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082A - Geared motor - Google Patents

Geared mo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082A
KR19980033082A KR1019970054388A KR19970054388A KR19980033082A KR 19980033082 A KR19980033082 A KR 19980033082A KR 1019970054388 A KR1019970054388 A KR 1019970054388A KR 19970054388 A KR19970054388 A KR 19970054388A KR 19980033082 A KR19980033082 A KR 19980033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ed motor
rotating body
gear
output shaft
clutch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3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23391B1 (en
Inventor
오노시게카츠
Original Assignee
노가미스스무
가부시키가이샤히가시후지세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가미스스무, 가부시키가이샤히가시후지세사쿠쇼 filed Critical 노가미스스무
Publication of KR19980033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0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39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clu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auxiliary mechanical devices, e.g. with clutches or brak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출력축으로 가해진 무리한 회동력 등이 해제되어 회동력의 전달 시스템이 클러치 기구에 의해서 재접속될 때, 그 전달 시스템의 작동 상태와 출력축의 회동 상태와의 관계를 소정의 위치관계로 확실하게 복귀시킬 수 있는 기어드 모터를 얻는다.When the excessiv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output shaft is released and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system is reconnected by the clutch mechanis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nsmission system and the rotational state of the output shaft can be reliably restor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al relationship. Get a geared motor

클러치 기구(40)를 구성하는 출력 기어(20)와 래칫 기어(41)의 대향부에, 스프링(42)의 바이어스에 의해 서로 결합 가능한 볼록부와 오목부를 설치하고, 그 오목부에 인접하여 경사면을 형성하였다.On the opposite side of the output gear 20 and the ratchet gear 41 which comprise the clutch mechanism 40, the convex part and the recessed part which can be mutually couple | bonded by the bias of the spring 42 are provided, and the inclined surface adjacent to the recessed part is provided. Formed.

Description

기어드 모터Geared motor

본 발명은 모터의 회동력을 기어열을 통해 회동체에 전달하며, 그 회동체의 회동력을 클러치 기구를 통해 출력축을 통해 출력하는 기어드 모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ared motor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he rotating body through the gear train, and outputs the rotating force of the rotating body through the output shaft through the clutch mechanism.

이와 같은 기어드 모터로서, 예컨대, 모터의 회동력에 의해 출력축을 소정의 각도씩 왕복 회동시키기 위한 링크 기구를 구비한 것은, 요동형 기어드 모터라고 하며, 에어콘이나 온풍 히터의 풍향 조절용의 루버를 요동시키기 위한 구동원등으로서 이용되고 있다.Such a geared motor, for example, having a link mechanism for reciprocating the output shaft by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s called a swing geared motor, and swings the louver for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of an air conditioner or a warm air heater. It is used as a drive source for this.

본 출원인은, 먼저, 이러한 요동형 기어드 모터로서, 토크 리미터 기구를 구비한 것을 제안하였다(일본 실용 공개 평7-3270호). 이 토크 리미터 기구는 모터와 출력축 사이의 회동력의 전달 시스템 중 와셔와 슬립부재를 개재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고, 출력축으로 무리한 회동력이 가해지거나 출력축으로 과부하가 걸렸을 때, 와셔와 슬립부재의 사이가 슬리핑되어 회동력의 전달 시스템을 자동적으로 끊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예컨대, 기어드 모터를 구비한 에어콘이나 온풍 히터의 풍향 조절용 루버 및 기어드 모터 자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applicant first proposed such a rocking type geared motor having a torque limiter mechanism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H7-3270). The torque limiter mechanism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washer and a slip member are interposed between the motor and the output shaft transmission system, and when an excessive rotation force is applied to the output shaft or an overload is applied to the output shaft, a gap between the washer and the slip member is caused. Sleeping is designed to automatically turn off the transmission system of the turning force. As a resul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wind direction control louver of the air conditioner or warm air heater provided with the geared motor and the geared motor itself.

