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845A - Jitter information transfer method by counter interworking i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Jitter information transfer method by counter interworking i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845A
KR19980040845A KR1019960060083A KR19960060083A KR19980040845A KR 19980040845 A KR19980040845 A KR 19980040845A KR 1019960060083 A KR1019960060083 A KR 1019960060083A KR 19960060083 A KR19960060083 A KR 19960060083A KR 19980040845 A KR19980040845 A KR 19980040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tter
counter
node
communication network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0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덕년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60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0845A/en
Priority to JP9291914A priority patent/JPH10145398A/en
Priority to US08/958,284 priority patent/US6052389A/en
Priority to GB9722688A priority patent/GB2321570B/en
Priority to DE19747811A priority patent/DE19747811B4/en
Priority to CN97120230A priority patent/CN1115828C/en
Publication of KR19980040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845A/en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지연이 가변인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의 각 노드에 있어서 셀이 도착되는 시점의 카운터 값이 독출되어 지터와 관련된 정보가 자체적으로 산출됨으로써 이전 노드와 별도의 정보 교환없이 각 노드에서 지터가 조절되어 고속 통신망에서의 지터 조절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된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한 지터정보 전달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송지연이 가변인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 있어서, 각 노드의 연결별(per-session)로 카운터(Ci,j)가 설치되면서 이 카운터(Ci,j)가 슬롯 단위로 카운트를 수행함으로써 연결 단위로 개별의 프레임이 정의되고, 상기 카운터(Ci,j)는 각 노드에 연결당 각각 설치되면서 이웃 노드 사이의 전송지연을 정확히 반영함과 더불어 상호 연동되면서 상기 노드 i에서 상기 연결 j의 k 번째 셀에 대해 적격시간와 도착시간사이에= 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동작된 후, 셀이 도착되는 순간()에 카운터의 값을 독출함으로써 적격시간()을 자체적으로 계산하여 셀의 지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unter value at the time of arrival of a cell is read in each node of a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variable transmission delay, and information related to jitter is calculated by itself, thereby allowing jitter at each node without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previous no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transmitting jitter information by interlocking a counter in a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jitter adjustment is efficiently performed in a high speed communication network. counter to per-session) (C i, j), the counter (C i, j) is a separate frame to the connecting unit defined by carrying out the count in slot units, the counter (C i, j as installed) Each node is connected to each node, accurately reflecting the transmission delay between neighboring nodes, and interworking with each other. Eligibility time for the first cell And arrival time Between = After th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the moment the cell arrives ( By reading the value of the counter in ) Can be calculated by itself to adjust the jitter of the cell.

Description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한 지터정보 전달방법Jitter information transfer method by counter interworking i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한 지터정보 전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송지연이 가변인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의 각 노드에서 셀이 도착되는 시점의 카운터 값이 독출되어 지터와 관련된 정보가 자체적으로 산출됨으로써 이전 노드와 별도의 정보 교환없이 각 노드에서 지터가 조절되어 고속 통신망에서의 지터 조절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된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한 지터정보 전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transmitting jitter information by interlocking counters in a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In particular, information related to jitter is obtained by reading a counter value when a cell arrives at each node of a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variable transmission delay. The self-calculation method relates to a method of transmitting jitter information by counter linkage in a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jitter is adjusted at each node without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 previous node so that jitter adjustment is effectively performed at a high speed communication network.

일반적으로, B-ISDN(broadband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은 광대역 전송 및 교환기술을 기초로 집중 또는 이산되어 있는 가입자 및 서비스 제공자를 연결하여 폭넓은 대역 분포를 갖는 연속성의 실시간 서비스와 군집성의 데이터 서비스 등의 각종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디지탈 통신망이다.In general, a broadband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B-ISDN) connects subscribers and service providers that are concentrated or discrete based on broadband transmission and switching technology to provide continuous real-time services with a wide bandwidth distribution and clustered data services. It is a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that comprehensively provides various services.

이와 같이, 다양한 서비스가 효과적으로 처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ITU-T 에서는 BISDN의 통신방식으로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방식(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을 채택되하 있다. 상기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방식은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방식에 의한 패킷형 전달방식이고, 기존의 회선 교환방식과 패킷 교환방식의 장점에 의해 다양한 서비스를 일률적으로 처리할 수가 있다.As such, in order to effectively process various services, ITU-T adopts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as a communication method of BISDN.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method is a packet transfer method using an a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xing method, and various services can be uniformly processed by the advantages of the existing circuit switching method and the packet switching method.

장래의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서는 현재로서는 예측이 불가능할 정도로 많은 서비스가 등장할 것이고, 이는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매우 상이한 트래픽 특성을 가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서비스는 수율, 지연, 지터, 손실율 등에 대해 다양한 서비스 품질이 요구됨과 더불어 보장될 수 있어야 하고, 특히 영상, 음성 등의 실시간 서비스가 광대역 통신망의 주된 서비스로 자리잡아감에 따라 지연과 지터에 대한 요구조건이 매우 엄격해지고 있다.In the future,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networks will have many services that are unpredictable at present, and will have very different traffic characteristics,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In general, the service should be able to be guaranteed with various quality of service for yield, delay, jitter, loss rate, etc., especially delay and jitter as real-time services such as video and voice become the main services of broadband network. The requirements for are becoming very strict.

