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6479U - Complex office automation equipment with independent module structure for each function - Google Patents

Complex office automation equipment with independent module structure for each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6479U
KR19980036479U KR2019960049479U KR19960049479U KR19980036479U KR 19980036479 U KR19980036479 U KR 19980036479U KR 2019960049479 U KR2019960049479 U KR 2019960049479U KR 19960049479 U KR19960049479 U KR 19960049479U KR 19980036479 U KR19980036479 U KR 199800364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office automation
function
connection
automation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947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춘홍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49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6479U/en
Publication of KR199800364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479U/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38Modular devices, i.e. allowing combinations of separate components, removal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end.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여러 종류의 사무자동화기기의 기능들을 하나의 기기에 복합적으로 구비하는 복합 사무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office automation equipment having a plurality of office automation equipment in one device.

나.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he invention seeks to solve

사용자가 기능별로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보다 융통성있게 설치 및 운용을 할 수 있는 기능별 독립 모듈 구조를 가지는 복합 사무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It provides complex office automation equipment with independent module structure for each function that user can easily combine or separate by function and install and operate more flexibly.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Summary of solution of design

복합 사무자동화기기를 기기의 전반적인 제어 및 전원공급을 위한 하나의 베이스모듈과 각 기능별로 독립적으로 구성한 기능모듈들로 분리하고, 베이스모듈은 기능모듈들과 각각 접속하기 위한 모듈 접속부들을 구비하며, 기능모듈들은 베이스모듈의 대응하는 모듈 접속부에 결합하여 신호 접속을 하기 위한 접속부를 구비한다.The complex office automation equipment is divided into one base module for the overall control and power supply of the equipment and functional modules independently configured for each function, and the base module is provided with module connections for accessing the respective functional modules. The modules have a connection for making a signal connection in conjunction with a corresponding module connection of the base module.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devise

복합 사무자동화기기에 이용한다.Used for complex office automation equipment.

Description

기능별 독립 모듈 구조를 가지는 복합 사무자동화기기Complex office automation equipment with independent module structure for each function

본 고안은 사무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종류의 사무자동화기기의 기능들을 하나의 기기에 복합적으로 구비하는 복합 사무자동화기기(이하 복합기라 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ffice automation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lex office automation equip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ulti-function machine) having the functions of several types of office automation equipment in a single device.

현재 기술 발전 및 복합, 다양화 추세에 따라 대부분의 사무자동화기기들도 점차 다기능, 복합화되고 있다. 예를들어 팩시밀리(facsimile)의 경우 고유의 기능인 이미지(image) 전송기능이외에도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등의 여러 가지 기능이 복합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기능들은 하나의 유니트(unit)로 일체화되어 구성되어 왔었다. 예를들면 팩시밀리는 원고 이미지를 독취하는 화상독취부와, 데이터에 따른 이미지를 프린팅하는 프린팅부와, 모뎀(Modulator-Demodulator) 및 코덱(CODEC: Coder-Decoder)을 구비하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같은 공중회선과 접속하는 공중회선 접속부등 모든 기능부들이 하나의 기기내에 공존하는 구조로서 이루어져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부들중 일부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분리하거나 추가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없도록 되어 있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compounding, and diversification, most office automation equipments are gradually becoming multifunctional and complex. For example, in the case of facsimile, various functions such as printers, scanners, and copiers are provided in addition to image transmission functions. Typically, these functions have been integrated into one unit. For example, the facsimile machine has an image reading unit for reading an original image, a printing unit for printing an image according to data, a modem (modulator-demodulator) and a coder (coder-decoder) and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All functional parts such as the public line connecting to the public line such as) are coexisted in one device. And some of these functional units were not to be selectively separated or additionally combined by the user can be used.