상기 제안된 기어드 모터에 있어서의 토크 리미터 기구는, 와셔와 슬립 부재와의 사이에 슬리핑이 발생하지 않게 되었을 때, 그것들이 즉시 연결상태로 복귀하여 회동력의 전달 시스템이 재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그 전달 시스템이 재접속된 시점에 따라서, 그 전달 시스템의 작동 상태와 출력축의 회동 상태와의 관계가 변화하게 되고, 예컨대, 회동력의 전달 시스템 중에 링크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요동형 기어드 모터의 경우에는, 그 링크 기구의 작동 상태와 루버 등의 작동 상태와의 관계가 엇갈려, 루버의 작동 특성이 변할 수 있다.The torque limiter mechanism in the proposed geared motor, when slipping does not occur between the washer and the slip member, immediately returns to the connected state, and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system is reconnected.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nsmission system and the rotational state of the output shaft changes according to the point in time when the transmission system is reconnected.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nk mechanism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louver or the like may be staggered, and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louver may change.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출력축에 가해진 무리한 회동력 등이 해제되어, 회동력의 전달 시스템이 클러치 기구에 의해서 재접속될때, 그 전달 시스템의 작동 상태와 출력축의 회동 상태와의 관계를 소정의 위치관계로 확실히 복귀시킬 수 있는 기어드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circumstances, and when the excessiv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output shaft is released and the transmission system of the rotational force is reconnected by the clutch mechanis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nsmission system and the rotational state of the output shaft is determin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eared motor that can be reliably return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al relationshi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top view for demon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요부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1. FIG.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래칫 기어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ratchet gear shown in FIG.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3.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출력 기어의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of the output gear shown in FIG. 2. FIG.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5.

도 7은 도 5의 VII-VII 선을 따르는 확대 단면도이다.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5.

부호의설명Explanation of Signs

1...케이싱 10...모터 출력축1 ... casing 10 ... motor output shaft

11, 12...감속 기어 13...제1 작동 기어11, 12 ... Deceleration gear 13 ... First operating gear

14...링크 부재 15...제2 작동 기어14 ... link member 15 ... 2nd working gear

20...출력 기어(회동체) 21...지지축20 ... Output gear (rotary body) 21 ... Support shaft

22...베어링 30...출력축22 Bearing 30 Output shaft

40...클러치 기구 41...래칫 기어(종동체)40 Clutch mechanism 41 Ratchet gear (follower)

42...스프링(바이어스 수단)42.Spring (biasing means)

청구항 1에 기재된 기어드 모터는, 모터의 회동력을 기어열을 통해 회동체에 전달하고, 상기 회동체의 회동력을 클러치 기구를 통해 출력축을 통해 출력하는 기어드 모터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회동체와 동축상에 위치하고, 상기 회동체와 상대 회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회동체와의 대향방향을 따라서 근접 및 이간 변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출력축에 연결되는 종동체와, 상기 종동체를 상기 회동체와의 근접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 수단과, 상기 회동체와 상기 종동체의 대향면의 일측에 설치된 볼록부와, 상기 회동체와 상기 종동체의 대향면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볼록부와 결합 가능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오목부 내로 상기 볼록부를 안내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eared mo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ared motor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he rotating body through the gear train, and outputs the rotating force of the rotating body through the output shaft through the clutch mechanism, wherein the clutch mechanism, A follower positioned coaxially with the rotatable body, being rotatable relative to the rotatable body and installed so as to be proximate and spaced apar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able body, and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A biasing means for biasing in a proximal direction with the fuselage, a convex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posite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driven member, and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pposite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driven body and coupled to the convex portion; And a slanted surface which is provided adjacent to the concave portion and guides the convex portion into the concave portion. All.

