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983A - 음성 부호화 방법 및 장치와 오디오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부호화 방법 및 장치와 오디오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983A
KR19980032983A KR1019970053788A KR19970053788A KR19980032983A KR 19980032983 A KR19980032983 A KR 19980032983A KR 1019970053788 A KR1019970053788 A KR 1019970053788A KR 19970053788 A KR19970053788 A KR 19970053788A KR 19980032983 A KR19980032983 A KR 19980032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ctor
quantization
encoding
output
weigh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시구찌마사유끼
이이지마가즈유끼
마쯔모또준
오모리시로
Original Assignee
이데이노브유끼
소니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노브유끼, 소니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노브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3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98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08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excitation function; 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long-term prediction parameters
    • G10L19/12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excitation function; 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long-term prediction parameters the excitation function being a code excitation, e.g. in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CELP] vocoders
    • G10L19/13Residual excited linear prediction [RELP]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27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techni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Abstract

청각 가중 벡터양자화에 대한 가중값을 계산할 때의 처리량이 감소되어 처리의 속도를 향상시키거나 하드웨어에 대한 부하를 절감시킬 수도 있는 음성 부호화 방법 및 장치와 오디오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이 목적에서, 역LPC 필터(111)가 사인파합성 부호화부(114)에 의해 사인파합성 부호화로 처리되는 입력 음성신호의 LPC(선형예측 부호화) 나머지들을 구한다. 그 결과의 파라미터들은 벡터양자화기(116)에 의해 청각 가중 벡터양자화로 처리된다. 이 청각 가중 벡터양자화에 대해서, 가중값이 가중의 전달함수의 임펄스 응답에서 유도되는 파라미터들의 직교변환의 결과에 근거해서 계산된다.

Description

음성 부호화 방법 및 장치와 오디오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입력 음성신호가 부호화 단위로서 블록이나 프레임에 의하여 분할되고 부호화 단위에 의하여 부호화되는 음성 부호화 방법 및 장치와, 입력 오디오신호가 주파수 범위 신호로 변환된 입력 오디오신호에 해당하는 신호에서 유래하는 파라미터로 표시됨으로서 부호화되는 오디오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에서 신호의 통계적 특성과 인간의 청감(psycho acoustic) 특성을 이용하여 신호 압축을 위해 오디오신호(음성과 음향신호들을 포함하는)를 부호화하기 위한 다양한 부호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부호화 방법은 대략 시간영역 부호화, 주파수영역 부호화, 그리고 분석/합성 부호화로 분류될 수 있다.
음성신호들의 고효율의 예들로는 조파부호화 또는 다중대역여기(MBE) 부호화와 같은 사인파분석 부호화, 부대역 부호화(SBC), 선형예측 부호화(LPC), 이산 코사인 변환(DCT), 수정된 DCT(MDCT), 그리고 고속 푸리에변환(FFT)이 있다.
반면에, 음성 또는 음악 신호들과 같은 입력 오디오신호를 나타낼 때, 주파수 범위 신호로 변환된 오디오신호에 해당하는 신호에서 유도되는 파라미터에 대해서, 공통된 실시는 가중 벡터양자화로 파라미터들을 양자화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이산 푸리에변환(DFT) 계수, DCT 계수 또는 MDCT 계수, 이러한 파라미터들에서 유도되는 조파들의 진폭, 그리고 LPC 나머지의 조파와 같은 입력 오디오신호의 주파수 범위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가중 벡터양자화를 수행할 때, 종래의 실시는 LPC 합성 필터의 주파수특성을 계산하고 청각 가중 필터의 주파수특성을 계산하여 그것들을 서로 곱하거나 곱의 분자와 분모의 주파수 특성을 계산하여 그것의 비율을 계산하여야 했다.
하지만, 벡터양자화에 대해 가중값을 계산할 때, 일반적으로 엄청난 수의 처리조작이 포함되므로, 처리량을 더욱 감소시키는 것이 요망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벡터양자화에 대한 가중값을 계산할 때 관계되는 처리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음성 부호화 방법 및 장치와 오디오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서 부호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신호 부호화 장치(부호기)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부호기에 의해 부호화된 신호를 복호화 하기 위한 음성신호 복호화 장치(복호기)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음성신호 부호기의 좀더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부호기에 의해 부호화된 신호를 복호화 하기 위한 음성신호 복호기의 좀더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출력데이터의 비트율을 나타낸다.
도 6은 LPC 양자화기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LPC 양자화기의 좀더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벡터양자화기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벡터양자화기의 좀더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감소된 처리량을 가지는 가중 계산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양자화값들과, 차원들의 수와 비트들의 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서 음성신호 부호기의 CELP 부호화부(제 2부호화부)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구성에서 처리 흐름을 도식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a 및 14b는 다른 임계값들에서 클리핑한 후의 잡음과 가우스잡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는 학습에 의해 형상코드북을 발생할 때에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V/UV 상태에 따르는 LSP 보간의 스위칭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7은 10차 LPC 분석에 의해 얻어진 α파라미터에서 유도되는 10차 선형 스펙트럼쌍(LSPs)들을 나타낸다.
도 18은 UV프레임에서 V프레임으로의 이득변화의 방법을 나타낸다.
도 19는 한 프레임씩 합성된 파형과 스펙트럼의 보간 방법을 나타낸다.
도 20은 유성음(V) 부분과 무성음(UV) 부분 사이의 결합에서 오버랩 방법을 나타낸다.
도 21은 유성음을 합성할 때에 잡음가산의 연산을 나타낸다.
도 22는 유성음을 합성할 때에 가산된 잡음의 진폭 계산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23은 포스트필터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24는 포스트필터의 필터 계수 갱신주기와 이득 갱신 주기를 나타낸다.
도 25는 포스트필터의 필터계수와 이득의 프레임경계에서 결합부에 대한 처리를 나타낸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신호 부호기를 이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송신 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신호 복호기를 이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수신 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 제 1부호화부 111. LPC역필터
113. LPC분석양자화부 114. 사인파분석 부호화부
115. V/UV판정부 116. 벡터양자화기
120. 제 2부호화부 121. 잡음코드북
122. 가중합성필터 123. 감산기
124. 거리계산회로 125. 청각가중필터
본 발명에 있어서, 입력 음성신호가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의해서 시간축에서 분할되고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의해서 부호화되는 음성 부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입력 음성신호의 단기 예측 나머지를 구하는 단계와, 사인파분석 부호화에 의해 그와 같이 구해진 단기 예측 나머지를 부호화하는 단계와, 그리고 파형 부호화로 입력 음성신호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청각 가중 벡터양자화나 매트릭스 양자화는 단기 예측 나머지의 사인파분석 부호화 파라미터에 적용되고, 청각 가중 벡터양자화나 매트릭스 양자화 시에, 가중값은 가중값의 전달함수의 임펄스 응답에서 유도되는 파라미터들의 직교변환의 결과에 근거해서 계산된다.
입력 오디오신호가 주파수 범위로 변환된 입력 오디오신호에 해당하는 신호에서 유도되는 파라미터들로 대표되는 오디오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파라미터들의 가중 벡터양자화를 위한 가중값은 가중의 전달함수의 임펄스 응답에서 유도되는 파라미터들의 직교변환의 결과에 근거해서 계산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서 음성부호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부호화장치(부호기)의 기본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의 음성신호 부호기에 기초한 기본적인 개념은 부호기가 조파부호화(harmonic encoding)와 같은 사인파분석을 달성하기 위해서 입력음성신호의 가령 선형예측부호화(LPC) 나머지와 같은 단기예측 나머지를 구하기 위한 제 1부호화부(110)와, 위상 재생성(reprodducibility)을 가지는 파형부호화로 입력음성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한 제 2부호화부(120)를 가지며, 제 1부호화부(110)와 제 2부호화부(120)는 각각 입력신호의 유성음(V)을 부호화하고 입력신호의 무성음(UV)을 부호화 하는데 이용된다는 것이다.
제 1부호화부(110)는 조파부호화나 다중대역여기(MBE) 부호화와 같은 사인파분석 부호화로 예를 들어 LPC나머지를 부호화 하는 구성을 이용한다. 제 2부호화부(120)는 폐루프 탐색에 의한 최적 벡터의 폐루프 탐색에 의한 벡터양자화를 이용하고 또한 예를 들어 합성에 의한 분석법을 이용하는 코드여기된 선형예측(CELP)을 수행하는 구성을 이용한다.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입력단자(101)에 공급된 음성신호는 제 1부호화부(110)의 LPC역필터(111)와 LPC분석양자화부(113)에 전송된다. LPC분석양자화부(113)에 의해 얻어진 LPC계수 또는 소위 α파라미터는 제 1부호화부(110)의 LPC역필터(111)에 전송된다 LPC역필터(111)에서는 입력음성신호의 선형예측 나머지(LPC나머지)가 추출된다. LPC분석합성부(113)에서는, 선형스펙트럼쌍(LSP)들의 양자화된 출력이 추출되고 나중에 설명할 출력단자(102)에 전송된다. LPC역필터(111)로부터의 LPC나머지는 사인파분석 부호화부(114)에 전송된다. 사인파분석 부호화부(114)는 V/UV판정부(115)에 의한 V/UV판정뿐만 아니라 스펙트럼 엔벌로프의 진폭의 피치검출과 계산을 수행한다. 사인파분석 부호화부(114)로부터의 스펙트럼 엔벌로프 진폭데이터는 벡터양자화부(116)에 전송된다. 스펙트럼 엔벌로프의 벡터양자화된 출력으로서 벡터양자화부(116)로부터의 코드북 인덱스가 스위치(117)를 거쳐 출력단자(103)에 출력되는 반면, 사인파분석 부호화부(114)의 출력은 스위치(118)를 거쳐 출력단자(104)에 전송된다. V/UV판정부(115)의 V/UV판정출력은 출력단자(105)에 전송되고, 제어신호로서 스위치(107, 108)에 전송된다. 만약 입력음성신호가 유성음(V)이면, 인덱스와 피치가 선택되고 각각 출력단자(103, 104)에서 추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의 제 2부호화부(120)는 코드여기된 선형예측 부호화(CELP부호화) 구성을 가지며, 잡음코드북(121)의 출력이 가중합성필터에 의해 합성되는 합성에 의한 분석법을 이용하는 폐루프 탐색을 이용하여 시간영역 파형을 벡터양자화하고, 그 결과의 가중된 음성은 감산기(123)에 전송되고, 가중된 음성과 입력단자(101)에서 청각가중필터(125)를 통해 공급된 음성신호 사이의 오차가 추출되고, 그와 같이 구해진 오차는 거리계산회로(124)에 전송되어서 거리계산을 하고, 그리고 오차를 최소화하는 벡터가 잡음코드북(121)에 의해 탐색된다. 이 CELP부호화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무성음을 부호화 하기 위해 이용된다. 코드북 인덱스는 잡음코드북(121)으로부터의 UV데이터로서, V/UV판정의 결과가 무성음(UV)일 때 온이 되는 스위치(127)를 거쳐 출력단자(107)에서 추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인파 분석 부호화부(114)로부터의 스펙트럼 엔벌로프 진폭데이터는 청각 가중 벡터양자화로 벡터양자화(116)에 의해 양자화된다. 이 벡터양자화동안에, 가중값은 처리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가중 전달함수의 임펄스 응답에서 유도되는 파라미터들의 직교변환의 결과에 근거해서 계산된다.
도 2는 도 1의 음성신호 부호기의 대응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라서 음성복호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신호 복호기의 기본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코드북 인덱스는 도 1의 출력단자(102)로부터의 선형스펙트럼쌍(LSP)들의 양자화출력으로서, 입력단자(202)에 공급된다. 도 1의 출력단자(103, 104, 105)들의 출력들, 즉 피치, V/UV판정출력, 그리고 인덱스데이터는 엔벌로프 양자화 출력데이터로서, 각각 입력단자(203 ∼ 205)에 공급된다. 무성음데이터에 대한 데이터가 도 1의 출력단자(107)에서 공급되는 것과 같은 인덱스데이터는 입력단자(207)에 공급된다.
입력단자(203)의 엔벌로프 양자화 출력으로서의 인덱스는 유성음합성기(211)에 전송되는 LPC나머지의 스펙트럼 엔벌로프를 구하기 위한 역벡터양자화용 역벡터양자화부(212)에 전송된다. 유성음합성기(211)는 사인파합성으로 유성음부분의 선형예측 부호화(LPC) 나머지를 합성한다. 합성기(211)에는 또한 입력단자(204, 205)로부터 V/UV판정출력과 피치가 공급된다. 유성음합성부(211)로부터의 유성음의 LPC나머지는 LPC합성필터(214)에 전송된다. 입력단자(207)로부터의 UV데이터의 인덱스데이터는 무성음부분의 LPC나머지를 추출하기 위한 잡음코드북을 참조하는 무성음합성부(220)에 전송된다. 이러한 LPC나머지들은 또한 LPC합성필터(214)에 전송된다. LPC합성필터(214)에서, 유성음부분의 LPC나머지와 무성음부분의 LPC나머지는 LPC합성으로 처리된다. 선택적으로, 함께 합해진 유성음부분의 LPC나머지와 무성음부분의 LPC나머지는 LPC합성으로 처리되어도 좋다. 입력단자(202)로부터의 LSP인덱스데이터는 LPC의 α파라미터가 추출되고 LPC합성필터(214)로 전송되는 LPC파라미터 재생부(213)에 전송된다. LPC합성필터(214)에 의해 합성된 음성신호는 출력단자(201)에서 추출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도 1에 나타낸 음성신호부호기의 좀더 상세한 구조를 설명할 것이다. 도 3에서, 도 1에 나타낸 성분과 유사한 부분이나 성분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다.
도 3에 나타낸 음성신호부호기에서, 입력단자(101)에 공급된 음성신호는 불필요한 범위의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고역통과필터(HPF)(109)에 의해 필터링되고 LPC분석양자화부(113)의 LPC(선형 예측 부호화)분석회로(132)와 LPC역필터(111)에 공급된다.
LPC분석양자화부(113)의 LPC분석회로(132)는 블록으로서 256샘플 정도를 입력신호파형의 길이로 해밍창(Hamming window)을 적용하고, 선형예측계수 즉 소위 α파라미터를 자기상관법으로 구한다. 데이터출력 단위로서의 프레이밍(framing) 간격은 대략 160샘플로 설정된다. 만약 샘플링주파수(fs)가 8kHz라면, 예를 들어 1프레임 간격은 20msec 또는 160샘플이다.