실시간 서비스에서는 정보가 제한시간 이내에 전달되지 않게 되면, 손실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되어 지연과 지터에 대해 요구되는 조건을 효과적으로 만족시키는 것이 상당히 중요해지고 있다. 그리고,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서는 서로 다른 연결로부터 온 셀이 스위치에서 서로 상호 작용함에 따라 상기 셀을 적절히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해야 한다.In real-time services, when information is not delivered within the time limit, it has the same effect as loss, and it is becoming very important to effectively satisfy the requirements for delay and jitter. In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as cells from different connections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he switch, the cells must be properly controlled to guarantee the quality of service to the user.

도 1은 일반적인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 있어서 노드를 통한 호(call)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도면중 참조부호 i-1 내지 i+n은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 노드를 나타내고, A 내지 F는 가입자를 나타내고 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 connection state through a node in a general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s i-1 to i + n denote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nodes, and A to F denote subscribers.

상기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은 상호 연결된 노드의 모임으로 구성되고, 노드의 네트워크를 통해 근원지에서 목적지로 데이터가 전송되게 된다. 상기 도면은 데이터 전송의 개념의 일반적인 예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노드는 전송로(transmission path)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데이터가 소정 가입자로부터 네트워크로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는 소정 노드로부터 소정 노드로 교환되면서 소정 목적지로 가게 된다.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is composed of a group of interconnected nodes, and data is transmitted from a source to a destination through a network of nodes. The figure shows a general example of the concept of data transmission, wherein the nodes are connected by a transmission path. On the other hand, when data is input from a predetermined subscriber to a network, the data is transferred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while being exchanged from the predetermined node to the predetermined node.

예컨대, 데이터가 가입자(A)로부터 가입자(D)로 전송되는 경우, 먼저 노드(i-1)로 보내진 후 노드(i)와 노드(i+1) 또는 노드(i+2)를 통해 가입자(D)로 전송되게 된다.For example,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subscriber A to subscriber D, it is first sent to node i-1 and then through node i and node i + 1 or node i + 2. To D).

한편, 큐서비스 방식은 큐에 저장되어 있는 셀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셀의 전송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상기 큐서비스 방식은 망의 세가지 자원, 즉 대역폭과 지연한계 및 버퍼공간을 관리하고, 이 세가지 자원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의 성능 파라미터인 수율 및 지연 손실율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다. 따라서, 상기 큐서비스 방식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 상기 세 자원이 유연하게 사용되게 되면,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queue service method i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order of cells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lls stored in the queue. The queue service method manages three resources of a network, that is, bandwidth, delay limit, and buffer space, and these three resources are directly related to yield and delay loss rate, which are performance parameters of a service required by a user. Therefore, when the queue service method is effectively used and the three resources are used flexibly, the quality of service of the user can be guaranteed.

또한, 상기 큐서비스 방식은 크게 작업 보존방식(work-conserving)과 비작업 보존방식(nonwork-conserving)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작업 보존방식에서는 큐에 셀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서버가 결코 쉬지 않고, 상기 비작업 보존방식에서는 큐에 셀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서비스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queue service method is largely divided into work-conserving and nonwork-conserving. In the work preservation method, when a cell exists in a queue, the server never rests. In non-work preservation, even if a cell exists in the queue, it can not be serviced.

더욱이, 과거의 데이터 통신망에서는 평균지연과 평균수율이 성능의 주요 파라미터인 바, 이 파라미터에 대한 작업 보존방식의 연구가 주요 부분이지만, 미래의 종합 통신망에서는 연속성 실시간 서비스의 성능 보장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게 되어 지연과 지터에 대한 한계값이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Moreover, in the past, average delay and average yield are the main parameters of performance. In the future, the study of the work preservation method is a major part, but in the future integrated network, guaranteeing the performance of continuity real-time service is an important issue. This makes the thresholds for delay and jitter quite important.

상기 작업 보존방식의 사용에 있어서, 커다란 문제는 트래픽이 망을 통과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군집성이 발생함으로써 망 자원의 낭비가 되어 트래픽의 지터 특성이 상당히 저하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비작업 보존방식에서는 쉬고 있는 서버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게 되어 서버의 이용률이 감소되지만, 트래픽의 특성이 거의 대부분 유지되는 상태로 망을 통과하게 되어 작은 양의 자원에 의해 충분히 지원함으로써 종단간 지터 특성이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연속성의 실시간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있어서 비작업 보존방식이 더욱 적합하게 된다.In using the work preservation scheme, a big problem is that clustering gradually occurs as traffic passes through the network, which wastes network resources,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jitter characteristic of the traffic. On the contrary, in the non-work preservation method, the server utilization rate is reduced because it does not properly utilize the server that is at rest, but it passes through the network with almost the traffic characteristics maintained and is sufficiently supported by a small amount of resources. The jitter characteristic is improved. Thus, the non-work preservation scheme is more suitable for supporting continuity real-time services.

최근 몇년 동안 실시간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비작업 보존방식의 스케줄링 알고리듬이 많이 제안되고 있지만, 이러한 알고리듬은 실제로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서는 지원될 수 없는 패킷 헤더를 사용하거나 프레임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상당히 비효율적으로 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알고리듬으로는 계층적 순번(HRR; Hierarchical Round Robin) 알고리듬, 스톱-앤-고우(Stop-and-Go) 알고리듬, 지터 EDD(Earliest-Due-Date) 알고리듬, RCSP(Rate-Controlled Static Priority) 알고리듬 등이 있다.In recent years, many non-working scheduling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to effectively support real-time services. However, these algorithms have become quite inefficient by employing a frame structure or using a packet header that is not actually supported in a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network. do. The algorithm may include a hierarchical round robin (HRR) algorithm, a stop-and-go algorithm, an jitter earlylies-due-date algorithm, rate-controlled static priority (RCSP), and the like. ) Algorithms.

