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7224U -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7224U
KR19980037224U KR2019960050242U KR19960050242U KR19980037224U KR 19980037224 U KR19980037224 U KR 19980037224U KR 2019960050242 U KR2019960050242 U KR 2019960050242U KR 19960050242 U KR19960050242 U KR 19960050242U KR 19980037224 U KR19980037224 U KR 199800372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arning
shock
period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용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0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7224U/ko
Publication of KR199800372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22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일정이상의 충격이 가해져 충돌이 발생하게 될 때 상기 충돌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로 차량의 실내 및 실외로 경고램프를 점멸시키도록 한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일정이상 충격력에 의해 차량의 진동으로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10)와, 상기 충격감지센서(10)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배터리전원을 제한적으로 출력하는 릴레이부(20)와, 상기 릴레이부(20)의 접점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의해 펄스신호의 주기를 일정하게 출력하는 피리어드릴레이부(30)와, 상기 피리어드릴레이부(30)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주기에 의해 차량의 외부 및 내부로 경고램프를 점멸하는 경고표시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외부 및 내부에 구비된 램프를 점멸시켜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차량의 추돌 및 추돌사고를 알리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일정이상의 충격이 가해져 충돌이 발생하게 될 때 상기 충돌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로 차량의 실내 및 실외로 경고램프를 점멸시키도록 한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배터리전원에 의해 점소등되는 램프가 구비되고, 각 램프의 기능에 따라 운전자가 램프를 점등시키는 각 스위치접점을 브레이크상태로 변환하게 되면 변환된 접점으로 배터리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차량의 진행방향(방향지시등), 긴급상황(비상등), 감속 및 제동등(브레이크) 등의 램프를 점등시키게 되는 조명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조명장치를 점소등시키는 스위치의 접점에 의해 차량을 운행하는 과정에서 현재상태를 각 램프를 점등시켜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차량의 전후방에 다수의 램프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차량에 설치된 조명장치에는 차량을 운행하는 과정에서 긴급상황을 표시하고, 다른 차량의 주의 및 추돌을 피하기 위하여 전후, 좌우의 방향 지시등과 보조 방향 지시등(보조 플래시)이 동시에 점멸하기 위한 해저드플래시(Hazard flash : 고장표시등 혹은 비상점멸등) 램프가 구비되어 차량의 고장과 추돌사고 및 긴급상황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차량의 비상 등을 점등시켜 차량의 긴급상황을 외부로 표시하게 된다.
또는, 별도의 경고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경고장치에 의해 차량의 외부로부터 일정이상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충격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에 의해 경고램프를 점등시키게 된다. 따라서, 다른 차량과의 추돌 및 충돌사고로 인하여 외부로 경고램프를 점등시켜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경고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차량에 구비된 비상등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엔, 차량의 전후, 좌우 방향으로 점멸되는 비상등을 점등시켜 차량의 긴급상황을 알려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의 및 추돌을 피하기 위해서 운전자가 일일이 비상등을 점등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별도의 경고장치를 구비한 경우에는, 차량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로 경고램프를 자동 점등시켜,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알리게 된다. 그러나, 경고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차량의 내부를 변경함과 동시에 별도의 램프를 설치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에 일정이상의 충격이 가해져 충돌이 발생하게 될 때 상기 충돌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로 차량의 실내 및 실외로 경고램프를 점멸시키도록 한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일정이상 충격력에 의해 차량의 진동으로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와, 상기 충격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배터리전원을 제한적으로 출력하는 릴레이부와, 상기 릴레이부의 접점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의해 펄스신호의 주기를 일정하게 출력하는 피리어드릴레이부와, 상기 피리어드릴레이부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주기에 의해 차량의 외부 및 내부로 경고램프를 점멸하는 경고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충격감지센서20 : 릴레이부
22 : 리셋버튼 30 : 피리어드릴레이부
40 : 경고표시부42 : 제 1경고램프
44 : 제 2경고램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차량의 진동 및 일정이상 충격이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10)로, 차량의 적정위치에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여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게 될 때, 출력이 하이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충격감지센서(10)의 출력은 릴레이부(20)에 입력된다.
상기 릴레이부(20)는 충격감지센서(10)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배터리전원을 릴레이접점으로 통전시키게 되고, 통전된 배터리전원은 피리어드릴레이부(30)에 입력된다. 또한, 릴레이부(20)는 리셋버튼(22)이 구비되고, 릴레이접점으로 흐르는 배터리전원이 리셋버튼(22)에 의해 제한되며, 상기 릴레이부(20)접점으로 흐르는 배터리전원은 피리어드릴레이부(30)에 입력된다.
상기 피리어드릴레이부(30)는 릴레이부(20)의 접점에 의해 통전된 배터리전원으로 펄스신호의 주기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펄스신호는 경고표시부(40)에 입력된다.
상기 경고표시부(40)는 피리어드릴레이부(30)에서 출력된 펄스신호에 의해 차량의 전후, 좌우에 설치된 램프를 점멸하는 제 1경고램프(42)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측에 구비된 램프를 점멸하는 제 2경고램프(44)가 자동점멸되어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알리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추돌 및 충돌사고로 인해 제 1, 제 2경고램프(42,44)가 배터리전원에 의해 자동 점멸되므로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충돌사고를 차량에 구비된 램프로 점멸되어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추돌 및 추돌사고를 알리게 된다.
한편, 경고표시부(40)의 제 1 및 제2경고램프(42,44)를 차량에 구비된 비상 등을 사용하여 차량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실외 및 실내에 구비된 비상등을 점멸시켜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램프를 구비하고, 구비된 램프로 차량의 추돌 및 충돌에 의해 진동으로 램프가 점멸되어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추돌 및 추돌사고를 알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을 운행하는 과정에서 차량의 외부로부터 일정이상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10)에서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로 릴레이부(20)에 입력된다. 상기 릴레이부(20)의 접점으로 통전되는 배터리전원은 피리어드릴레이부(30)의 펄스신호의 주기신호가 출력되고, 이 출력된 신호는 경고표시부(40)의 제 1, 제 2경고램프(42,44)를 통하여 차량의 외부 및 내부로 경고램프를 점멸시켜 알리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상기 릴레이부(20)의 리셋버튼(22)을 누르게 되면, 릴레이부(20)의 접점이 액티브 상태로 변환되어 배터리전원을 차단하게 되므로 경고램프를 소등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는, 장점을 갖는 장치인 것이다. 차량을 운행하는 과정에서 차량의 외부로부터 일정이상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로 배터리전원을 통전시켜 피리어드릴레이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주기에 따라 차량의 외부 및 내부에 구비된 램프를 점멸시켜 다른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차량의 추돌 및 추돌사고를 알리게 되는 장점을 갖는 장치인 것이다.