LPC분석회로(132)로부터의 α파라미터는 선형스펙트럼쌍(LSP) 파라미터로 변환하기 위한 α-LSP변환회로(133)에 전송된다. 이것은 직접형 필터계수에 의해 구해지는 것과 같은 α파라미터를 예를 들어 10 즉 5쌍의 LSP파라미터로 변환한다. 이 변환은 예를 들어 뉴튼-랩슨(Newton-Rhapson)법으로 수행된다. α파라미터가 LSP파라미터로 변환되는 이유는 LSP파라미터가 α파라미터에 비해 보간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α-LSP변환회로(133)로부터의 LSP파라미터는 LSP양자화기(134)에 의해 매트릭스 또는 벡터양자화 된다. 벡터양자화전에 프레임 대 프레임 차이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매트릭스양자화를 수행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프레임을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경우에는, 20mse마다 계산된 LSP파라미터의 각 20msec 길이, 즉 2개의 프레임은 함께 다루어지고 매트릭스양자화와 벡터양자화로 처리된다.
양자화기(134)의 양자화된 출력, 즉 LSP양자화의 인덱스데이터는 단자(102)에서 추출되는 반면, 양자화된 LSP벡터는 LSP보간회로(136)에 전송된다.
LSP보간회로(136)는 옥태튜플(octatuple) 비율을 제공하기 위해서 20msec 또는 40msec마다 양자화된 LSP벡터를 보간한다. 즉, LSP벡터는 2.5msec마다 갱신된다. 그 이유는 만약 나머지파형이 조파 부호화/복호화 방법에 의한 분석/합성으로 처리된다면, 합성파형의 엔벌로프가 극히 스무스한 파형을 타나내고, 그래서 만약 LPC계수가 20msec마다 급격히 변한다면, 외부 잡음이 생성되기 쉽기 때문이다. 즉, 만약 LPC계수가 2.5msec마다 서서히 변한다면, 상기 외부 잡음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2.5msec마다 생성된 보간된 LSP벡터를 이용하는 입력음성의 역필터링 때문에, LSP파라미터는 LSP-α변환회로(137)에 의해 예를 들어 10차 직접형 필터의 필터계수인 α파라미터로 변환된다. LSP-α변환회로(137)의 출력은 2.5msec마다 갱신된 α파라미터를 이용하는 스무스한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서 역필터링을 수행하는 LPC역필터회로(111)에 전송된다. LPC필터(111)의 출력은 조파부호화회로와 같은 사인파분석 부호화부(114)의 가령 DCT회로와 같은 직교변환회로(145)에 전송된다.
LPC분석양자화부(113)의 LPC분석회로(132)로부터의 α파라미터는 청각가중용 데이터가 구해지는 청각가중필터 계산회로에 전송된다. 이러한 가중데이터는 벡터양자화기(116)와 제 2부호화부(120)의 청각가중필터(125)와 청각가중합성필터(122)에 전송된다.
조파부호화회로의 사인파분석 부호화부(114)는 조파부호화의 방법으로 LPC역필터(111)의 출력을 분석한다. 즉, 피치검출, 각 조파의 진폭(Am)의 계산, 그리고 유성음(V)/무성음(UV)판정이 수행되고 진폭(Am)의 수나 각 조파의 엔벌로프는 피치에 따라 변하며 차원변환에 의해 일정하게 된다.
도 3에 나타낸 사인파분석 부호화부(114)의 도식적 예에서, 평범한 조파부호화가 이용된다. 특히, 다중대역여기(MBE) 부호화에서, 모델링시 유성음부분과 무성음부분이 동일한 시점에서 각 주파수영역이나 대역(동일한 블록이나 프레임)에 나타난다고 가정한다. 다른 조파부호화 기술에서는, 1블록 또는 1프레임의 음성이 유성음인지 무성음인지가 유일하게 판정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만약 MBE부호화가 고려된다는 점에서 대역들의 전체가 UV라면, 주어진 프레임은 UV라고 판정된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MBE를 위한 분석합성법 기술의 구체적 예는 본 출원의 출원인의 이름으로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제 4-91442에서 찾아볼 수도 있다.
도 3의 사인파분석 부호화부(114)의 개방루프 피치탐색부(141)와 영교차(zero-crossing) 카운터(142)에는 입력단자(101)로부터 입력음성신호가 공급되고 고역통과필터(HPF)(109)로부터 신호가 각각 공급된다. 사인파분석 부호화부(114)의 직교변환회로(145)에는 LPC역필터(111)로부터 LPC나머지나 선형예측 나머지가 공급된다. 개방루프 피치탐색부(141)는 개방루프 탐색으로 비교적 대략적인 피치탐색을 수행하기 위해서 입력신호의 LPC나머지를 취한다. 추출된 대략적인 피치데이터는 나중에 설명할 것으로 폐루프 탐색에 의해 양호한 피치탐색부(141)에 전송된다. 개방루프 피치탐색부(141)에서는, 대략적인 피치데이터와 함께 LPC나머지의 자기상관의 최대값을 정규화 하여 얻어지는 정규화된 자기상관의 최대값이 V/UV판정부(115)에 전송되도록 대략적인 피치데이터와 함께 추출된다.
직교변환회로(145)는 시간축상의 LPC나머지를 주파수축상의 스펙트럼 진폭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서 이산 푸리에변환(DFT)과 같은 직교변환을 수행한다. 직교변환회로(145)의 출력은 양호한 피치탐색부(146)에 전송되고 스펙트럼진폭이나 엔벌로프를 평가하도록 구성된 스펙트럼평가부(148)에 전송된다.
양호한 피치탐색부(146)에는 개방루프 피치탐색부(141)에 의해 추출된 비교적 대략적인 피치데이터가 공급되고 직교변환회로(145)에 의한 DFT로 얻어진 주파수영역 데이터가 공급된다. 양호한 피치탐색부(146)는 최종으로 최적 소수점을 가지는 양호한 피치데이터의 값에 도달하도록 대략적인 피치값 데이터를 중심으로 0.2에서 0.5까지의 비율로 ±몇 샘플마다 피치데이터를 스윙(swing)한다. 합성에 의한 분석법은 피치를 선택하기 위한 양호한 탐색기술로서 이용되어서, 전력스펙트럼이 원음의 전력스펙트럼에 제일 가까워질 것이다. 양호한 폐루프 피치탐색부(146)로부터의 피치데이터는 스위치(118)를 거쳐 출력단자(104)에 전송된다.
스펙트럼평가부(148)에서, 각 조파의 진폭과 조파의 합으로서의 스펙트럼 엔벌로프는 LPC나머지의 직교변환출력으로서의 피치와 스펙트럼 진폭에 근거해서 평가되고, 양호한 피치탐색부(146), V/UV판정부(115), 그리고 청각가중 벡터양자화부(116)에 전송된다.
V/UV판정부(115)는 직교변환회로(145)의 출력, 양호한 피치탐색부(146)로부터의 최적 피치, 스펙트럼평가부(148)로부터의 스펙트럼 진폭데이터, 개방루프 피치탐색부(141)로부터의 정규화된 자기상관 r(p)의 최대값, 그리고 영교차 카운터(142)로부터의 영교차 카운트값에 근거해서 프레임의 V/UV를 판별한다. 또한, MBE에 대한 대역에 기초한 V/UV판정의 경계부분이 V/UV판정에 대한 조건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V/UV판정부(115)의 판정출력은 출력단자(105)에서 추출된다.
스펙트럼평가부(148)의 출력부 또는 벡터양자화부(116)의 입력부에는 많은 데이터변환부(어떤 종류의 샘플링율 변환을 수행하는 부)가 제공된다. 데이터변환부의 수는 주파수축 상에서 분할된 대역의 수와 데이터의 수가 피치와 다른 것을 고려하여 엔벌로프의 진폭데이터(|Am|)를 일정한 값으로 설정하는데 이용된다. 즉, 만약 유효 대역이 3400kHz까지라면, 유효 대역은 피치에 따라서 8에서 63대역까지로 분할될 수 있다. 1대역씩 얻어지는 진폭데이터(|Am|)의 mMX+1의 수는 8에서 63까지의 범위에서 변화된다. 따라서 데이터수 변환부는 변수(mMx+1)의 진폭데이터를 44데이터와 같은 데이터의 소정수(M)로 변환한다.
스펙트럼평가부(148)의 출력부나 벡터양자화부(116)의 입력부에 설치되는 데이터수 변환부로부터의 가령 44와 같은 소정수(M)의 진폭데이터나 엔벌로프데이터는 가중벡터양자화를 수행하는 방법으로 벡터양자화부(116)에 의해 가령 44데이터와 같은 데이터의 소정수에 관하여 함께 다루어진다. 이 가중은 청각가중필터 계산회로(139)의 입력에 의해 공급된다. 벡터양자화기(116)로부터의 엔벌로프의 인덱스는 출력단자(103)에서 스위치(117)에 의해 추출하다. 가중벡터양자화전에, 데이터의 소정수로 이루어진 벡터에 대한 적당한 누설(leakage)계수를 이용하는 인터프레임(inter-frame) 차이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부호화부(120)를 설명한다. 제 2부호화부(120)는 소위 CELP부호화 구조를 가지고 특히 입력음성신호의 무성음부분을 부호화 하는데 이용된다. 입력음성신호의 무성음부분에 대한 CELP부호화구조에서, 잡음코드북 또는 소위 스터케스틱(stochastic) 코드북(121)의 대표적인 출력값으로서 무성음의 LPC나머지에 해당하는 잡음출력은 이득제어회로(126)를 거쳐 청각가중합성필터(122)에 전송된다. 가중합성필터(122)는 LPC합성으로 입력잡음을 LPC합성하고 생성된 가중 무성음신호를 감산기(123)에 전송한다. 감산기(123)에는 고역통과필터(HPF)(109)를 거쳐 입력단자(101)에서 공급된 신호가 공급되고 청각가중필터(125)에 의해 청각가중된다. 감산기는 신호와 합성필터(122)로부터의 신호 사이의 오차 또는 차이를 구한다. 반면에, 청각가중합성필터의 영입력 응답은 미리 청각가중필터(125)의 출력에서 감산된다. 이 오차는 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거리계산회로(124)에 공급된다. 오차를 최소화할 대표적인 벡터값은 잡음코드북(121)에서 탐색된다. 위 부분은 합성에 의한 분석법으로 폐루프 탐색을 이용하는 시간영역 파형의 벡터양자화를 요약해 논 것이다.
CELP부호화 구조를 이용하는 제 2부호기(120)로부터의 무성음(UV)부분에 대한 데이터로서, 잡음코드북(121)으로부터의 코드북의 형상인덱스와 이득회로(126)로부터의 코드북의 이득 인덱스가 추출하다. 잡음코드북(121)으로부터의 UV데이터인 형상인덱스는 스위치(127s)를 거쳐 출력단자(107s)에 전송되는 반면, 이득회로(126)의 UV데이터인 이득인덱스는 스위치(127g)를 거쳐 출력단자(107g)에 전송된다.
이 스위치(127s, 127g)들과 스위치(117, 118)들은 V/UV판정회로(115)의 V/UV판정결과에 따라서 온/오프된다. 특히, 스위치(117, 118)는 현재 송신된 프레임의 음성신호의 V/UV판정결과가 유성음(V)이면 온이 되는 반면, 스위치(127s, 127g)는 현재 송신된 프레임의 음성신호가 무성음(UV)일 때 온이 된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음성신호 복호기의 좀더 상세한 구조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동일한 부호가 도 2에 나타낸 대응부분을 나타내는데 이용된다.
도 4에서, 도 1 및 도 3의 출력단자(102)에 해당하는 LSP들의 벡터양자화출력, 즉 코드북 인덱스는 입력단자(202)에 공급된다.
LSP인덱스는 LPC파라미터 재생부(213)에 대한 LSP의 역벡터양자화기(231)에 전송되어서 다음에 보간용 LSP보간회로(232, 233)에 공급되는 선형스펙트럼쌍(LSP)데이터로 역벡터양자화 된다. 그 결과의 보간된 데이터는 LSP-α변환회로(234, 235)에 의해 LPC합성필터(214)에 전송되는 α파라미터로 변환된다. LSP보간회로(232)와 LSP-α변환회로(234)는 유성음용으로 설계된 반면, LSP보간회로(233)와 LSP-α변환회로(235)는 무성음용으로 설계된다. LPC합성필터(214)는 유성음부분의 LPC합성필터(236)와 무성음부분의 LPC합성필터(237)로 구성된다. 즉, LPC계수보간은 유성음부분과 무성음부분에 대해 독립적으로 수행되는데, 유성음부분에서 무성음부분까지 일시적인 부분에 생성될 수도 있는 나쁜 영향이나 반대로 전체적으로 다른 특성의 LSP의 보간에 의한 나쁜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도 4의 입력단자(203)에 도 1 및 도 3의 부호기의 단자(103)의 출력에 해당하는 가중벡터양자화된 스펙트럼 엔벌로프(Am)에 해당하는 코드 인덱스데이터가 공급된다. 입력단자(204)에는 도 1 및 도 3의 단자(104)에서 피치데이터가 공급되고, 입력단자(205)에는 도 1 및 도 3의 단자(105)에서 V/UV판정데이터가 공급된다.
입력단자(203)로부터의 스펙트럼 엔벌로프(Am)의 벡터양자화된 인덱스데이터는 데이터수 변환과 반대의 변환이 수행되는 역벡터양자화용 역벡터양자화기(212)에 전송된다. 그 결과의 스펙트럼 엔벌로프데이터는 사인파합성회로(215)에 전송된다.
만약 인터프레임 차이가 부호화 중에 스펙트럼의 벡터양자화전에 구해지면, 인터프레임 차이는 스펙트럼 엔벌로프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역벡터양자화 후에 복호화 된다.
사인파합성회로(215)에는 입력단자(204)로부터 피치가 공급되고 입력단자(205)로부터 V/UV판정데이터가 공급된다. 사인파합성회로(215)로부터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LPC역필터(111)의 출력에 해당하는 LPC나머지 데이터가 추출되고 가산기(218)로 전송된다. 사인파합성의 구체적인 기술은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일본 특허 출원 제 4-91442와 제 6-19851에 설명되어 있다.
