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876A -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의 자동 간극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의 자동 간극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876A
KR19980039876A KR1019960058994A KR19960058994A KR19980039876A KR 19980039876 A KR19980039876 A KR 19980039876A KR 1019960058994 A KR1019960058994 A KR 1019960058994A KR 19960058994 A KR19960058994 A KR 19960058994A KR 19980039876 A KR19980039876 A KR 19980039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brake
adjuster
gear
t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58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9876A/ko
Publication of KR19980039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876A/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의 자동 간극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시에도 항상 자동 간극조정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브레이크 성능이 안정적인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의 자동 간극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휠 실린더에 의해 리딩 슈와 트레일링 슈를 작동시켜 상기 슈의 라이닝을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시킴으로써, 차량을 제동시키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몸체일측 선부는 상기 리딩 슈의 휠 실린더측에 축고정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몸체타측 선단에는 기어이 형성시킨 조정기어를 갖는 조정자와; 몸체 일측은 상기 조정자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고 몸체 타측은 상기 트레일링 슈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조정바와; 상기 리딩 슈의 하부 일측에 축고정되어 탄발 스프링에 의해 몸체를 트레일링 슈측으로 밀고 상기 조정자의 조정기어에 기어 결합되는 작동기어를 갖는 작동자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의 자동 간극 조정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의 자동 간극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시에도 항상 자동 간극조정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브레이크 성능이 안정적인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의 자동 간극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식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르면 마스터 실린더내의 피스톤은 브레이크 액을 휠 실린더로 압송한다. 휠 실린더는 그 유압을 받아 피스톤을 좌 우로 벌림으로써 브레이크 슈를 드럼에 압축시켜 브레이크 작용을 한다.
브레이크 페달을 놓아주면 마스터 실린더내의 유압이 저하하므로 브레이크 슈는 리턴 스프링의 힘으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고 휠 실린더내의 브레이크 액은 마스터 실린더로 되돌아가 브레이크 작용이 풀린다.
이런 유압식 브레이크의 휠 실린더는 마스터 실린더에서 보내주는 유압을 받아서, 브레이크 슈를 드럼에 밀어 붙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브레이크 본체의 형식에 따라 여러 가지 구조의 것이 있다.
브레이크 드럼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좌측의 슈를 프라이머리 슈, 우측의 슈를 세컨더리 슈라고 부른다.
브레이크 드럼이 회전중에 브레이크 슈가 휠 실린더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에 밀어 붙여지면, 마찰력에 의해 슈는 브레이크 드럼과 함께 회전하려고 하는 경향이 생기며, 이 때문에 프라이머리 슈는 확장력이 커진다. 이와 같은 작용을 자기배력작용(self servo action)이라고 한다.
한편, 세컨더리 슈는 마찰력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에서 떨어지려는 힘을 받아 확장력은 감소하므로 프라이머리 슈는 세컨더리 슈에 비하여 큰 제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셀프 서보작용을 하는 슈를 리딩 슈라고 하며, 다른 한쪽의 슈를 트레일링 슈라고 한다.
이런 리딩 슈에는 확장력이 커져 마찰력이 증대하는 자기배력작용으로 큰 제동이 걸리는 반면, 트레일링 슈에는 브레이크 드럼에서 떨어지려는 힘을 받아 확장력이 감소하여 제동력이 떨어진다. 이렇게 리딩 슈와 트레일링 슈에 걸리는 제동력의 비는 대략 3 : 1로 큰 차이가 있어 편중된 마찰력을 보인다.
이런 리딩 슈나 트레일링 슈에 결착된 브레이크 라이닝이 마모되면 슈나 드럼의 틈새가 커져서, 제동조작에 지장을 주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이것을 조정해야 하고, 이러한 수고를 줄이기 위하여 지금은 자동 간극 조정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리딩 트레일링용에는 브레이크를 밟음으로써 작용하는 타입과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당기면 작동하는 타입이 있다.