여기서, 청구항 2에 기재된 기어드 모터는,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가 각각 상기 회동체 및 상기 종동체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씩 형성되며, 또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복수개의 오목부 중 적어도 1개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기어드 모터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복수개의 오목부 중 상기 경사면이 인접하여 형성된 것은, 상기 경사면이 인접하여 형성되지 않은 것 보다 내경치수가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in the geared motor according to claim 2,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are each formed in plur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driven body, and the inclined surface is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The geared motor according to claim 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ccording to claim 2, so that the inner diameter is larger than that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 is not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기어드 모터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사면이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청구항 5에 기재된 기어드 모터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와 종동체의 대향부위에 그것들이 소정의 상대 회동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over, the geared motor of Claim 4 is provided with the inclined surface in any one of Claims 1-3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said recessed part, The geared motor of Claim 5 is a Claim 1-Claim An indicator indicating that they are at a predetermined relative rotational position is formed at opposing portions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driven body.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기어드 모터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어열이 상기 모터의 회동력에 의해 상기 회동체를 소정의 각도씩 왕복 회동시키는 링크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over, the geared motor of Claim 6 has the link mechanism which the gear train of any one of Claims 1-5 reciprocally rotates the said rotation body by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aid motor,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상기 기어열에 설치되는 출력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over, the said rotating body is an output gear provided in the said gear train of any one of Claims 1-6 of Claim 7.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이 실시 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드 모터를 요동형 기어드 모터에 적용한 일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케이싱(1)내의 기어열 및 링크기구에 의해, 모터의 출력축(이하, 모터 출력축이라 함:10)과 출력 기어(회동체:20) 사이의 동력 전달 시스템이 형성되며, 또한 출력 기어(20)와 출력축(30) 사이에 클러치 기구(40)가 구성되어 있다.This embodiment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geared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ocking geared motor, and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otor output shaft: 10) by the gear train and the link mechanism in the casing 1. And a power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he output gear (rotating body 20) and the clutch mechanism 40 are configured between the output gear 20 and the output shaft 30.

우선, 모터 출력축(10)과 출력 기어(20) 사이의 동력 전달 시스템을 도 1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동력 전달 시스템에서 모터 출력축(10)의 회전은, 2쌍의 감속 기어(11, 12)에 의해 감속된 후 제1 작동 기어(13)에 전달된다.First,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he motor output shaft 10 and the output gear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In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the rotation of the motor output shaft 10 is performed by two pairs of reduction gears ( Decelerated by 11, 12 and then transmitted to the first actuating gear 13.

도면 중 01, 02, 03 및 04는 모터 출력축(10), 감속 기어(11, 12) 및 제1 작동 기어(13)의 각각의 회동 축선이고, 제1 작동 기어(13)는, 그 회동 축선(O4)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캠축(1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 14는, 축선(03)을 요동 중심으로 하는 링크 부재이고, 그 중간부에 형성된 장공(14A) 내에, 제1 작동 기어(13)의 캠축(13A)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그 기어(13)가 회동함으로써 도 1 중의 2점쇄선과 같이 요동한다. 이 링크 부재(14)의 단부에 형성된 장공(14B)에는, 제2 작동 기어(15)에 형성된 축부(15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O5는 제2 작동 기어(15)의 회동 축선이고, 축부(15A)는, 그 회동축선(O5)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링크 부재(14)가 요동함으로써, 제2 작동 기어(15)가 소정의 각도(θ)씩 왕복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제2 작동 기어(15)가 출력 기어(20)에 맞물려 있다. 따라서, 모터 출력축(10)의 회동에 의해, 출력 기어(20)가 소정의 각도씩 왕복 회동되게 된다. O6은, 출력 기어(20) 및 출력축(30)의 회동 축선이다.In the figure, 01, 02, 03, and 04 are the rotational axes of the motor output shaft 10, the reduction gears 11 and 12, and the first operating gear 13, respectively, and the first operating gear 13 is the rotational axis thereof. The camshaft 13A is formed in the position deviating from (O4). In addition, the code | symbol 14 is the link member which makes the axis line 03 the pivot center, The camshaft 13A of the 1st operating gear 13 is coupled so that the cam shaft 13A of the 1st operating gear 13 can slide, When the gear 13 rotates, it swings like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15 A of shaft parts formed in the 2nd actuating gear 15 are slidably coupled to the long hole 14B formed in the edge part of this link member 14. As shown in FIG. O5 is a rotational axis of the second actuating gear 15, the shaft portion 15A is formed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rotational axis O5, and the link member 14 swings so that the second actuating gear 15 is rotated. Reciproc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θ. This second actuating gear 15 is engaged with the output gear 20. Therefore, the output gear 20 is reciproc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output shaft 10. O6 is a rotation axis of the output gear 20 and the output shaft 30.

