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503U -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503U
KR19980033503U KR2019960046412U KR19960046412U KR19980033503U KR 19980033503 U KR19980033503 U KR 19980033503U KR 2019960046412 U KR2019960046412 U KR 2019960046412U KR 19960046412 U KR19960046412 U KR 19960046412U KR 19980033503 U KR19980033503 U KR 199800335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ase
control
dri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6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순
Original Assignee
김욱한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욱한,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욱한
Priority to KR2019960046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3503U/ko
Publication of KR199800335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50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체를 형성하는 직육면체의 몸체(3)와, 상기 몸체(3)의 양측면(5,7)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모터 제어용 커넥터(9,11), 상기 몸체(3)의 전면(13) 및 후면(15)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신호 제어용 및 전류용량을 고려한 모터 제어용 커넥터(17,19), 상기 몸체(3)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 장착하도록 상기 몸체(3)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양측면쪽으로 뻗어 있는 가용성 고정 홀더(21)로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
본 고안은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시트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고, 또한 높낮이 및/또는 전후 슬라이드 위치 및/또는 리클라인 위치를 제어하고, 뒷좌석 전후방 시트의 위치를 조정하며, 아웃사이드 미러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통합된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제어장치의 외곽을 형성하는 제어장치 케이스에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단순히 운전 조작을 위한 장치뿐만 아니라 쾌적한 운전 환경을 만들기 위한 여러 가지 편의 장치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편의 장치의 하나로 들 수 있는 것이 예컨대 시트 히터와 같은 것이 있다. 이 히터는 시트의 하부에 배열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시트열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운전자나 탑승자가 시트 히터 작동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일정조작 제어범위에서 소정값으로 시트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운전석 시트를 운전자의 신체 사이즈에 알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시트를 상하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시트 조작 스위치는 운전자가 조작하기 쉬운 쪽에 위치하되 스티어링 칼럼의 장착위치가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장착되어 있으면 시트에서 도어쪽으로 왼쪽 또는 오른쪽에 위치하도록 하지만 반드시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된다.
뿐만 아니라, 운전석 앞쪽의 대쉬보드 상에는 좌우측 아웃 사이드 미러를 필요에 따라 자동차 실내에서 보다 용이하게 자동적으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 미러 조작스위치 등이 장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편의장치 들의 경우에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이들을 자동적으로 제어 조작하는 제어장치 즉, 컨트롤러가 각각의 편의장치 마다 별도로 구비되어 있며, 이들을 각각의 케이스에 의해 보호 장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에 편의장치를 추가할 때마다 즉, 옵션이 늘어날수록 불필요하게 제어장치가 늘어나고 이에 따라 케이스의 수도 증대되어 자동차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각각의 제어장치마다 별도의 케이스를 장착하여야 하므로 작업라인 및 작업공수도 함께 늘어나기 때문에 자동차 제작에 있어서의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되었으며,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편의장치로서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시트 히터, 시트 위치조정부, 아웃사이드 미러 조정부 등의 제어를 위해 장착되는 제어부를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장착하여 보호함으로써 편의장치의 수가 증대되더라도 이들 복수의 편의장치들을 조정 제어하는 하나의 제어장치를 하나의 케이스로 둘러싸 보호함으로써 옵션의 증가로 인한 자동차 가격의 상승을 저감하고, 자동차 조립라인에서의 작업효율성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자동차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고자 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체를 형성하는 직육면체의 몸체와, 이 몸체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모터 제어용 커넥터, 몸체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신호 제어용 및 모터 제어용 커넥터, 몸체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 장착하도록 몸체 바닥면에 부착되어 양측면쪽으로 뻗어 있는 가용성 고정 홀더로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 3 : 몸체
5, 7 : 좌우측면 9, 11 : 모터 제어용 커넥터
13, 15 : 전후방면 17, 19: 신호 제어용 커넥터
21 : 가용성 고정 홀더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1)는 자동차 운전석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부와, 사이드 미러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부, 뒷좌석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그리고 운전석 및 조수석의 시트 히터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부를 단일 기판상에 구성하여 통합한 다기능 제어장치를 내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평판으로 외곽이 둘러싸여져 있는 직육면체통 모양의 몸체(3)로 이루어져 있다.
이 몸체(3)의 좌측면(5)과 우측면(7)에는 자동차 운전석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운전석의 앞뒤 높이를 변화시키며, 사이드 미러를 자동으로 접거나 펴고, 뒷좌석의 전후방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다기능 제어장치에 연결되는 좌측의 모터 제어용 커넥터(9)와 우측의 커넥터(11)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들 커넥터(9,11)는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의 모터 전류 및 신호제어선과의 간섭배제 등을 고려하여 각각 9개의 커넥팅 핀(23)을 구비하고 있다.
