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621A - Countertop Drainer - Google Patents

Countertop Dr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621A
KR19980033621A KR1019980015796A KR19980015796A KR19980033621A KR 19980033621 A KR19980033621 A KR 19980033621A KR 1019980015796 A KR1019980015796 A KR 1019980015796A KR 19980015796 A KR19980015796 A KR 19980015796A KR 19980033621 A KR19980033621 A KR 19980033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basket
drawer
drainer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57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은
Original Assignee
김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은 filed Critical 김성은
Priority to KR101998001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3621A/en
Publication of KR1998003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621A/en

Lin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에 설치된 서랍을 통해 설거지에 필요한 부엌용품들을 정돈 비치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물기가 있는 부엌용품에서 떨어지는 물을 배수시켜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100)(200)를 제공하는 것으로, 싱크대(10)의 전면에 서랍틀(10)을 통해 슬라이드 되게 설치되는 서랍(20), 상기 서랍(20) 내에 설치되고 메인 드레인 호스(14)와 연결되는 배수수단을 갖는 싱크(30), 상기 싱크(30)에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종 부엌용품을 비치하는 용품바구니(40)(50)로 구성함.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kitchen utensils required for washing dishes through a drawer installed in the sink while at the same time to drain the water falling from the wet kitchen utensils kitchen utensils drainer (100) ( 200 is provided, the drawer 20 is installed to slide through the drawer frame 10 in the front of the sink 10, the drainage means installed in the drawer 20 and connected to the main drain hose 14 Has a sink 30, installed in the sink 30 detachably comprises a basket of supplies (40, 50) having a variety of kitchen appliances.

Description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Countertop Drainer

본 발명은 주방에 설치되는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싱크대의 전면에 부엌용품 드레이너(drainer)를 설치하여 이를 통해 주로 설거지에 필요한 부엌용품을 비치시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installed in a kitchen, and in particular, a kitchen utensil drainer (drainer)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sink kitchen utensils drainer of the sink so that the kitchen utensils necessary for washing dishes can be used hygienically through this It is about.

통상적으로 주방에서 사용되는 싱크대에는 수도꼭지가 부근에 설치되어 설거지를 하게 된다.The sink used in the kitchen is usually installed near the faucet to wash dishes.

이때 설거지에 필요한 부엌용품은 수세미(scourer), 스펀지(sponge), 행주(dish towel), 병솔(bottle washer), 세제(합성세제 또는 중성세제), 비누, 고무장갑 등이다.Kitchen utensils required for washing dishes are scourer, sponge, dish towel, bottle washer, detergent (synthetic or neutral detergent), soap, rubber gloves, and the like.

이러한 부엌용품들은 대개의 경우 싱크대의 전면에 구성되는 서랍, 찬장과 싱크대의 상부면에 구성되는 수채판(drainboard)과 조리대(counter), 또는 싱크대의 인근 벽에 양면테이프 등으로 부착된 바구니 또는 걸이대 등을 통해 비치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각 부엌용품들이 분산 비치되어 사용에 불편을 주게 된다.These kitchen utensils are usually baskets or hangers attached to drawers on the front of the sink, drainboards and counters on the upper sides of the cupboards and sinks, or double-sided tapes on the neighboring walls of the sink. Because it is provided through the back, each kitchen utensils are distributed, causing inconvenience to use.

특히 설거지 후에 물기를 먹은 수세미, 스펀지, 행주, 병솔 및 물기가 묻은 고무장갑 등은 물기를 빼기 위해 앞서 설명된 바구니나 걸이대를 이용하여 비치하게 되는 바, 이들 모두는 싱크대의 외부로 노출되게 되어 싱크대의 외관을 가장 해치는 존재가 된다.In particular, scrubbed scrubs, sponges, cloths, bottle brushes, and wet rubber gloves after washing dishes are provided using the basket or hanger described above to drain the water, all of which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ink. Being the most damaging appearanc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거지 후에 물기가 있는 수세미, 스펀지, 행주, 병솔 및 고무장갑 등은 물기가 방울지어 싱크대로 떨어지게 되어 싱크대 및 그 주위를 오염시키게 된다.And after washing the dish as described above, the wet scrubber, sponge, cloth, bottle brush and rubber gloves, etc., the water drops to the sink to pollute the sink and its surroundings.

나아가 상기와 같은 수세미, 스펀지, 행주, 병솔, 비누 및 고무장갑들을 비치할 곳이 마땅치 않아 수채판 또는 조리대에 아무렇게나 놓게 되어 세균이 번식하게 되고, 또한 행주나 고무장갑의 경우 수도꼭지에 걸쳐놓는 등 매우 비위생적으로 관리되고 있다.Furthermore, since there is no place to have such a scrubber, sponge, dish towel, bottle brush, soap and rubber gloves, they are placed on a sink plate or countertop anyway, and bacteria grow, and dishcloth or rubber gloves are placed on a faucet. It is unsanitary managed.