상기 계층적 순번 알고리듬과 스톱-앤-고우 알고리듬은 모두 프레임 기법을 사용하고 있는 바, 이러한 기법의 계층적 순번 알고리듬에서는 각 연결에 대해 한 프레임 주기동안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는 셀의 수를 제한하여 셀률 지터를 보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알고리듬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은 이웃하는 노드와 상호작용 없이 독립적으로 정의되어 셀이 노드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지연이 셀마다 변화됨으로써 종단간 지연 지터가 보장되지 않게 된다.The hierarchical turn algorithm and the stop-and-go algorithm both use a frame technique. In this hierarchical turn algorithm, the number of cells that can be serviced in one frame period for each connection is limited. Cell rate jitter is guaranteed. However, the frame used in the algorithm is defined independently without interaction with neighboring nodes so that the delay occurring when the cell passes through the node varies from cell to cell, thereby preventing end-to-end delay jitter.

도 2a는 일반적인 스톱-앤-고우 큐 서비스방식에 있어서 입력링크(l', l'')와 연결된 출력링크(l)를 갖춘 스위칭 노드(i)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각 링크에서의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a shows a switching node i having an output link l connected to input links l ', l' 'in a typical stop-and-go queue service scheme, and FIG. 2b is shown in FIG. 2a.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frame in each link.

상기 스톱-앤-고우 알고리듬에서는 교환 노드에서 입력링크의 프레임과 출력링크의 프레임간에 일대일 대응관계가 되어 셀이 전송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에 속하는 모든 셀에 거의 동일한 지연이 발생하고, 또한 종단간 지연 지터가 프레임내에서의 위치 변환에 의해서만 발생하여 상당히 작은 양에 의해 보장되게 된다.In the stop-and-go algorithm, a cell is transmitt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frames of an input link and frames of an output link at an exchange node. Almost the same delay occurs in all cells belonging to such a connection, and end-to-end delay jitter is generated only by position translation in the frame, which is ensured by a fairly small amount.

상기 두 알고리듬 모두 프레임 기법 채택에 의한 고유의 문제, 즉 지연 한계와 대역 할당 단위간에 결합(coupling)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두 알고리듬 모두 계층화된 프레임 구조를 채택하고 있지만, 그 구조는 조금 다르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계층적 순번 알고리듬에서는 상위 준위(level)의 시간 슬롯 일부를 물려 줌으로써 하위 준위의 프레임이 정의되고, 하나의 시간 슬롯이 특정 준위의 프레임에만 속하게 되어 서비스될 셀이 선택되는 과정이 단순하게 된다.Both algorithms have their own problems due to the adoption of the frame technique, that is, the problem of coupling between delay limits and band allocation units. As a solution, both algorithms adopt a layered frame structure. It's a bit different. In the hierarchical ordering algorithm, a frame of a lower level is defined by passing a portion of time slots of a higher level, and a process of selecting a cell to be serviced because one time slot belongs only to a frame of a specific level is simplified. do.

그러나, 각 준위에서 할당할 수 있는 타임 슬롯의 수가 제한되어 여분의 대역폭이 존재하더라도 새로운 연결을 수락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가 있지만, 스톱-앤-고우 알고리듬에서는 상위 준위의 프레임이 여러개 합산되어 하위 준위의 프레임이 구성되게 된다.However, although the number of time slots that can be allocated at each level is limited, it may not be possible to accept new connections even if there is excess bandwidth. Frame will be constructed.

따라서, 하나의 시간 슬롯이 여러 준위의 프레임에 동시에 포함되게 되어 서비스될 셀이 선택되는 과정에서 준위단위의 정적우선순위(static priority)의 사용에 의해 준위의 수가 증가함으로써 구현의 복잡도가 증가하지만, 각각의 준위에서 여분의 대역폭이 충분히 활용되게 되어 순번 알고리듬에서 발생하는 대역폭 사용효율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두 알고리듬 모두 계층화된 프레임 구조가 도입되어 결합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지만, 각 준위에서의 결합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Therefore, the complexity of the implementation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levels by using the static priority of the level unit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 cell to be serviced because one time slot is simultaneously included in the frames of several levels. In each level, the extra bandwidth is fully utilized, thereby preventing the degradation of bandwidth usage efficiency caused by the sequential algorithm. In both algorithms, a layered frame structure is introduced to solve the coupling problem to some extent, but the coupling problem at each level still exists.

도 3는 일반적인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지연지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한편, EDD 알고리듬과 RCSP 알고리듬은 지연 지터를 보장하기 위해 패킷의 헤더에 스케쥴링 관련 정보를 실어 출력하고, 마감시간에 비해 어느 정도 빨리 정송되었는가에 대한 정보를 그 다음 노드에서는 그 양 만큼 패킷을 지연시키게 된다. 이와 갈이, 실질적으로 모든 셀이 매 노드에서 최대 지연을 겪고 출력되게 되어 종단간 지연 지터가 보장되게 된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lay jitter control method in a general data communication network. Meanwhile, the EDD algorithm and the RCSP algorithm output scheduling information in the header of the packet to guarantee delay jitter, and the next node transmits information about how fast it is transmitted compared to the deadline. do. In contrast, virtually all cells are output with maximum delay at every node, ensuring end-to-end delay jitter.

