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6083A - Head mounted display - Google Patents

Head mounted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6083A
KR19980036083A KR1019960054562A KR19960054562A KR19980036083A KR 19980036083 A KR19980036083 A KR 19980036083A KR 1019960054562 A KR1019960054562 A KR 1019960054562A KR 19960054562 A KR19960054562 A KR 19960054562A KR 19980036083 A KR19980036083 A KR 19980036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branching means
video
head mounted
mount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5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20595B1 (en
Inventor
허세헌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54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595B1/en
Priority to US08/806,886 priority patent/US5751493A/en
Priority to GB9703962A priority patent/GB2319423B/en
Priority to SG1997000513A priority patent/SG52924A1/en
Priority to TW086102521A priority patent/TW319865B/en
Priority to JP9047614A priority patent/JPH10148790A/en
Publication of KR19980036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0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59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로 동작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발생된 영상신호를 두갈래로 분기시키는 제 1 분기수단과, 상기 제 1 분기수단에 의해 두 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한쪽 영상신호를 반사시켜 사용자의 한쪽 눈의 망막에 영상 초점이 맺히도록 하는 제 1 오목거울과, 상기 제 1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다른쪽 영상신호를 두갈래로 분기시키는 제 2 분기수단과, 상기 제 2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한쪽 영상신호를 반사시켜 사용자의 다른쪽 눈의 망막에 영상 초점이 맺히도록 하는 제 2 오목거울과, 상기 제 2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다른쪽 영상신호를 외부에서 볼수 있도록 외부로 투과시키는 렌즈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동작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무게가 가벼워 사용이 편리하고, 하나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에 부가되는 회로 및 부품을 줄일 수 있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가격을 줄일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mounted display operated with one video displa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display device, a first branching means for bifurcating a video signal generated from the one display apparatus, and one video signal among two video signals bifurcated by the first branching means. A second concave mirror for reflecting the image to focus the image on the retina of one eye of the user, and a second branch means for branching the other video signal of the video signal bifurcated by the first branching means. And a second concave mirror for reflecting one of the video signals bifurcated by the second branching means to focus the image on the retina of the other eye of the user. Provides a head-mounted display including a lens for transmitting the other video signal out of the forked video signal to the outside for viewing. There are Jing. Therefor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be operated by one video display device, the weight of the head mounted display is light and easy to use, and the cost of the head mounted display can be reduced because one video display module and circuits and components added thereto can be reduced. Can be reduced

Description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상태로 어학교육 및 영화, 음악감상 등에 사용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mount display (Head Mount Display) used in language education, movies, music listening, etc. while being worn on a user's head.

종래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2개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LCD) (1)(2)를 사용하며, 이 2개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1)(2)는 사용자의 양쪽 눈(5)(6) 앞에 각각 위치되도록 배치된다.A conventional head mount display uses two video display devices (e.g., LCD) 1, 2,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1, and these two video display devices 1 ( 2) are arranged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both eyes 5 and 6 of the user, respectively.

그리고 사용자의 양쪽 눈(5)(6)과 2개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1)(2)와의 사이에는 상기 2개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1)(2)로부터 양쪽 눈(5)(6)으로 오는 영상신호를 사용자의 양쪽 눈(5)(6)의 망막에 영상이 잘 결상될 수 있도록 초점 조절하는 렌즈(3)(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And an image coming from the two video display devices 1 and 2 to both eyes 5 and 6 between the eyes 5 and 6 of the user and the two video display devices 1 and 2. Lenses 3 and 4 are provided for focusing signals so that images can be well formed in the retina of both eyes 5 and 6 of the user.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2개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1)(2)를 필요로 하고, 또한 이들 2개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발생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데 같은 시스템이 중복적으로 필요하게 됨에따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무게가 증가되어 사용이 불편하고, 고가이어서 경제적인 부담이 따르고, 부가적인 전자회로등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head mounted displa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quires two video display devices (1) and (2), and also requires the same system to process video signals generated from these two video display devices in duplicat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eight of the head mounted display is increased, so it is inconvenient to use, expensive, and economical burden is required, and additional electronic circuits are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무게가 가벼워 사용이 편리하고, 하나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에 부가되는 회로 및 부품을 줄일 수 있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가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light weight of the head mounted display is convenient to u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the head mounted display by reducing one video display module and the circuit and components added thereto The purpose is to provide a head mounted display.

