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6338A -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6338A
KR19980036338A KR1019960054901A KR19960054901A KR19980036338A KR 19980036338 A KR19980036338 A KR 19980036338A KR 1019960054901 A KR1019960054901 A KR 1019960054901A KR 19960054901 A KR19960054901 A KR 19960054901A KR 19980036338 A KR19980036338 A KR 19980036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ister
purge
close valve
valve
fue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1309B1 (ko
Inventor
유재웅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54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309B1/ko
Publication of KR19980036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3Adding fuel vapours, e.g.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D41/0045Estimating, calculating or determining the purging rate, amount, flow or concent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9Layout of the fuel vapour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 탱크 등의 연료계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하지 않고 연소실로 유도하여 연소시키기 위한 캐니스터의 퍼지(purge)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소실로 유입되는 보다 실제적인 연료의 량을 예측하여 공연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연료의 완전연소를 촉진시켜 배기 가스의 량을 줄여 배기가스 규제에 관한 법률에 저촉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퍼지 밸브의 퍼지작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캐니스터(2)의 하부에 연결된 외기 파이프(8)에는 ECU에 연결되어 그 개방 횟수가 산출되는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9)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연료 탱크(1)에는 탱크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제 1 도는 종래의 캐니스터 퍼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제 2 도는 종래의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에 의한 연료 분사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 퍼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센서와 전자 제어 유니트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연료 탱크2 - 캐니스터
3 - 퍼지 밸브4 - 흡기 매니폴드
5 - 연소실6 - 활성탄
7 - 체크 밸브8 - 외기 파이프
9 - 캐니스터 크로우즈 밸브10 - 압력 센서
[발명의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 탱크 등의 연료계에서 발생되는 증발 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하지 않고 연소실로 유도하여 연소시키기 위한 캐니스터의 퍼지(purge) 제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 탱크로부터 발생된 증발가스량을 감지하여 상기 증발가스량에 따라 퍼지 밸브를 작동시키므로써, 퍼지 효율을 개선시키며, 이에 따라 대기를 오염시키는 배기 가스의 량을 줄이도록 하는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주로 배기 파이프에서 나오는 배기 가스와, 기관의 크랭크 케이스에서 나오는 블로바이 가스 및 연료 탱크나 기화기 등에서 증발되는 연료 증발 가스가 있으며, 이러한 자동차 배출 가스는 대기 오염의 주된 원인으로서 환경 문제와 함께 해결해야할 주요 현안으로 그 대책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의 연료 탱크 등의 연료계에서 발생되는 상기 증발가스는 종래에 있어서 대기중으로 방출하였으나, 상기 증발가스 중에는 대기를 오염시키는 탄화수소(IIC)가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대기중으로 방출하지 않고 연소실로 유도하여 연소시키기 위한 연료 증발가스 배출억지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장치의 조건으로는;
1) 상기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배기가스 중에 유해성분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을 것.
2) 상기 장치는 소형으로 원리적으로 간단하며 수명이 길고 신뢰성이 높을 것.
3) 자동차의 성능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
4) 최소의 설계변경으로 모든 차에 장착이 가능할 것 등이 있다.