이와 같이, 기존의 비작업 보존 알고리듬에서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스케쥴링함으로써 지터를 조절하거나 패킷 헤더를 이용하여 지터 정보를 전송하여 각 노드에서 지터가 조절되도록 하고, 계층적 순번 알고리듬에서는 셀율 지터를 보장하는데 비해 나머지 세 알고리듬은 지연 지터를 보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non-working preservation algorithm, the jitter is adjusted by scheduling using a frame structure or the jitt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using the packet header so that the jitter is adjusted at each node, and the hierarchical order algorithm guarantees the cell rate jitter. In contrast, the remaining three algorithms guarantee delay jitter.

그리고, 계층적 순번 알고리듬과 스톱-앤-고 알고리듬에서는 프레임 기법이 채택되어 구현이 간단하지만, 결합 문제가 발생하여 대역폭 할당과 지연한계 할당 특성이 양호하지 않게 되고, 지터 EDD 알고리듬과 RCSP 알고리듬에서는 대역폭과 지연한계의 할당을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매 패킷마다 스케쥴링 관련 정보를 보내 주게 되어 오버헤드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패킷의 크기가 작은 망에서는 커다란 문제가 되게 된다.In the hierarchical order algorithm and the stop-and-go algorithm, the frame scheme is adopted to simplify implementation, but the coupling problem occurs, resulting in poor bandwidth allocation and delay limit allocation characteristics. Althoug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llocation of the delay limit and the delay limit can be separated, scheduling related information is sent for every packet, which causes overhead. This is a big problem for networks with small packet sizes.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송지연이 가변인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의 각 노드에 있어서 셀이 도착되는 시점의 카운터 값이 독출되어 지터와 관련된 정보가 자체적으로 산출됨으로써 이전 노드와 별도의 정보 교환없이 각 노드에서 지터가 조절되어 고속 통신망에서의 지터 조절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된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한 지터정보 전달방법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each node of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variable transmission delay, the counter value at the time of arrival of the cell is read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jitter is calculated by itself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transmitting jitter information by interlocking counters in a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jitter is adjusted at each node without separate information exchange, so that jitter adjustment is efficiently performed in a high speed communication network.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송지연이 가변인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 있어서, 각 노드의 연결별로 카운터가 설치되면서 이 카운터가 슬롯 단위로 카운트를 수행함으로써 연결 단위로 개별의 프레임이 정의되고, 상기 카운터는 각 노드에 연결당 각각 설치되면서 이웃 노드 사이의 전송지연을 정확히 반영함과 더불어 상호 연동되면서 상기 노드 i에서 상기 연결 j의 k 번째 셀에 대해 적격시간와 도착시간사이에=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동작된 후, 셀이 도착되는 순간에 카운터의 값을 독출함으로써 적격시간을 자체적으로 계산하여 셀의 지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variable transmission delay, a counter is provided for each connection of each node and the counter performs a count in units of slots so that the individual frames are connected in units of connections. The counter is installed at each node for each connection, accurately reflects the transmission delay between neighboring nodes, and interoperates with each other. And arrival time Between = After the operation of th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y reading the value of the counter at the time of arrival of the cell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adjust the jitter of the cell by calculating the eligibility time by itself.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송지연이 가변인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의 각 노드에 있어서 셀이 도착되는 시점의 카운터 값이 독출되어 지터와 관련된 정보가 자체적으로 산출됨으로써 이전 노드와 별도의 정보 교환없이 각 노드에서 지터가 조절되어 고속 통신망에서의 지터 조절이 효과적으로 수행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each node of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variable transmission delay, a counter value at the time of arrival of a cell is read, and information related to jitter is calculated by itself, thereb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 previous node. Without jitter at each node, jitter control in a high-speed network is effectively performed.

도 1은 일반적인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 있어서 노드를 통한 가입자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subscriber through a node in a general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도 2a는 일반적인 스톱-앤-고우 큐 서비스방식에 있어서 입력링크(l', l'')와 연결된 출력링크(l)를 갖춘 스위칭 노드(i)를 나타낸 도면,FIG. 2a shows a switching node i with an output link l connected to an input link l ', l' 'in a typical stop-and-go queue service scheme; FIG.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각 링크에서의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FIG. 2B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frame in each link shown in FIG. 2A;

도 3는 일반적인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지연지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lay jitter control method in a general data communication network;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한 지터정보 전달방법의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jitter information by interlocking a counter in a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i-1∼i+n: 노드, A∼F: 가입자.i-1 to i + n: node, A to F: subscrib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한편, 종단간 지연과 지터가 효과적으로 보장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살펴 보면, 먼저 일반적인 지터 조절 서비스 방식에 대해 간략적으로 살펴 보고, 제안 알고리듬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nd-to-end delay and jitter can be effectively ensured, the general jitter control service method briefly described, and the proposed algorithm in detail.

상기 지터 조절 서비스 방식에서는 서버를 개념적으로 두가지 구성요소, 즉 지터 조절기와 스케쥴러로 분리하는데, 상기 지터 조절기에서는 망내에서 발생한 트래픽의 왜곡을 보상하고, 상기 스케쥴러에서는 왜곡 보상된 셀 사이에서 서비스 순서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상의 분리를 통해 지연 한계가 대역폭에 관계없이 유연하게 할당될 수 있고, 종단간 지터 특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게 된다.In the jitter control service method, a server is conceptually divided into two components, a jitter controller and a scheduler. The jitter controller compensates for the distortion of traffic generated in the network, and the scheduler determines a service order between the cells that are distortion-compensated. Done. This functional separation allows delay limits to be flexibly allocated regardless of bandwidth, and greatly improves end-to-end jitter.