도 1은 종래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head mounted displa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head mounte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제 1 실시예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head mounte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1 :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12,13 : 제 1, 제 2 빔스프리터11: video display device 12, 13: first, second beam splitter

14,15 : 제 1, 제 2 오목거울16,17 : 자외선 필터14,15: 1st, 2nd concave mirror 16,17: UV filter

18,19 : 양쪽 눈20 : 렌즈18,19: both eyes 20: lens

21 : 셔터 22 : 스크린21: shutter 22: screen

23 :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3: display driving circuit

상술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발생된 영상신호를 두갈래로 분기시키는 제 1 분기수단과, 상기 제 1 분기수단에 의해 두 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한쪽 영상신호를 반사시켜 사용자의 한쪽 눈의 망막에 영상 초점이 맺히도록 하는 제 1 오목거울과, 상기 제 1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다른쪽 영상신호를 두갈래로 분기시키는 제 2 분기수단과, 상기 제 2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한쪽 영상신호를 반사시켜 사용자의 다른쪽 눈의 망막에 영상 초점이 맺히도록 하는 제 2 오목거울과, 상기 제 2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다른쪽 영상신호를 외부에서 볼수 있도록 외부로 투과시키는 렌즈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display device, a first branching means for bifurcating the video signal generated from the one display device, and the first branching means. A first concave mirror for reflecting one of the forked image signals to focus the image on the retina of one eye of the user, and the other of the video signals bifurcated by the first diverging means. A second branching means for bifurcating; a second concave mirror for reflecting one video signal out of the bifurcated video signal by the second bifurcation means to form an image focus on the retina of the other eye of the user; And a lens for transmitting the other video signal out of the video signal bifurcated by the second branching means to the outside for viewing. To provide a de-mounted display may have its feature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하나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발생된 영상신호를 두갈래로 분기시키는 제 1 분기수단과, 상기 제 1 분기수단에 의해 두 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한쪽 영상신호를 반사시켜 사용자의 한쪽 눈의 망막에 영상 초점이 맺히도록 하는 제 1 오목거울과, 상기 제 1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다른쪽 영상신호를 두갈래로 분기시키는 제 2 분기수단과, 상기 제 2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한쪽 영상신호를 반사시켜 사용자의 다른쪽 눈의 망막에 영상 초점이 맺히도록 하는 제 2 오목거울과, 상기 제 2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다른쪽 영상신호를 외부에서 볼수 있도록 외부로 투과시키는 렌즈와, 영상기기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입력 받아서 상기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display apparatus, first branching means for branching a video signal generated from the one display apparatus, and an image branched in two by the first branching means. A first concave mirror for reflecting one video signal out of the signals to focus the image on the retina of one eye of the user, and for branching the other video signal bifurcated among the video signals bifurcated by the first branching means. A second concave mirror for reflecting one of the video signals bifurcated by the second branching means, the second concave mirror to focus the image on the retina of the other eye of the user, and the second branching means. A lens for transmitting the other video signal out of the video signal divided into two branches by means, and the audio / video signal of the video device. To provide a head-mounted display including a display driving circuit for receiving and selectively supplying to the video display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제 1 실시예의 정면도이다.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head mounte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제 1 실시예는, 하나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11)의 전방에 이 디스플레이 장치(11)로 부터 발생된 영상신호를 두갈래로 분기시키는 제 1 분기수단이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분기수단은 영상신호를 반사 및 투과시키는 제 1 빔스프리터(12)로 이루어지고, 이 제 1 빔스프리터(12)의 투과 및 반사 비율은 3 : 1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first embodiment of the head mounte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isects an image signal generated from this display device 11 in front of one video display device 11. A first branching means for branching is located. The first branching means comprises a first beam splitter 12 that reflects and transmits an image signal, and the transmission and reflection ratio of the first beam splitter 12 is 3: 1.

