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566U -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 - Google Patents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566U
KR19980039566U KR2019960052637U KR19960052637U KR19980039566U KR 19980039566 U KR19980039566 U KR 19980039566U KR 2019960052637 U KR2019960052637 U KR 2019960052637U KR 19960052637 U KR19960052637 U KR 19960052637U KR 19980039566 U KR19980039566 U KR 199800395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box
trunk lid
trunk
tool
inn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2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진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2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9566U/ko
Publication of KR199800395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56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휀더판넬에 의해 형성되는 트렁크룸을 개폐시키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휀더에 의해 형성된 트렁크룸과, 상기 트렁크룸을 개폐시키도록 차체에 조립되며 인너판넬과 아우터판넬이 의해 형성된 트렁크리드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리드의 인너판넬에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어서 다수의 공구를 수용하며 외면에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공구함으로 이루어진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에 관한 것으로 트렁크리드의 인너판넬에 다수의 공구가 적재된 공구함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므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필요한 공구를 찾을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
본 고안은 휀더판넬에 의해 형성되는 트렁크룸을 개폐시키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트렁크 리드의 인너판넬에 다수의 공구를 적재할 수 있는 공구함을 개폐가능하게 장착하여서 편리성을 배가시킨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리어휀더에 의해 트렁크룸이 구비되고, 이 트렁크룸은 트렁크리드에 의해 개폐되게 된다.
또, 상기 트렁크리드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리어휀더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트렁크룸에는 스페어타이어등과 같은 다수의 물건이 저장보관되게 된다.
한편, 자동차의 타이어가 펑크날 경우에는 상기 트렁크룸에 보관된 스페어타이어를 상기 트렁크룸으로부터 끄집어내서 교환하여야 한다.
이때, 스패너등의 공구가 소요되게 되고, 이 스패너등과 같은 공구를 찾기 위하여는 상기 트렁크룸을 다시 뒤져야 한다.
또, 상기 트렁크룸이 정리정돈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필요한 공구를 찾기에는 과다한 시간을 소요해야만 했다.
즉, 종래에는 자동차를 정비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공구를 보관하기 위하여는 트렁크룸에 보관하여야 하나, 트렁크룸에 복잡한 여러 가지 물건을 보관될 경우 필요한 공구를 찾는 데 과다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트렁크룸을 개폐시키는 트렁크리드를 열면 공구함이 드러나도록 하여서 필요한 공구를 적시에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는, 리어휀더에 의해 형성된 트렁크룸과, 상기 트렁크룸을 개폐시키도록 차체에 조립되며 인너판넬과 아우터판넬이 의해 형성된 트렁크리드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리드의 인너판넬에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어서 다수의 공구를 수용하며 외면에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공구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에 의하면, 트렁크리드의 인너판넬에 다수의 공구가 적재된 공구함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므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필요한 공구를 찾을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구함이 폐색된 상태를 도시한 자동차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구함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자동차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11 : 리어휀더
12 : 트렁크룸 13 : 컴비네이션램프
14 : 리어범퍼 20 : 트렁크리드
21 : 아우터판넬 22 : 인너판넬
23 : 록커수단 30 : 공구함
31 : 손잡이 32 : 힌지수단
33 : 수용부 34 : 자석부재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구함이 폐색된 상태를 도시한 자동차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구함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자동차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10)은 자동차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차체로써, 후부에는 리어휀더(11)등에 의해서 스페어타이어등과 같은 물건을 보관할 수 있도록 트렁크룸(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트렁크룸(12)을 형성시키는 상기 리어휀더(11)에는 차폭 및 제동상태를 알려주는 컴비네이션램프(13)가 장착되고, 이 컴비네이션램프(13)의 하부에는 리어범퍼(1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20)은 상기 리어휀더(11)에 의해 형성된 상기 트렁크룸(12)을 개폐시키는 트렁크리드로써, 외관을 형성시키는 아우터판넬(21)과, 상기 아우터판넬(21)과 프레스 가공에 의해 조립된 인너판넬(22)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트렁크리드(20)의 인너판넬(22)의 대체로 중앙에는 후술하는 공구함이 수용되도록 수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너판넬(22)에 형성된 상기 수용부(33)에는 스패너등과 같은 다수의 공구를 수납하여 보관하는 공구함(30)이 힌지수단(32)에 의해 힌지결합되어서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힌지수단(32)에 의해 상기 수용부(33)에 장착된 상기 공구함(30)은, 상기 공구함(30)에 보관된 공구가 쏟아지지 않도록 상기 인너판넬(22)로부터 90˚이내의 범위에서 개방되게 된다.
또, 상기 공구함(30)의 표면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공구함(30)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구함(30)의 일면에는 상기 공구함(30)이 상기 수용부(33)에 수용되어서 폐색된 후에는 개방되지 않도록 자석부재(34)가 고착되어 있다.