이어서, 클러치 기구(40)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클러치 기구(40)는 동일한 축선(O6)상에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출력 기어(20)와 출력축(30)의 대향면사이에 구성되어 있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clutch mechanism 40, the clutch mechanism 40 is comprised between the opposing surface of the output gear 20 and the output shaft 30 arrange | positioned so that relative rotation is possible on the same axis line O6. .

출력 기어(20)는, 도 2와 같이 축선(O6)상의 지지축(2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지지축(21)의 하단은 베어링(22)을 통해 케이싱(1)의 하측 플레이트(1A)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 지지축(21)의 상단은 출력축(30)에 회전 방지 결합되어 있고, 그 출력축(30)은 케이싱(1)의 상측 플레이트(1B)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축(21)은 출력축(30)과 일체로 회동하며, 그 지지축(21)에 대하여 출력 기어(20)가 회동가능하게 되어있다.The output gear 2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21 on the axis line O6 as shown in FIG. 2, an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 21 is the lower plate of the casing 1 through the bearing 22. It is rotatably supported by 1A.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haft 21 is rotationally coupled to the output shaft 30, and the output shaft 3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upper plate 1B of the casing 1. Therefore, the support shaft 21 rotates integrally with the output shaft 30, and the output gear 2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21.

출력 기어(20)의 지지축(21) 둘레에는 오목부(20A)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전결체로서의 래칫 기어(41)가 회동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다. 이 래칫 기어(41)의 하면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볼록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예의 경우는, 90°의 등간격으로 위치하는 4개의 반구형 볼록부(41A)가 형성되어 있고, 그 볼록부(41A)의 직경은 약 1.2mm로 되어 있다. 또한, 래칫 기어(41)의 중앙부에는, 지지축(21)이 관통하는 관통공(41B)과, 그 지지축(21)의 돌기(미도시)와 결합되어 회전이 방지되는 홈부(41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래칫 기어(41)는 지지축(21)에 대하여 회전이 방지된다.20 A of recesses are formed around the support shaft 21 of the output gear 20, and the ratchet gear 41 as an all-electric body is rotatably located inside. 3 and 4,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41A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atchet gear 41. In the case of this example, four hemispherical convex parts 41A located at equal intervals of 90 degrees are formed, and the diameter of the convex parts 41A is about 1.2 mm.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atchet gear 41, a through hole 41B through which the support shaft 21 penetrates, and a groove portion 41C which is engaged with a protrusion (not shown) of the support shaft 21 and prevents rotation thereof is provided. Formed. Therefore, the ratchet gear 41 is prevented from rotating about the support shaft 21.