그리고 제 1 빔스프리터(12)의 전방에는 제 1 빔스프리터(12)로부터 반사된 영상신호를 사용자의 한쪽 눈(18)의 망막에 영상 초점이 맺히도록 반사시키는 제 1 오목거울(14)이 설치된다.In addition, in front of the first beam splitter 12, a first concave mirror 14 for reflecting the image signal reflected from the first beam splitter 12 so as to focus the image on the retina of one eye 18 of the user is installed. do.

그리고 제 1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1 빔스프리터(12)의 일측에는 제 1 빔스프리터(12)를 투과한 영상신호를 두갈래로 분기시키는 제 2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2 빔스프리터(13)가 상기 제 1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1 빔스프리터(12)와 나란하게 설치되고, 제 2 빔스프리터(13)는 영상신호의 투과 및 반사 비율이 1 : 1 로 이루어진다.On the one side of the first beam splitter 12 as the first branching means, a second beam splitter 13 as the second branching means for branching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beam splitter 12 into two branches is provided. It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beam splitter 12 as branching means, and the second beam splitter 13 has a transmission and reflection ratio of a video signal of 1: 1.

그리고 제 2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2 빔스프리터(13)의 전방에는 제 2 빔스프리터(13)로부터 반사된 영상신호를 사용자의 다른쪽 눈(19)의 망막에 영상 초점이 맺히도록 반사시키는 제 2 오목거울(15)이 설치되고, 제 1, 제 2 빔스프리터(12)(13)와 양쪽 눈(18)(19) 사이에는 자외선 필터(16)(17)가 각각 설치된다.And a second concave for reflecting the image signal reflected from the second beam splitter 13 to the retina of the other eye 19 of the user in front of the second beam splitter 13 as the second branching means. The mirror 15 is provided, and the ultraviolet filter 16, 17 is provided between the 1st, 2nd beam splitter 12, 13, and both eyes 18, 19, respectively.

그리고 제 2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2 빔스프리터(13)를 투과한 영상신호를 외부에서 볼수 있도록 외부로 투과시키는 렌즈(20)가 제 2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2 빔스프리터(13)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 렌즈(20)의 전면에는 영상신호가 외부로 투과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셔터(21)가 설치되며, 셔터(21)의 일측에는 렌즈(20)를 투과한 영상신호가 투영되는 스크린(22)이 설치된다.A lens 20 for transmitting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beam splitter 13 as the second branch means to the outside for viewing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beam splitter 13 as the second branch means. The front surface of the lens 20 is provided with a shutter 21 for selectively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the image signal to the outside, the screen 22 on which one side of the shutter 21 is projected imag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lens 20 ) Is installed.

그리고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11)로는 액정표시소자(LCD)나 음극선관(CRT Tube)등이 사용되고, 각종 영상기기로는 PC, VCR, LDP(CDP) 등을 예로 들 수 있다.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cathode ray tube (CRT Tube), or the like is used as the video display device 11, and various video devices include PC, VCR, LDP (CDP), and the like.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제 1 실시예는, 하나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11)로부터 발생된 영상신호가 제 1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1 빔스프리터(12)에 의해 투과 및 반사 비율이 3 : 1의 비율로 분기되고, 이중 제 1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1 빔스프리터(12)에 의해 반사된 영상신호는 제 1 오목거울(14)에 의해 사용자의 한쪽 눈(18)의 망막에 영상 초점이 맺히도록 반사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head mounte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ssion and reflection ratio of the video signal generated from one video display apparatus 11 is reduced by the first beam splitter 12 serving as the first branching means. The image signal, which is branched at a ratio of 1 and reflected by the first beam splitter 12 as the first branching means, is focused by the first concave mirror 14 on the retina of one eye 18 of the user. Reflected to form.

