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7332U - Hose connec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Hose connect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7332U
KR19980037332U KR2019960050353U KR19960050353U KR19980037332U KR 19980037332 U KR19980037332 U KR 19980037332U KR 2019960050353 U KR2019960050353 U KR 2019960050353U KR 19960050353 U KR19960050353 U KR 19960050353U KR 19980037332 U KR19980037332 U KR 199800373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flexible hose
present
connection structure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35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석홍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0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7332U/en
Publication of KR199800373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332U/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스연결용 구조물(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조물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팽윤부(24)가 일단부에 서로 격설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가요성 호스(12);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2)가 형성되면서 상기 호스(12)의 내부로 삽입되는 강제 파이프(14); 및 상기 호스(12)를 상기 강제 파이프(14)의 외면에 대해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클램프(16);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se connection structure (10). The structure includes a flexible hose 12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one or more swelling portions 24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r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t one end; A forced pipe 14 inserted into the hose 12 while a protrusion 22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And a clamp 16 for holding the hose 12 fixed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forced pipe 14.

Description

호스연결용 구조물Hose connection structure

본 고안은 호스연결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특히 강제 파이프가 가요성 호스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호스 연결시의 작업성을 개선하게 되는 호스연결용 구조물(Hose Connecting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se connect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se connecting structure that improves workability when connecting the hose by allowing the steel pipe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lexible hose. .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가요성 호스가 사용되며, 가요성 호스는 일단부 또는 다른단부에서 강제 파이프에 접속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행기술에 따른 호스 연결용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에는 도 1의 연결용 구조물의 호스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선행기술에 따른 호스 연결용 구조물(50)은 가요성 호스(52) 및 강제 파이프(54)를 포함한다. 강제 파이프(54)는 가요성 호스(52)의 내경보다 보다 약간 작거나 또는 거의 동일한 내경을 갖게 되고, 강제 파이프(54)의 일단부에 근접한 부분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62)가 형성된다. 강제 파이프(54)의 일단부는 가요성 호스(52)의 내부로 삽입되며; 강제 파이프(54)의 돌출부(62)도 가요성 호스(52)의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62)가 위치되는 지점에서 가요성 호스(52)의 부분도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나서, 가요성 호스(52)의 단부와 상기 돌출부(62)의 사이에서 가요성 호스(52)의 외면에는 클램프(56)가 권취되고, 클램프(56)의 일단부에는 스토퍼 하우징(58)이 고정된다. 스토퍼 하우징(58)에 제공되는 스토퍼 부재(60)를 회전시켜 클램프(56)를 가요성 호스(52)의 외면에 압착시킴으로써, 가요성 호스(52)는 강제 파이프(5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Typically, various types of flexible hoses are used in automobiles, and the flexible hoses are generally connected to the forced pipe at one end or the other end. 1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s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se connection state of the structure for connection of FIG. The hose connection structure 50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mprises a flexible hose 52 and a forced pipe 54. The steel pipe 54 has an inner diameter that is slightly smaller than or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flexible hose 52, and a protrusion 62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at a portion near the one end of the steel pipe 54. do. One end of the forced pipe 54 is inserted into the flexible hose 52; Since the projection 62 of the steel pipe 54 is also inserted into the flexible hose 52, the portion of the flexible hose 52 also remains protruding at the point where the projection 62 is located. Then, a clamp 56 is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hose 52 between the end of the flexible hose 52 and the protrusion 62, and the stopper housing 58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clamp 56. Is fixed. The flexible hose 52 is fixedly connected to the forced pipe 54 by rotating the stopper member 60 provided in the stopper housing 58 to squeeze the clamp 56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hose 52. Is maintaine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조되는 선행기술에 따른 호스 연결용 구조물(50)에 있어서는, 강제 파이프(54)를 가요성 호스(52)의 내부로 삽입시킬 때 가요성 호스(52)의 단부를 팽윤시키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hose connecting structure 50 according to the prior art stru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end of the flexible hose 52 is swelled when the forced pipe 54 is inserted into the flexible hose 52. Since it is not easy to make it work,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workability fell.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호스 연결용 구조물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강제 파이프가 가요성 호스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호스 연결시의 작업성을 개선하게 되는 호스연결용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hos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he hose so that the forced pipe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lexible hose It is to provide a hose connecting structure that improves the workability of the city.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호스 연결용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s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의 연결용 구조물의 호스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se connection state of the structure for connection of FIG.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스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h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 연결용 구조물의 호스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se connection state of the hos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50: 호스 연결용 구조물12, 52: 가요성 호스10, 50: structure for hose connection 12, 52: flexible hose

14, 54: 강제 파이프16, 56: 클램프14, 54: forced pipe 16, 56: clamp

18, 58: 스토퍼 하우징20, 60: 스토퍼부재18 and 58: stopper housing 20 and 60: stopper member

22, 62: 돌출부24: 팽윤부22, 62: protrusion 24: swelling

본 고안에 따라, 호스연결용 구조물이 제공되며; 상기 호스연결용 구조물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팽윤부가 일단부에 서로 격설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가요성 호스;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호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강제 파이프; 및 상기 호스를 상기 강제 파이프의 외면에 대해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클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hose is provided; The hose connection structure may include a flexible hos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one or more swelling portions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one end thereof; A forced pipe inserted into the hose while a circumferentially extending protrusion is formed; And a clamp for fixedly holding the hose with respect to an outer surface of the forced pipe.

