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205A - 일회용 게이트를 사용하는 mosfet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게이트를 사용하는 mosfet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205A
KR19980033205A KR1019970055324A KR19970055324A KR19980033205A KR 19980033205 A KR19980033205 A KR 19980033205A KR 1019970055324 A KR1019970055324 A KR 1019970055324A KR 19970055324 A KR19970055324 A KR 19970055324A KR 19980033205 A KR19980033205 A KR 19980033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forming
source
over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더마크에스.
채프만리차드에이.
Original Assignee
윌리엄비.켐플러
텍사스인스트루먼츠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비.켐플러, 텍사스인스트루먼츠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윌리엄비.켐플러
Publication of KR19980033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20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17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1725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1775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roximity or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 and the gate electrode, e.g.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 separated from the gate electrode by side-walls or spreading around or above the gate electrode
    • H01L29/41783Raised source or drain electrodes self aligned with the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3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using a self aligned punch through stopper or threshold implant under the gate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4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using a dummy, i.e. replacement gate in a process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final gate is self aligned to the dummy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575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613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ith a gate recessing step, e.g. using local oxidation
    • H01L29/6662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ith a gate recessing step, e.g. using local oxidation recessing the gate by forming single 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 at the source or drain lo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2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 H01L21/225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using diffusion into or out of a solid from or into a solid phase, e.g. a doped oxide layer
    • H01L21/2251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 H01L21/2254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from or through or into an applied layer, e.g. photoresist, nitrides
    • H01L21/2257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from or through or into an applied layer, e.g. photoresist, nitrides the applied layer being silicon or silicide or SIPOS, e.g. polysilicon, porous silic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일회용 게이트(120)을 사용하여 MOSFET 트랜지스터(100)을 형성하는 방법. 서로에 대해 선택적으로 에칭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물질(122, 124)를 갖는 일회용 게이트(120)이 반도체 기판(102)상에 형성된다. 소스/드레인 영역(204)는 다음에 일회용 게이트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소스/드레인 영역은 예를 들어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114)는 다음에 이 구조 위에 증착되고 그 다음에 일회용 게이트(120)위의 절연층(114)의 일부가 (예를 들어, CMP 또는 에칭 백)을 사용하여 제거된다. 절연층(114)의 화합물은 일회용 게이트(120)의 상부층(124)가 절연층(114)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일회용 게이트(120)은 다음에 제거되고 채널 주입은 자기 정렬되고 채널 영역내에서만 수행될 수 있다. 게이트 유전체(110) 및 게이트 전극(112)가 다음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일회용 게이트를 사용하는 MOSFET의 형성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회용 게이트 공정을 사용하여 MOSFET 구조를 형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CMOS 기술이 서브 미크론 영역으로 더욱 감소됨에 따라, 충분히 낮은 시트 저항, 낮은 접합 용량, 및 게이트 하부의 소스/드레인 연장부의 낮은 접합 용량을 유지하기가 더욱 어렵게 되고 있다. 종래의 CMOS 트랜지스터(10)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소스/드레인 영역(14)는 기판(12)내에 형성된다. 폴리실리콘 게이트 전극(18)은 게이트 전극층(16)에 의해 기판(12)로 부터 분리된다. 측벽 유전체(20)은 게이트 전극(18)의 측벽상에 형성된다. 트랜지스터(10)은 전형적으로 측벽 유전체(20) 아래로 연장되는 소스/드레인 연장부(22)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10)이 깊은 서브 미크론 영역으로 축소됨에 따라, 폴리실리콘(18) 선폭은 보다 더 좁아진다. 이것은 게이트 시트 저항을 증가시킨다. 게이트 시트 저항을 낮추는 것은, 실리사이드된 폴리실리콘이 사용되어도 달성하기가 어렵다. 소스/드레인 접합 영역(14) 및 소스/드레인 연장부(22)는 또한 바람직하지 못한 단락 채널 효과 및 짧은 채널 길이에서의 임계 전압의 롤-오프(roll-off)를 피하기 위해서 얕어야 한다. 그러나, 깊은 서브 미크론 영역에서, 이온 주입과 같은 종래의 수단에 의해 보다 얕은 도핑 프로필을 달성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충분히 낮은 게이트 시트 저항, 짧은 접합 깊이, 및 낮은 접합 용량을 유지하면서 서브 미크론 영역으로 더욱 축소될 수 있는 CMOS 트랜지스터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깊은 서브미크론 영역(즉, 10 미크론 이하)을 위한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MOSFET와 관련하여 지금부터 설명된다. 본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장점이 다른 MOSFET 구조에도 적용 가능하고 이러한 장점은 깊은 서브미크론 영역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MOSFET 구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MOSFET의 단면도.
도 3a-3h는 다양한 제조 단계중의 도 2의 MOSFET의 단면도.
도 4는 제조 중의 도 2의 MOSFET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제조 중의 도 2의 MOSFET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a-6c는 제조 중의 도 2의 MOSFET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MOSFET의 단면도.