이와같이 복합기는 다기능화되어가고 있는 반면에 각 기능부들을 독립적으로 분리하거나 추가로 결합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는 제조업체에서 만들어진 기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복합기가 가지지 않은 기능을 추가적으로 필요로 할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해당 기능을 구비한 별도의 기기나 복합기를 새로이 구입하여야만 하였었다. 또한 복합기를 설치할 적절한 공간이 부족할 경우 당장 필요치 않은 기능부들을 제외할 수 있다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분을 분리할 수 없었다. 이뿐만아니라 기능들중 일부분을 다른 기기로 옮겨 사용하는 것은 더욱 불가능하였었다.As the multifunction device is becoming more versatile, the user cannot use the device made by the manufacturer as it has a structure in which each functional unit cannot be separated or further combined. Accordingly, when the user needed additional functions that the multifunction device did not have, he had to purchase a new device or multifunction device with the corresponding function. Also, if there was not enough space to install the all-in-one, it could not be separated even though the space could be used efficiently if it could exclude functional parts that were not needed right away. Not only that, it was even more impossible to transfer some of the functions to other devices.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복합기가 각 기능부들을 독립적으로 분리하거나 추가로 결합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특정 형태 및 기능으로 설정된 상황이외의 어떤 변화도 사용자에게 주어지지 않았으며 단지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ultifunction apparatus has a structure in which each functional unit cannot be independently separated or additionally combined, no change other than a situation set to a specific shape and function has been given to the user,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entered.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기능별로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보다 융통성있게 설치 및 운용을 할 수 있는 기능별 독립 모듈(module) 구조를 가지는 복합기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 device having an independent module structure for each function that can be installed and operated more flexibly by allowing users to easily combine or separate function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블록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fun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복합기를 기기의 전반적인 제어 및 전원공급을 위한 하나의 베이스모듈과 각 기능별로 독립적으로 구성한 기능모듈들로 분리하고, 베이스모듈은 기능모듈들과 각각 접속하기 위한 모듈 접속부들을 구비하며, 기능모듈들은 베이스모듈의 대응하는 모듈 접속부에 결합하여 신호 접속을 하기 위한 접속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separate the multifunction device into one base module for the overall control and power supply of the device and functional modules independently configured for each function, the base modul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unctional modules Module connection parts are provided, and the functional modules are connected to corresponding module connection parts of the base modul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기능모듈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innovation, such as specific functional module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복합기를 각 기능별로 분리시켜 모듈화하고 용이하게 결합/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각자의 사양에 맞게 취사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블록구성을 도 1로 도시하였다. 상기 도 1은 편의상 복합기들중에 팩시밀리를 기본으로 하는 복합기에 본 고안을 적용한 예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복합기를 하나의 베이스모듈(100)과 기능별로 구분한 기능모듈들(110∼118)로 분리한 것이다. 베이스모듈(100)은 기기의 전반적인 제어 및 전원공급을 위한 모듈이며, 전원공급부(102)와 중앙제어부(104)와 조작판넬부(106)와 메모리부(108)를 탑재한다. 그리고 기능모듈들(110∼118)은 각 기능별로 독립적으로 구성한 모듈이며, 필요에 따라 베이스모듈(100)에 선택적으로 장착,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기능모듈들(110∼118)중에 부가 메모리모듈(110)은 각종 기능 수행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를 원할하게 하기 위한 부가적인 메모리영역을 제공한다. 공중회선 접속모듈(112)은 공중회선망과 접속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화상독취모듈(114)은 원고 이미지를 독취하며 그에따른 이미지데이터를 처리한다. 프린팅모듈(116)은 각종 데이터에 따른 이미지를 기록용지에 프린팅 출력한다. 터미널 접속모듈(118)은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외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RS-232C, 센트로닉스(centronics)등의 포트(port)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select and customize according to their specifications by separating the multifunction device for each function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modularized and easily combined / separable. 1 shows a block configuration of the multifun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shows a configuration of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acsimile-based multifunction device among the multifunction devices for convenience, and separates the multifunction device into one base module 100 and functional modules 110 to 118 divided by functions. will be. The base module 100 is a module for overall control and power supply of the apparatus, and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02, a central control unit 104, an operation panel unit 106, and a memory unit 108. The function modules 110 to 118 are modules configured independently for each function, and ar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mounted and coupled to the base module 100 as necessary. Among the function modules 110-118, the additional memory module 110 provides an additional memory area for smoothing data processing in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The public line connection module 112 is connected to the public line network to enabl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The image reading module 114 reads the original image and processes the image data accordingly. The printing module 116 prints an image according to various data on a recording sheet.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118 includes a port such as RS-232C, centronics, etc.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한편 베이스모듈(100)에는 기능모듈들(110∼118)과 각각 접속하기 위한 모듈 접속부들(J1∼J5)을 설치하며, 기능모듈들(110∼118)에는 베이스모듈(100)의 대응하는 모듈 접속부에 결합하여 신호 접속을 하기 위한 접속부들(I1∼I5)을 각각 하나씩 설치한다. 이러한 모듈 접속부와 접속부의 쌍들은 서로간에 결합/분리 가능하게 되며 콘넥터(connector)나 하네스(harness) 또는 케이블(cable)와 같은 연결부로 연결한다. 그리고 연결부를 통한 모듈들간의 신호는 데이터 버스 및 제어신호, 모듈들간의 접속확인 제어신호등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연결부들을 도 1에 참조부호 C1∼C5를 기입한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이에따라 기능모듈들(110∼118)이 베이스모듈(1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module 100 is provided with module connection parts J1 to J5 for connecting with the function modules 110 to 118, respectively, and the function modules 110 to 118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modules of the base module 100. Coupling portions I1 to I5 are provided for coupling to the connecting portion and making signal connections, respectively. These module connections and pairs of connections can be coupled /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and connected by connectors such as connectors, harnesses or cables. And the signal between the modules through the connection is composed of a data bus and control signal, the connection confirmation control signal between the modules. These connecting portions are indicated by dashed line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C1 to C5 in FIG. 1. Accordingly, the function modules 110 to 118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base module 100.