그리고 제 1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1 빔스프리터(12)를 투과한 영상신호는 제 2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2 빔스프리터(13)에 의해 투과 및 반사 비율이 1 : 1인 비율로 다시 분기되고, 이중 제 2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2 빔스프리터(13)에 의해 반사된 영상신호는 제 2 오목거울(15)에 의해 사용자의 다른쪽 눈(19)의 망막에 영상 초점이 맺히도록 반사된다.Then,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beam splitter 12 as the first branching means is again branched by the second beam splitter 13 as the second branching means at a ratio of 1: 1 in transmission and reflection ratio. The image signal reflected by the second beam splitter 13 as the bifurcation means is reflected by the second concave mirror 15 so as to focus the image on the retina of the other eye 19 of the user.

그리고 제 1, 제 2 오목거울(14)(15)로부터 반사된 영상신호는 제 1, 제 2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1, 제 2빔스프리터(12)(13)와 사용자의 양쪽 눈(18)(19) 사이에 각각 설치된 자외선 필터(16)(17)에 의해 자외선이 차단된 상태로 사용자의 양쪽 눈(18)(19)으로 각각 입사되게 된다.The video signals refl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ncave mirrors 14 and 15 are first and second beam splitters 12 and 13 serving as first and second branching means and both eyes 18 of the user ( 19 are respectively incident to both eyes 18 and 19 of the user in the state where the ultraviolet rays are blocked by the ultraviolet filters 16 and 17 respectively provided between them.

그리고 제 2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2 빔스프리터(13)를 투과한 영상신호는 렌즈(20)를 투과한 후 셔터(21)에 의해 선택적으로 스크린(22)으로 투영되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22)을 통해 외부에서도 사용자가 보고 있는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The imag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beam splitter 13 as the second branching means is selectively projected onto the screen 22 by the shutter 21 after passing through the lens 20. Therefore, the screen 22 allows the user to see the image from outside.

따라서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하나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동작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 2개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던 방식에 비하여 무게가 가벼워 사용이 편리하고, 하나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모듈을 줄일 수 있으므로 주변회로 및 재료비를 등의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head mounted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igned to be operated by one video display device. Therefore, the head mounted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ghter in weight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of using two video display devices. Therefore, the cost of the peripheral circuit and material costs can be reduc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head mounte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제 2 실시예는, 하나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11)의 전방에 이 디스플레이 장치(11)로 부터 발생된 영상신호를 두갈래로 분기시키는 제 1 분기수단이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분기수단은 영상신호를 반반사 및 반투과시키는 제 1 빔스프리터(12)로 이루어지고, 이 제 1 빔스프리터(12)의 투과 및 반사 비율은 3 : 1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5,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head mounte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isects a video signal gene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11 in front of one video display device 11. The first branch means is located. The first branching means comprises a first beam splitter 12 for semi-reflecting and semi-transmitting an image signal, and the transmission and reflection ratio of the first beam splitter 12 is 3: 1.

그리고 제 1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1 빔스프리터(12)의 전방에는 제 1 빔스프리터(12)로부터 반사된 영상신호를 사용자의 한쪽 눈의 망막에 영상 초점이 맺히도록 반사시키는 제 1 오목거울(14)이 설치된다.The first concave mirror 14 reflecting the image signal reflected from the first beam splitter 12 in front of the first beam splitter 12 as the first branching means so as to focus the image on the retina of one eye of the user. This is installed.

그리고 제 1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1 빔스프리터(12)를 투과한 영상신호를 두갈래로 분기시키는 제 2 분기수단이 제 1 분기수단과 나란하게 설치되고, 이 제 2 분기수단은 입사된 영상신호의 투과 및 반사 비율이 1 : 1 인 제 2 빔스프리터(13)로 이루어진다.A second branching means for bifurcating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beam splitter 12 as the first branching means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branching means. The second beam splitter 13 has a transmission and reflection ratio of 1: 1.