이러한 연료 증발가스 배출억지장치로서는 크랭크 케이스 저장 방식과 캐니스터 방식(canister system)이 있으며, 이중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인 캐니스터 방식은 증발 가스를 활성탄에 흡착시켜 저장하였다가 외기와 함께 연소실로 보내는 방식으로,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탱크(1)내의 증기압이 상승하면 체크 밸브(7)가 열리고, 증발가스는 캐니스터(2)내로 흘러 들어 가며, 엔진 정지시에는 퍼지 밸브(3)가 닫혀 있기 때문에, 상기 증발가스는 엔진쪽으로 흐르지 않고 캐니스터(2)내에 멈추게 되어 공기만이 대기중으로 방출되고, 엔진 작동시에는 엔진의 흡입 부압에 의해 퍼지 밸브(3)가 열리고, 외기가 캐니스터(2)를 통과하면서 캐니스터(2)내에 흡착된 증발가스가 흡기 매니폴드(4)를 거쳐 실린더(5)로 보내진다. 이때 캐니스터(2)내의 활성탄(6)은 외기에 의해 청소되므로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연소실에 분사되는 연료의 량은 계속적으로 전자 제어 유니트(ECU)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 2도에는 이러한 종래의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에 의한 연료 분사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로서, 먼저 자동차의 시동을 걸면(1단계), 엔진 및 차체내에 장착된 수온센서와 대기압 센서 및 공기 흐름 센서등의 여러 센서를 통해 여러 가지 정보가 ECU로 보내지며(2단계), 다음으로 상기 ECU내에서 상기 센서들에 의한 정보를 분석한 후에(3단계), 퍼지 밸브를 작동시켜 캐니스터내의 증발가스를 엔진내로 퍼지하면서 연료를 분사시켜(4단계), 이들 연료와 증발가스를 연소실내에서 연소시키며(5단계), 다음으로 상기 연소에 의한 배기가스에서 산소 센서를 사용하여 잔여 산소량을 측정하여 다시 ECU로 보내므로써(6단계), 공연비를 조절하여 외기의 퍼지 및 연료 분사를 조절하게 하며, 계속해서 상기 연소된 배기 가스는 촉매를 거쳐 정화된 후에(7단계), 차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8단계).
상술된 바에 의하면 엔진의 연소실내로 유입된 공기와 연료를 연소시킨 후에 배기 가스로부터 잔여 산소량을 검출하여 다시 ECU로 보내므로써, 유입된 공기와 연료의 비 즉 공연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발명이이루고자하는기술적과제]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이론공연비에 의한 ECU의 연산치는 연소실에 직접적으로 분사되는 연료의 량에 기준한 것으로, 실제적으로 캐니스터내에 흡착되어 외부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연료의 증발 가스량은 전혀 고려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 가스의 량에 관계없이 증발 가스를 엔진에 퍼지함으로써, 퍼지된 증발 가스량에 따라 공연비가 변동되어 시동 초기의 배기 가스중에 일산화탄소(CO)와 탄화수소(HC)가 증가되어 배기가스 규제를 만족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생성되는 증발 가스량과 캐니스터 흡착량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퍼지작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기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ECU가 캐니스터에 포집된 증발가스의 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연소실로 유입되는 보다 실제적인 연료의 량을 예측하여 공연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연료의 완전연소를 촉진시켜 배기가스의 량을 줄여 배기가스 규제에 관한 법률에 저촉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퍼지밸브의 퍼지작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구성및작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료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연료 탱크내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캐니스터와; 상기 캐니스터와 엔진 사이에 장착되어 캐니스터내에 포집된 증발가스의 엔진내부로의 퍼지를 제어하는 퍼지밸브와; 차체 내부의 여러 센서들과 연결되어 배기가스의 상태에 따라 연료 분사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니트(ECU)를 포함하여 엔진 로드 및 수온에 따라 상기 퍼지 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연료 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연소실로 보내 연소시키는 캐니스터 퍼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의 하부에 연결된 외기 파이프에는 ECU에 연결되어 그 개방 횟수가 산출되는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연료 탱크에는 탱크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CU는 압력 센서 및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연료 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의 량 및 캐니스터에 흡착된 증발가스 량을 산출하며, 또한 상기 퍼지 밸브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은 자동차의 시동이 커진 상태에서 상기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와 퍼지 밸브가 폐쇄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료 탱크의 내부 온도가 상승되면 연료 탱크내에 증발 가스가 발생하게 되어 연료 탱크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상기 압력 값이 P일때 증발 가스량 X는 f(P)로 나타낼 수 있게 되므로서, 일정 압력에서 상기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를 개방시키면 상기 연료 탱크내에 생성된 증발가스는 대기압과의 차이에 의하여 캐니스터에 흡착되게 되고, 그 량은 일정하게 되어, 상기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의 개방 횟수는 곧 증발가스 