한편, 출력 기어(20)의 오목부(20A)의 저면에는, 도 5와같이 복수개의 오목부(20B, 20C)와 경사면(20D)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bottom face of the recessed part 20A of the output gear 20, as shown in FIG. 5, several recessed part 20B, 20C and the inclined surface 20D are formed.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둘레 방향을 따라 90°의 등간격으로 위치하는 4개의 제1 오목부(20B)와, 1개의 제1오목부(20B) 에 대하여 둘레 방향의 양측으로 하나씩 인접하는 8개의 경사면(20D)과, 경사면(20D)의 상호간에 2개씩 위치하는 8개의 제2 오목부(2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오목부(20B)와 제2 오목부(20C)는 원형공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제1 오목부(20B)의 직경은 제2 오목부(20C)의 직경0.85mm보다 큰 1.0mm, 도 5 중의 각도θ1, θ2, θ3은, 각각 16°, 25°, 36°로 되어 있다. 또한, 출력 기어(20)의 상면에는 지표로서의 오목부(20E)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20E)와 래칫 기어(41)의 볼록부(41A)의 위치관계로부터, 결합시에 있어서의 기어(20, 41)의 위치관계를 인식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first concave portions 20B positioned at equal intervals of 90 °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eight one adjacent to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one first concave portion 20B. Eight second concave portions 20C, which are positioned two by two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20D and the inclined surface 20D, are formed. In addition, the first concave portion 20B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20C are formed as circular holes,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20B is 1.0 mm larger than the diameter of 0.82 mm of the second concave portion 20C. 5, angles θ1, θ2, and θ3 are 16 °, 25 °, and 36 °, respectively. Moreover, the recessed part 20E as an index | surfac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put gear 20, From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is recessed part 20E and the convex part 41A of the ratchet gear 41 at the time of engagemen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gears 20 and 41 can be recognized and adjusted.

또한, 래칫 기어(41)와 출력축(30) 사이에는, 래칫 기어(41)를 하방으로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스프링(42)이 개재되어 있다.In addition, a spring 42 for biasing the ratchet gear 41 downward is interposed between the ratchet gear 41 and the output shaft 30.

이어서,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요동형 기어드 모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rocking type geared moto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 시스템에 의해 제2 작동 기어(15)가 소정의 각도(θ)씩 왕복 회동되며, 그에 연동되어 출력 기어(20)가 소정의 각도씩 왕복 회동된다. 한편, 클러치 기구(40)는, 스프링(42)이 래칫 기어(41)를 출력 기어(20)쪽으로 누름으로써, 래칫 기어(41)의 볼록부(41A)가 출력 기어(20)의 오목부(20B, 20C)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actuating gear 15 is reciproc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θ by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the output gear 20 is reciproc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conjunction with it.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clutch mechanism 40, the spring 42 presses the ratchet gear 41 toward the output gear 20, so that the convex portion 41A of the ratchet gear 41 is recessed in the output gear 20 ( 20B, 20C).

본 실시 형태의 경우, 4개의 볼록부(41A)가 90° 간격을 이루고, 4개의 제1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four convex parts 41A make a 90 degree space | interval, and four 1st

오목부(20B)가 90° 간격을 이루며, 8개 중의 4개의 제2 오목부(이하, 제1조의 제2오목부라고 함:20C)가 90° 간격을 이루며, 8개 중의 다른 4개의 제2 오목부(이하, 제2조의 제2 오목부라고 함:20C)가 90° 간격을 이루기 때문에, 볼록부(41A)와 오목부(20B, 20C)의 결합상태로서, 다음과 같은 제1, 제2, 제3 결합 상태의 3가지가 있다. 제1 결합 상태는 각 볼록부(41A)가 각 제1 오목부(20B)와 결합하는 상태이고, 제2 결합 상태는 각 볼록부(41A)가 각 제1조의 제2 오목부(20C)와 결합하는 상태이며, 제3 결합 상태는 각 볼록부(41A)가 각 제2조의 제2 오목부(20C)와 결합하는 상태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제1오목부(20B)보다 각 제2오목부(20C)가 작게 설정됨으로써, 제2, 제3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결합력은 작고, 클러치 기구(40)가 회동력을 전달할 때는, 큰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제1 결합 상태가 된다.The recesses 20B are spaced at 90 ° intervals, and four second recesses in eigh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recesses of the first article: 20C) are spaced at 90 ° intervals and the other four of the eight 2 Since the recess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recesses of the second article: 20C) form an interval of 90 °, the convex portion 41A and the recessed portions 20B and 20C are joined to each other. There are three types of second and third coupling states. In the first engagement state, each convex portion 41A engages with each of the first concave portions 20B, and in the second engagement state, each convex portion 41A is associated with each of the first sets of second concave portions 20C. The third engagement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convex portions 41A engage with the second concave portions 20C of each second set. However,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second recesses 20C is set smaller than each of the first recesses 20B, so that the engagement force in the second and third engagement states is small, and the clutch mechanism 40 rotates. When it transmits, it will be in the 1st engagement state which produces a big coupling force.