도 8a-8g는 다양한 제조 단계중의 도 4의 MOSFET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MOSFET 트랜지스터
106 : 소스/드레인 영역
110 : 게이트 유전체
112 : 게이트 전극
114 : 절연층
120 : 일회용 게이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MOSFET(100)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MOSFET(100)은 기판(102)내에 형성되고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 아래에 매우 얕은 소스/드레인 접합 영역(104)를 포함한다.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은 예를 들어, 도핑된 에피택셜층이다. 그러나, 다른 반도체, 금속 또는 실리사이드와 같은 다른 물질이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채널 도핑은 중간 채널 영역(108)과의 자기 정렬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것은 (a) 소스/드레인 접합 영역을 포함하는 채널 주입을 위한 전체 활성 영역을 주입하고, 또는 (b) 자기 정렬되지 않으나 보다 국소화된 채널 주입을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들에 비해 소스/드레인 접합 용량을 감소시킨다.
게이트 유전체(110)은 게이트 전극(112)를 채널 영역(108) 및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으로 부터 분리시킨다. 게이트 유전체(110)은 임의의 적절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성장된 산화물, 산질화물, 또는 증착된 게이트 절연체가 사용된다. 게이트 전극(112)는 양호하게는 금속 또는 도핑된 폴리실리콘과 같은 저저항 물질을 포함한다. 그러나, 비정질 실리콘, 비결정 실리콘, 복합 금속-폴리실리콘 또는 금속-금속과 같은 다른 도전성 물질이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로 티타늄 질화물위의 알루미늄 및 티타늄 질화물위의 텅스텐을 들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2)는 또한 양호하게는 폴리실리콘이 사용되는 경우 시트 저항을 더욱 감소시키도록 살리사이드된다. 소정의 경우, 게이트 전극(11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T-게이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게이트 구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요구되지 않으나, 게이트 시트 저항을 보다 더 감소시킨다.
절연층(114)는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을 T-게이트 구조(112)의 상부로 부터 분리시킨다. 절연층(114)의 물질은은 공정 중에 사용된 일회용 게이트 물질이 유전층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에칭되도록 선택된다. 이것은 아래에 더 설명된다. 예를 들어, 절연층(114)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114)의 두께는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과 T-게이트 구조(112)의 상부 사이의 낮은 게이트-드레인 용량을 가능하게 하도록 테일러(tailor)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MOSFET(100)을 형성하는 방법이 도 3a-3h와 관련하여 이제부터 설명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회용 게이트(120)은 MOSFET(100)의 채널 영역이 요구되는 영역에 걸쳐 기판(102)의 활성 영역 위에 형성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일회용 게이트(120)은 제1 물질(122) 및 제2 물질(124)인 2개의 물질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물질(122 및 124)는 이들이 서로에 대해 선택적으로 에칭되도록 선택된다. 제1 물질은 또한 제거시에 채널 영역의 손상을 피하도록 실리콘에 대해 선택적으로 에칭되도록 선택된다.
다음에,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106)이 형성될 수 있다. 소스/드레인 영역(104 및/ 또는 106)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가지 양호한 방법이 이제부터 논의될 것이고 다른 방법이 아래에 더 설명된다.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은 반도체, 금속, 실리사이드 또는 이들의 화합물과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실리콘의 에피택셜 또는 비정질층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회용 게이트(120)에 인접하여 기판(102) 위에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일회용 게이트(120)은 에피택셜 공정을 위한 마스크로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은 일회용 게이트(120)과 자기 정렬된다. 일회용 게이트(120)의 에지에서의 에피택셜 형성된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의 각이 진 면이 발생할 수 있다. 면의 각도는 크리닝 및 증착 공정의 공정 파라메터를 조정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은 적절한 도펀트로 도핑된다. 실리콘 물질이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인 및/또는 비소 또는 안티몬과 같은 n형 도펀트가 n 채널 MOSFET용으로 사용되고, 붕소와 같은 p형 도펀트가 p 채널 MOSFET용으로 사용된다. 양호하게는,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은 증착 및 마스킹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인 시튜(in situ) 도핑되나,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이 실리콘, 금속, 또는 살리사이드와 같은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주입과 같은 수단에 의해 증착 이후에 선택적으로 도핑될 수 있다.
소정의 경우에,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의 선택된 부분이 그들의 형성 이후에 피복될 수 있다. 이 피복은 예를 들어,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의 부분위의 금속층의 살리사이데이션 및 형성에 의해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 위에 저저항 물질을 형성한다. 게이트 유전체 및 게이트 전극의 형성전의 피복은 게이트 유전체 및 게이트 전극에 의해 나타나는 열 처리를 감소시킨다.
도 3c를 참조하면, 절연 물질(114)가 이 구조 위에 증착된다. 절연 물질(114)는 일회용 전극(120)의 제2 물질(124)에 대해 선택적으로 에칭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제2 물질이 질화물인 경우, 절연 물질(114)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 물질(114)는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회용 게이트(120)을 노출시키도록 제거된다. 예를 들어, 에칭 백 공정 또는 화학-기계 연마(CMP)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일회용 게이트(120)에 인접하는 절연 물질(114)의 패턴된 에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절연층(114)는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을 덮으나, 일회용 게이트(120)의 표면은 덮지 않는다.