이와 같이 종래에는 싱크대가 설치된 부엌에서 설거지를 할 때 부엌용품들의 정리정돈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 못할 뿐더러 특히 물기가 있는 부엌용품들의 관리가 매우 허술하여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싱크대를 오염시키는 가장 큰 원인을 제공하였다.As such, in the conventional kitchen, when washing dishes in a kitchen with a sink, the kitchen appliances are not properly organized, and especially the wet kitchen appliances are very poorly managed, which is not sanitary and is the biggest cause of contaminating the sink. Provi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싱크대에 설치된 서랍을 통해 설거지에 필요한 부엌용품들을 정돈 비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물기가 있는 부엌용품에서 떨어지는 물을 배수시켜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drawer installed in the sink to prepare the kitchen utensils needed for washing dishes and at the same time draining the water falling from the wet kitchen utensil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itchen utensil drainer for a sink that can be hygienically stor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싱크대의 전면에 슬라이드 되게 설치되는 서랍, 상기 서랍 내에 설치되고 메인 드레인 호스와 연결되는 배수수단을 갖는 싱크(sink), 상기 싱크에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종 부엌용품을 비치하는 용품바구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awer installed to slide in front of the sink, a sink installed in the drawer and having a drainage means connected to the main drain hose, and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ink.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basket of articles having the article.

상기와 같이 용품바구니에 담겨 있는 부엌용품에 물기가 있는 경우, 싱크로 회수되면서 이와 연결된 배수수단에 의해 메인 드레인 호스로 배수되어 부엌용품을 위생적으로 보관함과 동시에 가지런히 정돈된 상태로 비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f there is water in the kitchen utensils contained in the product basket as described above, it is recovered to the sink and drained to the main drain hose by the drainage means connected to it so that it is possible to keep the kitchen utensils and at the same time neatly arranged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의 분리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kitchenware drainer of the sin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조립단면도.2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부엌용품 드레이너의 사용예시도.Figure 3 is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kitchen utensils dr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부엌용품 바구니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kitchen utensil baske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부엌용품 드레이너의 다른 실시 예의 분리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kitchenware dr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부엌용품 드레이너의 또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kitchenware dr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싱크대 12 : 서랍틀10: sink 12: drawer frame

14 : 메인 드레인 호스 16, 20 : 서랍14: main drain hose 16, 20: drawer

22, 72 : 안내레일 24, 74 : 손잡이22, 72: guide rail 24, 74: handle

26 : 통기망 30 : 싱크26: Aeration network 30: Sink

32, 44, 54, 57, 76 : 플랜지 34, 78 : 바닥32, 44, 54, 57, 76: flange 34, 78: floor

36, 80 : 배수구 38, 82 : 드레인 튜브36, 80 drain 38, 82 drain tube

40, 50 : 용품바구니 42, 52 : 바구니40, 50: basket 42, 52: basket

46, 56 : 서브바구니 48, 58 : 걸이대46, 56: sub basket 48, 58: hanger

60 : 걸고리 70 : 서랍형 싱크60: hook 70: drawer sink

90 : 자외선살균건조등 100, 200 : 부엌용품 드레이너90: UV sterilization dry light 100, 200: kitchenware drainer

A : 세제 B : 수세미A: Detergent B: Scrubber

C : 스펀지 D : 행주C: sponge D: cloth

E : 고무장갑E: Rubber Gloves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부엌용품 드레이너의 사용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kitchen appliance drainer of the sin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3 shows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kitchen appliance dr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엌용품 드레이너(100)는, 싱크대(10)의 전면을 구성하는 서랍틀(12)을 통해 서랍(20)이 설치되고, 상기 서랍(20) 내부에는 이 서랍(20)의 크기에 상당하는 싱크(30)가 설치되고, 상기 싱크(30)에는 싱크대(10)의 메인 드레인 호스(14)와 연결되는 배수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싱크(30)에는 각종 부엌용품을 비치하는 용품바구니(40)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1 to 3, the kitchen appliance drai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er 20 is installed through the drawer frame 12 constituting the front of the sink 10, the drawer 20 A sink 30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drawer 20 is installed inside the sink 30, and a drainage means connected to the main drain hose 14 of the sink 10 is installed in the sink 30. 3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basket to supply various kitchen utensils (40).

상기 서랍(20)은, 좌,우 측면에 안내레일(22)이 형성되고, 이 안내레일(22)이 서랍틀(12)에 설치된 롤러(도시안됨)에 의해 슬라이드 되게 설치되며, 상기 서랍(20)의 전면에는 손잡이(24)가 설치되어 상기 서랍(20)은 서랍틀(12)로부터 열리고 닫히게 되며, 또한 상기 서랍(20)은 서랍틀(12)에서 끼었다 빼었다할 수 있게 설치된다.The drawer 20 has guide rails 22 formed at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nd the guide rails 22 are slid by rollers (not shown) installed in the drawer frame 12. A handle 24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drawer 20 so that the drawer 20 is opened and closed from the drawer frame 12, and the drawer 20 is installed to be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drawer frame 12.