따라서, 클러치 기구(40)는, 통상 이러한 제1 결합 상태에 의해 접속되어 출력 기어(20)의 회동력을 출력축(3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경사면(20D)의 경사깊이 만큼, 제1 결합 상태에 있어서의 결합력은 보다 큰 것이 되기 때문에, 그 결합력을 비교적 큰 범위를 포함해서 알맞게 설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clutch mechanism 40 is normally connected by such a 1st engagement state,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output gear 20 to the output shaft 30. As shown in FIG. Moreover, since the engagement force in a 1st engagement state becomes larger by the inclination depth of the inclined surface 20D, the engagement force can be set suitably including a comparatively large range.

지금, 예컨대, 출력축(30)에 무리한 회동력이 가해지거나 출력축(30)에 과부하가 걸려, 출력 기어(20)와 래칫 기어(41) 사이에 클러치 기구(40)의 접속력보다 과대한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그것들 양자간의 제1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없고, 스프링(42)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래칫 기어(41)가 상방으로 변위되고, 출력 기어(20)와 래칫 기어(41)가 강제적으로 상대회전되어 클러치가 끊어진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예컨대, 기어드 모터를 구비한 에어콘이나 온풍 히터의 풍향 조절용 루버 및 기어드 모터 자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Now, for example, an excessive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output shaft 30 or an overload is applied to the output shaft 30 so that an excessive force is greater than the connection force of the clutch mechanism 40 between the output gear 20 and the ratchet gear 41. When applied, the first engagement state between them cannot be maintained, the ratchet gear 41 is displaced upward in response to the biasing force of the spring 42, and the output gear 20 and the ratchet gear 41 are forcibly Relative rotation results in the clutch being broken. As a resul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wind direction control louver of the air conditioner or warm air heater provided with the geared motor and the geared motor itself.