도 1은 종래 라이닝 간극 자동 조정장치의 모습을 보인 요부 발췌 정면도로서, 조정 레버(10a)가 주차 브레이크 레버(20a)와 함께 슈에 장치되어 있으며 일단은 스프링으로 브레이크 슈(40,42)에 장치되며 타단은 조정 나사(12a)의 잇날에 접하고 있다. 또한, 조정 나사(12a)는 주차 브레이크 슈 스트러트에 조립되어 있다.
주차 브레이크를 당기면 브레이크 레버(20a)가 오른쪽으로 당겨져 레버와 함께 조정 레버(10a)도 움직여 조정 나사(12a)의 잇날에 접하고 있는 부분이 들려 올라간다.
다음에 주차 브레이크를 풀면 브레이크 레버(20a)는 원래로 되돌아감과 동시에 조정 레버(10a)도 스프링의 힘으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슈(40,42)와 드럼(60)의 틈새가 커지면 조정 레버(10a)의 움직임도 커져서 조정 나사(12a)를 1노치씩 회전시킨다. 또 풋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는 조정 레버(10a)는 움직이지 않으므로 조정장치는 작동하지 않는다. 또 이상태에서는 구조상 1회의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으로 조정 나사(12a)를 1노치밖에 회전시키지 않으므로 슈(40,42)와 드럼(60)의 틈새가 클 때에는 조작을 반복해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런한 종래의 자동 간극 조정장치는 라이닝(41,43)의 마모의 정도에 따라 자동 간극조정이 되기 위해서는 큰 부하로 조정 레버(10a)를 회동시켜야 하지만 실제로 조정 레버(10a)에 전달하기가 수월치 않고, 그로 인해 브레이크시 차량이 밀리는 제동 저하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시에도 항상 자동 간극조정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브레이크 성능이 안정적인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의 자동 간극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휠 실린더에 의해 리딩 슈와 트레일링 슈를 작동시켜 상기 슈의 라이닝을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시킴으로써, 차량을 제동시키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몸체일측 선부는 상기 리딩 슈의 휠 실린더측에 축고정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몸체타측 선단에는 기어이 형성시킨 조정기어를 갖는 조정자와; 몸체 일측은 상기 조정자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고 몸체 타측은 상기 트레일링 슈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조정바와; 상기 리딩 슈의 하부 일측에 축고정되어 탄발 스프링에 의해 몸체를 트레일링 슈측으로 밀고 상기 조정자의 조정기어에 기어 결합되는 작동기어를 갖는 작동자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 라이닝 간극 자동 조정장치의 모습을 보인 요부 발췌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간극 자동 조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발췌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작동자 10a: 조정레버
12: 작동기어 12a: 조정나사
14: 탄발 스프링 20: 조정자
20a: 주차 브레이크 레버 22: 조정기어
24: 회동축 30: 조정바
40: 리딩 슈 41,43: 라이닝
43: 트레일링 슈 50: 휠 실린더
52: 앵커 플레이트 60: 브레이크 드럼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간극 자동 조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발췌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휠 실린더(50)에 의해 리딩 슈(40)와 트레일링 슈(42)를 작동시켜 상기 슈(40,42)의 라이닝(41,41)을 브레이크 드럼(60)에 마찰시킴으로써, 차량을 제동시키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몸체일측 선부는 상기 리딩 슈(40)의 휠 실린더(50)측에 축고정되어 회동축(24)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몸체타측 선단에는 기어이 형성시킨 조정기어(22)를 갖는 조정자(20)와; 몸체 일측은 상기 조정자(2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고 몸체 타측은 상기 트레일링 슈(42)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조정바(30)와; 상기 리딩 슈(40)의 하부 일측에 축고정되어 탄발 스프링(14)에 의해 몸체를 트레일링 슈(42)측으로 밀고 상기 조정자(20)의 조정기어(22)에 기어 결합되는 작동기어(12)를 갖는 작동자(1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 간극 조정장치는 조정자(20), 작동자(10) 및 조정바(3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정자(20)는 리딩 슈(40)에 장치되어 있으며 하부의 작동자(10)와 접하는 부분은 작동자(10)의 축을 중심으로하여 원호로 만들어지며 작동기어(12)와 물리는 조정기어(22)가 톱니로 형성되어 있다.