흡착량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은 자동차 엔진의 시동후에 시동전의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의 개방 횟수를 확인하여 상기 캐니스터에 흡착된 증발 가스의 량이 일정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퍼지 밸브를 작동시키며, 이때, 상기 퍼지 밸브의 작동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퍼지 밸브 작동시간 내의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의 개방 횟수를 또한 측정하여, 시동 이전의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의 개방 횟수에서 시동 이후의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의 개방 횟수를 빼므로써, 작동 후의 잔여량을 기억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 및 퍼지 밸브를 폐쇄시키는 제 1단계와; 상기 연료 탱크내의 압력이 기준값인 X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의 압력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를 개방시키는 제 3단계와; 상기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의 개방 횟수인 C에 1을 더하여 이 값을 기억시키는 제 4단계와; 엔진의 시동이 걸렸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5단계와; 상기 C 값이 기준값에 도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 6단계와; 상기 퍼지 밸브와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캐니스터내에 흡착되어 있던 증발가스를 연소실내로 보내어 연소시키는 제 7단계와; 상기 퍼지 밸브의 작동시간을 측정하는 제 8단계와; 상기 퍼지 밸브 작동 시간을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의 개방 횟수로 환산하는 제 9단계와; 상기 C 값과 Z 값을 뺀 나머지 C 값, 즉 작동후의 잔여 증발 가스량을 기억시키는 제 1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5단계에서 시동이 걸리지 않은 경우에는 제 1단계로부터 반복적으로 진행되어 상기 C 값에 계속적으로 1을 더하게 되고, 엔진의 시동이 걸린 경우에는 제 6단계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6단계는 상기 C 값이 기준값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에 제 1단계로부터 다시 진행되고, 상기 C 값이 기준값에 도달된 경우에는 제 7단계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9단계에서의 환산된 엔진 시동후의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의 개방 횟수는 엔진 시동 이후의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의 개방 횟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캐니스터(2)의 하부에 연결된 외기 파이프(8)에는 외기 파이프(8)의 개폐를 제어하는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9)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연료 탱크(1)에는 연료 탱크(1)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10)가 부착되고, 상기 압력 센서(10)와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9) 및 퍼지 밸브(3)는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제어 유니트(ECU)에 연결되어 상기 ECU의 제어를 받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상기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의 작동은, 먼저 자동차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는 상기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9)와 퍼지 밸브(3)가 폐쇄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료 탱크(1)의 내부 온도가 상승되면 연료 탱크(1)내에 증발가스가 발생하게 되어 연료 탱크(1)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 값은 증발가스의 량으로 환산될 수 있다. 즉, 상기 압력 값이 P일때 증발 가스량 X는 f(P)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일정 압력에서 상기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9)를 개방시키면 상기 연료 탱크(1)내에 생성된 증발가스는 대기압과의 차이에 의하여 캐니스터(2)에 흡착되게 되고, 그 량은 일정하게 되므로써, 상기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9)의 개방 횟수(C)는 곧 증발 가스 흡착량이 되게 된다.
또한, 자동차 엔진의 시동후에는 시동전의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9)의 개방 횟수를 확인하여 상기 캐니스터(2)에 흡착된 증발가스의 량이 일정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퍼지 밸브(3)를 작동시키며, 이때, 상기 퍼지 밸브(3)의 작동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퍼지 밸브(3) 작동시간 내의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9)의 개방 횟수(Z)를 또한 측정하여, 시동 이전의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9)의 개방 횟수(C)에서 시동 이후의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9)의 개방 횟수(Z)를 빼므로써, 작동 후의 잔여량을 기억하게 된다.