본 고안의 상기 특성에 따라, 가요성 호스의 일단부에 하나 이상의 팽윤부가 서로 격설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므로써 강제 파이프가 가요성 호스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되므로, 호스연결시의 작업성이 개선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e or more swelling portions are formed in one end portion of the flexible hose so that the forced pipe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lexible hose, workability at the time of hose connection Is improv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고,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part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호스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 연결용 구조물의 호스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3 show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h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se connection state of the hos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호스 연결용 구조물(10)은 가요성 호스(12) 및 강제 파이프(14)를 포함한다. 강제 파이프(14)는 가요성 호스(12)의 내경보다 보다 약간 작거나 또는 거의 동일한 내경을 갖게 되고, 강제 파이프(14)의 일단부에 근접한 부분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2)가 형성된다. 가요성 호스(12)의 일단부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네 개의 팽윤부(24)가 서로 격설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팽윤부(24)는, 강제 파이프(14)의 일단부가 가요성 호스(12)의 일단부내로 삽입될 때, 가요성 호스(12)가 용이하게 팽윤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강제 파이프(14)가 가요성 호스(12)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강제 파이프(14)의 상기 돌출부(22)도 가요성 호스(12)의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22)가 위치되는 지점에서 상기 가요성 호스(12)의 부분도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The hose connection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hose 12 and a forced pipe 14. The steel pipe 14 has an inner diameter that is slightly smaller than or substantially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lexible hose 12, and a protrusion 22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at a portion near the one end of the steel pipe 14. do. One end of the flexible hose 12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four swelling portions 24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welling portion 24 allows the flexible hose 12 to be easily swelled when one end of the forced pipe 14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flexible hose 12. Thus, the forced pipe 14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lexible hose 12. Since the protrusion 22 of the steel pipe 14 is also inserted into the flexible hose 12, the portion of the flexible hose 12 also remains protruding at the point where the protrusion 22 is positioned. do.

그리고 나서, 가요성 호스(12)의 단부와 상기 돌출부(22)의 사이에서 가요성 호스(12)의 외면에는 클램프(16)가 권취되며, 클램프(16)의 일단부에는 스토퍼 하우징(18)이 고정된다. 상기 스토퍼 하우징(18)에 제공되는 스토퍼 부재(20)를 회전시켜 클램프(16)를 가요성 호스(12)의 외면에 압착시킴으로써, 가요성 호스(12)는 강제 파이프(1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Then, the clamp 16 is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hose 12 between the end of the flexible hose 12 and the protrusion 22, and the stopper housing 18 at one end of the clamp 16. Is fixed. The flexible hose 12 is fixedly connected to the forced pipe 14 by rotating the stopper member 20 provided in the stopper housing 18 to press the clamp 16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hose 12. State can be maintained.

물론, 본 고안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요성 호스(12)의 일단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네 개의 팽윤부(24)가 서로 격설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하나 이상의 팽윤부가 형성되는 것도 본 고안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Of course, in the abo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our swelling portions 24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flexible hose 12 are formed in such a manner as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but one or more swelling portions are also formed. It is easily understood that i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가요성 호스의 일단부에 하나 이상의 팽윤부가 서로 격설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므로써 강제 파이프가 가요성 호스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되므로, 호스연결시의 작업성이 개선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 or more swelling portion is formed in one end portion of the flexible hose in such a manner as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orced pipe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lexible hose, Workability is improved.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laims (1)

호스연결용 구조물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for the hose connection,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팽윤부가 일단부에 서로 격설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가요성 호스;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호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강제 파이프; 및 상기 호스를 상기 강제 파이프의 외면에 대해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클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연결용 구조물.A flexible hos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t least one swelling portion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is spaced apart from one end; A forced pipe inserted into the hose while a circumferentially extending protrusion is formed; And a clamp for holding the hose fixedly against an outer surface of the forced pipe.
KR2019960050353U 1996-12-17 1996-12-17 Hose connection structure KR1998003733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353U KR19980037332U (en) 1996-12-17 1996-12-17 Hose connec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353U KR19980037332U (en) 1996-12-17 1996-12-17 Hose connection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332U true KR19980037332U (en) 1998-09-15

Family

ID=5399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353U KR19980037332U (en) 1996-12-17 1996-12-17 Hose connec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7332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5565A1 (en) Coupling or transition fitting for the connection of metal or plastic pipes
CA2055300A1 (en) Hose coupling
JPH0434291A (en) Pipe connecting connector
KR19980037332U (en) Hose connection structure
JP4034433B2 (en) Tube connection structure
JPH06294490A (en) Spring collar for clamp
JP2000074274A (en) Pipe body connecting structure
JP3370890B2 (en) Pipe connection structure
JPH0317109Y2 (en)
JPS582953Y2 (en) Kinzokusei flexible tube
JPS621013Y2 (en)
JPH021588Y2 (en)
KR19980013506U (en) Band clamp with retaining clip
JPH0326377Y2 (en)
JP2535547Y2 (en) Connector for small-diameter piping connection
JP2640732B2 (en) Telescopic pole
JPS6319673Y2 (en)
JP2594676Y2 (en) Joint body for connection between small diameter metal tube and flexible hose
JP3313442B2 (en) Pipe cover fittings
JPH088384Y2 (en) Detachment prevention fitting
JPH0234538Y2 (en)
JPH04363520A (en) Pipe joint construction of air-conditioner
JPH0735188Y2 (en) Rib pipe connection structure
KR200231600Y1 (en) Connection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
JPH0234548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