역벡터양자화기(212)의 엔벌로프데이터와 입력단자(204, 205)로부터의 피치 및 V/UV판정데이터는 유성음(V)부분에 대한 잡음가산용으로 구성된 잡음합성회로(216)에 전송된다. 잡음합성회로(216)의 출력은 가중 중첩가산회로(217)를 거쳐 가산기(218)에 전송된다. 특히, 만약 유성음의 LPC합성필터에 대한 입력으로서 여기(excitation)가 사인파형 합성에 의해 생성되고, 스터프트 필링(stuffed feeling)이 남성의 음성과 같은 낮은 피치음에서 생기고, 그리고 음질이 유성음과 무성음 사이에서 급격하게 변화된다면, 부자연스러운 청각을 유발시킨다는 것을 고려하면, 잡음은 LPC나머지 신호의 유성음부분에 가산된다. 유성음부분의 LPC합성필터 입력, 즉 여기에 관련하여, 상기 잡음은 피치, 스펙트럼 엔벌로프의 진폭, 프레임의 최대 진폭 또는 나머지신호 레벨과 같은 음성부호화 데이터에 관련한 파라미터를 없앤다.
가산기(218)의 합산 출력은 유성음에 대해 포스트필터(238v)에 의해 필터링되고 가산기(238)에 전송되는 시간파형 데이터를 형성하도록 LPC합성이 수행되는 LPC합성필터(214)의 유성음용 합성필터(236)에 전송된다.
도 3의 출력단자(107s, 107g)로부터의 UV데이터로서 형상인덱스와 이득인덱스는 도 4의 입력단자(207s, 207g)에 각각 공급되고, 다음에 무성음합성부(220)에 공급된다. 단자(207s)로부터의 형상인덱스는 무성음합성부(220)의 잡음코드북(221)에 전송되는 반면, 단자(207g)로부터의 이득인덱스는 이득회로(222)에 전송된다. 잡음코드북(221)에서 독출된 대표값 출력은 무성음의 LPC나머지에 해당하는 잡음신호 성분이다. 이것은 이득회로(222)에서 소정의 이득진폭이 되고 윈도잉(windowing)회로(223)에 전송되어서 유성음부분과의 결합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윈도잉(windowing)된다.
윈도잉회로(223)의 출력은 LPC합성필터(214)의 무성음(UV)용 합성필터(237)에 전송된다. 합성필터(237)에 전송된 데이터는 LPC합성으로 처리되어서 무성음부분에 대한 시간파형 데이터가 된다. 무성음부분의 시간파형 데이터는 가산기(239)에 전송되기 전에 무성음부분용 포스트필터(238u)에 의해 필터링된다.
가산기(239)에서, 유성음용 포스트필터(238v)로부터의 시간파형 신호와 무성음용 포스트필터(238u)로부터의 시간파형 데이터는 서로 가산되고 그 결과의 합데이터는 출력단자(201)에서 추출된다.
위에서 기술한 음성신호 부호기는 요구되는 음질에 따라서 다른 비트율(bit rate)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출력 데이터는 다양한 비트율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낮은 비트율이 2kbps이고 높은 비트율이 6kbps이면, 출력 데이터는 도 5에 나타낸 다음의 비트율을 가지는 비트율의 데이터이다.
출력단자(104)로부터의 피치데이터는 항상 유성음에 대해 8비트/20msec의 비트율로 출력되고, 출력단자(105)로부터의 V/UV판정출력은 항상 1비트/20msec이다. 출력단자(102)에서 출력된 LPS양자화용 인덱스는 32비트/40msec와 48비트/40msec 사이에서 스위칭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출력단자(103)에 의해 출력된 유성음(V) 동안의 인덱스는 15비트/20msec와 87비트/20msec 사이에서 스위칭된다. 출력단자(107s, 107g)에서 출력된 무성음(UV)용 인덱스는 11비트/10msec와 23비트/5msec 사이에서 스위칭된다. 유성음(V)에 대한 출력데이터는 2kbps동안 40비트/20msec이고 6kbps동안 120비트/20msec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무성음(UV)에 대한 출력데이터는 2kbps동안 39비트/20msec이고 6kbps동안 117비트/20msec이다.
LSP양자화용 인덱스, 유성음(V)용 인덱스, 그리고 무성음(UV)용 인덱스는 관련부분의 구성과 관련하여 이후에 설명할 것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LSP양자화기(134)의 매트릭스양자화(matrix quantization)와 벡터양자화를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LPC분석회로(132)로부터의 α파라미터는 LSP파라미터로 변환하기 위한 α-LSP회로(133)에 전송된다. 만약 P차 LPC분석이 LPC분석회로(132)에서 수행되면, P개의 α파라미터가 계산된다. 이러한 P개의 α파라미터는 버퍼(610)에 유지되는 LSP파라미터로 변환된다.
버퍼(610)는 LSP파라미터의 2프레임을 출력한다. LSP파라미터의 2프레임은 제 1매트릭스양자화기(6201)와 제 2매트릭스양자화기(6202)로 구성된 매트릭스양자화기(620)에 의해 매트릭스양자화 된다. LSP파라미터의 2프레임은 제 1매트릭스양자화기(6201)에서 매트릭스양자화 되고, 그 결과의 양자화 오차가 제 2매트릭스양자화기(6202)에서 더 매트릭스양자화 된다. 매트릭스양자화는 시간축과 주파수축 양자의 상관(correlation)을 이용한다.
매트릭스양자화기(6202)로부터의 2프레임에 대한 양자화 오차는 제 1벡터양자화기(6401)와 제 2벡터양자화기(6402)로 구성된 벡터양자화부(640)로 들어간다. 제 1벡터양자화기(6401)는 2개의 벡터양자화부(650, 660)로 구성되며, 제 2벡터양자화기(6402)는 2개의 벡터양자화부(670, 680)로 구성된다. 매트릭스양자화부(620)로부터의 양자화 오차는 제 1벡터양자화기(6401)의 벡터양자화부(650, 660)에 의해 프레임마다 양자화 된다. 그 결과의 양자화 오차벡터는 제 2벡터양자화기(6402)의 벡터양자화부(670, 680)에 의해 더 양자화 된다. 위에서 설명한 벡터양자화는 주파수축을 따라 상관을 이용한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매트릭스양자화를 실행하는 매트릭스양자화부(620)는 적어도 제 1매트릭스양자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제 매트릭스양자화기(6201)와 제 1매트릭스양자화기에 의해 생성된 양자화 오차를 매트릭스양자화 하기 위한 제 2매트릭스양자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제 2매트릭스양자화기(6202)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벡터양자화를 실행하는 벡터양자화부(640)는 적어도 제 1벡터양자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제 1벡터양자화기(6401)와 제 1벡터양자화에 의해 생성된 양자화 오차를 벡터양자화하는 제 2벡터양자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제 2벡터양자화기(6402)를 포함한다.
매트릭스양자화와 벡터양자화를 지금부터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버터(660)에 저장된 2프레임에 대한 LSP파라미터, 즉 10×2 매트릭스는 제 1매트릭스양자화기(6201)에 전송된다. 제 1매트릭스양자화기(6201)는 2프레임에 대한 LSP파라미터를 LSP파라미터 가산기(621)를 거쳐 최소값의 가중거리를 구하기 위한 가중거리 계산부(623)에 전송한다.
제 1매트릭스양자화기(6201)에 의한 코드북 탐색동안 왜곡량(dMQ1)은 수학식 1로 주어진다.
여기서 X1은 LSP파라미터이고 X1'은 양자화값이며, t와 i는 P차원의 수이다.
주파수축과 시간축으로의 가중제한이 고려되지 않는 가중(w)은 수학식 2로 주어진다.
여기서 t에 관계없이 x(t,0) = 0, x(t,p+1) = 이다.
수학식 2의 가중(w)은 또한 후단의 매트릭스양자화와 벡터양자화에 이용된다.
계산된 가중거리는 매트릭스양자화용 매트릭스양자화기(MQ1)(622)에 전송된다. 이 매트릭스양자화에 의해 출력된 8비트 인덱스는 신호전환기(690)에 전송된다. 매트릭스양자화에 의한 양자화값은 가산기(621)에서 버터(610)로부터의 2프레임에 대한 LSP파라미터로부터 감산된다. 가중거리 계산부(623)는 2프레임마다 가중거리를 계산하여서 매트릭스양자화가 매트릭스양자화부(622)에서 수행된다. 또한, 가중거리를 최소화하는 양자화값이 선택된다. 가산기(621)의 출력은 제 2매트릭스양자화기(6202)의 가산기(631)에 전송된다.
제 1매트릭스양자화기(6201)와 마찬가지로, 제 2매트릭스양자화기(6202)도 매트릭스양자화를 수행한다. 가산기(621)의 출력은 가산기(631)를 거쳐 최소 가중거리가 계산되는 가중거리 계산부(633)에 전송된다.
제 2매트릭스양자화기(6202)에 의한 코드북 탐색동안 왜곡량(dMQ2)은 수학식 3으로 주어진다.
가중거리는 매트릭스양자화용 매트릭스양자화부(MQ2)(632)에 전송된다. 매트릭스양자화에 의해 출력된 8비트 인덱스는 신호전환기(690)에 전송된다. 가중거리 계산부(633)는 계속해서 가산기(631)의 출력을 이용하는 가중거리를 계산한다. 가중거리를 최소화하는 양자화값이 선택된다. 가산기(631)의 출력은 1프레임씩 제 1벡터양자화기(6401)의 가산기(651, 661)에 전송된다.
제 1벡터양자화기(6401)는 1프레임씩 벡터양자화를 수행한다. 가산기(631)의 출력은 1프레임씩 가산기(651, 661)를 거쳐 최소 가중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가중거리 계산부(653, 663)의 각각에 전송된다.
양자화 오차(X2)와 양자화 오차(X2') 사이의 차이는 (10×2)의 매트릭스이다. 만약 차이가 과 같이 표현되면, 제 1벡터양자화기(6401)의 벡터양자화부(652, 662)에 의한 코드북 탐색동안 왜곡량(dVQ1, dVQ2)은 수학식 4와 수학식 5로 주어진다.
가중거리는 벡터양자화용 벡터양자화부(VQ2)(662)와 벡터양자화부(VQ1)(652)에 전송된다. 이 벡터양자화에 의해 출력된 각 8비트 인덱스는 신호전환기(690)에 전송된다. 양자화값은 가산기(651, 661)에 의해 입력 2프레임 양자화 오차벡터에서 감산된다. 가중거리 계산부(653, 663)는 계속해서 가중거리를 최소화하는 양자화값을 선택하기 위해서 가산기(651, 661)의 출력을 이용하는 가중거리를 계산한다. 가산기(651, 661)의 출력은 제 2벡터양자화기(6402)의 가산기(671, 681)에 전송된다.
제 2벡터양자화기(6402)의 벡터양자화기(672, 682)에 의한 코드북 탐색동안 왜곡량(dVQ3, dVQ4)은
인 동안에 수학식 6과 수학식 7로 주어진다.
가중거리는 벡터양자화용 벡터양자화기(VQ4)(682)와 벡터양자화기(VQ3)(672)에 전송된다. 벡터양자화기로부터의 8비트 출력 인덱스데이터는 가산기(671, 681)에 의해 2프레임에 대한 입력 양자화 오차벡터에서 감산된다. 가중거리 계산부(673, 683)는 계속해서 가중거리를 최소화하는 양자화값을 선택하기 위해서 가산기(671, 681)의 출력을 이용하는 가중거리를 계산한다.
코드북 학습(learning)동안, 학습은 각 왜곡량에 근거해서 일반적인 로이드(Lloyd)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된다.
코드북 탐색동안 그리고 학습동안 왜곡량은 다른 값이 될 수도 있다.
매트릭스양자화부(622, 632)와 벡터양자화부(652, 662, 672, 682)로부터의 8비트 인덱스데이터는 신호전환기(690)에 의해 스위칭되고 출력단자(691)에 출력된다.
특히, 저비트율에 대해서는, 제 1매트릭스양자화 단계를 수행하는 제 1매트릭스양자화기(6201), 제 2매트릭스양자화 단계를 수행하는 제 2매트릭스양자화기(6202), 그리고 제 1벡터양자화 단계를 수행하는 제 1벡터양자화기(6401)의 출력이 추출되는 반면, 고비트율에 대해서는, 저비트율에 대한 출력이 제 2벡터양자화 단계를 수행하는 제 2벡터양자화기(6402)의 출력에 합산되고 그 결과의 합이 추출된다.
이것은 32비트/40msec의 인덱스와 48비트/40msec의 인덱스를 각각 2kbps와 6kbps동안 출력한다.
매트릭스양자화부(620)와 벡터양자화부(640)는 LPC계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의 특성에 일치해서 주파수축 그리고/또는 시간축으로 제한된 가중을 수행한다.
LSP파라미터의 특성에 일치해서 주파수축으로 제한된 가중을 먼저 설명한다. 만약 차수가 P=10이라면, LSP파라미터(X(i))는 고, 중, 저 3개의 범위에 대해
로 묶인다. 만약 그룹(L1, L2, L3)의 가중이 각각 1/4, 1/2, 1/4라면, 주파수축으로만 제한된 가중은 수학식 8과 수학식 9와 수학식 10으로 주어진다.
각 LSP파라미터의 가중은 각 그룹에서만 수행되고 상기 가중은 각 그룹에 대한 가중에 의해 제한된다.
시간축으로 보았을 때, 각 프레임의 합계는 필수적으로 1이어서, 시간축방향으로의 제한은 프레임에 기초한다. 시간축 방향으로만 제한된 가중은 수학식 11로 주어진다.
여기서 1 i 10 이고 0 t 1 이다.
이 수학식 11에 의해서, 주파수축 방향으로 제한되지 않은 가중은 t=0과 t=1의 프레임을 가지는 2개의 프레임 사이에서 수행된다. 이 시간축 방향으로만 제한된 가중은 매트릭스양자화로 처리된 2개의 프레임 사이에서 수행된다.
학습동안, 총 수(T)를 가지는 학습데이터로서 이용된 프레임의 총계는 수학식 12에 따라서 가중된다.
여기서 1 i 10 이고 0 t T 이다.