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로서, 먼저, 시동전의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9)의 개방 횟수인 C를 0으로 초기화한 상태에서, 제 1단계로 상기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9) 및 퍼지 밸브(3)를 폐쇄시키고, 제 2단계에서는 연료 탱크(1)내의 압력이 기준값인 X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여 만약 크지 않다면, 상기 연료 탱크(1)내의 압력이 기준값에 도달할 때까지 제 2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압력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 3단계로 진행되어 상기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9)를 개방시키고, 제 4단계에서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9)의 개방 횟수인 C에 1을 더하여 이 값을 기억하고, 제 5단계에서는 엔진의 시동이 걸렸는지 확인하여, 시동이 걸리지 않은 경우에는 제 1단계로부터 반복적으로 진행되어 상기 C 값에 계속적으로 1을 더하게 되고, 상기 제 5단계에서 엔진의 시동이 걸린 경우에는 제 6단계로 진행되어, 상기 C 값이 기준값에 도달되었는지를 확인하여 그렇지 않다면, 제 1단계로부터 다시 진행되고, 상기 C 값이 기준값에 도달된 경우에는 제 7단계에서 퍼지 밸브(3)와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9)를 개방시켜 상기 캐니스터(2)내에 흡착되어 있던 증발가스를 연소실(5)내로 보내어 연소시키고 제 8단계에서는 상기 퍼지 밸브(3)의 작동시간을 기억시키며, 제 9단계에서는 상기 퍼지 밸브(3) 작동시간을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9)의 개방 횟수(Z)로 환산(즉, 엔진 시동후의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9)의 개방 횟수를 산출)하며, 제 10단계에서 상기 C 값과 Z 값을 뺀 나머지 C 값, 즉 작동후의 잔여 증발 가스량을 기억시킨 후에 종료된다. 여기서, 제 1단계에서부터 제 4단계까지는 엔진 시동전의 작동상황을 나타내고, 제 6단계 이후는 엔진 시동 이후의 작동상황을 나타낸다.
[발명의효과]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연료 탱크에 압력 센서를 부착하여, 상기 연료 탱크내에 생성된 증발가스에 의한 일정한 압력이 형성될 때마다 캐니스터 하단에 설치된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캐니스터 밸브의 개방시마다 일정량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에 흡착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캐니스터내에 흡착된 증발 가스의 량을 산출해 냄으로써, 엔진 시동 이후 연소실로 도입되는 증발 가스량에 따라 퍼지 밸브를 작동시키므로써, 정확한 공연비를 알게 되어 배기가스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퍼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연료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연료 탱크내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캐니스터와; 상기 캐니스터와 엔진 사이에 장착되어 캐니스터내에 포집된 증발가스의 엔진내부로의 퍼지를 제어하는 퍼지밸브와; 차체 내부의 여러 센서들과 연결되어 배기가스의 상태에 따라 연료 분사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니트(ECU)를 포함하여 엔진 로드 및 수온에 따라 상기 퍼지 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연료 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연소실로 보내 연소시키는 캐니스터 퍼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의 하부에 연결된 외기 파이프에는 ECU에 연결되어 그 개방 횟수가 산출되는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연료 탱크에는 탱크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퍼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CU는 압력 센서 및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연료 탱크에서 발생된 증발가스의 량 및 캐니스터에 흡착된 증발 가스량을 산출하며, 또한 상기 퍼지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퍼지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은 자동차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상기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와 퍼지 밸브가 폐쇄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료 탱크의 내부 온도가 상승되면 연료 탱크내에 증발가스가 발생하게 되어 연료 탱크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상기 압력 값이 P일때 증발 가스량 X는 f(P)로 나타낼 수 있게 되므로써, 일정 압력에서 상기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를 개방시키면 상기 연료 탱크내에 생성된 증발가스는 대기압과의 차이에 의하여 캐니스터에 흡착되게 되고, 그 량은 일정하게 되어, 상기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의 개방 횟수는 곧 증발 가스 흡착량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퍼지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은 자동차 엔진의 시동후에 시동전의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의 개방 횟수를 확인하여 상기 캐니스터에 흡착된 증발가스의 량이 일정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퍼지 밸브를 작동시키며, 이때, 상기 퍼지 밸브의 작동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퍼지 밸브 작동시간내의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의 개방 횟수를 또한 측정하여, 시동 이전의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의 개방 횟수에서 시동 이후의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의 개방 횟수를 빼므로써, 작동 후의 잔여량을 기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퍼지 시스템.