Claims (3)

  1. 외부로부터 일정이상 충격력에 의해 차량의 진동으로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10)와,
    상기 충격감지센서(10)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배터리전원을 제한적으로 출력하는 릴레이부(20)와,
    상기 릴레이부(20)의 접점에 의해 출력된 신호로 펄스신호의 주기를 일정하게 출력하는 피리어드릴레이부(30)와,
    상기 피리어드릴레이부(30)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주기에 의해 차량의 외부 및 내부로 경고램프를 점멸하는 경고표시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경고표시부(40)은
    차량의 전후, 좌우에 설치된 제 1경고램프(42)와,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측 계기판에 구비된 제 2경고램프(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경고표시부(40)는
    비상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
KR2019960050242U 1996-12-17 1996-12-17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 KR199800372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242U KR19980037224U (ko) 1996-12-17 1996-12-17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242U KR19980037224U (ko) 1996-12-17 1996-12-17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224U true KR19980037224U (ko) 1998-09-15

Family

ID=5399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242U KR19980037224U (ko) 1996-12-17 1996-12-17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722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638B1 (ko) * 2009-12-04 201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진단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638B1 (ko) * 2009-12-04 201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진단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7224U (ko)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
KR19980037225U (ko) 차량용 충격감지 경고표시장치
KR0137822Y1 (ko) 보조램프를 갖는 차량용 2중램프 점등장치
KR100514820B1 (ko) 차량의 램프 점등 확인장치
KR0130146B1 (ko) 비상점멸등의 동작시에 표시되는 방향지시등
KR20230126603A (ko) 차량의 헤드라이트 미작동 경고음 발생장치
KR19980029762U (ko) 안전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경고표시장치
KR0144761B1 (ko) 차량의 램프단선경고회로
KR0131407B1 (ko) 방향 지시등 경보 장치
KR19980039768A (ko) 안전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경고단계 표시장치
KR19980037226U (ko) 차량용 램프이상유무검출장치
KR19980067900U (ko) 후방차량 고속 접근시 단계 경고장치
KR19980037222U (ko) 보조램프를 갖는 차량용 2중램프 점등장치
KR19980037217U (ko) 보조램프를 갖는 차량용 2중램프 점등장치
KR19980037130U (ko) 차량용 램프이상유무검출장치
KR19980037221U (ko) 보조램프를 갖는 차량용 2중램프 점소등장치
KR19980067902U (ko) 차량용 램프이상유무 검출장치
KR19980037218U (ko) 보조램프를 갖는 차량용 2중램프 점등장치
KR19980037131U (ko) 차량용 램프이상유무검출장치
KR19990040989A (ko) 자동차의 램프 고장 감지 장치
KR20020033342A (ko) 자동차 등의 이상 유무를 체크 가능한 등화장치
KR980007522U (ko) 자동차의 제동등 고장 경보 장치
KR19980037219U (ko) 보조램프를 갖는 차량용 2중램프 점등장치
JPS6353051B2 (ko)
KR19980031492U (ko) 자동차의 번호판등 점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