그리고, 트래픽의 왜곡이 보상될 수 있도록 매 노드에서 트래픽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재구성되게 되면, 원래의 트래픽 특성이 크게 왜곡되지 않은 상태로 망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소요 버퍼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망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고, 전송되는 트래픽의 지터 특성이 양호하게 되어 수신측에서 지터 보상 처리의 부담이 감소하게 된다.When the traffic is partially or totally reconfigured at each node so that the distortion of the traffic can be compensated for, the original traffic characteristic passes through the network without being greatly distorted. Therefore, the required buffer space can be reduced to save network resources, and the jitter characteristic of the transmitted traffic becomes good,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f jitter compensation processing on the receiving side.

또한, 트래픽의 특성을 재구성하는 경우 도착되는 셀에 대해 그 셀의 적격시간(ET; Eligible Time)을 계산하여 그 시간이 될 때까지 도착 셀을 지터 조절기에 임시 저장한 후 적격시간이 되는 순간에 스케쥴러로 출력하게 된다. 즉, 셀이 도착하자 마자 스케쥴되는 것이 아니라 그 셀의 적격시간까지는 마치 셀이 도착되지 않은 것처럼 간주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reconfigu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ffic, the eligible time (ET) of the arriving cell is calculated, and the destination cell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jitter controller until the time is reached, and then at the moment when the eligibility time is reached. Will print to the scheduler. In other words, the cell is not scheduled as soon as it arrives, but is considered as if the cell has not arrived by the cell's qualifying time.

그리고, 지터 조절기는 적격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에 의해 셀률 지터 조절기와 지연 지터 조절기로 분리되는데, 상기 셀율 지터 조절기는 이전 셀로부터의 간격을 토대로 적격시간을 정의하지만, 상기 지연 지터 조절기는 이전 노드에서의 마감시간을 기초로 적격시간이 계산되어 트래픽이 완전히 재구성되게 된다.And, the jitter regulator is divided into a rate jitter regulator and a delay jitter regulator by a method of calculating the eligibility time. The rate jitter regulator defines the eligibility time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previous cell, but the delay jitter regulator at the previous node. The eligibility time is calculated based on the deadline of and the traffic is completely reconstructed.

한편, 스케쥴러에서는 지연 요구사항에 의해 서비스 순서가 결정되어 각각의 셀이 지연한계내에서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고, 스케쥴링 방법은 크게 선입선출(FCFS) 방식과 고정우선순위(static priority) 방식으로 분류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cheduler, the service order is determined by the delay requirements so that each cell performs the service within the delay limit. The scheduling method is a first-in-first-out (FCFS) method and a static priority method. Will be classified as.

상기 선입선출 방식은 가장 구현이 간단하지만, 트래픽의 종류에 관계없이 하나의 지연한계만이 제공되게 되어 트래픽의 특성이 다양한 망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고, 고정우선 방식은 트래픽을 여러 등급으로 나눈 후 고정된 우선순위로 서비스하여 각 등급에 대한 지연한계가 제공되게 된다.The first-in, first-out method is the simplest to implement, but only one delay limit is provided regardless of the type of traffic, making it difficult to use in various network characteristics, and the fixed-priority method is fixed after dividing the traffic into different classes. Serving as a priority provides delay limits for each class.

그러나, 망의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고정된 우선순위가 사용되게 되어 얻을 수 있는 효율에는 한계가 있고, 동적우선순위 방식에서는 셀단위로 우선순위를 부여한 다음 가장 높은 우선순위부터 서비스가 제공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가장 효율이 양호하지만,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셀이 선택되기 위해 큐에 있는 모든 셀을 분류(sorting)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efficiency that can be obtained because fixed priorities are always used regardless of network conditions. In the dynamic priority scheme, priority is given in units of cells, and then services are provided from the highest priority. This method is the most efficient, but it causes the hassle of sorting all the cells in the queue in order for the highest priority cell to be selected.

그리고, 상기 비작업 보존방식 알고리듬은 모두 지터 조절 서비스 방식에 의해 해석될 수 있고, 기존의 비작업 보존방식 알고리듬에서 채택하고 있는 지터 조절기와 스케쥴러를 열거하면 다음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다.The non-working preservation algorithm can be interpreted by the jitter adjustment service method, and the jitter adjusters and schedulers adopted by the existing non-work preservation algorithm are listed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일반적으로, 기존의 지터조절 서비스 방식은 지터를 조절하는 방법에 의해 크게 두가지로 구분되는 바, 이중 하나는 패킷 헤더의 한 구간을 사용하여 스케쥴링에 관련된 정보를 다음 노드로 전달함으로써 지터를 조절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프레임 기법이 도입되어 셀이 프레임 단위로 전송 및 교환됨으로써 지터가 조절되는 방식이다.In general, the conventional jitter control service method is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jitter control method, one of which is to control jitter by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scheduling to one node by using one section of the packet header. The other is a method in which jitter is controlled by introducing a frame technique to transmit and exchange cells in units of frames.

한편, ATM셀 헤더에는 스케쥴링 관련 정보를 실어나를 여분의 구간이 없기 때문에 첫번째 방식은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 적용시킬 수가 없고, 두번째 방식은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서 사용할 수 는 있으나 여러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프레임 기법 채택에 수반되는 고유 문제인 지연한계와 대역폭 할당 단위간에 결합(coupling) 특성에 의해 효율성이 저하되고, 계층화된 프레임 기법이 사용되게 되면 상기 문제가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지만 여전히 해결이 어려운 문제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is no extra section for carrying scheduling related information in the ATM cell header, the first method cannot be applied to a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econd method can be used in a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but there are various problems. Moreover, the efficiency is degraded by the coupling nature between delay limits and bandwidth allocation units, which are inherent in the adoption of frame schemes, and the use of layered frame schemes can alleviate the problem to some extent, but is still difficult to solve. It is a problem.