다음에, 일회용 게이트(120)의 제2 물질(124)는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제거된다. 제1 물질(122), 제2 물질(124) 및 절연 물질(114)의 조성은 제2 물질(124)가 절연 물질(114) 및 제1 물질(112) 모두에 대해 선택적으로 에칭될 수 있도록 선택되기 때문에, 절연층(114) 및 제1 물질(122)는 제2 물질(124)의 제거 중에 실질적으로 제거되지 않는다. 제2 물질(124)의 제거 이후에, 제1 물질(122)는 제거된다. 다시, 물질 및/또는 에칭 공정의 분별 있는 선택으로 인해, 제1 물질(122)는 기판(102)내로 에칭하지 않고 제거된다. 기판(102)의 채널 영역(108)에 대한 심각한 손상이 이로써 방지된다.
도 3f를 참조하면, 채널 도펀트(예를 들어, 채널(또는 Vt) 주입 또는 가스 투입 레이저 도핑에 의함)의 도입이 제1 물질(122)의 제거 전 또는 후에 수행된다. 절연층(114)는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을 덮기 때문에, 채널 도펀트의 주입은 실질적으로 중간 채널 영역(108)에만 제한된다. 채널 도펀트의 도입은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과 자기 정렬된다. 이것은 채널 도펀트가 채널과 자기 정렬되지 않으나 소스/드레인 영역으로 연장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후속 형성된 소스/드레인 접합 영역의 용량을 증가시킨다.
다음에, 게이트 유전체(110)이 형성된 이후에, 도 3g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물질(126)이 증착된다. 게이트 유전체(110)은 성장 및/또는 증착된 산화물, 산질화물, 또는 이산화 실리콘보다 높은 유전 상수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게이트 유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유전체(110)이 증착되면, 절연층(114)의 상부(도시 안됨)뿐만 아니라 절연체(114)의 수직 에지를 따라 거의 균일하게 될 수 있다. 게이트 유전체(110)에 인접한 게이트 물질(126)의 측방향 치수는 일회용 게이트(110)의 제거에 의해 남겨진 절연 물질내의 개구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실제 채널 길이는 게이트 물질(126)의 패턴된 에치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일회용 게이트(120)의 제거에 의해 남겨진 개구는 게이트 유전체(110) 및 게이트 물질(126)이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 및/또는 도핑된 소스/드레인(104)의 부분 위에 연장 또는 직접 연장하지 않도록 될 수 있다.(주: 본 실시예에서는 영역(104)는 아직 형성되지 않음). 도 3g는 게이트 유전체(110)/게이트 물질(126)이 일회용 게이트(120)의 제거에 의해 남겨진 공간내의 영역(106) 위에 직접 연장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게이트 유전체(110)/게이트 물질(126)이 영역(106)의 면 위에 연장하는 경우에, 게이트 유전체(1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물질(126)을 소스/드레인 영역(106 및/또는 104)로 부터 분리시킨다. 영역(106 및/또는 104)위의 게이트 물질(126)의 연장부는 게이트-드레인 용량의 증가가 생기는 경우에도 후속 형성된 MOSFET의 직렬 저항을 감소시키는 데 있어 유리하다. 게이트 물질(126)의 연장부의 존재 및/또는 최적화는 적용 및 앞서 언급된 직렬 저항 및 중첩 저항과 같은 문제의 절충에 따라 다르다.
게이트 물질(126)은 실질적으로 실리콘 또는 실리콘 게르마늄, 도핑된 폴리실리콘,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 층, 금속층, 다른 금속들로 이루어진 복합 물질 또는 금속과 반도체 물질의 화합물, 또는 다른 적절한 도전성 물질(예를 들어, 텅스텐, 질화 티타늄,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실질적으로 함유하는 비결정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반도체 물질이 게이트 물질(126)용으로 부분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이 반도체 물질은 인 시튜 도핑되거나, 또는 주입 또는 어닐에 의해 증착 이후에 도핑될 수 있다. 도핑은 n 형 게이트 물질용으로는 n 형 도펀트 (예를 들어, 인, 비소 또는 안티몬) 또는 p 형 게이트 물질용으로는 n 형 도펀트 (예를 들어, 붕소)의 도입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게이트 물질(126)은 다음에 도 3h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112)를 형성하기 위해 패턴 및 에칭된다. 소스/드레인 형성 이후에 게이트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소스/드레인 형성에 의해 요구되는 열 처리는 게이트 유전체(110) 및 게이트 전극(112)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므로, 도핑된 폴리실리콘 게이트 전극은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부터 게이트 유전체 및 채널 영역으로 도펀트를 확산시키지 않고 초박막 게이트 유전체(즉, 60Å 또는 심지어는 30Å 미만)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금속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게이트 전극은 소스/드레인 형성을 위한 열 처리가 이미 수행되었기 때문에 사용될 수 있다.
소정의 경우에, 게이트 전극이 절연층(114)의 일부 위에 연장하는 T-게이트 구조가 도 3h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시트 저항을 더욱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절연층(114)를 T-게이트 구조(112)의 상부 부분으로 부터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을 분리시키면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과 T-게이트 구조(112)의 상부 부분 사이에 낮은 게이트-드레인 용량을 가져다 준다. 이것은 소정의 장점을 제공하지만, T-게이트 구조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요구되지는 않는다.