  5. 상기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 및 퍼지 밸브를 폐쇄시키는 제 1단계와; 상기 연료 탱크내의 압력이 기준값인 X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의 압력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를 개방시키는 제 3단계와; 상기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의 개방 횟수인 C에 1을 더하여 이 값을 기억시키는 제 4단계와; 엔진의 시동이 걸렸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5단계와; 상기 C 값이 기준값에 도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 6단계와; 상기 퍼지 밸브와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캐니스터내에 흡착되어 있던 증발가스를 연소실내로 보내어 연소시키는 제 7단계와; 상기 퍼지 밸브의 작동시간을 측정하는 제 8단계와; 상기 퍼지 밸브 작동 시간을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의 개방 횟수로 환산하는 제 9단계와; 상기 C 값과 Z 값을 뺀 나머지 C 값, 즉 작동후의 잔여 증발 가스량을 기억시키는 제 1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에서 시동이 걸리지 않은 경우에는 제 1단계로부터 반복적으로 진행되어 상기 C 값에 계속적으로 1을 더하게 되고, 엔진의 시동이 걸린 경우에는 제 6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는 상기 C 값이 기준값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에 제 1단계로부터 다시 진행되고, 상기 C 값이 기준값에 도달된 경우에는 제 7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9단계에서의 환산된 엔진 시동후의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의 개방 횟수는 엔진 시동 이후의 캐니스터 클로우즈 밸브의 개방 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9960054901A 1996-11-18 1996-11-18 캐니스터퍼지제어시스템및그제어방법 KR100471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901A KR100471309B1 (ko) 1996-11-18 1996-11-18 캐니스터퍼지제어시스템및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901A KR100471309B1 (ko) 1996-11-18 1996-11-18 캐니스터퍼지제어시스템및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338A true KR19980036338A (ko) 1998-08-05
KR100471309B1 KR100471309B1 (ko) 2005-04-06

Family

ID=3730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901A KR100471309B1 (ko) 1996-11-18 1996-11-18 캐니스터퍼지제어시스템및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3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576B1 (ko) * 2019-12-12 2021-02-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70844A (ko) *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밀폐 연료탱크 내부 압력 기반 증발가스 퍼지 제어 방법 및 증발가스 퍼지 시스템
KR20230069268A (ko) * 2021-11-11 2023-05-1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의 증발가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6856B2 (ja) * 2017-08-31 2021-07-21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576B1 (ko) * 2019-12-12 2021-02-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70844A (ko) *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밀폐 연료탱크 내부 압력 기반 증발가스 퍼지 제어 방법 및 증발가스 퍼지 시스템
KR20230069268A (ko) * 2021-11-11 2023-05-1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의 증발가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1309B1 (ko)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4792B2 (en) Abnormality diagnosing apparatus for vehicle
US6220229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leak
JP2533350Y2 (ja) 内燃エンジンの燃料蒸気排出抑止装置
KR101262195B1 (ko) 자동차용 탱크 통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64384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fuel evaporative emissions from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2038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 state of evaporative emission-control system
KR102624461B1 (ko) 내연기관용 크랭크케이스 환기 디바이스의 크랭크케이스 환기 라인의 누출을 진단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9980036338A (ko) 캐니스터 퍼지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131743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KR100290337B1 (ko) 차량용증발가스퍼지제어시스템및그방법
US6041648A (en) Method for avoiding misdetection in a diagnosis of a tank ven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0401547B1 (ko) 차량의 캐니스터 퍼지 농도 보정방법
KR102214576B1 (ko)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161575Y1 (ko) 캐니스터 퍼지 시스템
KR0183242B1 (ko) 캐니스터 퍼지 밸브 고장진단 방법
KR19980085136A (ko) 증발가스 파이프의 액상 연료 고임 방지구조
US11499494B1 (en) Method for diagnosing fuel leakage of a vehicle
KR19980078553A (ko) 증발가스 투과량 측정장치 및 방법
KR100296601B1 (ko)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환기 확인장치 및 방법
KR0170858B1 (ko) 자동차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장치의 누설검사장치와 그 방법
KR19980017146A (ko) 자동차의 증발가스 정화 방법
JP2646936B2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KR100553476B1 (ko) 자동차용 캐니스터의 구조
KR100269972B1 (ko) 퍼지시 기본 연료량 보상 장치 및 방법
CN112523881A (zh) 用于运行带有hc传感器的内燃机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