상기 서랍(20)에 설치되는 싱크(30)는, 그 상부 테두리에 플랜지(32)가 형성되고, 바닥(34)에는 배수구(36)가 형성되며, 이 배수구(36)의 단부에는 메인 드레인 호스(14)와 연결되는 드레인 튜브(38)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싱크(30)의 바닥(34)으로 유입되는 물은 배수구(36)와 드레인 튜브(38)를 통해 메인 드레인 호스(14)로 배수된다.The sink 30 installed in the drawer 20 has a flange 32 formed at an upper edge thereof, and a drain hole 36 is formed at a bottom 34 thereof, and a main drain hose is formed at an end of the drain hole 36. The drain tube 38 connected with the 14 is provided. Accordingly, water flowing into the bottom 34 of the sink 30 is drained to the main drain hose 14 through the drain 36 and the drain tube 38.

상기에서 싱크(30)의 바닥(34)은 뒤쪽을 향해 한쪽으로 경사를 갖게 형성하고, 그 곳에 배수구(36)를 형성하여 서랍(20)을 열고 닫을 때 배수구(36)와 연결된 드레인 튜브(38)가 서랍틀(12)에서 간섭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bottom 34 of the sink 30 is formed to be inclined to one side toward the rear side, and a drain hole 36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drain tube 38 connected to the drain hole 36 when the drawer 20 is opened and closed. Is preferably not interfered with the drawer frame 12.

그리고 상기 드레인 튜브(38)는 서랍(20)을 열고 닫을 때 이동되는 거리를 감안한 여유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드레인 튜브(38)가 움직일 때의 변형을 감안하여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ain tube 38 preferably has an allowable l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to be moved when the drawer 20 is opened and closed, and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deformation when the drain tube 38 moves. Do.

한편 상기 싱크(30)는, 서랍(20)에 고정될 수 있으나, 청소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랍(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ink 30 may be fixed to the drawer 20, but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drawer 20 to facilitate cleaning.

또한 상기 싱크(30)는, 스테인리스재로 전체를 구성할 수 있으나, 비용을 감안하여 합성수지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ink 30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but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in consideration of cost.

상기 싱크(30)에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품바구니(40)는, 봉을 격자 모양의 틀로 형성하여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바구니(42)로 이루어지며, 이 바구니(42)의 상부 테두리에는 싱크(30)의 플랜지(32)에 얹힐 수 있는 플랜지(44)가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42)의 내부에는 일부를 구획하여 수세미, 스펀지, 비누 등 비교적 작은 용품을 비치할 수 있는 서브바구니(46)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42)의 내부를 가로질러 플랜지(44)의 높이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행주, 고무장갑 등의 용품을 걸어 비치할 수 있는 걸이대(48)가 바구니(42)의 봉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The article basket 40 detachably installed at the sink 30 is formed of a basket 42 having an open top by forming a rod into a lattice-shaped frame, and a sink at an upper edge of the basket 42. A flange 44 which can be mounted on the flange 32 of the 30 is formed, and a part of the basket 42 is divided into a sub basket 46 which can hold a relatively small article such as a loofah, sponge, soap, etc. )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hanger 48 which can hang and place articles such as cloths and rubber gloves across the inside of the basket 42 at a position slight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lange 44 is provided with the basket 42. I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installed at the rod.

상기에서 용품바구니(40)의 높이는, 싱크(30)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구성하여 바구니(42)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44)를 통해 싱크(30)의 플랜지(32)에 얹혀 놓았을 때 바구니(42)의 저면이 싱크(30)의 바닥(34)으로부터 약간 이격되게 하여 용품바구니(40)의 통풍 및 배수가 잘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of the article basket 40 is configured to be slight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ink 30, when placed on the flange 32 of the sink 30 through the flange 44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ket 42 The bottom of 42 is preferably spaced slightly away from the bottom 34 of the sink 30 so that the article basket 40 is well ventilated and drained.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부엌용품 바구니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kitchen utensil baske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용품바구니(50)는 봉을 격자 모양의 틀로 형성하여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바구니(52)로 이루어지며, 이 바구니(52)의 상부 테두리에는 싱크(30)의 플랜지(32)에 얹힐 수 있는 플랜지(54)가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52)에 형성된 플랜지(54)를 통해 얹혀져 바구니(52)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세미, 스펀지, 비누 등 비교적 작은 용품을 비치할 수 있는 서브바구니(56)가 설치되고, 상기 바구니(52)의 내부를 가로질러 플랜지(54)의 높이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행주, 고무장갑 등의 용품을 걸어 비치할 수 있는 걸이대(58)가 바구니(52)의 봉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구니(52)에는 플랜지(54)로부터 약간 하부에 병솔 등의 용품을 걸어 비치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고리(6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As shown, the article basket 50 is formed of a basket 52 having an open shape by forming a rod into a lattice-shaped frame, and the flange 32 of the sink 30 is formed at the upper edge of the basket 52. A flange 54 which can be mounted on the basket 52 is formed, and the flange 54 is mounted on the basket 52 so as to be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basket 52 to have a relatively small article such as a loofah, sponge, soap, and the like. A sub basket 56 is provided, and a hanger 58 for hanging and holding articles such as cloths and rubber gloves at a position slight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lange 54 across the inside of the basket 52 is provided with a basket ( It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rod of 52, and the basket 52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hook 60 so as to hang the article such as a bottle brush on the lower part slightly from the flange 54.