이후, 제안하는 알고리듬은 각 연결마다 카운터가 사용되면서 개별의 프레임이 정의되어 사용됨으로써 프레임 기법 고유의 단점이 극복되고, 이와 함께 연결 수락시 이웃하는 노드간에 각 프레임의 경계가 서로 맞게 되어 스케쥴링 관련 정보가 자체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있게 된다.After that, the proposed algorithm overcomes the disadvantages inherent in the frame technique by defining and using individual frames as counters are used for each connection.In addition, the boundary of each frame is matched between neighboring nodes when accepting the connection. Can be recognized by itself.

또한, 지터가 조절되도록 망내의 노드(i)에서는 이웃하는 셀간의 관계에 상관없이 이전 노드(i-1)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적격 시간이 정의되게 된다. 즉, 셀이 이전 노드(i-1)에서 허용 가능한 최대 지연, 예컨대 프레임의 크기를 겪은 것처럼 적격 시간을 정의하는 것이다. 그리고, 소스 노드 이후의 노드에 대해 연결 j에 있는 셀(k)의 적격 시간()은 다음의 수학식 1에 정의되어 있다(여기서, i = 1, 2, …, N).In addition, in the network (i) in the network so that jitter is adjusted, the qualifying time is defined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previous node (i-1) irrespectiv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ing cells. That is, it defines the eligible time as if the cell has experienced the maximum allowable delay, e.g., the size of the frame, at the previous node (i-1). And the qualified time of cell (k) in connection j for the node after the source node ( ) Is defined in the following equation (where i = 1, 2, ..., N).

[수학식 1][Equation 1]

여기서, τi는 이전 노드(i-1)와 노드(i) 사이의 전송지연(propagation delay)을 나타내고,는 연결 j의 프레임 크기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은 노드(i)에 k 번째로 도착하는 셀의 적격 시간이 그 셀의 이전 노드(i-1)에 의해 결정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이전 노드(i-1)가 k 번째 셀의 적격 시간정보를 노드(i)로 출력해야 함을 의미하고, 기존의 방법에서는 상기 정보를 k 번째 셀의 헤더에 실어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Τ i denotes a propagation delay between the previous node i-1 and node i, Denotes the frame size of connection j. Equation 1 shows that the qualified time of the k-th cell arriving at node i is determined by the previous node i-1 of the cell. This means that the previous node i-1 should output the qualified time information of the k-th cell to the node i.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information is loaded on the header of the k-th cell.

그러나, 본 발명 알고리듬에서는 상기 정보를 매번 보낼 필요없이 셀이 노드에 도착하는 순간 자체적으로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연결 j에 대해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연결별(per-session) 카운터(Ci,j)를 동작시켜 셀이 도착하는 순간()에 카운터의 값이 독출되어 바로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당 하나의 카운터만이 이용되어 해당 연결의 모든 셀에 대한 가상 도착시간을 알 수 있게 됨으로써 효과적으로 지연 지터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However, in the present algorithm, it is possible to know itself as soon as the cell arrives at the node without having to send the information every time. That is, for connection j By operating the per-session counter (C i, j )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 The value of the counter is read out and immediately known. Thus, only one counter per connection can be used to know the virtual arrival times for all cells of the connection so that delay jitter can be effectively adjusted.

따라서, 각 노드에는 연결별(per-session)로 하나의 카운터가 있고, 각 카운터는 슬롯 단위로 카운트하여 개별 프레임을 정의하게 된다. 상기 카운터는 매 슬롯마다 카운트 값을 1 씩 감소시키고, 카운터의 값이 0 이 되는 순간 다시 프레임의 크기값에 의해 초기화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는 이웃하는 노드간의 전송 지연을 정확하게 반영하여 연동시키게 된다. 즉, 이전 노드(i-1)에서 카운터의 값이 c일 때 출발한 셀이 노드(i)에 도착하게 되면, 순간 노드(i)의 카운터의 값도 c가 되도록 연동시키고, 이는 연결 수락시에 이웃하는 노드에 있는 카운터의 동작을 동기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each node has one counter per-session, and each counter is counted in slot units to define individual frames. The counter decrements the count value by 1 for each slot, and is initialized again by the size value of the frame as soon as the counter value becomes zero. The counter is interlocked by accurately reflecting the transmission delay between neighboring nodes. That is, if the cell starting when the counter value is c in the previous node (i-1) arrives at the node (i), it interlocks so that the value of the counter of the node (i) is also c. This can be accomplished by synchronizing the operation of the counters in the neighboring nodes.

상기 카운터의 값은 두가지 의미를 갖는데, 먼저 스케쥴러에 있는 셀에 대해서는 마감시간까지 남아 있는 시간을 의미하고, 지터 조절기에 있는 셀에 대해서는 적격 시간까지 남아 있는 시간을 의미하게 된다. 이후, 상기 카운터의 값이 0 이 되는 시점이 바로 스케쥴러에 있는 셀의 서비스 마감시간이 됨에 따라 스케쥴러에 있는 셀은 카운터가 0 이 되게 이전에 서비스가 수행되어야 한다.The value of the counter has two meanings, which means the time remaining until the deadline for the cells in the scheduler and the time remaining until the qualified time for the cells in the jitter adjuster. Thereafter, when the value of the counter becomes 0, the service deadline of the cell in the scheduler becomes a service, and the cell in the scheduler must be serviced before the counter becomes 0.