주파수축 방향과 시간축 방향으로 제한된 가중을 설명한다. 차수가 P=10이면, LSP파라미터(x(i,t))는 고, 중, 저 3개의 범위에 대해
으로 묶인다. 만약 그룹(L1, L2,, L3)에 대한 가중이 1/4, 1/2, 1/4라면, 주파수축으로만 제한된 가중은 수학식 13, 수학식 14, 그리고 수학식 15로 주어질 것이다.
수학식 13과 수학식 14와 수학식 15에 의해서, 가중제한이 주파수축 방향으로 3프레임마다 수행되고 시간축 방향으로 매트릭스양자화로 처리된 2개의 프레임에 걸쳐 수행된다. 이것은 코드북 탐색동안 그리고 학습동안에 효과적이다.
학습동안, 가중은 전체 데이터의 프레임의 총계이다. LSP파라미터(x(i,t))는 고, 중, 저 3개 범위에 대해서
으로 묶인다. 만약 그룹(L1, L2, L3)에 대한 가중이 각각 1/4, 1/2, 1/4라면, 주파수축으로만 제한된 그룹(L1, L2, L3)에 대한 가중은 수학식 16과 수학식 17과 수학식 18로 주어진다.
수학식 16과 수학식 17과 수학식 18에 의해서, 가중은 주파수축 방향으로 3개의 범위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고 시간축 방향으로 프레임의 총계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매트릭스양자화부(620)와 벡터양자화부(640)는 LSP파라미터의 변화의 크기에 따라서 가중을 수행한다. 음성프레임의 총계 중에서 소수(minority) 프레임을 나타내는 V에서 UV까지 또는 UV에서 V까지의 일시적인 영역에서, LSP파라미터는 주로 자음과 모음 사이의 주파수 응답의 차이에 의해서 변화된다. 그러므로, 수학식 19로 나타낸 가중에 일시적인 영역을 강조하는 가중을 수행하기 위해서 가중(W'(i,t))이 곱해진다.
다음의 수학식 20은 수학식 19대신에 이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LSP양자화부(134)는 2단 매트릭스양자화와 2단 벡터양자화를 실행하여서 출력인덱스의 비트수를 변하게 한다.
벡터양자화부(116)의 기본적인 구조를 도 8에 나타내며, 도 8에 나타낸 벡터양자화부(116)의 좀더 상세한 구조를 도 9에 나타낸다. 벡터양자화부(116)에서 엔벌로프(Am)에 대한 가중벡터 양자화의 도식적 구조를 지금부터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음성신호 부호화장치에서, 스펙트럼 평가부(148)의 출력측 또는 벡터양자화부(116)의 입력측에 스펙트럼 엔벌로프의 진폭데이터의 일정한 수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수 변환에 대한 도식적 구조를 설명한다.
다양한 방법이 상기 데이터수 변환을 위해 고안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1블록의 마지막 데이터에서 그 블록의 처음 데이터까지의 값들을 보간하는 더미데이터나 또는 1블록에서 마지막 데이터나 처음 데이터를 반복하는 데이터와 같은 소정의 데이터가 주파수축상의 유효대역에 1블록의 진폭데이터에 첨부하고, 데이터의 수를 NF까지 증가시키고 대역폭 제한형의 예를 들어 8배 오버샘플링인 Os오버샘플링에 의해 예를 들어 8배인 Os배의 개수인 진폭데이터를 구한다. ((mMx+1)×Os) 진폭데이터는 2048과 같은 더 큰 NM수로 확장하기 위해 선형보간된다. 이 NM데이터는 44데이터와 같은 위에서 설명한 데이터의 상기 소정수(M)로 변환하기 위해 부샘플링(sub-sampling)된다. 실제로, 최종적으로 요구되는 M데이터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만이 위에서 설명한 NM데이터의 모든 것을 구하지 않고도 오버샘플링과 선형보간에 의해 계산된다.
도 8의 가중벡터양자화를 수행하기 위한 벡터양자화부(116)는 적어도 제 1벡터양자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제 1벡터양자화부(500)와 제 1벡터양자화부(500)에 의한 제 1벡터양자화 동안 생성된 양자화 오차벡터를 양자화 하는 제 2벡터양자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제 2벡터양자화부(510)를 포함한다. 이 제 1벡터양자화부(500)는 소위 제 1단 벡터양자화부인 반면, 제 2벡터양자화부(510)는 소위 제 2단 벡터양자화부이다.
스펙트럼 평가부(148)의 출력벡터(x), 즉 소정수(M)를 가지는 엔벌로프는 제 1벡터양자화부(500)의 입력단자(501)에 들어간다. 이 출력벡터(x)는 벡터양자화부(502)에 의해 가중벡터양자화로 양자화 된다. 따라서 벡터양자화부(502)에 의해 출력된 형상인덱스는 출력단자(503)에서 출력되는 반면, 양자화값(x 0')은 출력단자(504)에서 출력되고 가산기(505, 513)에 전송된다. 가산기(505)는 양자화값(x 0')을 소스(source)벡터(x)에서 감산하여서 다중차수 양자화 오차벡터(y)를 제공한다.
양자화 오차벡터(y)는 제 2벡터양자화부(510)의 벡터양자화부(511)에 전송된다. 이 제 2벡터양자화부(511)는 여러 개의 벡터양자화기 또는 도 8에서 2개의 벡터양자화기(5111, 5112)로 구성된다. 양자화 오차벡터(y)는 2개의 벡터양자화기(5111, 5112)에서 가중벡터양자화에 의해 양자화되도록 차원으로 분할된다. 이 벡터양자화기(5111, 5112)에 의해 출력된 형상인덱스는 출력단자(5121, 5122)에 출력되는 반면, 양자화값(y 1',y 2')은 차원방향으로 연결되고 가산기(513)에 전송된다. 가산기(513)는 양자화값(y 1',y 2')을 양자화값(x 0')에 가산하여서 출력단자(514)에서 출력되는 양자화값(x 1')을 생성한다.
따라서, 저비트율에 대해서, 제 1벡터양자화부(500)에 의한 제 1벡터양자화 단계의 출력이 추출되는 반면, 고비트율에 대해서 제 1벡터양자화 단계의 출력과 제 2양자화부(510)에 의한 제 2양자화 단계의 출력이 출력된다.
특히, 벡터양자화부(116)에 있는 제 1벡터양자화부(500)의 벡터양자화기(502)는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44차원의 2단 구조와 같은 L차수이다.
즉, 이득(gi)이 곱해진 32의 코드북 크기를 갖는 44차원의 벡터양자화 코드북의 출력벡터의 합은 44차원의 스펙트럼 엔벌로프 벡터(x)의 양자화값(x 0')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2개의 코드북이 CB0과 CB1인 반면, 출력벡터는s 1is 1j이며 여기서 0 i 이고 j 31 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득코드북(CBg)의 출력은 gl이며, 여기서 0 l 31 이고 gl은 스칼라이다. 최종 출력( )은 이다.
상기 LPC나머지의 MBE분석에 의해 구해지고 소정의 차원으로 변환된 스펙트럼 엔벌로프(Am)는x이다. 어떻게x가 효과적으로 양자화 되는지가 결정적이다.
양자화 오차에너지(E)는
으로 정의되며, H는 LPC합성필터의 주파수축상의 특성을 나타내고 W는 주파수축상의 청각가중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가중용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만약 현재 프레임의 LPC분석의 결과에 의한 α파라미터가 i( 1 i P ) 로 표시된다면, 예를 들어 점들에 해당하는 44차원인 L차원의 값들이 수학식 22의 주파수응답으로부터 샘플링된다.
계산을 위해서, 예를 들어 256점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서 1, α1, α2, ..., αP, 0, 0, ..., 0의 열을 제공하도록 1, α1, α2, ..., αP,의 열 다음에 0들이 채워진다. 다음에, 256점 FFT함으로서, (re 2+ im2)1/2 가 0에서 π까지의 범위와 관련된 점들에 대해 계산되고 그 결과의 역수들이 구해진다. 이러한 역수들은 44점과 같은 L점으로 부샘플링되고, 매트릭스가 이러한 L점을 대각선 성분으로 가지면서 형성된다.
청각가중매트릭스(W)는 수학식 23으로 주어진다.
여기서 αi는 LPC분석의 결과이고, λa와 λb는 λa=0.4와 λb=0.9와 같은 상수이다.
매트릭스(W)는 상기 수학식 23의 주파수응답으로부터 계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FFT가 0 i 128 인 곳에서 0에서 π까지의 범위에 대해 ( re 2[i] + Im2[i] )1/2 를 구하기 위해서 1, α1λb, α2λb2, ..., αpλbp, 0, 0, ..., 0의 256점 데이터에 대해 실행된다. 분모의 주파수응답은 0 i 128 인 곳에서 ( re 2[i] + im2[i] )1/2 을 구하기 위해서 128점에서 1, α1λb, α2λb2, ..., αpλbp, 0, 0, ..., 0에 대해 0에서 π까지의 영역에 대해 256점 FFT에 의해 구해진다. 수학식 23의 주파수응답은
에 의해 구해지며, 0 i 128 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다음의 방법으로 44차원의 벡터의 각 관련된 점에 대해 구해진다. 좀더 자세하게는, 선형보간이 이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다음의 예에서, 가장 가까운 점이 대신 이용된다.
즉,
[i] =0[nint(128i / L)], 1 i L 이다.
수학식에서 nint(X)는 X에 가장 가까운 값을 돌려주는 함수이다.
H에 대해서, h(1), h(2), ..., h(L)가 유사한 방법으로 구해진다. 즉, 다음과 같다.
다른 예로서, H(z)W(z)가 먼저 구해지고 다음에 주파수응답이 FFT의 횟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구해진다.
즉,
수학식 25의 분모는
으로 확장된다. 예를 들어 256점 데이터는 1, β1, β2, ..., β2p, 0, 0, ..., 0의 열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다음에, 256점 FFT가 진폭이
인 진폭의 주파수응답과 함께 실행되며, 0 i 128 이다. 이것으로부터,
이며, 0 i 128 이다. 이것은 L차원 벡터의 각 해당 점들에 대해 구해진다. 만약 FFT의 점들의 수가 작다면, 선형보간이 이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여기서는 가장 가까운 값이
으로 구해지며, 1 i L 이다. 만약 대각선 성분으로서 이것들을 가지는 매트릭스가 W'라면, 다음과 같이 된다.
수학식 26은 상기 수학식 24와 동일한 매트릭스이다. 선택적으로, | H ( exp ( j )) W ( exp (j )) | = i 에 대해서 수학식 25로부터 직접 계산될 수도 있으며, 1 i 128 이며, wh[i]에 이용된다.
선택적으로, 수학식 25의 임펄스(impulse)응답의 가령 40점과 같은 적당한 길이는 이용된 진폭의 주파수응답을 구하기 위해서 구해지고 FFT될 수도 있다.
청각 가중 필터와 LPC 합성 필터의 특성들을 계산할 때 처리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수학식 25에서 H(z)W(z)는 Q(z)이다.
즉,
q(n)으로 설정되는 Q(z)의 임펄스 응답을 구하기 위한 것이며, 0nLimp 이며, Limp는 임펄스 응답 길이이고, 예를 들어 Limp=40이다.
본 실시예에서, P=10이기 때문에, 수학식 27은 30개의 계수들을 가지는 20차 무한 임펄스 응답(IIR) 필터를 나타낸다. 근사적으로 Limp×3P=1200로 곱의 합을 연산함으로서, 수학식 27의 임펄스 응답 q(n)의 Limp샘플들이 구해질 수도 있다. q(n)에 0들을 채워넣음으로서, 0n2m 에서 q'(n)이 생성된다. 만약 예를 들어 m=7이면, 2m-Limp=128-40=88개의 0들이 q(n)에 부가되어서(0을 채움) q'(n)을 제공한다.
이 q'(n)은 2m(128개 점들)에서 FFT된다. FFT한 결과의 실수 및 허수부는 각각 re[i]이고 im[i]이며, 0i2m-1 이다. 이것으로부터
이것은 Q(z)의 진폭 주파수 응답이며, 2m-1개의 점들로 표현된다. rm[i]의 인접하는 값들의 선형 보간에 의해서, 주파수 응답은 2m점들에 의해 표현된다. 비록 더 높은 차수의 보간이 선형 보간 대신에 이용되더라도, 처리량은 상당히 증가한다. 만약 상기 보간으로 얻어진 배열이 wlpc[i]이며 0i2m 라면,
wlpc [2i] = rm [i], 0 i 22m-1
wlpc [2i+1] = (rm [i] + rm [i+1] ) / 2, 0 i 2m-1
이다. 이것은 wlpc[i]를 제공하며, 0i2m-1 이다.
이것으로부터, wh[i]는
wh[i]=wlpc[nint(1281i/L)], 1iL
에 의해 유도되며, nint(x)는 x에 가장 가까운 정수를 돌려주는 함수이다. 이것은 한 128점 FFT 연산을 실행함으로서, 수학식 26의 W'가 한 128점 FFT 연산을 실행함으로서 구해질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N점 FFT에 요구되는 처리량은 일반적으로 (N/2)log2N 복소수 곱셈과 Nlog2N 복소수 덧셈이며, 이것은 (N/2)log2N×4 실수 곱셈과 Nlog2N×2 실수 덧셈과 등가이다.
상기 방법에 의해서, 상기 임펄 응답 q(n)을 구하기 위한 곱의 합 연산의 양은 1200이다. 반면에, N=27=128에 대한 FFT의 처리량은 근사적으로 128/2×7×4=1792이고 128×7×2=1792이다. 만약 곱의 합의 수가 1이면, 처리량은 근사적으로 1792이다. 수학식 28에 대한 처리량에 대해서, 처리량이 대략 3인 제곱 합 연산과 처리량이 대약 50인 제곱근 연산이 2m-1=26=64번 실행되어서, 수학식 28에 대한 처리량은 64×(3+50)=3392이다.
반면에, 수학식 30의 보간은 64×2=128의 차수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전체 합에서, 처리량은 1200+1792+3392+128=6512와 같다.