또 조정자(20)의 중앙상부는 조정바(30)에 의해 트레일링 슈(42)에 연결되어 있다. 작동자(10)는 리딩 슈(40)의 하부의 장치되며 탄발 스프링(14)으로 항상 조정자(20)의 톱니에 밀어 붙여져 있다.
브레이크를 밟으면 리딩 슈(40)와 트레일링 슈(42)는 앵커 플레이트(52)를 중심으로하여 상부가 벌어짐으로써 슈(40,42)와 드럼(60)의 틈새가 한도 이상이 되면 작동자(10)에 의해 조정자(20)가 트레일링 슈(42)측으로 당겨져 조정기어(22)는 작동자(10)의 작동기어(12)내에서 작동자(10)에 대하여 1잇날만큼 물림이 이동한다.
브레이크를 놓으면 리딩 슈(40)와 트레일링 슈(42)는 되돌아와 원위치하지만 조정자(20)의 하부가 중심방향으로 작동자(10)의 1잇날분만큼 이동한 채로 있게 되므로 슈(40,42)는 확장된다. 이와 같이하여 슈(40,42)와 드럼(60)의 틈새는 0.3∼0.4mm로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시에도 항상 자동 간극조정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브레이크 성능이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휠 실린더(50)에 의해 리딩 슈(40)와 트레일링 슈(42)를 작동시켜 상기 슈(40,42)의 라이닝(41,41)을 브레이크 드럼(60)에 마찰시킴으로써, 차량을 제동시키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몸체일측 선부는 상기 리딩 슈(40)의 휠 실린더(50)측에 축고정되어 회동축(24)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몸체타측 선단에는 기어이 형성시킨 조정기어(22)를 갖는 조정자(20);
    몸체 일측은 상기 조정자(2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고 몸체 타측은 상기 트레일링 슈(42)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조정바(30);
    상기 리딩 슈(40)의 하부 일측에 축고정되어 탄발 스프링(14)에 의해 몸체를 트레일링 슈(42)측으로 밀고 상기 조정자(20)의 조정기어(22)에 기어 결합되는 작동기어(12)를 갖는 작동자(1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의 자동 간극 조정장치.
KR1019960058994A 1996-11-28 1996-11-28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의 자동 간극 조정장치 KR19980039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994A KR19980039876A (ko) 1996-11-28 1996-11-28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의 자동 간극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994A KR19980039876A (ko) 1996-11-28 1996-11-28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의 자동 간극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876A true KR19980039876A (ko) 1998-08-17

Family

ID=6648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994A KR19980039876A (ko) 1996-11-28 1996-11-28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의 자동 간극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98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3636B2 (en) Disk brake with mechanical self-boosting
US3966028A (en) Automatic brake adjusting mechanism
US3954160A (en) Mechanically actuated disc brake assembly
US4014411A (en) Mechanically actuated disc brake with self adjusting feature
GB2102088A (en) Disc brakes
JP3728574B2 (ja) ドラムブレーキのシュー間隙自動調整装置
US3794145A (en) Vehicle brake adjuster
GB1591959A (en) Self-adjusting device
US3323618A (en) Automatic adjuster for vehicle brakes
US4588052A (en) Drum brake
US5042623A (en) Combined parking brake lever and adjuster in a drum brake
US3805926A (en) Frictional couplings
US5062504A (en) Drum brake assembly having parking brake actuator adjuster with automatic brake adjustment during the service braking mode of operation
US6302245B1 (en) Drum brake device
KR19980039876A (ko)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의 자동 간극 조정장치
US3913710A (en) Shoe drum brakes
JPS6114373B2 (ko)
US6390248B1 (en) Dual mode drum brake device
EP0884495B1 (en) Duo-servo drum brake
US4424888A (en) Shoe and drum brake
EP0013674B1 (en) Shoe and drum brake
US5343987A (en) Dual secondary shoe drum brake with means preventing depletion of hydraulic cylinder
JPH0146737B2 (ko)
CA1136558A (en) Automatic brake adjuster with automatically adjusted steady point
KR100217986B1 (ko) 브레이크 라이닝의 작동궤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자동차의 드럼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