게이트 전극(112)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 예로서, 증착 이후에, 게이트 물질(126)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정렬된 비 T-게이트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절연층(114)로 실질적으로 고르게 되도록 다시 평탄화 될 수 있다. 후속하여, 소정의 경우에, T-게이트 구조는 T-게이트 구조를 생성시키는 에피택셜 과도 성장과 함께 반도체 또는 금속의 선택적 에피택시와 같은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두번째 예로서, 증착된 게이트 물질(126)은 절연층(114)의 부분 위에 연장하는 T-게이트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단순히 패턴 및 에칭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112)는 소정의 경우에 낮은 저항 물질로 피복될 수 있다. 피복은 예를 들어 금속의 살리사이데이션, 에피택시, 또는 저저항 물질의 증착, 패턴 및 에칭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세번째 예에서, 게이트 물질(126)이 증착된 이후, 그러나 에칭되기 전에, 피복 물질이 증착될 수 있다. 다음에, 피복 물질 및 게이트 물질은 T-게이트 구조 전극(112)를 형성하기 위해 패턴 및 에칭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게이트 물질(126) 및 전극(112)의 피복 물질은 절연층(114) 위에 연장한다.
네번째 예에서, 비 T-게이트 구조가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후속하여, 피복은 저저항 물질 (예를 들어, 실리사이드 또는 금속)을 증착하고 피복물질을 패턴 및 에칭하여 절연층(114)의 부분 위에 연장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 경우에, 게이트 전극(112)는 피복층 만이 절연층(114) 위에 연장하는 T-게이트 구조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이 구조는 이러한 영역이 요구되는 경우에 소스/드레인 영역(104)를 형성하기 위해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으로 부터 도펀트를 확산시키도록 이 지점에서 어닐될 수 있다. 그러나, 증착 시간 또는 온도가 충분하다면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의 증착 중에 적절한 확산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 어닐은 또한 소정의 경우에 공정에서 조기에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게이트 유전체의 형성과 같은 다른 공정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구조로 부터 도펀트를 확산시키면 주입 도핑된 소스/드레인 접합 영역에서 가능한 것보다 얕은 소스/드레인 접합 영역(104)가 얻어질 수 있다.
상술한 공정 흐름 다음에는, 종래의 공정이 게이트 전극(112) 및 소스/드레인 영역(106 또는 104)의 다른 장치 (도시안됨)와의 접속을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공정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본 설명을 참조하는 당해 기술의 숙련자에게는 분명할 것이다. MOSFET(100)용의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여러가지 변형이 이제부터 설명된다.
첫번째 변형에서,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을 에피택셜 형성하는 것 대신에,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은 다른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은 원하는 도전성 물질의 비 선택 증착 다음에 이 물질의 패턴 및 에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형적인 물질은 반도체, 금속, 실리사이드 또는 이들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두번째 변형에서, 소스/드레인 영역(104)는 실질적으로 형성될 수 없다. 즉,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으로 부터의 도펀트의 확산은 일회용 게이트 물질(122 및 124)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공정이 물질(114)의 제어된 작은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조정된다면 실질적으로 필요하지 않다. 이것은 결국 게이트 유전체(110)에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의 일부를 노출시킨다.
소스/드레인 영역(104)는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으로 부터의 확산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주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영역(104)는 폴리실리콘-게르마늄 또는 도핑된 산화물과 같은 상부층으로 부터 확산되고, 이들은 영역(104)를 앝게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주입 도핑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가스-투입 레이저 도핑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세번째 변형에서, 깊은 소스/드레인 영역(132)가 사용된다.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스/드레인 영역(104)를 형성하기 위해 일회용 게이트(120)을 제거하기 전에 어닐된다. 측벽 스페이서(130)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의 면 위의 일회용 게이트(120)의 측벽상에 형성된다. 측벽 스페이서(130)의 형성 이후에, 보다 깊은 소스/드레인 영역(132)가 예를 들어 도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입 및 어닐과 같은 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측벽 스페이서(130)은 깊은 소스/드레인 영역(132)를 후속 형성된 게이트 전극(112)로 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소스/드레인 영역(104)를 형성하기 위한 어닐은 별도의 어닐 대신에 깊은 소스/드레인 영역(132)를 형성하기 위해 측벽 스페이서(130) 형성 또는 어닐의 일부 일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상술한 측벽 스페이서(130)은 단독으로 또는 상술한 것에 부가해서 사용될 수 있는 여러가지 다른 이용을 갖는다. 예를 들어, 측벽 스페이서(130)은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의 도핑전에 형성될 수 있다. 측벽 스페이서(130)은 다음에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의 면내로 도펀트가 주입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측벽 스페이서(130)은 또한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을 피복하기 위한 공정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고, 이로써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의 선택된 부분에 피복하는 것을 방지한다.이 선택된 부분은 단순히 면 영역보다 영역(106)의 일부, 모두 또는 더 많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6)의 피복은 게이트 전극(112)를 피복하는 것을 참조하여 위에 설명된 것들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104)의 피복은 전체 영역(106) 위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면 영역의 단부에서의 피복은 게이트 유전체가 그 영역에서 요구되기 때문에 피해져야 하고, 열 성장된 게이트 유전체는 피복된 영역 위에 형성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MOSFET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MOSFET(200)은 기판(202)내에 형성되고 돌츨된 소스/드레인 영역(206) 아래에 소스/드레인 접합 영역(204)를 포함한다.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206)은 예를 들어 도핑된 에피택셜 실리콘이다. 그러나, 다른 반도체, 금속 및/또는 실리사이드와 같은 다른 물질이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채널 도핑은 실질적으로 중간 채널 영역(208)로 제한된다. 이것은 (a) 소스/드레인 접합 영역을 포함하는 채널 주입에 대해 전체 활성 영역을 주입하는 방법, 또는 (b) 비자기 정렬되나 보다 국소화된 채널 주입을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소스/드레인 접합 용량을 감소시킨다.