그런데, 출력 기어(20)와 래칫 기어(41)가 강제적으로 상대회전될 때, 그것들의 상대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술한 제1, 제2, 제3 결합상태가 단속적으로 발생하고, 다시 클러치 기구(40)가 접속될 때는 제1 결합 상태가 된다. 또한, 경사면(20D)이 형성되어 있는 범위에서, 볼록부(41A)가 제1 오목부(20B) 내로 들어가기 쉽게 되어, 그 만큼 클러치 기구(40)는 제1 결합 상태로써 접속되기 쉽게 된다. 따라서, 클러치 기구(40)가 확실하게 특정된 제1 결합 상태로 접속되고, 출력 기어(20)와 래칫 기어(41)가 소정의 위치관계로 확실히 복귀하게 된다. 이 결과, 소정의 각도씩 왕복 회동하는 출력 기어(20)와, 루버 등을 왕복 운동시키는 출력축(30)과의 관계가 소정의 관계로 유지되고, 루버 등의 작동 특성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By the way, when the output gear 20 and the ratchet gear 41 are forcibly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the above-described first, second and third engagement states are intermittently generated according to their relative rotational directions, and again the clutch mechanism When 40 is connected, it will be in a first engagement state. Moreover, in the range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 20D is formed, the convex portion 41A easily enters into the first concave portion 20B, so that the clutch mechanism 40 is easily connected in the first engaged state. Therefore, the clutch mechanism 40 is connected to the 1st engagement state reliably specified, and the output gear 20 and the ratchet gear 41 are reliably return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al relationship.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ut gear 20 reciprocating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output shaft 30 reciprocating the louver or the like is maintained in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and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louver and the like are kept constant.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바이어스 수단으로서 스프링(42)을 사용한 경우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치수 형상 등의 설계 조건에 맞춰서 적절한 판 스프링이나 접시 스프링 등의 각종의 바이어스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only the case where the spring 42 is used as the biasing means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biasing means such as a leaf spring and a disc spring suitable for design conditions such as dimensional shapes and the like. Can be us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내지 7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기어드 모터에 의하면, 클러치 기구를 구성하는 회동체와 종동체의 대향면에, 클러치 기구를 접속하기 위해서 서로 결합되는 볼록부와 오목부를 설치하고, 또한 그 오목부에 인접하는 경사면을 설치함으로써, 그 경사면의 형성 범위에 있어서 볼록부를 오목부내로 들어가기 쉽게 하고, 출력축으로 가해진 무리한 회동력 등이 해제되어 회동력의 전달 시스템이 클러치 기구에 의해서 재접속될 때, 그 전달 시스템의 작동 상태와 출력축의 회동 상태와의 관계를 소정의 위치관계로 확실히 복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geared mo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clutch mechanism are provided on opposing surfaces of the rotational body and the driven body constituting the clutch mechanism. Further, by providing an inclined surface adjacent to the concave portion, the convex portion can easily enter the concave portion in the formation range of the inclined surface, the excessiv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output shaft is released, and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system is reconnected by the clutch mechanism. When this occu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nsmission system and the rotating state of the output shaft can be reliably return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al relationship.

이 때, 청구항 2에 기재된 기어드 모터에 의하면,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오목부와 볼록부와의 결합에 의해, 회동체와 종동체의 필요없는 상대회전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기어드 모터에 의하면, 경사면이 형성된 오목부에 대하여 볼록부를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geared motor according to claim 2, the unnecessary relativ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driven body can be suppressed by the coupling between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 is not formed, and further described in claim 3 According to the geared motor, the convex portion can be reliably engaged with the concave portion on which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기어드 모터에 의하면, 경사면을 오목부의 양측에 인접하여 형성함으로써, 그 형성 범위를 크게 설정하여, 볼록부와 오목부를 보다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청구항 5에 기재된 기어드 모터에 의하면, 소정의 상대 회동 위치에 있음을 나타내는 지표를 형성함으로써, 회동체와 종동체를 소정의 위치관계로 유지한 채, 그것들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geared motor according to claim 4, by forming the inclined surface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concave portion, the formation range can be set large, and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can be more reliably coupled to the geared motor according to claim 5 According to this, by forming an index indicating that the motor is at a predetermined relative rotational pos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mbine them while maintaining the rotational body and the driven body in a predetermined positional relationship.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기어드 모터에 의하면, 그 링크 기구의 작동 상태와 출력축으로 연결되는 루버 등의 작동 상태와의 관계를 항상 소정의 관계로 유지하여, 그 루버 등의 작동 특성을 유지할 수 있고, 청구항 7에 기재된 기어드 모터에 의하면, 회동체를 출력 기어로 함으로써, 그것을 기어열에 편입시켜 동력 전달 시스템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geared motor according to claim 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nk mechanism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louver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is always maintained in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and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louver and the like can be maintained. According to the geared motor according to claim 7, by using the rotating body as an output gear, i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gear train and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can be obtained.