상기에서 서브바구니(56)는 상부 테두리에 플랜지(57)가 형성되어 바구니(52)에 형성된 플랜지(54)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와 같이 서브바구니(56)에 플랜지(57)를 형성하지 않고, 대신 서브바구니(56)의 양측으로 걸고리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바구니(52)의 봉에 걸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the sub basket 56 has a flange 57 formed at an upper edge thereof, and is installed to be movable through the flange 54 formed at the basket 52.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lange 57 is not formed on the sub basket 56 as described above, and instead, hook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b basket 56 so as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rod of the basket 52 through the hooks. You can also install.

상기에서 용품바구니(50)의 높이는, 싱크(30)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구성하여 바구니(52)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54)를 통해 싱크(30)의 플랜지(32)에 얹혀 놓았을 때 바구니(52)의 저면이 싱크(30)의 바닥(34)으로부터 약간 이격되게 하여 용품바구니(50)의 통풍 및 배수가 잘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height of the basket 50 is configured to be slight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ink 30, when the basket is placed on the flange 32 of the sink 30 through the flange 54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ket 52 The bottom of 52 is preferably spaced slightly away from the bottom 34 of the sink 30 so that the article basket 50 is well ventilated and drained.

한편 상기 서브바구니(56)와 걸이대(58)는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구니(52)에서 위치를 다양하게 바꾸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ub basket 56 and the hanger 58 can be used by varying the position in the basket 52 as shown in phantom line in FIG.

상기에서 용품바구니(40)(50)는 스테인리스재로 이루어진 봉을 격자 모양으로 용접하여 구성할 수 있고, 부분적으로 서브바구니(56)와 걸이대(48)(58) 및 걸고리(60)는 합성수지로 제조하여 설치할 수도 있으며, 제조비용을 낮추기 위해 용품바구니(40)(50)를 합성수지재로 제조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the article baskets 40 and 50 can be constructed by welding rods made of stainless steel in a lattice shape, and the sub baskets 56, the hangers 48, 58 and the hooks 60 are made of synthetic resin.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and install, in order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article baskets 40, 5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한편 상기 용품바구니(40)(50)를 구성하는 바구니(42)(52) 및 서브바구니(46)(56)의 형태를 촘촘히 짜여진 그물망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그물망 형태를 이루는 바구니(42)(52) 및 서브바구니(46)(56)는 재질을 스테인리스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the baskets 42 and 52 and the sub baskets 46 and 56 constituting the article baskets 40 and 50 may be formed in a tightly woven net form. Baskets 42 and 52 and the sub baskets 46 and 56 forming the mesh form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or synthetic resin.

한편 상기 용품바구니(40)(50)에 형성되는 플랜지(44)(54)의 4변 길이는 정사각형의 동일 길이로 함으로서, 용품바구니(40)(50)의 방향을 바꾸어 싱크(30)의 플랜지(32)에 얹혀놓더라도, 이 플랜지(32)가 용품바구니(40)(50)의 플랜지(44) (54)를 통해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four sides of the flanges 44 and 54 formed in the article baskets 40 and 50 have the same length of a square, there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article baskets 40 and 50 so that the flanges of the sink 30 are changed. Even if it is placed on (32),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user's convenience by allowing the flange 32 to be accommodated through the flanges 44 and 54 of the article baskets 40 and 50.

도 5는 본 발명의 부엌용품 드레이너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kitchenware dr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엌용품 드레이너(200)는, 싱크대(10)의 전면을 구성하는 서랍틀(12)을 통해 슬라이드 되게 설치되고 싱크대(10)의 메인 드레인 호스(14)와 연결되는 배수수단을 갖는 서랍형 싱크(70)와, 상기 서랍형 싱크(70)에 각종 부엌용품을 비치하는 용품바구니(40) 또는 (50)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As shown, the kitchen appliance drain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slide through the drawer frame 12 constitu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ink 10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drain hose 14 of the sink 10. The drawer-type sink 70 having a drainage means, and the product basket 40 or 50 having various kitchen utensils in the drawer-type sink 70 are detachably installed.

상기 서랍형 싱크(70)는 좌,우 측면에 안내레일(72)이 형성되고, 이 안내레일(72)이 서랍틀(12)에 설치된 롤러(도시안됨)에 의해 슬라이드 되게 설치되며, 상기 서랍형 싱크(70)의 전면몸체(73)에는 손잡이(74)가 설치되어 상기 서랍형 싱크(70)가 서랍틀(12)로부터 열리고 닫히게 되며, 또한 상기 서랍형 싱크(70)는 서랍틀(12)에서 끼었다 빼었다할 수 있게 설치된다.The drawer type sink 70 has guide rails 72 formed on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nd the guide rails 72 are slid by rollers (not shown) installed in the drawer frame 12. A handle 74 is installed on the front body 73 of the type sink 70 so that the drawer sink 70 opens and closes from the drawer frame 12, and the drawer sink 70 also has a drawer frame 12. It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inserted and removed.