게이트 유전체(210)은 채널 영역(208)로 부터 게이트 전극(212)를 분리시킨다. 게이트 유전체(210)은 임의의 적절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열 성장된 산화물, 산질화물, 또는 중착된 게이트 절연체가 사용된다. 측벽 유전체(215)는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206)으로 부터 게이트 전극(212)를 분리시킨다. 측벽 유전체(215) 두께는 깊은 서브 미크론 장치용의 200Å미만이다. 측벽 유전체(215)는 예를 들어 질화물을 포함한다. 게이트 전극(212)는 양호하게는 금속 또는 도핑된 폴리실리콘과 같은 저저항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비정질 실리콘, 비결정 실리콘, 합성 금속-폴리실리콘 또는 금속-금속과 같은 다른 도전성 물질이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로는 티타뮴-질화물 위의 알루미늄 및 티타늄 질화물위의 텅스텐을 들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2)는 또한 양호하게는 폴리실리콘이 사용되는 경우 시트 저항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살리사이드된다. 소정의 경우, 게이트 전극(21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T-게이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게이트 구조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필요하지 않으나, 게이트 시트 저항을 더욱 감소시킨다.
유전층(214)는 T-게이트 구조(212)의 상부로 부터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206)을 분리시킨다. 유전층(214)의 물질은 공정 동안에 사용된 일회용 게이트 물질이 유전층(214)에 의해 선택적으로 에칭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이것은 아래에 더 설명된다. 예를 들어, 유전층(214)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전층(214)의 두께는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206)과 T-게이트 구조(212)의 상부 사이의 낮은 게이트-드레인 용량을 가능하게 하도록 테일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MOSFET(200)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 8a-8g를 참조하여 이제부터 설명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일회용 게이트(220)은 MOSFET(200)의 채널 영역이 위치될 영역위의 기판(202)의 활성 영역상에 형성된다. 일회용 게이트(220)은 적어도 2개의 별도의 물질을 포함한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물질층이 사용된다. 제1 물질층(222)는 기판(202)로 실질적으로 에칭하지 않고서 기판(202)로 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산화물 또는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물질층(223)은 제1 물질층(222)에 의해 선택적으로 에칭될 수 있고,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여러개의 후속 형성된 물질이다. 예를 들어, 제2 물질층은 실리콘-게르마늄 또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경우에, 제1 물질층(222)는 생략될 수 있고 제2 물질층(223)이 기판(202)상에 직접 배치된다. 제2 물질층(223)은 채널 영역내로 에칭하지 않고서 기판(202)로 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실리콘-게르마늄은 채널 영역내로 에칭하지 않고서 기판(202)로 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제3 물질층(224)는 이것이 후속 형성된 측벽 유전체를 실질적으로 제거하지 않고서 제거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제3 물질층(224)는 적절한 두께의 산화물 또는 질화물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1 물질(222)는 일회용 게이트의 부분으로 되는 것 대신에 이 점에서 전체 장치 위에 연장한다. 다음에, 아래에 설명되는 측벽 유전체(215) 형성의 부분으로서, 측벽 유전체(215) 및 제2 물질(223)에 의해 덮혀지지 않는 제1 물질(222)의 부분은 제거될 수 있다.
다음에, 측벽 유전체(215)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회용 게이트(220)의 측벽 위에 형성된다. 측벽 유전체(215)는 얇고 예를 들어 깊은 서브-미크론 장치용의 200Å미만일 수 있다. 측벽 유전체(215)의 물질은 일회용 게이트(220)이 측벽 유전체(215)를 실질적으로 제거하지 않고서 및/또는 소스/드레인 접합 영역(204)에 인접한 측벽 유전체를 제거하지 않고서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회용 게이트(220)이 산화물 및 실리콘-게르마늄 또는 실리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측벽 유전체(215)는 질화물 또는 산화물/질화물 합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물질 및 두께의 다른 조합이 본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는 분명하다.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206) 및 소스/드레인 영역(204)는 제1 실시예 및 그것의 변형과 관련하여 위에 설명된 것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머지 도면 및 설명은 소스/드레인 접합 영역(204)가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206)으로 부터 외부 확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8c의 구조는 도1의 영역(22) 또는 도 6의 영역(104)에 도시한 것과 같은 선택적으로 얕은 연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선택적으로 얕은 접합 형성은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206)의 형성 전이나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 선택적 주입은 또한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또한 적용가능하다. 주: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이 형성된 후에,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선택으로서, 측벽 유전체 또는 질화물을 포함하는 측벽 유전체(215)의 부분은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다음에, 유전층(214)가 구조 위에 증착된다. 유전층(214)는 제2 물질(223)의 상부가 노출될 때까지 다음에 평탄화 백된다(예를 들어, CMP 또는 에치백). 다르게는, 일회용 게이트(220)에 인접하는 유전층(214)의 패턴된 에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전체(214)의 물질은 이것이 제2 물질(223)에 대해 및/또는 제3 물질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제3 물질층(224)는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평탄화 공정 중에 제거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3 물질층(224)는 유전층(214)를 상당히 제거하지 않는 에치를 사용하여 에칭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도 8e를 참조하면, 제2 물질층(223)이 다음에 선택적으로 제거된다. 유전층(214) 및 측벽 유전체(215)는 이들이 제2 물질층(223)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다른 물질이기 때문에 에칭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거되지 않는다. 주목할 것은 제1 물질(222)는 제2 물질(223)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제1 물질(222)가 또한 제거될 것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선택된 물질이 채널 영역(208)내의 기판(202)가 에칭되지 않도록 실리콘에 대한 높은 선택성으로 제거될 수 있는 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실리콘-게르마늄은 실리콘에 대한 높은 선택성으로 제거될 수 있는 물질의 한 예이다.