가중 매트릭스(W)가 W'TW의 패턴에서 이용되기 때문에, 단지 rm2[i]만이 제곱근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구해지고 이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수학식 29와 수학식 30은 rm[i] 대신에 rm2[i]에 대해 실행되는 반면, 상기 수학식 31에 의해 구해지는 것은 wh[i]이 아니라 wh2[i]이다. 이 경우에 rm2[i]을 구하기 위한 처리량은 192이어서, 전체 합에서, 처리량은 1200+1792+192+128=3312와 같게된다.
만약 수학식 25에서 수학식 26까지의 처리가 직접 실행된다면, 처리량의 총 합은 대약 2160의 차수에 대한 것이다. 즉, 256점 FFT가 수학식 25의 분자와 분모에 둘 다에 대해 실행된다. 이 256점 FFT는 256/2×8×4=4096에 대한 것이다. 반면에, wh0[i]에 대한 처리는 각각 3의 처리량을 가지는 제곱 합 연산과, 대략 25의 처리량을 가지는 나눗셈과, 그리고 대약 50의 처리량을 가지는 제곱 합 연산을 포함한다. 만약 제곱근 계산이 위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생략되면, 처리량은 128×(3+3+25)=3968의 차수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총 합에서, 처리량은 4096×2+3968=12160과 같다.
따라서, 만약 상기 수학식 25가 직접 계산되어 wh0[i] 대신에 wh0 2[i]를 구한다면, 12160의 차수의 처리량이 요구되는 반면, 만약 수학식 27에서 수학식 31까지의 계산이 실행된다면, 처리양은 대략 3312로 감소되며, 처리량이 1/4로 감소될 수도 있다는 것을 뜻한다. 감소된 처리량에 대한 가중 계산 절차는 도 10의 흐름도에서 나타낸 것처럼 요약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중 전달함수의 상기 수학식 27은 제 1단계(S91)에서 유도되고, 다음 단계(S92)에서 수학식 27의 임펄스 응답이 유도된다. 단계(S93)에서 임펄스 응답에 0을 부가(0 채움)한 후에, FFT가 단계(S94)에서 실행된다. 만약 2제곱과 같은 길이의 임펄스 응답이 유도되면, FFT가 0을 채우지 않고 직접 실행될 수 있다. 다음 단계(S95)에서, 진폭의 주파수 특성이나 진폭의 제곱의 주파수 특성이 구해진다. 다음 단계(S96)에서, 선형 보간은 주파수 특성의 점들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실행된다.
가중 벡터양자화를 구하기 위한 이 계산들은 음성 부호화 뿐만 아니라 오디오신호와 같은 가청 신호의 부호화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음성이나 오디오신호가 주파수영역 파라미터로서 DFT계수들, DCT 계수들 또는 MDCT 계수들 또는 LPC 나머지의 조파들의 진폭이나 조파들의 진폭과 같은 이러한 파라미터들에서 유도되는 파라미터들에 의해 표현되는 가청 신호 부호화에서, 파라미터들은 가중 전달함수의 임펄스 응답을 FFT함으로서 또는 도중에 중단된 임펄스 응답을 FFT함으로서 가중 벡터양자화로 양자화될 수도 있고 0이 채워넣어질 수 있으며 FFT의 결과에 근거해서 가중값을 계산한다. 이 경우에 구체적으로는, 가중 임펄스 응답을 FFT한 후에, FFT 계수들 자체, 즉 re과 im이 각각 계수들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나타내는 (re, im), re2+im2또는 (re2+im2)1/2는 보간되고 가중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만약 수학식 21이 상기 수학식 26의 매트릭스(W')를 이용하여 다시 쓰여지면, 즉 가중 합성 필터의 주파수 응답이라면, 다음의 식을 얻는다.
형상코드북과 이득코드북의 학습을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왜곡의 기대값(expected value)은 코드벡터 가 CB0에 대해 선택되는 모든 프레임(k)에 대해 최소화된다. 만약 프레임이 M개 있다면,
이 최소화된다면 만족된다. 수학식 28에서, , 그리고s lk는 각각 k번째 프레임에 대한 가중, k번째 프레임에 대한 출력, k번째 프레임의 이득, 그리고 k번째 프레임에 대한 코드북(CB1)의 출력을 나타낸다.
수학식 28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이 된다.
따라서,
에서
이며, 은 역매트릭스을 나타내고 Wk T Wk 의 전치매트릭스를 나타낸다.
다음에 이득최적화를 고려한다.
이득의 코드워드(gc)를 선택하는 k번째 프레임을 고려한 왜곡의 기대값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을 풀면
을 구한다.
수학식 36과 수학식 37는 0i31 , 0j31 , 그리고 0l31 인 동안 형상( , )과 이득( gl )에 대한 최적 중심(centroid)조건을 제공한다. 즉, 최적의 부호기 출력이다. 반면에, 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구해질 수도 있다.
최적의 부호화 조건, 즉 가장 가까운 인접(neighbor) 조건이 고려된다.
을 최소화하는 인 왜곡량을 구하기 위한 상기 수학식 32가 입력(x)과 가중매트릭스(W')가 주어질 때마다, 즉 프레임 단위마다 구해진다.
본래, E는 E의 최소값을 제공할 ( )의 세트를 구하기 위해서, gl( 0l31 ), ( 0i31 ), 그리고 ( 0j31 )의 모든 조합, 즉 32×32×32=32768동안 라운드로빈(round robin)형으로 구해진다. 하지만, 이것은 많은 계산을 요하기 때문에, 형상과 이득은 차례로 본 실시예에서 탐색된다. 반면에, 라운드로빈 탐색은 의 조합에 대해 이용된다. 에 대해 32×21=1024 조합이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는 간단히 으로 표시된다.
상기 수학식 32는 이 된다. 만약 더 간단히 이고 라면, 다음의 식을 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만약 gl이 충분히 정확히 될 수 있다면, 탐색은 다음의 2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1) 다음 식을 최대로 하는 를 탐색하고,
(2) 다음 식에 가장 가까운 gl을 탐색한다.
만약 상기 식을 원래의 표기를 이용하여 다시 쓰면.
(1)' 다음 식을 최대로 하는 에 대해 탐색이 되고,
(2)' 다음의 식에 가장 가까운 gl에 대해 탐색이 이루어진다.
상기 수학식 40은 최적 부호화 조건(가장 가까운 인접조건)을 나타낸다.
수학식 36과 수학식 37의 조건(중심조건(Centroid Condition))과, 수학식 35의 조건을 이용하면 소위 일반화 로이드 알고리즘(Generalized Lloyd Algorithm : GLA)을 사용하여 코드북(CB0, CB1, CBg)을 동시에 트레인(train)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W'로서 입력(x)의 형으로 분할한 W'를 W'로 사용하고 있다. 즉, 수학식 36과 수학식 37과 수학식 40에서 W'에 W'/∥x∥를 대입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벡터양자화기(116)에 의해 벡터양자화 할 때 청각가중에 이용되는 가중(W')은 상기 수학식 31로 정의된다. 그렇지만, 과거의 W'를 고려하여 현재의 W'를 구함으로써 일시적인 마스킹(masking)을 고려한 W'를 구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31에서 wh(1), wh(2), …, wh(L)의 값은 시간(n)에서 즉 n번째 프레임에서 산출된 것으로 각각 whn(1), whn(2), …, whn(L)로 나타낸다.
시간(n)에서 과거의 값을 고려한 가중이 An(i), 1≤i≤L로 정의하면,
여기에서, λ는 예를 들면 λ=0.2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한 An(i), 1≤i≤L에 대하여 An(i)를 대각선 요소로서 가지는 매트릭스를 상기 가중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가중 벡터양자화에 의해 얻어진 형상인덱스(s 0i,s 1j)는 출력단자(520, 522)에서 각각 출력되고, 이득인덱스(g1)는 출력단자(521)에서 출력된다. 또한, 양자화값(x 0')은 출력단자(504)에서 출력되면서 가산기(505)에 보내진다.
가산기(505)는 스펙트럼 엔벌로프 벡터(x)로부터 양자화값(x 0')을 감산하고, 양자화 오차벡터(y)가 생성된다. 특히, 이 양자화 오차벡터(y)는 벡터양자화부(511)에 보내지고, 차원분할되고, 벡터양자화기(5111∼ 5118)에서 가중의 벡터양자화로 양자화 된다. 제 2양자화부(510)는 제 1벡터양자화부(500)보다 큰 비트수를 사용한다. 따라서, 코드북의 기억용량과 코드북탐색의 처리량(복합성)은 현저하게 증가한다. 따라서, 제 1벡터양자화부(500)와 같은 44차원으로 벡터양자화를 실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 2벡터양자화부(510)에서 벡터양자화부(511)는 여러 개의 벡터양자화기로 구성되고 양자화된 입력값은 다수의 벡터양자화를 실행하기 위하여 다수의 저차원벡터로 차원분할된다.
벡터양자화기(5111∼ 5118)에서 사용되는 양자화값(y 0y 1), 차원수, 비트수의 관계를 다음 표 2에서 나타낸다.
벡터양자화기(5111∼ 5118)에서 출력된 인덱스값(Idvq0∼ Idvq7)은 출력단자(5231∼ 5238)에서 출력된다. 이들 인덱스데이터의 합계는 72이다.
벡터양자화기(5111∼ 5118)의 양자화된 출력값(y 0'~y 1')을 차원방향으로 연결하여 얻어진 값이y'이면, 양자화된 값(y')과 값(x 0')이 가산기(513)에 의해 합해져서 양자화된 값(x 1')을 산출한다. 그러므로, 양자화된 출력값(x 1')은
으로 표시된다.
즉, 최종 양자화 오차벡터는y'-y이다.
제 2양자화기(510)로부터 양자화된 값(x 1')이 복호화 되면, 음성신호 복호화 장치는 제 1양자화기(500)로부터 양자화된 값(x 1')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 1양자화기(500)와 제 2양자화기(510)로부터 인덱스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벡터양자화부(511)에서 학습법과 코드북탐색을 이하 설명한다.
학습법에 대하여 양자화 오차벡터(y)는 표 2에 나타낸 것같이 8개의 저차원벡터(y 0y 7)로 분할된다. 가중(W')이 대각선 요소로서 44포인트 부샘플값을 가지는 매트릭스라면,
가중(W')은 다음의 8개의 매트릭스로서 분할된다.
이렇게 저차원으로 분할된y와 W'는 각각 Yi, Wi', 1≤i≤8로 한다.
왜곡량(E)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코드북벡터(s)는y i 의 양자화의 결과이다. 왜곡량(E)을 최소화하는 코드북의 이러한 코드벡터가 탐색된다.
코드북학습에서, 또한 가중이 일반화 로이드 알고리즘(GLA)을 사용하여 실행된다. 학습의 최적의 중심조건이 먼저 설명된다. 코드벡터(s)를 최적 양자화결과로서 선택한 M입력벡터(y)가 있으면, 트레이닝데이터는 (y k )이고, 왜곡의 기대값(J)은 모든 프레임(k)에 대하여 가중치에 왜곡의 중앙을 최소화하는 수학식 48에 의해 주어진다.
을 풀면
을 얻는다.
양측을 전환한 값을 취하면
얻는다.
그러므로,
이다.
상기 수학식 44에서,s는 최적의 대표벡터이고 최적 중심조건을 나타낸다.
최적 부호화조건에 대하여, ∥Wi'(yi-s)∥2의 값을 최소화하는s를 탐색하기에 충분하다. 탐색시의 Wi'는 반드시 학습시의 Wi'와 동일할 필요는 없고, 가중치의 매트릭스로 할 수 있다.
음성신호 부호화기 내의 벡터양자화부(116)를 2단의 벡터양자화부로 구성함으로써 출력하는 인덱스의 비트수를 가변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에서 기술한 CELP 부호기 구성을 이용하는 제 2부호화부(120)는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다단 벡터양자화 처리기들로 구성된다. 다단 벡터양자화 처리기들은 도 12의 예에서 2단 부호화부(1201, 1202)로서 형성되고, 전송 비트율이 예를 들어 2kbps와 6kbps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경우에 6kbps의 전송 비트율로 복사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형상 및 이득 인덱스 출력은 23bit/5msec와 15bit/5msec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도 12의 구성에서 처리 흐름을 도 13에서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의 제 1부호화부(300)는 도 3의 제 1부호화부(113)와 같고, 도 12의 LPC분석회로(302)는 도 3에 나타낸 LPC분석회로(132)에 대응하면서, LSP 파라미터 양자화회로(303)는 도 3의 α→LSP변환회로(133)에서 LSP→α변환회로(137)까지의 구성에 대응하고, 도 12의 청각가중필터(304)는 도 3의 상기 청각가중필터 산출회로(139) 및 청각가중필터(125)와 대응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 12에 있어서, 단자(305)에 상기 도 3의 제 1부호화부(113)의 LSP→α변환회로(137)에서의 출력과 동일한 것이 공급되고, 또 단자(307)에는 상기 도 3의 청각가중필터 산출회로(139)에서의 출력과 동일한 것이 공급되고, 또 단자(306)에는 상기 도 3의 청각가중필터(125)에서의 출력과 동일한 것이 공급된다. 그러나, 청각가중필터(125)로부터의 왜곡에서, 도 12의 청각가중필터(304)는 상기 도 3의 청각가중필터(125)와 같고 상기 LSP→α변환회로(137)의 출력을 이용하는 대신에 입력음성 데이터와 양자화 전의 α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청각가중한 신호를 생성하고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2단 제 2부호화부(1201∼ 1202)에 있어서, 감산기(313 및 323)는 도 3의 감산기(123)와 대응하고, 거리계산회로(314 및 324)는 도 3의 거리계산회로(124)와 대응한다. 또한, 이득회로(311 및 321)는 도 3의 이득회로(126)와 대응하는 한편, 스터케스틱 코드북(310, 320) 및 이득코드북(315, 325)은 도 3의 잡음코드북(121)과 대응하고 있다.
도 12의 구성에 있어서, 도 13의 단계(S1)에 나타낸 것같이, LPC분석회로(302)는 단자(301)에서 공급된 입력음성데이터(x)를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으로 분할하여 LPC분석을 행하고 α파라미터를 구한다. LSP파라미터 양자화회로(303)는 LPC분석회로(302)에서의 α파라미터를 LSP파라미터로 변환하여 LSP파라미터를 양자화 한다. 양자화된 LSP데이터를 보간한 후, α파라미터로 변환한다. LSP파라미터 양자화회로(303)는 양자화한 LSP파라미터를 변환한 α파라미터에서 LPC합성필터 함수(1/H(z))를 생성하고, 생성된 LPC합성필터 함수(1/H(z))를 단자(305)를 통하여 제 1단의 제 2부호화부(1201)의 청각가중합성필터(312)에 보낸다.