상기한 베이스모듈(100)은 모든 기능의 동작에 있어서의 근간이 되며, 나머지 기능모듈들(110∼118)은 상황에 따라 취사선택될 수 있다. 예를들면, 공중회선망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만을 전용으로 쓰고자 할 경우엔 베이스모듈(100)과 공중회선 접속모듈(112)과 프린팅모듈(116)만을 결합하여 복합기를 구성하면 된다. 이와달리 복사 용도로만 주로 사용할 경우에는 베이스모듈(100)과 화상독취모듈(114)과 프린팅모듈(116)만을 결합하여 복합기를 구성하면 된다. 이때 각 모듈의 결합 여부를 베이스모듈(100)에서 인지하도록 하기 위해 각 모듈 결합시 센서 또는 접속 신호레벨발생회로등을 이용한 스위치 신호가 발생 및 감지되도록 구성한다. 즉, 모듈 접속부들(J1∼J5)은 각각 해당하는 기능모듈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여 중앙제어부(104)에 알리는 감지장치를 구비한다. 그 이외의 모듈간 결합에 사용되는 신호들은 그 내용들이 기존의 팩시밀리내에서 사용되는 신호들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연결부들(C1∼C5)에 의해 각각 결선되도록 구성한다.The base module 100 is the basis for the operation of all functions, and the remaining function modules 110 to 118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For example, when using only the data reception using the public line network, only the base module 100, the public line connection module 112 and the printing module 116 may be combined to form a multifunction device. On the other hand, if the main use only for copying purposes, only the base module 100, the image reading module 114 and the printing module 116 may be configured to combine the multifunction device. At this time, in order to recognize whether each module is coupled or not, the base module 100 is configured to generate and detect a switch signal using a sensor or a connection signal level generation circuit when each module is coupled. That is, each of the module connection units J1 to J5 includes a sensing device that detects whether the corresponding function module is coupled and informs the central controller 104. The signals used for other inter-module couplings ar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ignals used in the existing facsimile,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parts C1 to C5.

이러한 상태에서 베이스모듈(100)은 수시로 각 기능모듈의 접속 여부를 확인하며 이를 위해 접속확인제어신호의 상태를 체크한다. 이때 베이스모듈(100)은 접속 여부가 확인된 기능모듈에 대해서 그 기능 모듈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관련 기능블록을 인에이블시키고 그에 대한 동작을 할 수 있는 준비를 한다. 조작판넬부(106)에서 동작명령이 내려지면 베이스모듈(100)은 주어진 동작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모듈이 무엇인가를 판단하고 필요한 기능모듈이 모두 접속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관련 기능모듈이 모두 접속되어 있고 이상이 없을 경우 베이스모듈(100)은 요구된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달리 모듈 접속에 이상이 있을 경우 베이스모듈(100)내의 조작판넬부(106)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상황을 표시하며, 프린팅모듈(116) 또는 터미널 접속모듈(118)에 의한 RS-232C나 센트로닉스등이 연결되어 있을 경우엔 프린팅을 하거나 접속단말을 통해 표시하도록 한다.In this state, the base module 100 checks whether each function module is connected from time to time, and checks the state of the connection confirmation control signal for this purpose. At this time, the base module 100 is ready to enable and operate the associated functional block to provide a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functional module for the functional module confirmed whether the connection. When an operation command is issued from the operation panel unit 106, the base module 100 determines what function module is required to perform a given operation command and checks whether all necessary function modules are connected. If all the related function modules are connected and there is no error, the base module 100 performs the required operation.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n error in module connection, the statu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operation panel 106 in the base module 100, and the RS-232C or Centronics by the printing module 116 or the terminal connection module 118 is displayed. If the lamp is connected, print it or display it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각 기능모듈의 분리/결합이 가능하므로 특정 기능만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 필요한 기능모듈만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separate / combine each function module as necessary, so that only the necessary function module can be connected and used when mainly using a specific function.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팩시밀리에 적용하는 예를 보였으나, 모든 다기능 단말장치나 복합기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와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 example of applying to the facsimile for convenience, it can be applied to all the multi-function terminal device or multifunction device the same.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to be determin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별로 기능모듈들을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써 보다 융통성있는 복합기의 설치, 운용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또한 기능별 모듈의 부분적 기능 변화, 예를들어 업그레이드(upgrade)를 손쉽게 취할 수 있으며, 사용자마다의 고유 사양에 맞게 취사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각 기능별 모듈만을 새로 개발함으로써 복합기 전체를 개발하는 것보다 효과적인 비용절감과 효율을 가져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a user can install and operate a more flexible multifunction device by easily combining or separating function modules for each required function. In addition, partial functional changes of modules, such as upgrades, can be easily taken and customized according to the user's unique specifications. And from the manufacturer's point of view, by developing only new modules for each function, cost reduction and efficiency are more effective than developing the entire multifunction device.