다음에, (예를 들어, 주입 또는 가스 투입 레이저 도핑에 의한) 채널 도펀트의 자기 정렬된 도입이 수행될 수 있다. 채널 도펀트의 도입은 제1 물질(222)의 제거 전이나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유전층(214)는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206)을 덮기 때문에, 채널 도펀트의 도입은 실질적으로 중간 채널(208) 영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채널 도펀트의 도입은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206)과 자기 정렬되지 않는다. 이것은 채널 주입이 채널과 자기 정렬되지 않으나 소스/드레인 영역으로 연장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후속 형성된 소스/드레인 접합 영역의 용량의 감소를 야기시킨다.
이 점에서, 양호한 실시예의 변형은 유전체 측벽(215)를 제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유전체 측벽(215)는 게이트 유전체(210)의 형성 전에 선택적 에칭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다음에, 게이트 유전체(210)이 형성되고 도 8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물질이 중착된다. 게이트 유전체(210)은 성장되고 및/또는 증착된 산화물, 산질화물, 또는 이산화 실리콘 보다 높은 유전 상수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게이트 유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유전체(210)이 증착되면, 이것은 절연층(214)(도시 안됨)의 상부상에 뿐만 아니라 절연체(214)의 수직 에지를 따라 거의 균일하게 될 수 있다. 게이트 유전체(210)에 인접한 게이트 물질(226)의 측방향 치수는 일회용 게이트의 제거에 의해 남겨진 절연체 물질(214)내의 개구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실제 채널 길이는 게이트 물질(226)의 패턴된 에치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일회용 게이트(220)의 제거에 의해 남겨진 개구는 게이트 물질(226)이 측벽 유전체(215)의 존재로 인해 일회용 게이트(220)의 제거에 의해 남겨진 공간내에서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206)위로 연장한다. 측벽 유전체(215)가 제거되면, 게이트 물질(226)은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206)의 끝 위에 연장할 수 있다.
게이트 물질(226)은 실리콘 또는 실리콘 게르마늄, 도핑된 폴리실리콘, 도핑된 비결정 실리콘층, 금속층, 다른 금속들로 구성된 합성 물질 또는 금속과 반도체 물질의 화합물, 및 다른 적절한 도전성 물질(예를 들어, 텅스텐, 티타늄 질화물,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실질적으로 함유하는 비결정 물질이다. 또한, 주목해야 할 것은 반도체 물질이 게이트 물질(226)용으로 부분적으로 사용된다면, 이 반도체 물질은 인 시튜 도핑될 수 있거나, 주입 및 어닐과 같은 수단에 의해 중착 이후에 도핑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핑은 n형 게이트 물질용으로 n형 도펀트(예를 들어, 인, 비소 또는 안티몬) 또는 p 형 게이트 물질용으로 p형 도펀트(예를 들어, 붕소)의 도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 물질(226)은 다음에 도 8g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212)를 형성하기 위해서 패턴 및 에칭된다. 소스/드레인 형성 이후의 게이트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소스/드레인 형성에 의해 요구되는 열 처리는 게이트 유전체(210) 및 게이트 전극(212)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므로, 도핑된 폴리실리콘 게이트 전극은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게이트 유전체 및 채널 영역내로 도펀트 확산시키지 않고 초박막 게이트 유전체(즉, 60Å 또는 심지어 30Å미만)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금속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게이트 전극은 소스/드레인 형성을 위한 열 처리가 이미 수행되었기 때문에 사용될 수 있다.
도 8g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212)가 절연층(214)의 일부 위에 연장하는 T-게이트 구조는 게이트 시트 저항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T-게이트 구조(212)의 상부로 부터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206)을 분리시키는 절연층(214)를 가지면, 돌츨된 소스/드레인 영역(206)과 T-게이트 구조(212)의 상부 사이의 게이트-드레인 용량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몇가지 장점을 갖지만, T-게이트 구조의 게이트 전극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요구되지 않는다. 게이트 전극(212)는 게이트 전극(212)가 게이트 유전체(210)에 의해서만 분리된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206) 및 소스/드레인 영역(204)의 부분을 위에 놓도록 형성될 수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술한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 유전체(215)는 게이트 전극(212)를 게이트 유전체(210)에 의해서만 영역(206)으로 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측벽 유전체(215)가 제거되면, 게이트 전극(212)는 게이트 유전체(210)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다.
