에 의하여 활성탄이 고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정수의 통과가 이루워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원할한 정수처리를 위하여 종래에는 활성탄에 유착된 유,무기물 및 불순물을 제거시키기 위하여 여과지내로 유입되는 정수관의 유입밸브와 배출되는 배출관의 밸브를 닫고 정수되던 물을 아래에서 위로 역류시켜 활성탄을 뒤집는 작업을 반복하여 활성탄에 유착된 불순물을 수면위로 부상시켜 별도의 여과망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법등이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임시방편에 불과하여 장기적으로는 활성탄 자체를 수거하여 유착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고 여과지내에는 사람이 직접들어가지 못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여과지를 건축시 여과지의 바닥면에 다수의 흡입파이프를 내설하여 활성탄을 교체할 시기가되면 상기 흡입파이프를 통해 활성탄을 흡입하여 배출하므로서 정기적으로 청소하게 하였으나 흡입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활성탄은 상기 흡입파이프가 설치된 주변 부위만이 흡입되어 배출되고 흡입파이프의 흡인력이 미치지 않는 다른 부분에 위치하는 활성탄은 흡입하여 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야기 시켰던 것이다.
[고안이이루고자하는기술적과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활성탄 여과지내의 유,무기물이 유착된 활성탄을 배출시키기 위한 흡입펌프를 설치하고 이 흡입펌프를 활성탄여과지 상부에서 전후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호이스트에 설치하여 상기 흡입펌프가 활성탄 여과지의 활성탄을 전반적으로 골고루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고안의구성및작용]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활성탄여과지(1)에 거품박스(4)로 연결되는 배출공(3)이 형성되고 상기 활성탄여과지(1)상부양측으로 상면(2)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여과지(1)의 상면(2)에 양측으로 구동모우터(16,16a)로 구동되는 이동바퀴(14,14a)가 고정된 호이스트(10)에 상판(12)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12)상부로 중앙부에 지지대(22)의 상부로 구동모우터(26)의 와이어(28)가 연결된 고정로울러(30)가 고정된 대차(20)가 대차구동모우터(21)와 바퀴(24)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대차(20)상부 일측에는 활성탄 여과지(1)에 설치된 흡입펌프(40)에 연결된 흡입호스(42)를 권취할 수 있는 호스리프트(50)가 브라켓트(52)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호스리프트(50)는 흡입호스(42)와 고정너트(57)로 연결된 연결관(58)이 내부로 고정된 회전드럼(54)이 회전판(56)에 고정되고 브라켓트(52)일측으로는 배출호스(62)가 조임너트(60)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호이스트(10)양측으로 보조바퀴(1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호스리프트(50)에 와이어권취드럼(8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활성탄 여과지(1)와 호이스트(10)상부 양측으로 배출호스(62)를 매달아 이동시킬 수 있는 각 전후지지간(7)과 가로지지간(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내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활성탄 여과지에 호이스트가 설치된 도면으로서, 다수의 활성탄 여과지(1)가 설치된 상부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대차(20)가 설치된 호이스트(10)가 설치되고 내부 일측에는 정수약품을 투입하여 발생되는 부유물이 물의 와류현상에 의해 발생된 거품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공(3)과 이 배출공(3)에서 배출된 거품을 수집할 수 있는 거품박스(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활성탄 여과지(1)지 상면(2)일측에는 흡입펌프(40)로부터 흡입된 활성탄(5)을 배출하는 배출호스(62)가 전후지지간(7)에 설치되어 있다.
호이스트(10)는 활성탄 여과지(1)의 상면(2)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호이스트(10)의 양측에는 제1구동기어(16)와 제2구동기어(16a)가 각 이동바퀴(14,14a)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호이스트(10)의 상판(12)에는 대차(20)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호이스트(10)의 양측면에는 제1구동기어(16)와 제2구동기어(16a)가 구동되어 이동바퀴(14,14a)를 회전시켜 이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제1,2구동기어(16,16a)의 구동력이 다를 경우 좌우구동력의 불균형으로 좌우편차가 발생하여 상기 호이스트(10)가 활성탄 여과지(1)의 상면(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바퀴(16)가 고정되어 있다.
대차(20)는 호이스트(10)의 상판(14)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부로 대차구동모우터(21)와 연결된 바퀴(24)가 설치되고 상부 지지대(22)에는 고정로울러(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되며 일측에는 흡입호스(42)를 귄취할 수 있는 호스리프트(50)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와이어(28)를 권취할 수 있는 구동모우터(26)를 설치하되 상기 와이어(28)는 고정로울러(30)에 연결되어 있다.