청각가중필터(304)에서는 LPC분석회로(302)에서 α파라미터(즉 양자화 전의 α파라미터)에서 상기 도 3의 청각가중필터 산출회로(139)에 의해 산출된 것과 동일한 청각가중을 위한 데이터를 구한다. 이들 가중데이터가 단자(307)를 통하여, 제 1단의 제 2부호화부(1201)의 청각가중합성필터(312)에 공급된다. 청각가중필터(304)는 도 13의 단계(S2)에 나타낸 것같이, 입력음성데이터와 양자화 전의 α파라미터에서 도 3의 청각가중필터(125)에 의한 출력과 동일신호의 청각가중한 신호를 생성한다. 즉, 먼저 양자화 전의 α파라미터에서 청각가중 필터함수(W(z))가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필터함수(W(z))는 입력음성데이터(x)에 적용되어 단자(306)를 통하여 제 1단의 제 2부호화부(1201)의 감산기(313)에 청각가중한 신호로서 보낸x w를 생성한다.
제 1단의 제 2부호화부(1201)에서는 9비트 형상인덱스출력의 스터케스틱 코드북(310)에서의 대표값 출력이 이득회로(311)에 보내지고, 스터케스틱 코드북(310)에서의 대표값 출력에 6비트 이득인덱스 출력의 이득코드북(315)에서의 이득(스칼라값)을 곱한다. 이득회로(311)에서 이득이 곱해진 대표값 출력이 1/A(z)=(1/H(z))*W(z)의 청각가중의 합성필터(312)에 보내진다. 가중의 합성필터(312)에서는 도 13의 단계(S3)와 같이 1/A(z)의 제로입력 응답출력이 감산기(313)에 보내진다. 감산기(313)에서는 상기 청각가중 합성필터(312)에서의 제로입력 응답출력과, 상기 청각가중필터(304)에서의 상기 청각가중한 신호(x w)를 이용한 감산이 행해지고, 이 차분 혹은 오차가 참조벡터(r)로서 취해진다. 제 1단의 제 2부호화부(1201)에서 참조벡터(r)는 거리가 계산되는 거리계산회로(314)에 보내지고 형상벡터(s)와 양자화 오차에너지를 최소화하는 이득(g)이 도 13에서 단계(S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탐색된다. 여기에서, 1/A(z)는 제로상태에 있다. 즉, 제로상태에서 1/A(z)로 합성된 코드북에서 형상벡터(s)가s syn이면, 수학식 45를 최소화하는 형상벡터(s)와 이득이 탐색된다.
양자화 오차에너지를 최소화하는s와 g가 충분히 탐색되면, 계산의 양을 줄이기 위하여 다음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 1방법은 다음 수학식 46에 의해 정의된 Es를 최소화시키는 형상벡터(s)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제 1방법에 의해 얻은s로부터, 이상이득은 다음 수학식 47에 의해 나타내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제 2방법으로서 수학식 48을 최소화하는 이러한 g가
Eg=(gref-g)2
탐색된다.
E는 2차함수이므로, Eg를 최소화하는 이러한 g는 E를 최소화한다.
이것은 제 2단의 제 2부호화부(1202)의 참조로서 제 1단에서와 같이 양자화 된다.
즉, 단자(305, 307)로 공급된 신호가 제 1단의 제 2부호화부(1201)의 청각가중 합성필터(312)로부터 제 2단의 제 2부호화부(1202)의 청각가중 합성필터(322)에 직접 공급된다. 제 1단의 제 2부호화부(1201)에 의해 구해진 양자화 오차벡터(e)는 제 2단의 제 2부호화부(1202)의 감산기(323)에 공급된다.
도 13의 단계(S5)에서, 제 2단의 제 2부호화부(1202)에서 제 1단과 유사한 처리가 실행된다. 즉, 5비트 형상인덱스 출력의 스터케스틱 코드북(320)으로부터의 대표값 출력은 이득회로(321)에 보내져서 3비트 이득 인덱스출력의 이득코드북(325)으로부터 이득이 코드북(320)의 대표값 출력에 곱해진다. 가중합성필터(322)의 출력이 청각가중 합성필터(322)와 제 1단의 양자화 오차 벡터(e)사이의 차가 구해지는 감산기(323)에 보내진다. 이 차는 양자화 오차에너지(E)를 최소화하는 형상벡터(s)와 이득(g)을 탐색하기 위하여 거리계산을 위한 거리계산회로(324)에 보내진다.
제 1단의 제 2부호화부(1201)의 스터케스틱 코드북(310)의 형상인덱스 출력과 이득코드북(315)의 이득인덱스 출력과 제 2단의 제 2부호화부(1202)의 스터케스틱 코드북(320)의 형상인덱스 출력과 이득코드북(325)의 이득인덱스 출력이 인덱스출력 전환회로(330)에 보내진다. 제 1단과 제 2단의 제 2부호화부(1201, 1201)의 스터케스틱 코드북(310, 320)과 이득코드북(315, 325)의 인덱스데이터가 합쳐져서 출력된다. 15비트가 출력되면, 제 1단의 제 2부호화부(1201)의 스터케스틱 코드북(310)과 이득코드북(315)의 인덱스데이터가 출력된다.
단계(S6)에 나타낸 것같이 제로입력 응답출력을 계산하기 위하여 필터상태가 갱신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단의 제 2부호화부(1202)의 인덱스 비트의 수가 형상벡터에 대하여 5만큼 작으면, 이득에 대한 것은 3만큼 작다. 코드북에서 이 경우에 적당한 형상과 이득이 제시되지 않으면, 양자화오차는 감소되는 대신에 증가하려고 한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득에서 0이 제공되지만, 이득에 대하여는 3비트뿐이다. 이들 중 하나가 0으로 설정되면, 양자화실행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이것을 고려하여 큰 비트수가 할당되는 형상벡터에 대하여 모두 0의 벡터가 제공된다. 제로벡터를 배제하여 전술한 탐색을 행하고, 양자화오차가 최종적으로 증가하여 버리면, 제로벡터가 선택된다. 이득은 임의이다. 이것에 의해, 제 2단의 제 2의 부호화부(1202)에서 양자화오차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단구성을 위에서 기술했지만, 단수를 2보다 크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단의 폐루프 루프 탐색에 의한 벡터양자화가 종료하면, 제 N단(2≤N)에서는 N-제 1단의 양자화오차를 기준입력으로서 양자화를 행하고, 제 N단의 양자화오차는 N+제 1단의 기준입력으로 사용된다.
제 2부호화부에 다단의 벡터양자화기를 이용함으로써, 도 12, 도 13에 나타낸 것같이, 동일 비트수의 직접 벡터양자화나 공액코드북 등을 이용한 것과 비교하여 계산량이 적게 된다. 특히, CELP부호화에서는 합성에 의한 분석법을 이용한 폐루프탐색을 이용한 시간축 파형의 벡터양자화를 행하고, 탐색동작의 회수가 적은 것이 중요하다. 또, 제 2단의 제 2부호화부(1201, 1202)의 양측 인덱스출력을 이용하는 것과 제 2단의 제 2의 부호화부(1202)의 출력을 사용하지 않고 제 1단의 제 2의 부호화부(1201)의 출력만을 이용하는 것 사이에서 전환함으로써 비트수가 쉽게 전환될 수 있다.
제 1단과 제 2단의 제 2부호화부(1201, 1202)의 인덱스출력이 결합하여 출력되면, 복호기는 인덱스출력의 한 개를 선택함으로써 구조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 즉, 복호기는 2kbps에서 복호화 동작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6kbps로 부호화된 파라미터를 복호화 함으로써 구조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 도한, 제로벡터가 제 2단의 제 2의 부호화부(1202)의 형상코드북에 포함되어 있으면, 0이 이득에 가해질 때 성능에서 보다 적게 저하되어서 양자화오차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스터케스틱 코드북(형상벡터)의 코드벡터는 예를 들면 다음의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스터케스틱 코드북의 코드벡터는 예를 들면 소위 가우스잡음에 의해 클리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특히, 코드북은 가우스잡음을 생성하고 적당한 임계값으로 가우스잡음을 클리핑하고 클리핑된 가우스잡음을 정규화 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음성에는 여러 가지의 형태가 있다. 예를 들면, 사, 시, 스, 세, 소와 같은 잡음에 근접한 자음의 음성에 가우스잡음이 대응할 수 있는 반면, 파, 피, 푸, 페, 포와 같이 급격하게 일어서는 자음의 음성에는 대응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우스잡음은 몇몇의 코드벡터에 적용할 수 있는 반면, 코드벡터의 나머지부는 학습에 의해 다루어져서, 급격하게 일어서는 자음과 잡음에 가까운 자음을 가지는 2개의 자음이 대응될 수 있다. 만약, 예를 들면, 임계값이 증가하면, 몇 개의 보다 큰 피크를 가지는 이러한 벡터가 구해지는 반면, 임계값이 감소하면, 코드벡터는 가우스잡음에 근접한다. 그래서, 임계값을 클리핑하는 데에 변화를 증가함으로써 파, 피, 푸, 페, 포와 같이 급격하게 일어나는 부분을 가지는 자음과 사, 시, 스, 세, 소와 같은 잡음에 근접한 자음에 대응할 수 있음으로써 명확도가 증가한다. 도 14a와 도 14b는 실선과 파선에 의해 각각 가우스잡음과 클리핑된 잡음의 모양을 나타낸다. 도 14a, 14b는 1.0과 같게 즉 큰 임계값으로 임계값을 클리핑하는 잡음과 0.4와 같게 즉 작은 임계값으로 임계값을 클리핑하는 잡음을 나타낸다. 도 14a, 14b로부터 임계값이 크게 선택되면, 몇 개의 큰 피크를 가지는 벡터가 얻어지는 반면, 임계값이 작은 값으로 선택되면 잡음은 가우스잡음 자체에 근접하게 된다.
이것을 알아보기 위하여, 최초코드북은 가우스잡음을 클리핑함으로써 준비되는 반면, 비학습 코드벡터의 적당한 수가 설정된다. 사, 시, 스, 세, 소와 같은 잡음에 근접한 자음에 대응하기 위하여 분산값이 증가하는 순서로 선택된다. 학습에 의해 구해진 벡터는 학습을 위해서 LBG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가장 근접한 인접조건하에서 부호화는 고정코드벡터와 학습에서 구해진 코드벡터를 사용한다. 중심조건에서, 학습되는 코드벡터만이 갱신된다. 그래서, 학습된 코드벡터는 파, 피, 푸, 페, 포와 같이 급격하게 일어서는 자음에 대응할 수 있다.
이들 코드벡터에 대하여 통상의 학습법에 의해서 최적의 이득이 학습될 수 있다.
도 15는 가우스잡음을 클리핑에 의한 코드북의 구조에 대한 처리흐름을 나타낸다.
도 15에서, 학습의 횟수(n)가 초기화하기 위하여 단계(S10)에서 n=0으로 설정된다. 오차(D0=∞)로서 학습 횟수의 최대값(nmax)이 설정되고, 학습종료조건을 설정하는 임계값(ε)이 설정된다.
다음 단계(S11)에서, 가우스잡음의 클리핑에 의한 초기 코드북이 생성된다. 단계(S12)에서 코드벡터의 일부가 비학습 코드벡터로서 고정된다.
다음의 단계(S13)에서 상기 코드북을 이용하여 부호화를 행한다. 단계(S14)에서 오차가 산출된다. 단계(S15)에서, (Dn-1-Dn/Dn,or n=nmax) 인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결과가 YES이면, 처리가 종료한다. 결과가 NO이면, 처리는 단계(S16)로 이동한다.
단계(S16)에서 부호화에 사용되지 않는 코드벡터가 처리된다. 다음의 단계(S17)에서, 코드북이 갱신된다. 단계(S18)에서, 학습 횟수(n)는 단계(S13)로 돌아가기 전에 증가된다.
도 3의 음성부호기에서, 유성음/무성음(V/UV) 판정부(115)의 구체적인 예가 설명된다.
V/UV판정부(115)는 직교전송회로(145)의 출력과 고정밀도의 피치탐색부(146)로부터의 최적피치와 스펙트럼평가부(148)에서의 스펙트럼 진폭데이터와 개방루프 피치탐색부(141)에서의 정규화 자기상관최대값(r(p))과 영교차 카운터(412)로부터 영교차 카운터값에 의거하여 상기 프레임의 V/UV판정이 행해진다.
MBE의 경우에서 m번째의 조파의 진폭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혹은 진폭 |Am|은
에 의해 표시된다.
이 식에서, |S(j)|는 LPC나머지를 DFT하여 얻어진 스펙트럼이고, |E(j)|는 기저신호의 스펙트럼이고, 구체적으로는 256 포인트의 해밍창이고, am, bm은 제 m조파에 차례대로 대응하는 제 m대역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인덱스(j)에 의해 표시되는 상부 및 하부 극한값이다. 대역마다 V/UV판정을 위하여 신호대잡음비(NSR)가 사용된다. 제 m밴드의 NSR이
에 의해 표시된다.
NSR값이 0.3과 같이 리세트 임계값보다 크면, 즉 오차가 크면, 대역에서 |Am||E(j)|에 의한 |S(j)|의 근사가 좋지 않은 것으로 즉, 여기신호|E(j)|가 기저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서 대역을 무성음(UV)으로 판단한다. 한편, 근사가 양호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면 유성음(V)으로 판단된다.
각각의 대역(조파)의 NSR이 1개의 조파로부터 다른 것까지 조파의 유사 도를 나타내고 있다. NSR의 이득가중 조파의 합계는
에 의해 NSRall로서 정의된다. 이 스펙트럼유사도(NSRall)가 어느 임계값보다 큰가 작은가에 의해 V/UV판정에 이용되는 기본규칙이 결정된다. 여기에서 임계값은 THNSR=0.3으로 설정된다. 이 기본규칙은 프레임파워, 영교차, LPC나머지의 자기상관의 최대치에 관한 것이고, NSRTHNSR인 때에 이용되는 기본규칙에서는 규칙이 적용되면 프레임이 V, 적용되지 않으면 프레임이 UV로 된다.