그리고 제 2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2 빔스프리터(13)의 전방에는 제 2 빔스프리터(13)로부터 반사된 영상신호를 사용자의 다른쪽 눈(19)의 망막에 영상 초점이 맺히도록 반사시키는 제 2 오목거울(15)이 설치되고, 제 1, 제 2 빔스프리터(12)(13)와 양쪽 눈(18)(19) 사이에는 자외선 필터(16)(17)가 각각 설치된다.And a second concave for reflecting the image signal reflected from the second beam splitter 13 to the retina of the other eye 19 of the user in front of the second beam splitter 13 as the second branching means. The mirror 15 is provided, and the ultraviolet filter 16, 17 is provided between the 1st, 2nd beam splitter 12, 13, and both eyes 18, 19, respectively.

그리고 제 2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2 빔스프리터(13)를 투과한 영상신호를 외부에서 볼수 있도록 외부로 투과시키는 렌즈(20)가 제 2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2 빔스프리터(13)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 렌즈(20)의 전면에는 영상신호가 외부로 투과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셔터(21)가 설치되며, 셔터(21)의 일측에는 렌즈(20)를 투과한 영상신호가 투영되는 스크린(22)이 설치된다.A lens 20 for transmitting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beam splitter 13 as the second branch means to the outside for viewing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beam splitter 13 as the second branch means. The front surface of the lens 20 is provided with a shutter 21 for selectively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the image signal to the outside, the screen 22 on which one side of the shutter 21 is projected imag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lens 20 ) Is installed.

그리고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1)의 일측에는 각종 영상기기 예를 들면 PC, VCR, LDP(CDP)등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입력 받아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3)가 설치된다.One display device 11 is provided with a display driving circuit 23 for receiving audio / video signals of various video devices, such as PC, VCR, LDP (CDP), and selectively supplying them to the video display device. do.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제 2 실시예는, 하나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11)로부터 발생된 영상신호가 제 1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1 빔스프리터(12)에 의해 투과 및 반사 비율이 3 : 1의 비율로 분기되고, 이중 제 1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1 빔스프리터(12)에 의해 반사된 영상신호는 제 1 오목거울(14)에 의해 사용자의 한쪽 눈(18)의 망막에 영상 초점이 맺히도록 반사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head mounte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ssion and reflection ratio of the video signal generated from one video display apparatus 11 is reduced by the first beam splitter 12 serving as the first branching means. The image signal, which is branched at a ratio of 1 and reflected by the first beam splitter 12 as the first branching means, is focused by the first concave mirror 14 on the retina of one eye 18 of the user. Reflected to form.

그리고 제 1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1 빔스프리터(12)를 투과한 영상신호는 제 2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2 빔스프리터(13)에 의해 투과 및 반사 비율이 1 : 1인 비율로 다시 분기되고, 이중 제 2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2 빔스프리터(13)에 의해 반사된 영상신호는 제 2 오목거울(15)에 의해 사용자의 다른쪽 눈(19)의 망막에 영상 초점이 맺히도록 반사된다.Then,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beam splitter 12 as the first branching means is again branched by the second beam splitter 13 as the second branching means at a ratio of 1: 1 in transmission and reflection ratio. The image signal reflected by the second beam splitter 13 as the bifurcation means is reflected by the second concave mirror 15 so as to focus the image on the retina of the other eye 19 of the user.

그리고 제 1, 제 2 오목거울(14)(15)로부터 반사된 영상신호는 제 1, 제 2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1, 제 2빔스프리터(12)(13)와 사용자의 양쪽 눈(18)(19) 사이에 각각 설치된 자외선 필터(16)(17)에 의해 자외선이 차단된 상태로 사용자의 양쪽 눈(18)(19)으로 각각 입사되게 된다.The video signals refl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ncave mirrors 14 and 15 are first and second beam splitters 12 and 13 serving as first and second branching means and both eyes 18 of the user ( 19 are respectively incident to both eyes 18 and 19 of the user in the state where the ultraviolet rays are blocked by the ultraviolet filters 16 and 17 respectively provided between them.

그리고 제 2 분기수단으로서의 제 2 빔스프리터(13)를 투과한 영상신호는 렌즈(20)를 투과한 후 셔터(21)에 의해 선택적으로 스크린(22)으로 투영되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22)을 통해 외부에서도 사용자가 보고 있는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The imag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beam splitter 13 as the second branching means is selectively projected onto the screen 22 by the shutter 21 after passing through the lens 20. Therefore, the screen 22 allows the user to see the image from outside.