그리고 상기 서랍형 싱크(70)의 본체(71)는, 그 상부 테두리에 플랜지(76)가 형성되고, 바닥(78)에는 배수구(80)가 형성되며, 이 배수구(80)의 단부에는 메인 드레인 호스(14)와 연결되는 드레인 튜브(8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서랍형 싱크(70)의 바닥(78)으로 유입되는 물은 배수구(80)와 드레인 튜브(82)를 통해 메인 드레인 호스(14)로 배수된다.In the main body 71 of the drawer sink 70, a flange 76 is formed at an upper edge thereof, a drain hole 80 is formed at a bottom 78, and a main drain is formed at an end of the drain hole 80. A drain tube 82 connected to the hose 14 is installed. Accordingly, water flowing into the bottom 78 of the drawer sink 70 is drained to the main drain hose 14 through the drain 80 and the drain tube 82.

상기에서 서랍형 싱크(70)의 바닥(78)은 뒤쪽을 향해 한쪽으로 경사를 갖게 형성하고, 그 곳에 배수구(80)를 형성하여 서랍형 싱크(70)를 열고 닫을 때 배수구(80)와 연결된 드레인 튜브(82)가 서랍틀(12)에서 간섭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78 of the drawer-type sink 70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one side toward the rear, and the drainage outlet 80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drawer-type sink 70 is connected to the drainage opening 80 when the drawer-type sink 70 is opened and closed. It is desirable to prevent the drain tube 82 from interfering in the drawer 12.

그리고 상기 드레인 튜브(82)는 서랍형 싱크(70)를 열고 닫을 때 이동되는 거리를 감안한 여유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드레인 튜브(82)가 움직일 때의 변형을 감안하여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ain tube 82 preferably has an allowable l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moved when the drawer sink 70 is opened and closed, and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deformation when the drain tube 82 moves. It is preferable.

또한 상기 서랍형 싱크(70)는, 스테인리스재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할 수 있고, 손잡이(74)가 설치되는 전면몸체(73)는 일반 서랍(16)과 동일한 형태의 목재 등으로 형성할 수 있고, 용품바구니(40)(50)가 위치되는 서랍형 싱크(70)의 본체(71)는 상기 전면몸체(73)와 조립형태로 하여 스테인리스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rawer sink 70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or synthetic resin, the front body 73, the handle 74 is installed may be formed of wood and the same shape as the general drawer 16, The main body 71 of the drawer type sink 70 in which the article baskets 40 and 50 are positioned can be manufactured in a stainless stee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in an assembly form with the front body 73.

도 6은 본 발명의 부엌용품 드레이너의 또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6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kitchenware dr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부엌용품 드레이너(100) 또는 (200)의 전면을 구성하는 서랍(20) 또는 서랍형 싱크(70)에 싱크(30)(70)의 내부와 연통되는 통기망(26)(또는 구멍)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기망(26)들을 통해 용품바구니(40) 또는 (50)에 비치되어 젖어 있는 부엌용품의 통풍 및 건조에 도움을 주어 부엌용품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a ventilation network 26 communicating with the interior of the sinks 30 and 70 in the drawer 20 or drawer type sink 70 constituting the front of the kitchen appliance drainer 100 or 200 ( Or at least one hole). Accordingly, the ventilation nets 26 are provided in the product basket 40 or 50 to assist the ventilation and drying of the wet kitchen utensils so that the kitchen utensils can be stored hygienically.

그리고 상기 싱크대(10)의 서랍틀(12) 내에는 용품바구니(40)(50)에 비치되어 있는 부엌용품을 조사하여 살균 및 건조시키는 자외선살균건조등(90)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외선살균건조등(90)을 통해 용품바구니(40)(50)에 비치되어 있는 부엌용품의 살균 및 건조시켜 부엌용품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In the drawer frame 12 of the sink 10,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drying lamp 90 for sterilizing and drying the kitchen utensils provided in the baskets 50 and 50 may be installed and used. Accordingly, by disinfecting and drying the kitchen utensils provided in the baskets 40 and 50 through the UV sterilization drying lamp 90, the kitchen utensils can be stored hygienically.

상기와 같이 설명된 부엌용품 드레이너(100)(200)는 싱크대(10)의 전면 상부위치(즉, 윗서랍)에 배치하여 사용에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부엌용품 드레이너(100)(200)의 아래 단에는 일반용도의 서랍(16)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kitchen utensils drainers 100 and 200 described as above are preferably placed at the front upper position (ie, upper drawer) of the sink 10 to provide convenience for use.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nd use the drawer 16 for general use at the lower end of the kitchen utensils drainers 100 and 200.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부엌용품 드레이너(100)(20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싱크대(10)의 전면 왼쪽 또는 오른쪽에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다.And the kitchen utensils drainer 100, 200 disposed as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left or right of the sink 10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us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부엌용품 드레이너(100)(200)에 설치된 용품바구니(40)(50)에 부엌용품들을 비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Kitchen utensils Drainer (100, 200) is installed in the kitchen baskets 40, 50 can be used to have kitchen utensils.