예컨대, 카운터의 값이 3 일 때 서비스가 수행된 경우 그 셀은 마감시간 3 슬롯 이전에 서비스를 받은 것이 되고, 그 셀이 그 다음 노드에 도착하게 되면 그 때의 카운터의 값이 3 으로 되어 셀은 3 슬롯 동안 지터 조절기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 지터 조절기에서 3 슬롯 동안 저장된 후 스케쥴러로 출력되게 되면, 이전 노드에서 마감시간에 서비스를 받고 이번 노드의 스케쥴러에 도달한 것과 동일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service is performed when the value of the counter is 3, the cell is serviced before the 3 slots of the deadline, and when the cell arrives at the next node, the value of the counter at that time becomes 3 Will be stored in the jitter adjuster for three slots. If it is stored for 3 slots in the jitter controller and then output to the scheduler, it is the same as having received the deadline service from the previous node and reaching the scheduler of this nod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한 지터정보 전달방법의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jitter information by interlocking a counter in a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이전 노드에서 언제 서비스를 받았는지에 상관없이 그 다음 노드의 스케쥴러로 입력되는 시점은 항상 일정하게 되어 모든 셀이 노드에서 최대 지연을 겪은 후 서비스가 수행됨으로써 지연 지터가 완전히 제거되게 된다.In this case, regardless of when the service is received from the previous node, the time input to the scheduler of the next node is always constant, and the delay jitter is completely removed by performing the service after all cells have experienced the maximum delay at the node.

상기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과 같이 패킷의 크기가 작고, 스케쥴링과 관련된 정보의 전송을 지원하지 않는 고속 통신망에서 지터를 조절하는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지만, 제안 알고리듬은 연결 수락시에 한번 연동시킨 카운터의 동작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어 전송지연이 일정한 동기망에서만 사용 가능하게 된다.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cket size is small, such as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network, and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control jitter in a high speed communication network that does not support the transmission of scheduling-related information. It is entirely dependent on the operation of the counter, making it possible to use it only in synchronization networks with constant transmission delays.

한편, 전송지연이 작은 범위내에서 변하는 망, 예컨대 연동망(internetwork)에서는 한 연결의 소스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채널 경로가 관문(gateway)으로 연결된 여러 개의 부속망(subnetwork)을 통과하고, 대부분의 부속망에서는 지연한계를 제공할 수는 있겠지만, 모든 부속망이 지연 지터를 보장해 주기는 못할 것이다. 이 경우 지연 지터 한계를 제공하지 못하는 부속망은 전송지연이 가변인 논리적 링크로 간주 할 수가 있다. 이후,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송지연이 변하는 망, 예컨대 연동망에서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지터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a network in which the transmission delay varies within a small range, such as an internetwork, a channel path from a connection source to a destination passes through several subnetworks connected by gateways, and most subnetworks May provide delay limits, but not all sub-networks will guarantee delay jitter. In this case, the subnetwork that does not provide the delay jitter limit can be regarded as a logical link with variable transmission delay. The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information on jitter in a similar manner in a network in which the transmission delay is changed, for example, an interworking network.

따라서, 연결의 서비스 주기, 예컨대 프레임 크기가 각 노드에서의 지연한계와 링크의 지연지터 한계()의 합보다 큰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지연지터를 조절 할 수가 있다. 이때, 링크의 전송지연 한계가, 예컨대 τimax로 되면, 각 노드에서의 적격시간(i = 1, 2, 3,…,N)는 다음의 수학식 2에 정의되어 있다.Therefore, the service period of the connection, e.g., frame size, is the delay limit at each node and the delay jitter limit of the link. If the sum is greater than), the delay jitter can be adjusted us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delay limit of the link For example, when τ i max , the eligible time at each node (i = 1, 2, 3, ..., N) is defined in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2][Equation 2]

= =

상기 도 4에 있어서는 링크의 전송지연이 가변인 상황에서 셀이 정렬된 프레임을 통해 망을 통과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트래픽 주기()가 15 이고, 셀(qi)의 개수는 1 개이며, 전송지연의 지터는 각각 1, 2, 1 이고, 각각의 노드(i-1, i, i+1)의 지연한계(,,)는 각각 10, 13, 10인 경우를 예로서 나타내고 있다.4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 cell passes through a network through aligned frames when a transmission delay of a link is variable,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15, the number of cells (qi) is 1, the jitter of transmission delay is 1, 2, and 1, respectively, and the delay limit of each node (i-1, i, i + 1) ( , , ) Shows the cases of 10, 13, and 10, respectively.

먼저, 링크의 전송 지연이 가변인 경우에는 이웃하는 노드간에 프레임의 경계를 일치시키는 과정이 어렵고, 또한 프레임 카운터의 초기치에 대한 정보를 담은 셀이 최대 전송지연을 겪어야만 프레임의 경계를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논리적 링크로 간주되는 부속망에서는 프레임 카운터의 초기화 정보를 담은 셀이 부속망에서 실제로 겪은 지연을 다음 노드로 전달하거나 최대 지연을 겪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First, when the link transmission delay is variable, it is difficult to match the frame boundaries between neighboring nodes. Also, if the cell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initial value of the frame counter undergoes the maximum transmission delay, the frame boundaries cannot be matched. do. Therefore, in the subnetwork regarded as the logical link, the cell containing the initialization information of the frame counter must take action to deliver the delay actually experienced in the subnetwork to the next node or experience the maximum dela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송지연이 가변인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의 각 노드에 있어서 셀이 도착되는 시점의 카운터 값이 독출되어 지터와 관련된 정보가 자체적으로 산출됨으로써 이전 노드와 별도의 정보 교환없이 각 노드에서 지터가 조절되어 고속 통신망에서의 지터 조절이 효과적으로 수행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each node of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variable transmission delay, a counter value at the time of arrival of a cell is read and information related to jitter is calculated by itself so that information separate from the previous node is obtained. Jitter is adjusted at each node without switching, so that jitter control is effectively performed in a high-speed network.