호스리프트(50)는 대차(20)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흡입호스(42)를 권취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호스리프트(50)의 대차(20)에 고정된 브라켓트(52)상부로 흡입호스(42)를 권취할 수 있는 회전드럼(54)이 고정된 회전판(56)에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드럼(54)에는 연결관(58)이 삽입되어 상부로 흡입호스(42)가 고정너트(57)로 고정되고 타측에는 배출호스(62)가 조임너트(60)로 브라켓트(5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58)은 회전드럼(54)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54)이 회전될 때 같이 회전되어 흡입호스(42)로부터 흡입된 활성탄(5)을 상기 연결관(58)으로 이동을 원할하게 하였고, 또한 연결관(58)의 타측에 연결된 배출호스(62)는 브라케트(52)에 고정되어 있어 연결관(58)의 활성탄(5)을 상기 배출호스(62)로 원할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호스리프트에 와이어권취드럼이 설치된 상태의 도면으로서, 상기 대차(20)의 지지대(22)에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된 호스리프트(50)일측으로 흡입펌프(40)와 연결된 와이어(28)를 권취할 수 있는 와이어권취드럼(80)이 상기 모터(70)와 호스리프트(50)와의 같은 축선상에 설치되어 흡입호스(42)와 와이어(28)를 동시에 권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별도의 콘트롤장치(미도시)에 의해 제1,2구동모우터(16,16a)의 작동으로 이동바퀴(14,14a)를 회전시켜 활성탄 여과지(1)에 위치시킨 다음 대차(20)상부의 구동모우터(26)에 의해 권취드럼(27)이 회전되므로 상기 권취드럼(27)에 권취된 와이어(28)를 풀러 상기 와이어(28)의 끝단에 연결된 흡입펌프(40)를 하부 방향으로 하강시켜 상기 흡입펌프(40)의 하단면이 활성탄(5)상부면에 위치시킨후 흡입펌프(40)를 작동시켜 활성탄(5)을 흡입호스(42)와 배출호스(62)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펌프(40)를 이용하여 활성탄(5)을 흡입시킬 때 활성탄 여과지(1)내의 물을 역류시켜 상기 활성탄(5)이 흡입펌프(40)로 원할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28)가 하강되면서 흡입펌프(40)가 하강될 때 흡입호스(42)도 동시에 하강하게 되는데, 상기 호스리프트(50)의 회전드럼(54)에 권취되어 있는 흡입호스(42)가 구동모우터(26)의 회전력과 같은 속도로 작동되는 모터(70)의 작동으로 풀리면서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활성탄 여과지(1)의 하단에 흡입펌프(40)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펌프(40)의 작동으로 활성탄(5)을 흡입시키게 되면 활성탄(5)이 흡입호스(42)와 호스리프트(50)의 연결관(58)을 통해 배출호스(62)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펌프(40)는 콘틀롤장치에 의해 각 제1,2구동모우터(16,16a)와 대차(20)의 전후좌우의 작동에 의해 활성탄 여과지(1)의 바닥면에 위치한 활성탄(5)을 원할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호이스트(10)와 대차(20)의 작동으로 흡입펌프(40)를 전후좌우로 이동시켜 활성탄(5)을 외부로 배출시킨 후, 다음의 활성탄 여과지(1)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모우터(26)와 모터(70)를 콘트롤장치에 의해 동작시켜 흡입펌프(40)와 흡입호스(42)를 상부로 상승시키게 되는데, 상기 흡입호스(42)는 활성탄 여과지(1)의 상단면에 닿지 않을 정도로 상승시킨 후 제1,2구동모우터(16,16a)의 작동으로 다음 단계의 활성탄 여과지(1)로 이동시킨 다음 다시 각 구동모우터(26)와 모터(70)의 작동으로 흡입펌프(40)가 하강하여 상기 활성탄 여과지(1)내의 활성탄(5)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활성탄(5)이 배출되는 배출호스(62)는 호이스트(10)와 대차(20)가 이동됨에 따라 이동거리에 의해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전후지지간(7)과 가로지지간(6)이 설치되어 상기 호이스트(10)에 설치된 배출호스(62)가 상기 전후지지간(7)에 걸쳐진 상태에서 전후이동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고, 대차(20)가 좌우로 이동될 때 배출호스(62)가 가로지지간(6)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배출호스(62)의 좌우이동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배출호스(62)로 배출된 활성탄(5)은 살균과정을 거치게 되고 상기 살균과정을 거친 활성탄(5)은 다시 활성탄 여과지(1)내에 투입되어 원수를 정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고안의효과]