가령, 설거지에 필요한 세제(A), 수세미(B), 스펀지(C), 행주(D), 고무장갑(E) 세면비누(도시안됨) 등의 부엌용품을 용품바구니(40)(50)에 비치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세미(B), 스펀지(C) 및 비누 등과 같은 비교적 작은 용품은 서브바구니(46)(56)에 비치하고, 세제(A)와 같이 비교적 큰 용품은 바구니(42)(52)에 비치하며, 행주(D)와 고무장갑(E)은 걸이대(48)(58)에 걸어 비치하고, 병솔(도시생략)은 걸고리(60)를 통해 비치하여 사용하면 된다.For example, kitchen utensils such as detergent (A), loofah (B), sponge (C), dishcloth (D), rubber gloves (E), washing soap (not shown), etc. It will be provided and used. At this time, relatively small articles such as scrubbers (B), sponges (C), soaps, etc. are stored in the sub baskets 46 and 56, and relatively large articles such as detergents (A) are stored in the baskets 42 and 52. , Dish cloth (D) and rubber gloves (E) are provided on the hanger (48, 58) to hang, and bottle brush (not shown) may be provided through the hook (60).

설거지 후에 사용이 끝난 용품들을 다시 용품바구니(40)(50)에 넣어 보관하게 되면, 물기를 먹은 수세미(B), 스펀지(C), 행주(D)와 물기가 묻어 있는 고무장갑(E)이 물기가 빠지면서 싱크(30) 또는 서랍형 싱크(70)의 바닥(34)(78)에 떨어져 배수구(36)(80)를 통해 이와 연결된 드레인 튜브(38)(82)를 거쳐 메인 드레인 호스(14)로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수세미(B), 스펀지(C), 행주(D), 고무장갑(E) 비누 등이 쉽게 건조되어 위생적으로 보관이 이루어지게 된다.After washing dishes, put the used goods back into the baskets (40) and (50), and the wet scrubber (B), sponge (C), dishcloth (D) and wet rubber gloves (E) As the water drains, it falls to the bottoms 34 and 78 of the sink 30 or the drawer sink 70 and through the drain tubes 38 and 82 connected to it via the drain holes 36 and 80 to the main drain hose 14. Drainage is achieved. Accordingly, the scrubber (B), sponge (C), dishcloth (D), rubber gloves (E) soap, etc. are easily dried and hygienic storage is made.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부엌용품 드레이너(100)(200)는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효과를 갖는다.Kitchenware drainer 100,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and effects.

첫째, 설거지에 필요한 부엌용품들이 부엌용품 드레이너(100)(200)를 구성하는 용품바구니(40)(50)에 정돈 및 비치되어 사용에 편의를 제공한다.First, the kitchen utensils required for washing dishes are arranged and provided in the baskets 40 and 50 constituting the kitchen utensils drainers 100 and 200 to provide convenience for use.

둘째, 상기 용품바구니(40)(50)에 비치된 부엌용품들이 싱크(30)(70)에 설치된 배수수단에 의해 메인 드레인 호스(14)로 배수되어 부엌용품의 물기를 제거하여 위생적으로 보관하게 된다.Second, the kitchen utensils provided in the baskets (40) and (50) are drained to the main drain hose (14) by drainage means installed in the sink (30) (70) to remove the moisture of the kitchen utensils to keep sanitary do.

셋째, 설거지에 필요한 부엌용품들이 부엌용품 드레이너(100)(200)를 구성하는 용품바구니(40)(50)에 보관되기 때문에 싱크대(10)의 주위를 깨끗이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싱크대(10)의 미관을 크게 개선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Third, since kitchen utensils necessary for washing dishes are stored in the baskets 40 and 50 constituting the kitchen utensils drainers 100 and 200, the surroundings of the sink 10 can be used cleanly, and at the same time, the sinks 10 ) Will greatly improve the aesthetics of.

넷째, 서랍(20) 또는 서랍용 싱크(70)의 전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통기망(26)이 설치되어 용품바구니(40)(50)에 비치되어 젖어 있는 부엌용품의 통풍 및 건조에 도움을 주어 부엌용품을 보다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Fourth, a ventilation net 26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drawer 20 or the drawer sink 70 to help ventilate and dry wet kitchen utensils provided in the baskets 40 and 50. The kitchen utensils can be stored more hygienically.

다섯째, 싱크대(10)의 서랍틀(12) 내에는 자외선살균건조등(90)이 설치되어 용품바구니(40)(50)에 비치되어 있는 부엌용품의 살균 및 건조시켜 보다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Fifth,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drying lamp 90 is installed in the drawer frame 12 of the sink 10 to sterilize and dry the kitchen utensils provided in the baskets 40 and 50 so that they can be stored more hygienically. .