Claims (4)

전송지연이 가변인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 있어서, 각 노드의 연결별(per-session)로 카운터(Ci,j)가 설치되면서 이 카운터(Ci,j)가 슬롯 단위로 카운트를 수행함으로써 연결 단위로 개별의 프레임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한 지터정보 전달방법.In the asynchronous transfer mode communications network transmission delay is variable, as a counter (C i, j) installed as a connection-specific (per-session) of each node in the counter (C i, j) is connected by carrying out the count in slot units Jitter information transfer method by interlocking the counter in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ividual frames are defined in uni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Ci,j)는 각 노드에 연결당 각각 설치되면서 이웃 노드 사이의 전송지연을 정확히 반영함과 더불어 상호 연동되면서 상기 노드 i에서 상기 연결 j의 k 번째 셀에 대해 적격시간와 도착시간사이에=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동작된 후, 셀이 도착되는 순간()에 카운터의 값을 독출함으로써 적격시간()을 자체적으로 계산하여 셀의 지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한 지터정보 전달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unter (C i, j ) is installed in each node for each connection accurately reflects the transmission delay between neighboring nodes, and interworked with each other in the k-th cell of the connection j in the node i Eligible time for And arrival time Between = After th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the moment the cell arrives ( By reading the value of the counter in Jitter information transfer method according to the counter interlocking in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jitter of the cell by calculating itsel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지터 전달방법은 서비스 주기가 각 노드에서의 지연한계와 링크의 지연지터 한계()의 합보다 큰 경우에 적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한 지터정보 전달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lay jitter propagation method has a delay period at each node and a delay jitter limit of a link. Jitter information transfer method by interworking with a counter in a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applied when the sum is greater than the su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터정보 전달방법은 전송지연이 작은 범위내에서 변하는 통신망에도 적용 가능하고, 패킷의 크기가 고정된 통신망에도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모드 통신망에서의 카운터 연동에 의한 지터정보 전달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jitter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is applicable to a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transmission delay is changed within a small range, and is also applicable to a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fixed packet size. How to pass jitter information.
KR1019960060083A 1996-10-29 1996-11-29 Jitter information transfer method by counter interworking i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KR19980040845A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083A KR19980040845A (en) 1996-11-29 1996-11-29 Jitter information transfer method by counter interworking i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JP9291914A JPH10145398A (en) 1996-10-29 1997-10-24 Cell scheduling method and jitter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in arm network
US08/958,284 US6052389A (en) 1996-10-29 1997-10-27 Per-session pre-synchronized framing method for real-time services in ATM networks
GB9722688A GB2321570B (en) 1996-10-29 1997-10-27 Per-session pre-synchronized framing method for real-time services in atm networks
DE19747811A DE19747811B4 (en) 1996-10-29 1997-10-29 Framework method for real-time services in ATM networks
CN97120230A CN1115828C (en) 1996-10-29 1997-10-29 Pre-session pre-synchronized framing method for real-time services in ATM networ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083A KR19980040845A (en) 1996-11-29 1996-11-29 Jitter information transfer method by counter interworking i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845A true KR19980040845A (en) 1998-08-17

Family

ID=6647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083A KR19980040845A (en) 1996-10-29 1996-11-29 Jitter information transfer method by counter interworking i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084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1150B1 (en) Congestion management based on multiple framing strategy
US7177317B2 (en) Flexible scheduler in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witch
EP0763915B1 (en) Packet transfer device and method adaptive to a large number of input ports
KR100245329B1 (en) Apparatus of managing a queue by priority for controlling jitter in a packet network
JPH0846590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GB2322997A (en) Scheduling cells in a static ATM priority scheduler
US56712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bandwidth between connectionless servers
EP21340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data packet flows
EP0817433B1 (en)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 system and traffic shaping process
US6192049B1 (en) Jitterless and lossless switching fabric with network routing
US200201500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transmission of asynchronous transfer mode cells
Mowbray et al. Capacity reservation for multimedia traffic
KR100221324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ynamic priority queueing discipline using the per-session frame defined by the synchronus counter operation in atm networks
KR100221318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static priority queueing discipline using the per-session frame defined by the synchronus counter operation in atm networks
EP0817431B1 (en) A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 system
KR100221317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the dynamic priority queueing dscipline using the per-session frame defined by the synchronus counter operation in atm networks
KR100221319B1 (en) Apparatus of the static priority queueing discipline using the per-session frame defined by the synchronus counter operation in atm networks by distributed control mechanism
KR100221316B1 (en) A method for retrieving the jitter information for the virtual per-session frame by using a timer in atm networks
GB2321570A (en) Pre-synchronised ATM networks
KR19980040845A (en) Jitter information transfer method by counter interworking i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communication network
KR100221320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ize of the per-session frame defined by the synchronus counter operation in atm networks
Akimaru et al. A practical dimensioning method for ATM systems
KR19980040846A (en) Efficient Bandwidth Usage in Jitter Information Delivery by Counter Interlocking in Asynchronous Transfer Mode Network
KR19980040849A (en) Improvement of Schedule Characteristics in Transfer of Jitter Information by Counter Interworking in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Networks
KR100221322B1 (en) Method for connection establishment for the real-time connections using per-session frame defined by the synchronus counter operation in atm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