따라서 전후로 이동되는 호이스트와 좌우로 이동되는 대차에 활성탄을 배출할 수 있는 흡입펌프를 설치하여 활성탄 여과지내의 활성탄을 원할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활성탄여과지(1)에 거품박스(4)로 연결되는 배출공(3)이 형성되고 상기 활성탄여과지(1)상부양측으로 상면(2)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여과지(1)의 상면(2)에 양측으로 구동모우터(16,16a)로 구동되는 이동바퀴(14,14a)가 고정된 호이스트(10)에 상판(12)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12)상부로 중앙부에 지지대(22)의 상부로 권취드럼(27)이 고정된 구동모우터(26)의 와이어(28)가 연결된 고정로울러(30)가 고정된 대차(20)가 대차구동모우터(21)와 바퀴(24)로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대차(20)상부 일측에는 활성탄 여과지(1)에 설치된 흡입펌프(40)에 연결된 흡입호스(42)를 권취할 수 있는 호스리프트(50)가 브라켓트(52)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호스리프트(50)는 흡입호스(42)와 연결된 연결관(58)이 내부로 고정된 회전드럼(54)이 회전판(56)에 고정되고 브라켓트(52)일측으로는 배출호스(62)가 조임너트(60)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10)양측으로 보조바퀴(1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20)의 모터(70)와 호스리프트(50)와의 같은 축선상에 와이어권취드럼(8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 여과지(1)와 호이스트(10)상부로 양측으로 배출호스(62)를 매달아 이동실킬 수 있는 각 전후지지간(7)과 가로지지간(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
KR2019960054488U 1996-12-23 1996-12-23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 KR0137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488U KR0137811Y1 (ko) 1996-12-23 1996-12-23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488U KR0137811Y1 (ko) 1996-12-23 1996-12-23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396U true KR19980041396U (ko) 1998-09-15
KR0137811Y1 KR0137811Y1 (ko) 1999-10-01

Family

ID=19482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4488U KR0137811Y1 (ko) 1996-12-23 1996-12-23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8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725B1 (ko) * 2002-10-07 2004-11-10 강대길 폐수처리용 탈수기의 자동 이송장치
KR100966593B1 (ko) * 2007-11-19 2010-06-29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활성탄 여과지의 재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068B1 (ko) * 1999-09-06 2002-01-18 김진길 침전지의 슬러지 배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725B1 (ko) * 2002-10-07 2004-11-10 강대길 폐수처리용 탈수기의 자동 이송장치
KR100966593B1 (ko) * 2007-11-19 2010-06-29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활성탄 여과지의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7811Y1 (ko) 199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8551C (en) Magnetic separation filtering and cleaning apparatus
CN108218084A (zh) 一种城市污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JP4076049B2 (ja) 水処理装置
KR100798080B1 (ko) 슬러지 배출장치가 구비된 원형 침전지
CN207330639U (zh) 一种污水净化装置
CN108069551A (zh) 一种城市安全污水高效处理装置
CN206843258U (zh) 一种市政污水处理装置
CN208517146U (zh) 一种高效污水处理装置
KR0137811Y1 (ko) 정수처리장의 활성탄 배출장치
KR100907905B1 (ko) 연속 흐름식 복합 수처리 장치
CN111170492B (zh) 一种自动清洁的洗车污水循环设备
CN209619137U (zh) 一种高效处理污水的一体化装置
CN215161979U (zh) 一种市政污水处理装置
KR101301717B1 (ko) 초기 우수의 연속 세척 기능을 갖는 여과시스템
KR102408374B1 (ko) 녹조 및 유기물 여과장치
CN108911265A (zh) 一种农业畜禽养殖场废水处理装置
US20070012605A1 (en) Self-propelled Apparatus for Cleaning A Water Treatment Tank
JP2010022946A (ja) 汚水処理装置
CN209662682U (zh) 一种混凝沉淀池
CN212425672U (zh) 一种分布式污水处理系统
CN112551785A (zh) 一种海绵城市雨水处理装置
US20130233809A1 (en)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CN211198960U (zh) 带紫外线消毒器及螺旋管的实验室废水处理设备
CN211257257U (zh) 一种节水环保型建筑给排水系统
CN208120782U (zh) 一种基于臭氧的污水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