구체적인 규칙은 다음과 같다.
NSRallTHNSR에 대하여,
numZero XP 24, firmPow340 그리고 r00.32이면, 프레임은 V이다.
NSRall≥THNSR에 대하여,
numZero XP 30, firmPow900 그리고 r00.23이면, 프레임은 UV이다.
여기에서 각 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numZero XP : 프레임당 영교차 수
firmPow : 프레임 파워
r0 : 자기상관의 최대치
상기와 같이 주어진 구체적인 규칙의 세트를 나타내는 규칙은 V/UV판정을 위한 것이다.
도 4의 음성신호 복호기의 주요부분과 동작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LPC합성필터(214)는 이미 설명한 것같이 유성음(V)에 대하여 합성필터(236)로, 무성음(UV)에 대하여 합성필터(237)로 분리된다. LSP가 V/UV구별 없이 합성필터를 구분하지 않고 20샘플마다 즉, 2.5msec마다 계속하여 보간되면, 전체 다른 성질의 LSP가 V→UV, UV→V천이부에서 보간된다. UV 및 V의 LPC가 각각 V 및 UV의 나머지로서 사용되는 결과, 이상한 소리가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좋지 않은 효과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LPC합성필터가 V 및 UV로 분리되고, LPC계수 보간이 V 및 UV에 대하여 독립하여 실행된다.
이러한 경우에 LPC필터(236, 237)의 계수 보간의 방법을 설명한다. 특히, LSP보간이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V/UV에 의거하여 전환된다.
10차 LPC분석의 예를 취하면, 도 16에서 등간격 LSP가 평탄한 필터특성과 이득이 1, 즉
α0= 1, α1= α2= … = α10= 0, 0≤α≤10
에 대하여 α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이러한 LSP이다.
이러한 10차 LPC분석, 즉 10차 LSP가 도 17에 나타낸 것같이 0과 π사이에서 11개로 같게 분리된 부분에서 등간격으로 배열된 LSP로 완전히 편평한 스펙트럼에 대응하는 LSP이다. 이러한 경우에서, 합성필터의 전체대역이득이 이 시각에서 최소 스루(through)특성을 가진다.
도 18는 이득변화의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15는 1/Huv(z)이득과 이득1/Hv(z)이 무성음(UV)부로부터 유성음(V)부로의 천이동안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나타낸다.
보간의 단위에 대하여, 1/Hv(z)의 계수에 대하여 2kbps의 비트율에 대하여 10msec(80샘플)이고, 1/Huv(z)의 계수에 대하여 6kbps의 비트율에 대하여 5msec(40샘플)이다. UV에 대하여, 제 2부호화부(120)는 합성법에 의한 분석을 사용하여 파형매칭을 실시하기 때문에, 인접하는 V부의 LSP에서 보간이 등간격LSP에서 보간을 실행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다. 제 2부호화부(120)에서 UV부의 부호화에서 제로입력응답이 V→UV천이부에서 1/A(z) 가중합성필터(122)의 내부상태를 클리어함으로써 0으로 설정된다.
LPC합성필터(236, 237)의 출력이 각각의 독립적으로 설치된 포스트필터(238u, 238v)에 보내진다. 포스트필터의 강도와 주파수응답은 V 및 UV에 대하여 다른 값으로 설정된다.
LPC나머지신호의 V 및 UV부 사이에서 연결부의 윈도잉(windowing) 즉, LPC합성필터입력으로서 여기가 설명된다. 윈도잉은 도 4에 나타낸 무성음합성부(211)의 윈도잉회로(223)와 유성음합성부(211)의 사인파합성회로(215)에 의해 실행된다. 여기의 V부 합성법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No. 4-91422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고, 여기의 V부의 패스트합성법이 본 출원인에 의해 유사하게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NO. 6-198451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유성음부(V)에는 인접하는 프레임의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보간하여 사인파합성하기 위해, 도 19에 나타낸 것같이 제 n프레임과 제 n+1프레임과의 사이에 모든 파형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도 19의 제 n+1프레임과 제 n+2프레임과 같이, V와 UV에 걸리는 신호부분 혹은 V와 UV에 걸리는 부분에는 UV부분은 프레임 중에 ±80샘플 (전체 160샘플의 총수가 1프레임간격이다)의 데이터만을 부호화 및 복호화하고 있다. 그 결과, 도 20에 나타낸 것같이 V측에서는 프레임과 프레임과의 사이의 중심점(CN)을 넘어서 윈도잉을 행하고, UV측에서는 중심점(CN)까지의 윈도잉을 행하고, 인접부분을 중첩시키고 있다. UV→V의 천이부에 대하여 그 역을 행하고 있다. 또한, V측의 윈도잉은 도 20에 파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할 수 있다.
유성음(V)부분에서의 잡음합성 및 잡음가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것은 도 4의 잡음합성회로(216), 가중중첩회로(217), 및 가산기(218)를 이용하여 유성음부분의 여기와 LPC합성필터입력으로서 다음의 파라미터를 고려한 잡음을 LPC나머지신호의 유성음부분에 더함으로써 행해진다.
즉, 상기 파라미터로서는 피치랙(Pch), 유성음의 스펙트럼진폭(Am[i]), 프레임내의 최대 스펙트럼진폭(Amax), 및 나머지신호의 벡터(Lev)를 열거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피치랙(Pch)은 소정의 샘플링주파수(fs), fs=8kHz와 같이 피치주기내의 샘플 수이고, 스펙트럼진폭 Am[i]의 I는 fs/2의 대역내의 조파의 수를 I=Pch/2로 하는 동안 0iI의 범위내의 정수이다.
잡음합성회로(216)에 의한 처리는 예를 들면 다중대역 부호화(MBE)의 무성음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해진다. 도 21은 잡음합성회로(216)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21에 있어서, 백색잡음 발생회로(401)는 가우스잡음을 출력하여서, STFT처리부(402)에 의해 STFT(short-term Fourier transform)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잡음의 주파수축상의 전력스펙트럼을 얻는다. 가우스잡음은 소정의 길이(예를 들면 256샘플)를 가지는 해밍창과 같이 적당한 윈도잉함수에 의해 윈도잉으로 된 시간축 백색잡음 신호파형이다. STFT처리부(402)에서의 전력스펙트럼을 진폭처리를 위하여 곱셈기(403)에 보내고, 잡음진폭제어회로(410)에서의 출력과 승산되고 있다. 증폭기(403)에서의 출력은 ISTFT처리부(404)에 보내지고, 위상은 원래의 백색잡음의 위상을 이용하여 역 STFT(ISTFT)처리를 실시함으로서 시간축 상의 신호로 변환한다. ISTFT처리부(404)에서의 출력은 가중중첩 가산회로(217)에 보내진다.
도 21의 예에 있어서는 백색잡음 발생부(401)에서 시간영역의 잡음을 발생하여 그것을 STFT 등의 직교변환을 행하므로 주파수영역의 잡음을 얻었다. 그러나, 잡음발생부에서 직접적으로 주파수영역의 잡음을 발생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주파수영역의 잡음을 직접 발생함으로써 STFT나 ISTFT 등의 직교변환처리가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x의 범위가 발생하고 그것을 FFT스펙트럼의 실부와 허부로서 취급하도록 하는 방법이나, 0에서 최대값(max)까지의 범위의 정의 난수를 발생하고 그것을 FFT스펙트럼의 진폭으로서 취급한다. -π에서 π까지의 난수를 발생하고 그것을 FFT스펙트럼의 위상으로서 취급하는 방법 등이 고려된다.
이것은 도 21의 STFT처리부(402)를 제거할 수 있고, 구성의 간략화 혹은 처리량의 저감화가 도모될 수 있다.
잡음진폭제어회로(410)는 예를 들면 도 22과 같은 기본구성을 가지고, 상기 도4의 스펙트럼 엔벌로프의 양자화기(212)에서 단자(411)를 통하여 주어지는 V(유성음)의 스펙트럼진폭Am[i]에 의거하여 곱셈기(403)에서 곱셈계를 제어함으로써 합성된 잡음진폭 Am_noise[i]를 구할 수 있다. 즉, 도 22에서, 스펙트럼 진폭회로 Am[i]와 피치랙(Pch)이 입력되는 최적 noise_mix값의 산출회로(416)에서의 출력을 잡음의 가중회로(417)에서 가중하고, 얻어진 출력을 곱셈기(418)에 보내어 스펙트럼진폭 Am[i]와 곱셈함으로써 잡음진폭Am_noise[i]를 얻고 있다. 잡음합성가산의 제 1구체적인 예로서, 잡음진폭(Am_noise[i])이 상기 4개의 파라미터내의 2개, 즉 피치랙(Pch) 및 스펙트럼진폭(Am)의 함수가 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함수(f1(Pch, Am[i])가운데,
f1(Pch, Am[i])=0 (0iNoise_b x I)
f1(Pch, Am[i])=Am[i]xnoise_mix (Noise_b x I ≤iI
noise_mix=K x Pch/2.0
이다.
noise_mix값의 최대치는 noise_mix_max이고, 그 값이 클리핑된다. 일 예로서, K=0.02, noise_mix_max=0.3, Noise_b=0.7에서, Noise_b는 전체 대역으로부터 이 잡음이 가산되는 부분을 결정하는 정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70%보다 높은 주파수영역, 즉 fs=8kHz의 때, 4000 x 0.7=2800Hz에서 4000Hz까지의 범위에서 잡음이 가산된다.
잡음합성가산의 제 2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잡음진폭(Am_noise[i])을 상기 4개의 파라미터내의 3개, 즉 피치랙(Pch) 및 스펙트럼진폭(Am) 및 최대스펙트럼진폭(Amax)의 함수(f2(Pch, Am[i], Amax)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함수(f2(Pch, Am[i], Amax))가운데,
f2(Pch, Am[i], Amax)=0 (0iNoise_b x I)
f2(Pch, Am[i], Amax)=Am[i]xnoise_mix (Noise_b x I ≤iI
noise_mix=K x Pch/2.0
이다.
noise_mix값의 최대값은 noise_mix_max이고, 일 예로서, K=0.02, noise_mix_max=0.3, Noise_b=0.7이다.
만약 Am[i] x noise_mix Amax x C x noise_mix 이면, f2(Pch, Am[i], Amax)=Amax x C x noise_mix이고, 여기에서 정수(C)는 C=0.3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 조건식에 의해 잡음레벨이 매우 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K, noise_mix_max를 다시 크게 하여도 좋고, 고역의 레벨도 비교적 큰 때에 잡음레벨을 높일 수 있다.
잡음합성가산의 제 3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잡음진폭(Am_noise[i])을 상기 4개의 파라미터내의 4개 전체의 함수(f3(Pch, Am[i], Amax, Lev))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함수(f3(Pch, Am[i], Amax, Lev))의 구체적인 예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 2구체예의 함수(f2(Pch, Am[i], Amax)_와 동일하다. 단, 나머지신호레벨(Lev)은 스펙트럼진폭(Am[i]의 rms(root mean square) 혹은 시간축 상에서 측정한 신호레벨이다. 상기 제 2구체적인 예와의 다름은 K의 값과 noise_mix_max의 값을 Lev함수로 하는 점이다. 즉, Lev가 작거나 크면, K, noise_mix_max의 값은 각각 크거나 작게 설정된다. 또한, Lev는 K, noise_mix_max에 역비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음에, 포스트필터(238v, 238u)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는 도 4 실시예의 포스트필터(238v, 238u)로서 이용되는 포스트필터를 나타내고 있다. 포스트필터의 요부로서 스펙트럼정형필터(440)는 포먼트(formant)강조필터(441)와 고역강조필터(442)로 이루어진다. 스펙트럼정형필터(440)에서의 출력은 스펙트럼정형에 의한 이득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이득조정회로(443)에 보내진다. 이 이득조정회로(443)의 이득(G)은 이득제어회로(445)에 의해 스펙트럼정형필터(440)의 입력(x)과 출력(y)을 비교하여 이득변화를 계산하고, 보정값을 산출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스펙트럼 정형필터(440)의 특성PF(z)은 LPC합성필터의 분모(Hv(z), Huv(z))의 계수, 즉 α파라미터를 αi로 하면,
로 표현된다.
이 식의 분수부분이 포먼트강조필터특성을 나타내고, (1-kz-1)의 부분이 고역강조필터의 특성을 나타낸다. β, γ, k는 정수이고 일 예로서 β=0.6, γ=0.8, k=0.3이다.
이득조정회로(443)의 이득(G)은
에 의해 주어진다.
상기 식에서, x(i)와 y(i)는 스펙트럼정형필터(440)의 입력과 출력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스펙트럼 정형필터(440)의 계수의 갱신주기는 도 24에 나타낸 것같이, LPC합성필터의 계수인 α파라미터의 갱신주기와 동일하게 20샘플, 2.5msec이고, 이득조정회로(443)의 이득(G)의 갱신주기는 160샘플, 20msec이다.
이와 같이, 포스트필터의 스펙트럼 정형필터(440)의 계수의 갱신주기보다 이득조정회로(443)의 갱신주기를 길게 취함으로써 이득조정의 변동에 의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일반의 포스트필터에 있어서는 스펙트럼정형필터의 계수의 갱신주기와 이득의 갱신주기를 동일하게 하고 있고, 이때 이득의 갱신주기가 20샘플, 2.5msec로 선택되면, 도 24에 나타낸 것같이 1피치의 주기 중에서 변동하게 되고, 클릭잡음이 생기는 원인으로 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이득의 전환주기를 보다 길게, 예를 들면 1프레임분의 160샘플, 20msec로 하게 되고, 급격한 이득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역으로 스펙트럼 정형필터의 계수의 갱신주기가 160샘플, 20msec이면, 원활한 필터특성의 변화가 얻어지지 않고, 합성파형에 악영향이 생긴다. 그러나, 이 필터계수의 갱신주기를 20샘플, 2.5msec로 짧게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포스트필터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인접하는 프레임간에서의 이득의 연결처리는 이전 프레임의 필터계수 및 이득과 현 프레임의 필터계수 및 이득이 W(i) = I/120 (0≤i≤20), 페이드인, 페이드아웃에 대하여 1-W(i) (0≤i≤20)의 삼각 윈도잉에 의해 곱해지고, 결과 곱이 가산된다. 도 25에서는 전 프레임의 이득(G1)이 현 프레임의 이득(G2)에 합쳐지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전 프레임의 이득, 필터계수를 사용하는 비율이 서서히 감소하고, 현 프레임의 이득, 필터계수의 사용이 서서히 증대한다. 또한, 도 25의 시각(T)에 있어서의 전 프레임에 대한 현 프레임의 필터의 내부상태가 동일상태, 즉 전 프레임의 최종상태에서 시작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은 신호부호 및 신호복호화장치는 예를 들면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것과 같은 휴대통신단말기 혹은 휴대전화기 등에 사용되는 음성코드북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26는 상기 도 1,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음성부호화부(160)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의 송신측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마이크로폰(161)에서 집음된 음성신호는 증폭기(162)에서 증폭되고, A/D(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63)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서, 도 1,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음성부호화부(160)에 보내진다. 입력단자(101)에 상기 A/D변환기(163)에서의 디지털신호가 입력된다.