Claims (6)

여러 종류의 사무자동화기기의 기능들을 하나의 기기에 복합적으로 구비하는 복합 사무자동화기기에 있어서,In the composite office automation equipment having the functions of several kinds of office automation equipment in a single device, 상기 복합 사무자동화기기를 기기의 전반적인 제어 및 전원공급을 위한 하나의 베이스모듈과 각 기능별로 독립적으로 구성한 기능모듈들로 분리하고, 상기 베이스모듈은 상기 기능모듈들과 각각 접속하기 위한 모듈 접속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기능모듈들은 상기 베이스모듈의 대응하는 모듈 접속부에 결합하여 신호 접속을 하기 위한 접속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별 독립 모듈 구조를 가지는 복합 사무자동화기기.The complex office automation device is divided into one base module for the overall control and power supply of the device and functional modules independently configured for each function, and the base module includes module connections for connecting to the function modules, respectively. And the functional modules are connected to corresponding module connection parts of the base module and have a connection part for signal conn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접속부와 접속부의 쌍들이, 서로간에 결합/분리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별 독립 모듈 구조를 가지는 복합 사무자동화기기.The complex office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dule connection unit and the pair of connection units are capable of coupling / separating from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모듈이, 전원공급부와 중앙제어부와 조작판넬부와 메모리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별 독립 모듈 구조를 가지는 복합 사무자동화기기.3. The complex office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base module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a central control unit, an operation panel unit, and a memory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모듈들이, 상기 베이스모듈에 선택적으로 결합/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별 독립 모듈 구조를 가지는 복합 사무자동화기기.4. The complex office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unctional modules are selectively coupled / disconnected to the base modu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접속부들이, 각각 해당하는 기능모듈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중앙제어부에 알리는 감지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별 독립 모듈 구조를 가지는 복합 사무자동화기기.5. The complex office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module connection units each have a sensing unit that detects whether a corresponding function module is coupled and informs the central control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모듈들이, 부가 메모리모듈과, 공중회선 접속모듈과, 화상독취모듈과, 프린팅모듈과, 터미널 접속모듈로 구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별 독립 모듈 구조를 가지는 복합 사무자동화기기.6. The complex office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unctional modules are divided into an additional memory module, a public line connection module, an image reading module, a printing module, and a terminal connection module. .
KR2019960049479U 1996-12-14 1996-12-14 Complex office automation equipment with independent module structure for each function KR1998003647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479U KR19980036479U (en) 1996-12-14 1996-12-14 Complex office automation equipment with independent module structure for each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479U KR19980036479U (en) 1996-12-14 1996-12-14 Complex office automation equipment with independent module structure for each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479U true KR19980036479U (en) 1998-09-15

Family

ID=5399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9479U KR19980036479U (en) 1996-12-14 1996-12-14 Complex office automation equipment with independent module structure for each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6479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6160A (en) Image forming system including a printer and scanner having separate housings
US7039731B2 (en) USB interface having selector for transmitting USB signal to conversion circuit and another USB interface
US5668419A (en) Reconfigurable connector
US5617546A (en) Data bus architecture compatible with 32-bit and 64-bit processors
US5717957A (en) Multiplexor for interfacing scanner and printer with a function select circuit including three multiplex, tri-state buffers, and buffer circuits and display device for status indication
WO1999055534A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n image input device and a printer to operate as a digital copier
JP491647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9980036479U (en) Complex office automation equipment with independent module structure for each function
JP7091706B2 (en) Image processing equipment
US6662259B1 (en) Modularized universal serial bus hub
JPH09321924A (en) Multi-function image forming device
JP4823940B2 (en) Sub-contro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130084092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O1995003571A1 (en) Apparatus for adding modem capabilities to a computer system equipped with a digital signal processor
US11706356B2 (en) Inpu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623854B2 (en) Transmission control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ransmission control device
US6710898B2 (en) Modular scanner
JP4462668B2 (en) Interface device
JP2004287483A (en) Method and device for presenting guidance fo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04171158A (en) Usb device
US6851042B1 (en) Audio, fax and modem capabilities with a digital signal processor of a sound card of a computer system
KR200329462Y1 (en) Apparatus for interfacing data communication for mobile phone
JP2005084570A (en) Consumable managemen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harging managemen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050005806A (en) Apparatus for interfacing data communication for mobile phone
US20050270568A1 (en) Multi-function peripher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