몸체(3)의 전방면(13)과 후방면(15)에 각각 위치되어 있는 커넥터(17)와 커넥터(19)는 사이드 미러 조정스위치, 운전석 시트 슬라이드 스위치, 운전석 등받이 리클라인 스위치, 운전석 시트의 앞높이 스위치 및 뒷높이 스위치, 운전석 등받이의 리클라인 리미트 스위치 등 각종 스위치류와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가 신호를 주고 받거나 또는 운전석 시트 슬라이드 센서, 운전석 등받이 리클라인 센서, 운전석 시트 앞높이 및 뒷높이 센서와 같은 각종 센서류로부터 다기능 제어장치가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이때, 커넥터(17,19)는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의 수가 비교적 많고 신호제어용이므로 각각 26개의 커넥팅 핀(25)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후방면에 위치되어 있는 커넥터(19)에서는 전류용량을 고려하여 모터제어가 가능하도록 특별히 고려되어 있다.
이 케이스(1)는 또한 직육면체 모양의 몸체(3) 바닥면(27) 양측면쪽에 고정을 위한 밴드 형태의 홀더(21)가 복수개 부착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를 내장한 상태로 자동차의 내부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즉, 원하는 부위에 얹어 놓고 가요성을 갖는 밴드 형태의 홀더(21)를 양쪽에서 구부려 고정함으로써 간단히 장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에 의하면, 자동차의 편의장치인 운전석 시트 위치조정부, 사이드 미러 조정부, 시트 히터 등의 제어부를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하나의 케이스를 사용해 장착 보호할 수 있게 되므로 편의장치의 숫자 증대가 가져오는 자동차의 가격상승 효과를 둔화시킬 수 있게 되며, 케이스를 하나만 조립하게 되므로 자동차 조립라인에서의 작업 능률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외체를 형성하는 직육면체의 몸체(3)와, 상기 몸체(3)의 양측면(5,7)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모터 제어용 커넥터(9,11), 상기 몸체(3)의 전면(13) 및 후면(15)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신호 제어용 커넥터(17,19), 상기 몸체(3)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 장착하도록 상기 몸체(3)의 바닥면(27)에 부착되어 양측면쪽으로 뻗어 있는 가용성 고정 홀더(2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용 커넥터(9,11)는 9개의 핀(23)을, 상기 신호 제어용 커넥터(17,19)는 26개의 핀(26)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
KR2019960046412U 1996-12-07 1996-12-07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 KR199800335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412U KR19980033503U (ko) 1996-12-07 1996-12-07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412U KR19980033503U (ko) 1996-12-07 1996-12-07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503U true KR19980033503U (ko) 1998-09-05

Family

ID=5398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6412U KR19980033503U (ko) 1996-12-07 1996-12-07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350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4716B1 (en) Exterior mirror sub-assembly with combined electronic circuitry and mirror element
US20210162928A1 (en)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US5555136A (en) Interior rearview mirror for motorized vehicles
USD406910S (en) Exterior facing body panel support for a mounting for automobile headlight assembly
US7858905B2 (en) Vehicular mirror with heater circuit module
US8503060B2 (en) Vehicular blind spot mirror assembly
US20150097955A1 (en)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US9616815B2 (en) Vehicle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actuator
EP2817172A2 (en)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EP1743803B1 (en) Mirror
JP3118442B2 (ja) スイッチ装置
JP4290008B2 (ja) 多機能ミラー制御スイッチ
KR19980033503U (ko) 자동차용 다기능 제어장치 케이스
US8103405B2 (en) Operator control unit for devices in a motor vehicle
EP0492324A3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JPH1127826A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
KR100613553B1 (ko) 퍼들 램프와 방향지시램프를 구비한 아웃사이드 미러
CN201497571U (zh) 车载集成型双通道阳光及环境光双功能传感器
EP0510317A3 (en) Temperature control unit for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CN210062821U (zh) 用于车辆的后视总成
CN117774829A (zh) 一种新型多功能轻卡外后视镜
CN216443544U (zh) 一种车辆内后视镜调节装置及车辆
US7498554B2 (en) Interior rear view mirror for vehicles, preferably motor vehicles
USD328064S (en) Power seat control unit for vehicular driver and passenger seats
JP2000153730A (ja) 車両用電動シ―ト装置の制御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