Claims (7)

모터의 회동력을 기어열을 통해 회동체에 전달하고, 상기 회동체의 회동력을 클러치 기구를 통해 출력축을 통해 출력하는 기어드 모터에 있어서,In the geared motor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he rotating body through the gear train, and outputs the rotating force of the rotating body through the output shaft through the clutch mechanism, 상기 클러치 기구는, 상기 회동체와 동축상에 위치하고, 상기 회동체와 상대 회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회동체와의 대향방향을 따라서 근접 및 이간 변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출력축에 연결되는 종동체와, 상기 종동체를 상기회동체와의 근접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 수단과, 상기 회동체와 상기 종동체의 대향면의 일측에 설치된 볼록부와, 상기 회동체와 상기 종동체의 대향면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볼록부와 결합 가능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오목부 내로 상기 볼록부를 안내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The clutch mechanism is located on the same shaft as the rotating body, the rotating body is relatively rotatable with the rotating body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in close proximity and apart displacem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ng body and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Bias means for biasing the follower in a proximal direction with the pivot, a convex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posing surface of the pivot and the follower, and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pposing surface of the pivot and the follower And a concave portion engageable with the convex portion, and an inclined surface disposed adjacent to the concave portion and guiding the convex portion into the concav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는 각각 상기 회동체 및 상기 종동체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씩 형성되며, 또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복수개의 오목부 중 적어도 1개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The said concave part and the said convex part are each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aid rotating body and the follower, respectively, The said inclined surface is formed adjacent to at least 1 of the said some concave part, Geared motor,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오목부 중 상기 경사면이 인접하여 형성된 것은, 상기 경사면이 인접하여 형성되지 않은 것 보다 내경치수가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The geared mo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inner diameter is larger than that of the inclined surface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The geared mo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concave por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와 상기 종동체의 대향부위에 그것들이 소정의 상대 회동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The geared mo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n index indicating that they are at a predetermined relative rotational position is formed at opposite portions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driven body.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열은 상기 모터의 회동력에 의해 상기 회동체를 소정의 각도씩 왕복 회동시키는 링크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The geared mo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gear train has a link mechanism for reciprocating the pivot by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상기 기어열에 설치되는 출력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The geared mo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rotating body is an output gear provided in the gear train.
KR1019970054388A 1996-10-23 1997-10-23 Geared motor KR10032339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99329 1996-10-23
JP8299329A JPH10127009A (en) 1996-10-23 1996-10-23 Geared m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082A true KR19980033082A (en) 1998-07-25
KR100323391B1 KR100323391B1 (en) 2002-03-08

Family

ID=1787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388A KR100323391B1 (en) 1996-10-23 1997-10-23 Geared mo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127009A (en)
KR (1) KR100323391B1 (en)
MY (1) MY12308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916B1 (en) * 2001-02-14 2004-11-10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A geared mo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916B1 (en) * 2001-02-14 2004-11-10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A geared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3391B1 (en) 2002-03-08
JPH10127009A (en) 1998-05-15
MY123080A (en)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8765A (en) Spherical robotic wrist joint
US5284455A (en) Shaft coupling having multiple rib connectors
CN110454513A (en) Power transmission
EP0122064B1 (en) Endless belt member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5449143A (en) Air vent control apparatus
KR20060090766A (en) Bi-directional friction clutch or brake assembly for transmissions
US4380942A (en) Torque-transmitting tool assembly
KR100323391B1 (en) Geared motor
WO2002086983A3 (en) Device for transmitting an excursion of an actuator
US6112613A (en) Actuating device for automatic actuation of a transmission
KR840007375A (en) Rotary Sliding Gate Valve for Molten Material
US5209134A (en) Synchronous bidirectional gearing mechanism
JPH02150517A (en) Back torque reduction device
JPS61140625A (en) Transmission connecting-disconnecting device in centrifugal clutch
JP3017222B2 (en) Hoop wood cutter
JP3696788B2 (en) motor
EP0866512B1 (en) Microwave switch
US4909775A (en) Device for transferring rotary motion between two shafts
EP4137729A1 (en) Valve actuator
KR930008262Y1 (en) Paper cutter
JP3887166B2 (en) Clutch and motor
KR20230117676A (en) Stepless transmission
KR100230046B1 (en) Wide angle universal joint
CN108884916B (en)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JP4571446B2 (en) clu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