즉, 상기 공구함(30)이 상기 수용부(33)에 수용되어서 폐색된 후에는 상기 공구함(30)에 고착된 상기 자석부재(34)의 자력에 의해 개방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그림에서 미설명 부호(23)은 상기 트렁크룸(12)이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트렁크리드(20)를 록킹시키는 록커수단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상기 트렁크룸(12)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록커수단(23)을 해제시켜 상기 트렁크리드(20)로서 상기 트렁크룸(12)을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트렁크리드(30)에 장착된 상기 공구함(30)은 상기 자석부재(34)의 자력에 의해서 개방되지 않게 된다.
또, 사용자가 공구를 사용하고져 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상기 트렁크룸(12)을 개방시키면 상기 트렁크리드(20)의 인너판넬(22)이 드러남과 동시에 상기 공구함(30)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러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구함(30)이 드러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1)를 잡고 당기면 상기 공구함(30)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구함(30)은 상기 힌지수단(32)에 의해 상기 인너판넬(22)로부터 90˚이내의 범위에서 개방되므로써 상기 공구함(30)에 보관된 다수의 공구는 상기 공구함(30)으로부터 쏟아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공구함(30)에 보관된 필요한 공구를 인출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또, 상기 공구함(30)으로부터 필요한 공구를 인출한 후 상기 공구함(30)을 상기 인너판넬(22)의 수용부(33)에 수용시키면 상기 공구함(30)이 개방됨이 상기 수용부(33)에 수용되게 된다.
즉, 상기 공구함(30)이 상기 수용부(33)에 수용되어서 폐색된 후에는 상기 공구함(30)에 고착된 상기 자석부재(34)의 자력에 의해 개방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에 의하면, 트렁크리드의 인너판넬에 다수의 공구가 적재된 공구함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므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필요한 공구를 찾을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리어휀더(11)에 의해 형성된 트렁크룸(12)과, 상기 트렁크룸(12)을 개폐시키도록 차체(10)에 조립되며 인너판넬(22)과 아우터판넬(21)이 의해 형성된 트렁크리드(20)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리드(20)의 인너판넬(22)에 형성된 수용부(33)와,
    상기 수용부(33)와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어서 다수의 공구를 수용하며 외면에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손잡이(31)가 형성된 공구함(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구함(30)은,
    상기 공구함(30)을 개방시킬 경우 상기 공구함(30)에 보관된 공구가 쏟아지지 않도록 상기 인너판넬(22)로부터 90˚이내의 범위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구함(30)의 일면에는,
    상기 공구함(30)이 상기 수용부(33)에 수용되어서 폐색된 후에는 개방되지 않도록 자석부재(34)가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
KR2019960052637U 1996-12-20 1996-12-20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 KR199800395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637U KR19980039566U (ko) 1996-12-20 1996-12-20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637U KR19980039566U (ko) 1996-12-20 1996-12-20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566U true KR19980039566U (ko) 1998-09-15

Family

ID=5399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2637U KR19980039566U (ko) 1996-12-20 1996-12-20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956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4776A (en) Storage enclosure for open loadbed motor vehicle
US6027155A (en) Vehicle storage system
US4756457A (en) Cargo and storage apparatus for vans and like vehicles
EP1258396A3 (de) Abdeckung für einen Fahrzeugladeraum
US20050052045A1 (en) Vehicle side storage box
KR19980039566U (ko) 공구함이 장착된 트렁크 리드
KR200230698Y1 (ko) 자동차 트렁크의 다용도 수납함
JPS5819950Y2 (ja) 自動車の工具ボツクス
KR20020089060A (ko) 자동차의 러기지 룸 트레이
KR19980031346U (ko) 차량의 비상공구 보관장치
KR200146866Y1 (ko) 트렁크의 사물 보관함
KR100205718B1 (ko) 물품보관함이 장착된 차량의 플로어 패널
KR200267912Y1 (ko) 차량 후면범퍼
KR19980023126U (ko) 자동차 프런트 범퍼
KR0115863Y1 (ko) 자동차의 트렁크용 사물함
KR19980034529U (ko) 서류함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JP2001239891A (ja) 車両用ルーフボックス構造
KR19980056800A (ko) 자동차의 트렁크룸 매트
KR19980038591A (ko) 차량용 트렁크 구조
KR19980030640A (ko) 자동차 트렁크의 타이어웰커버 취부구조
KR940006738Y1 (ko) 자동차용 시트빽 포켓
KR19990016494U (ko) 공구 트레이가 설치된 자동차 리어 도아
KR0133485Y1 (ko) 자동차의 트렁크에 설치된 짐받이
KR0140695Y1 (ko) 절첩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키 홀더
JPH0386644A (ja) リアガーニッシ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