여섯째, 상기와 같은 부엌용품 드레이너(100)(200)가 싱크대(10)에 설치됨으로서 싱크대(10)의 기능성 향상으로 품질을 제고시킬 수 있게 된다.Sixth, as the kitchen appliances drainer 100, 200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the sink 1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by improving the functionality of the sink (1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싱크대의 전면에 부엌용품 드레이너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서 설거지에 필요한 부엌용품이 종래처럼 싱크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싱크대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드레이너를 구성하는 싱크에 배수수단이 설치되어 부엌용품을 배수 처리함으로서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되고, 부엌용품을 정돈 비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nd using a kitchenware drainer on the front of the sink, the kitchen utensils required for washing dishes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ink as in the prior art,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sink and draining it to the sink constituting the drainer. Means are installed to be hygienic storage by draining the kitchen utensils, it is to have the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of use by allowing the kitchen utensils can be arranged and used.

Claims (15)

싱크대(10)의 전면으로 서랍틀(12)을 통해 슬라이드 열림 닫힘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랍(20),Drawer 20 is installed to enable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through the drawer frame 12 to the front of the sink 10, 상기 서랍(20) 내에 설치되고 배수수단으로 싱크대(10)의 메인 드레인 호스(14)와 연결되는 싱크(30),A sink 30 installed in the drawer 20 and connected to the main drain hose 14 of the sink 10 by means of drainage; 상기 싱크(30)에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부엌용품을 비치하는 용품바구니(40)(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Kitchen sink drainer of the sin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asket (40, 50)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ink (30) having kitchen utensil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20)은, 좌,우 측면에 안내레일(22)이 형성되고, 이 안내레일(22)이 서랍틀(12)에 설치된 롤러에 의해 슬라이드 되게 설치되며, 상기 서랍(20)의 전면에는 손잡이(2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According to claim 1, The drawer 20, guide rails 22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the guide rail 22 is installed to be slid by a roller installed in the drawer frame 12, The front of the drawer 20, the kitchen appliance drainer of the sink,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24 is install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20)은 싱크(10)의 전면 상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3. The kitchen appliance drain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rawer (20) is disposed at the front upper position of the sink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30)는, 그 상부 테두리에 플랜지(32)가 형성되고, 바닥(34)에는 배수구(36)가 형성되며, 이 배수구(36)의 단부에는 메인 드레인 호스(14)와 연결되는 드레인 튜브(38)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The sink 30 has a flange 32 formed at an upper edge thereof, and a drain hole 36 is formed at a bottom 34 thereof, and a main drain hose (end) is formed at an end of the sink hole 36. Drain tube (38) is connected to the 14) kitchen appliance dr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is configur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30)의 바닥(34)은 뒤쪽을 향해 한쪽으로 경사를 갖게 형성하여 그 곳에 배수구(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5. The kitchen appliance drain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bottom (34) of the sink (30) is inclined to one side toward the rear so that the drain hole (36) is formed therein.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튜브(38)는 서랍(20)이 움직이는 거리를 감안한 여유길이를 갖고, 움직일 때의 변형을 감안하여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The kitchen of a sink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drain tube (38) has an allowable l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that the drawer (20) moves, and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deformation during movement. Supplies Drai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품바구니(40)는 봉을 격자 모양의 틀로 형성하여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바구니(42)로 이루어지며, 이 바구니(42)의 상부 테두리에는 싱크(30)의 플랜지(32)에 얹힐 수 있는 플랜지(44)가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42)의 내부에는 일부를 구획하여 서브바구니(46)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42)의 내부를 가로질러 플랜지(44)의 높이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걸이대(48)가 바구니(42)의 봉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The bask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ticle basket 40 is formed of a basket 42 having an open top by forming a rod into a lattice-shaped frame, and the flange of the sink 30 is formed at the upper edge of the basket 42. A flange 44 which can be mounted on the 32 is formed, and a part of the basket 42 is integrally formed by dividing a portion inside the basket 42, and the flange 44 is formed across the inside of the basket 42. 44. A kitchen appliance drainer for a sin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ger 48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rod of the basket 42 at a position slight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bask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품바구니(50)는 봉을 격자 모양의 틀로 형성하여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바구니(52)로 이루어지며, 이 바구니(52)의 상부 테두리에는 싱크(30)의 플랜지(32)에 얹힐 수 있는 플랜지(54)가 형성되고, 상기 바구니(52)에 형성된 플랜지(54)를 통해 얹혀져 바구니(52)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바구니(56)가 설치되고, 상기 바구니(52)의 내부를 가로질러 플랜지(54)의 높이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걸이대(58)가 바구니(52)의 봉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구니(52)에는 플랜지(54)로부터 약간 하부에 하나 이상의 걸고리(60)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ket 50 is formed of a basket 52 of the upper form by forming a rod in a lattice-shaped frame, the upper edge of the basket 52 of the flange of the sink 30 A flange 54 which can be mounted on the 32 is formed, and a sub basket 56 that is mounted through the flange 54 formed on the basket 52 and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basket 52 is installed. A hanger 58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rod of the basket 52 at a position slight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lange 54 across the interior of the 52, and the basket 52 is slightly lower from the flange 54. The kitchen appliance drainer of the sink,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hooks (60) is installed on. 제 7항 또는 제 8에 있어서, 상기 용품바구니(40)(50)의 높이는, 싱크(30)의 바닥(34)으로부터 약간 이격되도록 싱크(30)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The sink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height of the article baskets 40 and 50 is configured to be slight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ink 30 so as to be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34 of the sink 30. Kitchen utensils drainer.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용품바구니(40)(50)에 형성되는 플랜지(44)(54)의 4변 길이는, 동일한 길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The kitchen appliance drainer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lengths of the four sides of the flanges (44) (54) formed in the basket (40) (50) ar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length.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20)의 전면에는 싱크(30)의 내부와 연통되는 통기망(26)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The kitchen appliance drain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t least one ventilation network (26)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sink (3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10)의 서랍틀(12) 내에는 용품바구니(40)(50)에 비치되어 있는 부엌용품을 조사하여 살균 및 건조시키는 자외선살균건조등(9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According to claim 1, In the drawer frame 12 of the sink 10, UV sterilization drying lamp (90) for irradiating and sterilizing and drying the kitchen utensils provided in the baskets (40, 50) is installed A kitchen utensil drainer for the sink. 싱크대(10)의 전면을 구성하는 서랍틀(12)을 통해 슬라이드 열림 닫힘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싱크대(10)의 메인 드레인 호스(14)와 배수수단으로 연결되는 서랍형 싱크(70),The drawer-type sink 70 is installed to enable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through the drawer frame 12 constituting the front side of the sink 10 and connected to the main drain hose 14 of the sink 10 by drainage means, 상기 서랍형 싱크(70)에 부엌용품을 비치하는 용품바구니(40)(50)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Kitchenware drainer of the sink,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drawer-type sink (70) to the kitchen baskets (40, 5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형 싱크(70)는 좌,우 측면에 안내레일(72)이 형성되고, 이 안내레일(72)이 서랍틀(12)에 설치된 롤러에 의해 슬라이드 되게 설치되며, 상기 서랍형 싱크(70)의 전면몸체(73)에는 손잡이(74)가 설치되며, 싱크(70)의 본체(71) 상부 테두리에 플랜지(76)가 형성되고, 바닥(78)에는 배수구(80)가 형성되며, 이 배수구(80)의 단부에는 메인 드레인 호스(14)와 연결되는 드레인 튜브(82)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According to claim 13, The drawer sink 70 is formed with a guide rail 72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guide rail 72 is installed to slide by a roller installed in the drawer frame 12, A handle 74 is installed at the front body 73 of the drawer sink 70, a flange 76 is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 main body 71 of the sink 70, and a drain 80 is formed at the bottom 78. ) Is formed, the drain of the sink 80, the kitchen appliance dr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tube 82 is connected to the main drain hose 14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drain.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74)가 설치되는 전면몸체(73)는 일반 서랍(16)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하고, 용품바구니(40)(50)가 위치되는 서랍형 싱크(70)의 본체(71)는 상기 전면몸체(73)와 조립형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15. The drawer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front body (73) on which the handle (74) is installed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general drawer (16), and the product baskets (40) (50) are located. The main body 71 is a kitchen appliance drainer of the sink,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in the form of assembly with the front body (73).
KR1019980015796A 1998-05-01 1998-05-01 Countertop Drainer KR1998003362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796A KR19980033621A (en) 1998-05-01 1998-05-01 Countertop Dr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796A KR19980033621A (en) 1998-05-01 1998-05-01 Countertop Dr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621A true KR19980033621A (en) 1998-07-25