공정은 본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MOSFET(200) 및 다른 장치(도시 안됨)사이의 상호 접속의 형성으로 연속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설명은 제한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뿐만 아니라 예시적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 및 조합이 본 설명을 참조한다면 본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는 분명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는 임의의 이러한 변형 또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분히 낮은 게이트 시트 저항, 짧은 접합 깊이, 및 낮은 접합 용량을 유지하면서 서브 미크론 영역으로 더욱 축소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5)

  1.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판의 정해진 채널 영역 위에 적어도 2개의 구별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일회용 게이트(disposable gate)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일회용 게이트에 인접하여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 위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의 구별되는 물질중 다른 하나를 실질적으로 제거하지 않고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구별되는 물질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일회용 게이트의 나머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정해진 채널 영역 위에 게이트 유전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유전체 위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의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 형성 단계는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의 형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구별되는 물질중 상기 하나는 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구별되는 물질중 다른 하나는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의 형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구별되는 물질중 상기 하나는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구별되는 물질중 상기 다른 하나는 실리콘-게르마늄 또는 실리콘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의 형성 방법.
  5. MOSFET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판의 정해진 채널 영역 위에 일회용 게이트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일회용 게이트 구조를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일회용 게이트 구조에 인접하여 선택적 에피택시에 의해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 위에 유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전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일회용 게이트 구조를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일회용 게이트 구조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정해진 채널 영역 위에 게이트 유전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유전체 위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OSFET의 형성 방법.
  6. 전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절연층의 일부 위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 형성 단계는
    상기 게이트 유전체 및 상기 절연층 위에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을 패터닝하고 에칭하여 상기 절연층의 일부 위에 연장하는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 형성 단계는
    상기 게이트 유전체 및 상기 절연층 위에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이 상기 절연층과 평탄화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 위의 선택적 에피택시에 의해 에피택셜층을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피택셜층은 상기 절연층의 일부 위에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 형성 단계는
    상기 게이트 유전체 및 상기 절연층 위에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이 상기 절연층과 평탄화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부 도전성 물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물질의 위에 및 상기 절연층의 일부 위에 연장되도록 상기 상부 도전성 물질을 증착, 패터닝 및 에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전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을 피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 형성 단계는 도펀트를 상기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으로 부터 상기 기판으로 확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 형성 단계는 상기 게이트 유전체 형성 단계 전에 상기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을 피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전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 형성 단계 후와 상기 게이트 유전체 형성 단계 전에 채널 도펀트의 자기 정렬 도입(self-aligned introduction)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은 인시튜 도핑되는(insitu-dop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전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의 일부 위에 연장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게이트 유전체에 의해서만 상기 상향 돌출된 소스/드레인 영역의 상기 일부로 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55324A 1996-10-28 1997-10-27 일회용 게이트를 사용하는 mosfet의 형성 방법 KR199800332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921596P 1996-10-28 1996-10-28
US60/029215 1996-10-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205A true KR19980033205A (ko) 1998-07-25

Family

ID=21847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324A KR19980033205A (ko) 1996-10-28 1997-10-27 일회용 게이트를 사용하는 mosfet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63677A (ko)
JP (1) JPH10150206A (ko)
KR (1) KR19980033205A (ko)
TW (1) TW36972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159B1 (ko) * 2003-02-28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세스 채널을 갖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5232A (en) 1997-11-12 2000-02-15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field effect transistors and related field effect transistor constructions
US6127232A (en) * 1997-12-30 2000-10-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isposable gate/replacement gate MOSFETS for sub-0.1 micron gate length and ultra-shallow junctions
US6436746B1 (en) 1998-01-12 2002-08-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istor having an improved gat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FR2775119B1 (fr) * 1998-02-19 2000-04-07 France Telecom Procede pour limiter l'interdiffusion dans un dispositif semi-conducteur a grille composite si/si 1-x ge x, o inferieur a x inferieur ou egal a 1.
US6465842B2 (en) * 1998-06-25 2002-10-15 Kabushiki Kaisha Toshiba MIS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0208508A (ja) * 1999-01-13 2000-07-28 Texas Instr Inc <Ti> 珪酸塩高誘電率材料の真空蒸着
US6552403B1 (en) * 1999-11-05 2003-04-22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Binary non-crystalline oxide analogs of silicon dioxide for use in gate dielectrics
US6432781B2 (en) * 2000-06-19 2002-08-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verted MOSFET process
US6440808B1 (en) * 2000-09-28 2002-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mascene-gate process for the fabrication of MOSFET devices with minimum poly-gate depletion, silicided source and drain junctions, and low sheet resistance gate-poly
KR100398035B1 (ko) * 2000-12-29 2003-09-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US6388327B1 (en) 2001-01-09 2002-05-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pping layer for improved silicide formation in narrow semiconductor structures
KR100406537B1 (ko) * 2001-12-03 2003-11-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US6620664B2 (en) 2002-02-07 2003-09-1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ilicon-germanium MOSFET with deposited gate dielectric and metal gate electrod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537885B1 (en) * 2002-05-09 2003-03-25 Infineon Technologies Ag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istor having a shallow junction formation using a two step EPI layer