음성부호화부(160)에서는 상기 도 1, 도 3과 함께 설명한 것과 같은 부호화처리가 행해진다. 도 1, 도 2의 각 출력단자에서의 출력신호는 음성부호화부(160)의 출력신호로서 전송로 부호화부(164)에 보내지고, 공급된 신호에 채널부호화를 실행한다. 전송로 부호화부(164)의 출력신호는 변조를 위하여 변조회로(165)에 보내지고, D/A(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166), RF증폭기(167)를 거쳐서 안테나(168)에 보내진다.
도 27은 상기 도 2,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음성복호화부(260)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수신측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27의 안테나(261)에서 수신된 음성신호는 RF증폭기(262)에서 증폭되고, A/D(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63)를 거쳐서 복조회로(264)에 보내지고, 복조신호가 전송로 복호화부(265)에 보내진다. 복호부(265)의 출력신호는 상기 도2,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음성복호화부(260)에 보내진다. 음성복호화부(260)는 상기 도2, 도 4와 함께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신호를 복호화 한다. 도 2, 도 4의 출력단자(201)에서의 출력신호가 음성복호화부(260)에서의 신호로서 D/A(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66)에 보내진다. 이 D/A변환기(266)에서의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스피커(268)에 보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도 1, 도 3의 음성분석측(부호화 측)의 구성이나, 도 2, 도 4의 음성합성측(복호화 측)의 구성에 대하여는 각부를 하드웨어적으로 기재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DSP(디지털신호 프로세서) 등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복호화 측에서의 합성필터(236, 237) 또는 포스트필터(238v, 238u)는 유성음 또는 무성음으로 분리되지 않고 오직 LPC합성필터 또는 포스트필터에 의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전송이나 기록재생에 한정되지 않고, 피치변환이나 스피드변환, 규칙음성합성, 혹은 잡음억압과 같은 여러 가지의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변차원의 입력벡터를 벡터양자화 할 때에, 코드북에서 독출된 고정차원의 코드벡터를 원래의 입력벡터의 차원과 동일가변차원으로 변환하고, 이 고정/가변차원 변환된 가변차원의 코드벡터에 대하여 원래의 입력벡터와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최적의 코드벡터를 코드북에서 선택하고 있기 때문에, 최적의 코드벡터를 코드북에서 선택하는 코드북검색의 때에는 원래의 가변차원의 입력벡터와의 사이의 오차 혹은 왜곡이 계산되고, 양자화벡터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코드북을 형상코드북과 이득코드북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적어도 이득코드북에서의 이득의 최적화를 가변차원의 형상벡터와 입력벡터에 의거하여 행하도록 하는 것을 든다. 이 경우 또한 원래의 가변차원의 입력벡터를 형상코드북의 고정차원으로 변환하고, 이 가변/고정차원 변환된 고정차원의 입력벡터와 형상코드북에 축적된 코드벡터와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단수 혹은 복수의 코드벡터를 형상코드북에서 선택하고, 형상코드북에서 독출되어 고정/가변차원 변환된 가변차원의 코드벡터와 입력벡터에 의거하여 고정/가변차원 변환된 코드벡터에 대한 최적이득을 선택하는 것을 든다.
이와 같이 이득을 고정/가변차원 변환된 가변차원의 코드벡터에 대하여 적용함으로써 고정차원코드벡터를 이득배한 것을 고정/가변차원 변환하는 경우에 비해서 고정/가변차원변환에 의한 왜곡의 영향을 적게 억누를 수 있다.
또, 원래의 가변차원의 입력벡터를 코드북의 고정차원으로 변환하고, 이 가변/고정차원 변환된 고정차원의 입력벡터와 코드북에 축적된 코드벡터와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복수의 코드벡터를 형상코드북에 의해 일시적으로 선택하고, 이 일시적으로 선택된 코드벡터에 대하여 고정/가변차원변환을 행하여 가변차원에서 최적의 코드벡터를 선택하는 것을 든다.
이 경우, 일시적 선택에서의 탐색을 간략화 함으로써, 코드북검색에 요하는 처리량을 저감할 수도 있고, 또 가변차원에서 최종 선택함으로써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벡터양자화를 음성부호화에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입력음성신호 또는 입력음성신호의 단기예측나머지를 사인파분석하여 조파 스펙트럼을 구하고, 부호화단위마다의 상기 조파 스펙트럼에 의거하는 파라미터를 입력벡터로서 벡터양자화하는 때에 적용할 수 있고, 정밀도가 높은 코드북탐색에 의한 음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입력 음성신호가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의해서 시간축에서 분할되고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의해서 부호화되는 음성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입력 음성신호의 단기 예측 나머지들을 구하는 단계와,
    사인파분석 부호화에 의해 그와 같이 구해진 단기 예측 나머지들을 부호화하는 단계와, 그리고
    파형 부호화로 입력 음성신호를 부호화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개선된 점은
    청각 가중 벡터양자화나 매트릭스 양자화가 단기 예측 나머지들의 사인파 분석 부호화 파라미터들에 적용되고, 그리고
    청각 가중 벡터양자화나 매트릭스 양자화 시에, 가중값이 가중의 전달함수의 임펄스 응답에서 유도되는 파라미터들의 직교변환의 결과에 근거해서 계산되는 것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방법.
  2. 입력 오디오신호가 주파수 범위로 변환된 입력 오디오신호에 해당하는 신호에서 유도되는 파라미터들로 표현되는 오디오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개선된 점은
    상기 파라미터들에 대한 가중 벡터양자화에 대해서, 가중값이 가중의 전달함수의 임펄스 응답에서 유도되는 파라미터들의 직교변환의 결과에 근거해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변환은 고속 푸리에변환이며,
    만약 고속 푸리에변환에 대해 얻어진 계수의 실수부와 허수부가 각각 re와 im으로 표시된다면, 보간될 때, (re, im) 자체, re2+im2또는 (re2+im2)1/2가 상기 가중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
  4. 입력 음성신호가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의해서 시간축에서 분할되고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의해서 부호화되는 음성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입력 음성신호의 단기 예측 나머지들을 구하기 위한 예측 부호화 수단과,
    사인파 분석 부호화를 단기 예측 나머지들에 적용하기 위한 사인파분석 부호화 수단과, 그리고
    파형 부호화를 상기 입력 음성신호에 적용하기 위한 파형 부호화 수단으로 구성되며,
    개선된 점은
    상기 사인파분석 부호화 수단이 상기 단기 예측 나머지들의 사인파분석 부호화 파라미터들을 양자화하기 위해 청각 가중 벡터양자화나 매트릭스 양자화를 이용하고,
    가중값은 가중의 전달함수의 임펄스 응답에서 유도되는 파라미터들의 직교변환의 결과에 근거해서 청각 가중 매트릭스 양자화나 벡터양자화할 때에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부호화 장치.
  5. 입력 오디오신호가 주파수 범위로 변환된 입력 오디오신호에 해당하는 신호에서 유도되는 파라미터들로 표현되는 오디오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의 가중 벡터양자화에 대해서, 가중값이 가중의 전달함수의 임펄스 응답에서 유도되는 파라미터들의 직교변환의 결과에 근거해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변환이 고속 푸리에변환이고,
    만약 고속 푸리에변환에 대해 얻어진 계수의 실수부와 허수부가 각각 re와 im으로 표시된다면, 보간될 때, (re, im) 자체, re2+im2또는 (re2+im2)1/2가 상기 가중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한 방법.
KR1019970053788A 1996-10-23 1997-10-20 음성 부호화 방법 및 장치와 오디오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99800329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81111 1996-10-23
JP8281111A JPH10124092A (ja) 1996-10-23 1996-10-23 音声符号化方法及び装置、並びに可聴信号符号化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983A true KR19980032983A (ko) 1998-07-25

Family

ID=1763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788A KR19980032983A (ko) 1996-10-23 1997-10-20 음성 부호화 방법 및 장치와 오디오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32443B1 (ko)
EP (1) EP0841656B1 (ko)
JP (1) JPH10124092A (ko)
KR (1) KR19980032983A (ko)
CN (1) CN1160703C (ko)
DE (1) DE69729527T2 (ko)
TW (1) TW3802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4350B2 (ja) * 2000-03-06 2003-05-06 パナソニック 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音声符号化パラメータ取得方法、音声復号方法及び装置
EP2040253B1 (en) 2000-04-24 2012-04-11 Qualcomm Incorporated Predictive dequantization of voiced speech
JP4538705B2 (ja) * 2000-08-02 2010-09-0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処理方法、学習方法及びそれらの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20060025991A1 (en) * 2004-07-23 2006-02-02 Lg Electronics Inc. Voice cod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PLP i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EP1805891B1 (en) 2004-10-26 2012-05-16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Calculating and adjusting the perceived loudness and/or the perceived spectral balance of an audio signal
TWI397901B (zh) * 2004-12-21 2013-06-01 Dolby Lab Licensing Corp 控制音訊信號比響度特性之方法及其相關裝置與電腦程式
US7587441B2 (en) * 2005-06-29 2009-09-08 L-3 Communications Integrated Systems L.P. Systems and methods for weighted overlap and add processing
US7953595B2 (en) 2006-10-18 2011-05-31 Polycom, Inc. Dual-transform coding of audio signals
US7966175B2 (en) * 2006-10-18 2011-06-21 Polycom, Inc. Fast lattice vector quantization
KR100788706B1 (ko) * 2006-11-28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음성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EP2144231A1 (en) 2008-07-11 2010-01-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Low bitrate audio encoding/decoding scheme with common preprocessing
JP5525540B2 (ja) * 2009-10-30 2014-06-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符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
CN101968960B (zh) * 2010-09-19 2012-07-25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faac及faad2的多路音频实时编解码硬件设计平台
CN101968961B (zh) * 2010-09-19 2012-03-21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faac lc模式的多路音频实时编码软件设计方法
KR101747917B1 (ko) 2010-10-18 201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형 예측 계수를 양자화하기 위한 저복잡도를 가지는 가중치 함수 결정 장치 및 방법
SG192734A1 (en) 2011-02-14 2013-09-30 Fraunhofer Ges Forschung Apparatus and method for error concealment in low-delay unified speech and audio coding (usac)
SG185519A1 (en) 2011-02-14 2012-12-28 Fraunhofer Ges Forschung Information signal representation using lapped transform
EP2676264B1 (en) * 2011-02-14 2015-01-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 encoder estimating background noise during active phases
BR112013020482B1 (pt) 2011-02-14 2021-02-23 Fraunhofer Ges Forschung aparelho e método para processar um sinal de áudio decodificado em um domínio espectral
JP5800915B2 (ja) 2011-02-14 2015-10-28 フラウンホッ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 ツァ フェルダールング デァ アンゲヴァンテン フォアシュンク エー.ファオ オーディオ信号のトラックのパルス位置の符号化および復号化
MY159444A (en) 2011-02-14 2017-01-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 V Encoding and decoding of pulse positions of tracks of an audio signal
ES2623291T3 (es) 2011-02-14 2017-07-1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Codificación de una porción de una señal de audio utilizando una detección de transitorios y un resultado de calidad
MY160265A (en) 2011-02-14 2017-02-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 V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an Audio Signal Using an Aligned Look-Ahead Portion
US9252730B2 (en) * 2011-07-19 2016-02-02 Mediatek Inc. Audio processing device and audio systems using the same
FR3049084B1 (fr) * 2016-03-15 2022-11-11 Fraunhofer Ges Forschung Dispositif de codage pour le traitement d'un signal d'entree et dispositif de decodage pour le traitement d'un signal cod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7517A (en) 1985-12-26 1989-05-02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Digital speech processor using arbitrary excitation coding
US5420887A (en) 1992-03-26 1995-05-30 Pacific Communication Sciences Programmable digital modulator and methods of modulating digital data
CA2105269C (en) 1992-10-09 1998-08-25 Yair Shoham Time-frequency interpolation with application to low rate speech coding
US5781880A (en) * 1994-11-21 1998-07-14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Pitch lag estimation using frequency-domain lowpass filtering of the linear predictive coding (LPC) residual
JP3707116B2 (ja) 1995-10-26 2005-10-19 ソニー株式会社 音声復号化方法及び装置
JP4005154B2 (ja) * 1995-10-26 2007-11-07 ソニー株式会社 音声復号化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1656B1 (en) 2004-06-16
CN1160703C (zh) 2004-08-04
CN1193158A (zh) 1998-09-16
EP0841656A3 (en) 1999-01-13
DE69729527T2 (de) 2005-06-23
DE69729527D1 (de) 2004-07-22
US6532443B1 (en) 2003-03-11
JPH10124092A (ja) 1998-05-15
EP0841656A2 (en) 1998-05-13
TW380246B (en) 200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64578B1 (en) Speech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487136B1 (ko) 음성복호화방법및장치
KR100535366B1 (ko) 음성신호부호화방법및장치
KR100543982B1 (ko) 벡터양자화방법,음성부호화방법및장치
EP0770989B1 (en) Speech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EP0772186B1 (en) Speech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EP08416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ch signal encoding
JPH10214100A (ja) 音声合成方法
JP3675054B2 (ja) ベクトル量子化方法、音声符号化方法及び装置、並びに音声復号化方法
AU7201300A (en) Speech encoding method
JPH09127997A (ja) 音声符号化方法及び装置
JPH09127993A (ja) 音声符号化方法及び音声符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