그리고 하나의 비디오 디스프레이 장치(11)의 일측에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3)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각종 영상기기인 PC, VCR, LDP(CDP) 등을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a display driving circuit 23 is provided at one side of one video display device 11, PC, VCR, LDP (CDP), etc., which are various video devices, may be connected and used selective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의하면, 하나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동작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 2개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던 방식에 비하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무게가 가벼워 사용이 편리하고, 하나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에 부가되는 회로 및 부품을 줄일 수 있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가격을 줄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ad mounted display is operated by a single video display device, the head mounted display is lighter in weight than the conventional two video display devices, and thus the user is easy to use. One video display module and the circuits and components added thereto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the head mounted display.

Claims (10)

하나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와,With one video display device,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발생된 영상신호를 두갈래로 분기시키는 제 1 분기수단과,First branching means for bifurcating the video signal generated from the one display device; 상기 제 1 분기수단에 의해 두 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한쪽 영상신호를 반사시켜 사용자의 한쪽 눈의 망막에 영상 초점이 맺히도록 하는 제 1 오목거울과,A first concave mirror for reflecting one of the video signals bifurcated by the first branching means to focus the image on the retina of one eye of the user; 상기 제 1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다른쪽 영상신호를 두갈래로 분기시키는 제 2 분기수단과,Second branching means for bifurcating the other video signal of the video signal bifurcated by the first branching means; 상기 제 2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한쪽 영상신호를 반사시켜 사용자의 다른쪽 눈의 망막에 영상 초점이 맺히도록 하는 제 2 오목거울과,A second concave mirror for reflecting one of the video signals bifurcated by the second branching means to focus the image on the retina of the other eye of the user; 상기 제 2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다른쪽 영상신호를 외부에서 볼수 있도록 외부로 투과시키는 렌즈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And a lens for transmitting the other video signal out of the video signals bifurcated by the second branching means to be viewed from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기수단은 입사된 영상신호의 투과 및 반사 비율이 3 : 1인 빔스프리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분기수단은 입사된 영상신호의 투과 및 반사 비율이 1 : 1 인 빔스프리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branching means comprises a beam splitter having a transmission and reflection ratio of an incident video signal of 3: 1, and the first branching means has a transmission and reflection ratio of 1: 1. Head mounted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one-in-one beam split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분기수단과 양쪽눈 사이에는 자외선 필터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The head mounted displa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ltraviolet filter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ranch means and both ey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다른쪽 영상신호를 외부에서 볼수 있도록 외부로 투과시키는 렌즈의 전면에 스크린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The head mounted displa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creen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lens for transmitting the other video signal out of the video signals bifurcated by the second branching means to the outside.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다른쪽 영상신호를 외부에서 볼수 있도록 외부로 투과시키는 렌즈의 전면에 영상신호가 외부로 투과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셔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The image signal of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imag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lens through which the other video signal of the video signal bifurcated by the second branching means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for viewing. Head mounted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the shutter is installed to block the thing. 하나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와,With one video display device,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발생된 영상신호를 두갈래로 분기시키는 제 1 분기수단과,First branching means for bifurcating the video signal generated from the one display device; 상기 제 1 분기수단에 의해 두 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한쪽 영상신호를 반사시켜 사용자의 한쪽 눈의 망막에 영상 초점이 맺히도록 하는 제 1 오목거울과, 상기 제 1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다른쪽 영상신호를 두갈래로 분기시키는 제 2 분기수단과,A first concave mirror for reflecting one of the video signals bifurcated by the first branching means to form an image focus on the retina of one eye of the user, and bifurcated by the first branching means. A second branching means for bifurcating the other video signal of the received video signal; 상기 제 2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한쪽 영상신호를 반사시켜 사용자의 다른쪽 눈의 망막에 영상 초점이 맺히도록 하는 제 2 오목거울과, 상기 제 2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다른쪽 영상신호를 외부에서 볼수 있도록 외부로 투과시키는 렌즈와,A second concave mirror for reflecting one of the video signals bifurcated by the second diverging means to focus the image on the retina of the other eye of the user, and bisected by the second diverging means. A lens for transmitting the other video signal out of the branched video signals to the outside for viewing 영상기기의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입력 받아서 상기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And a display driving circuit for receiving an audio / video signal of an imaging device and selectively supplying the audio / video signal to the video display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기수단은 입사된 영상신호의 투과 및 반사 비율이 3 : 1인 빔스프리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분기수단은 입사된 영상신호의 투과 및 반사 비율이 1 : 1 인 빔스프리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branching means comprises a beam splitter having a transmission and reflection ratio of an incident video signal of 3: 1, and the first branching means has a transmission and reflection ratio of an incident video signal of 1: 1. Head mounted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one-in-one beam splitt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분기수단과 양쪽눈 사이에는 자외선 필터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7. The head mounted display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ultraviolet filter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ranch means and both ey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다른쪽 영상신호를 외부에서 볼수 있도록 외부로 투과시키는 렌즈의 전면에 스크린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7. The head mounted display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screen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lens for transmitting the other video signal out of the video signals bifurcated by the second branching means to the outside. 제 6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기수단에 의해 두갈래로 분기된 영상신호중 다른쪽 영상신호를 외부에서 볼수 있도록 외부로 투과시키는 렌즈의 전면에 영상신호가 외부로 투과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셔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0.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wherein the imag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lens through which the other video signal of the video signal divided into two branches by the second branching means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Head mounted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the shutter is installed to block the thing.
KR1019960054562A 1996-11-15 1996-11-15 Head mounted display KR1002205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562A KR100220595B1 (en) 1996-11-15 1996-11-15 Head mounted display
US08/806,886 US5751493A (en) 1996-11-15 1997-02-25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with a single image display device
GB9703962A GB2319423B (en) 1996-11-15 1997-02-26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with a single image display device
SG1997000513A SG52924A1 (en) 1996-11-15 1997-02-27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with a single image display device
TW086102521A TW319865B (en) 1996-11-15 1997-03-03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with a single image display device
JP9047614A JPH10148790A (en) 1996-11-15 1997-03-03 Head-mounted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562A KR100220595B1 (en) 1996-11-15 1996-11-15 Head mounted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083A true KR19980036083A (en) 1998-08-05
KR100220595B1 KR100220595B1 (en) 1999-09-15