US6656824B1 (en) 2002-11-08 2003-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w resistance T-gate MOSFET device using a damascene gate process and an innovative oxide removal etch
US7456476B2 (en) 2003-06-27 2008-11-25 Intel Corporation Nonplanar semiconductor device with partially or fully wrapped around gate electrode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6939751B2 (en) * 2003-10-22 2005-09-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manufacture of thin silicon on insulator (SOI) with recessed channel
US7042009B2 (en) 2004-06-30 2006-05-09 Intel Corporation High mobility tri-gate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7247535B2 (en) * 2004-09-30 2007-07-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ource/drain extensions having highly activated and extremely abrupt junctions
US20060086977A1 (en) 2004-10-25 2006-04-27 Uday Shah Nonplanar device with thinned lower body por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US7235433B2 (en) * 2004-11-01 2007-06-26 Advanced Micro Devices, Inc. Silicon-on-insulator semiconductor device with silicon layers having different crystal orientations and method of forming the silicon-on-insulator semiconductor device
US7518196B2 (en) 2005-02-23 2009-04-14 Intel Corporation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narrow bandgap source and drain regions and method of fabrication
US20060202266A1 (en) 2005-03-14 2006-09-14 Marko Radosavljevic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metal source/drain regions
US7858481B2 (en) 2005-06-15 2010-12-28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fabricating transistor with thinned channel
JP4659527B2 (ja) * 2005-06-20 2011-03-3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547637B2 (en) 2005-06-21 2009-06-16 Intel Corporation Methods for patterning a semiconductor film
US7279375B2 (en) 2005-06-30 2007-10-09 Intel Corporation Block contact architectures for nanoscale channel transistors
US7479421B2 (en) 2005-09-28 2009-01-20 Intel Corporation Process for integrating planar and non-planar CMOS transistors on a bulk substrate and article made thereby
US20070090416A1 (en) 2005-09-28 2007-04-26 Doyle Brian S CMOS devices with a single work function gate electrode and method of fabrication
US7485503B2 (en) 2005-11-30 2009-02-03 Intel Corporation Dielectric interface for group III-V semiconductor device
US7528065B2 (en) * 2006-01-17 2009-05-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MOSFET gate electrode landing pad
US8143646B2 (en) 2006-08-02 2012-03-27 Intel Corporation Stacking fault and twin blocking barrier for integrating III-V on Si
US20080272432A1 (en) * 2007-03-19 2008-11-06 Advanced Micro Devices, Inc. Accumulation mode mos device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the same
US8362566B2 (en) 2008-06-23 2013-01-29 Intel Corporation Stress in trigate devices using complimentary gate fill materials
CN102263132A (zh) * 2010-05-26 2011-11-30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半导体结构及其制造方法
KR101811796B1 (ko) * 2010-10-06 2018-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급경사 접합 프로파일을 갖는 소스/드레인 영역들을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EP2608269A1 (en) * 2011-12-23 2013-06-26 Imec Quantum well transistor, method for making such a quantum well transistor and use of such a quantum well transistor
US9812449B2 (en) 2015-11-20 201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VT gate stack for III-V nanosheet devices with reduced parasitic capacitan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8072A (en) * 1990-10-12 1992-12-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of fabricating an high-performance 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
US5391510A (en) * 1992-02-28 1995-0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ormation of self-aligned metal gate FETs using a benignant removable gate material during high temperature steps
US5576227A (en) * 1994-11-02 1996-11-19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Process for fabricating a recessed gate MOS device
US5545579A (en) * 1995-04-04 1996-08-1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fabricating a sub-quarter micrometer 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elevated source/drain areas and lightly doped drains
US5824586A (en) * 1996-10-23 1998-10-20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raised source/drain MOSFET
US5900666A (en) * 1996-12-03 1999-05-04 Advanced Micro Devices, Inc. Ultra-short transistor fabrication scheme for enhanced reliabi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159B1 (ko) * 2003-02-28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세스 채널을 갖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227224B2 (en) 2003-02-28 2007-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S transistor with elevated source and drain structures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50206A (ja) 1998-06-02
US6063677A (en) 2000-05-16
TW369729B (en) 199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3205A (ko) 일회용 게이트를 사용하는 mosfet의 형성 방법
US6063675A (en) Method of forming a MOSFET using a disposable gate with a sidewall dielectric
EP092311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OSFET
US5716861A (en) 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 structure and method
US5998835A (en) High performance MOSFET device with raised source and drain
US7091092B2 (en) Process flow for a performance enhanced MOSFET with self-aligned, recessed channel
US6309933B1 (en) Method of fabricating T-shaped recessed polysilicon gate transistors
US4908326A (en) Process for fabricating self-aligned silicide lightly doped drain MOS devices
US6124627A (en) Lateral MOSFET having a barrier between the source/drain region and the channel region using a heterostructure raised source/drain region
US5656518A (en) Method for fabrication of a non-symmetrical transistor
US5382536A (en) Method of fabricating lateral DMOS structure
US6137141A (en) MOS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JPH0629532A (ja) Mosfet及びその製造方法
US6187641B1 (en) Lateral MOSFET having a barrier between the source/drain region and the channel region using a heterostructure raised source/drain region
US5654215A (en) Method for fabrication of a non-symmetrical transistor
US20060211197A1 (en) Mos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80217685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424887B2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6873008B2 (en) Asymmetrical devices for short gate length performance with disposable sidewall
US6579765B1 (en)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s
KR19980033206A (ko) 일회용 게이트를 사용하는 mosfet의 형성 방법
JP2000223700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194655B1 (ko)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64328A (ko) 인버스 t형 ldd 구조의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0152936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