Family

ID=6589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796A KR19980033621A (en) 1998-05-01 1998-05-01 Countertop Dr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362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712B1 (en) * 2010-11-30 2013-10-30 안경주 Dish sta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712B1 (en) * 2010-11-30 2013-10-30 안경주 Dish st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4717B2 (en) Sink container assembly
CA2454024C (en) Dishwasher basket
KR100712147B1 (en) Traveling a washstand
KR101468112B1 (en) Auto cleaner for makeup brushes
JP2012120740A (en) Modular kitchen
US20090238739A1 (en) Sanitizing and dampening container
KR19980033621A (en) Countertop Drainer
CN210169992U (en) Integrated cleaning and sterilizing machine
KR200465013Y1 (en) Drainboard with dishcloth hanger
KR20110018087A (en) A sink with kitchen utensil receiving space
CN211796058U (en) Multifunctional wash platform
KR200429635Y1 (en) A sanitary tray for drying dishes in the kitchen
CN214317466U (en) Cabinet
KR200386224Y1 (en) ultra sonic clining with sterilizing
CN214317465U (en) Cabinet
KR200374420Y1 (en) Multi-purpose kitchenware with dish watching equipment
CN211270611U (en) Storage rack and cleaning machine with same
AU2001100472A4 (en) Sponge holder device
CN217243988U (en) Basin with accomodate function
KR20030094161A (en) Sterilizing and Drying Machine for Kitchen Utensils
KR200450421Y1 (en) A drying box for rubber gloves
KR200341096Y1 (en) Cleaning utensil cabinet
JPH10295467A (en) Kitchen unit
JP5927749B2 (en) System kitchen
JP3006069U (en) Antifungal sanitizer for bath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