Family

ID=1948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562A KR100220595B1 (en) 1996-11-15 1996-11-15 Head mounted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59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938B1 (en) * 2001-07-09 2004-04-28 전자부품연구원 Micro display module for portable mobile tele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938B1 (en) * 2001-07-09 2004-04-28 전자부품연구원 Micro display module for portable mobile tele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0595B1 (en)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4001B1 (en) Spectacle type retina direct display apparatus
US6421183B1 (en) Head-mounted display
US5078469A (en) Optical system which allows coincident viewing, illuminating and photographing
US20060052146A1 (en) Heated mounted display device with mobile phone functions
EP0989449A3 (en) Optical system for rear projection picture display apparatus
JPH11174368A (en) Picture display device
JPH10148790A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CN112285934B (en) Image display device and wearable equipment
US5601352A (en) Image display device
US6061182A (en) Combiner for superimposing a display image on to an image of an external scene
EP0693701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symbology display into a night vision system
EP1307132B1 (en) Visual field tester
US7403337B2 (en) Focus adjustable head mounted display system and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the system
JP2000171749A (en) Mounting-on-head type display device
US5042930A (en) Optical system which allows coincident viewing, illuminating and photographing
JPH08320451A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JP2679176B2 (en) Video display
KR100220595B1 (en) Head mounted display
KR100225515B1 (en) 3d head mounted display
US20020180662A1 (en) Optical system for head mounted display
KR19980036085A (en) Head mounted display
JP2000241750A (en) Video display device
JP2002131694A (en) Image observing device and image observing system using the same
JP2002287079A (en) Video imparting device
KR19980079115A (en) Head mounted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