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910U - 안경다리가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안경테사이의 거리가 조정되는 안경테 - Google Patents

안경다리가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안경테사이의 거리가 조정되는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910U
KR19980031910U KR2019960045207U KR19960045207U KR19980031910U KR 19980031910 U KR19980031910 U KR 19980031910U KR 2019960045207 U KR2019960045207 U KR 2019960045207U KR 19960045207 U KR19960045207 U KR 19960045207U KR 19980031910 U KR19980031910 U KR 199800319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eyeglass
adjusted
no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52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학근
Original Assignee
변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학근 filed Critical 변학근
Priority to KR20199600452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910U/ko
Publication of KR199800319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910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4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with adjustable means
    • G02C5/045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with adjustable means for varying the horizontal distance of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8Pince-nez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4Coil spring pulled upon actu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다리가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안경테사이의 거리가 조정되는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6)의 가장 압축되는 상태까지 양측의 안경테(100) 사이의 거리가 벌어지며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다시 원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코의 크기와 모양에 구애됨이 없고 또한 땀이나 분비물이 생성되어도 문제없이 탄력있게 콧등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안경이 쉽사리 미끄러져 내려오지 않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안경다리가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안경테사이의 거리가 조정되는 안경테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안경테가 서로 최대로 멀어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돌출부2. 걸림턱
3. 연결쇠4. 고리
5. 나사6. 스프링
100. 안경테101. 콧등협지물
본 고안은 안경다리가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안경테사이의 거리가 조정되는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안경다리가 없이 사용이 가능한 안경테는 기 출현된 바 있으나 이는 어느 누구에게나 적합하게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안경테(100) 사이의 거리는 고정되어 있고 두 개의 안경테사이에 콧등협지물(101)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콧등협지물(101)이 콧등을 협지하여 주는 힘이 미미해서 땀 또는 분비물(기름)이 모공을 통해 분출되면 콧등협지물(101)이 미끄러지고 따라서 안경이 콧등으로 부터 쉽게 이탈되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안경테사이의 거리가 조정되지 못하여 크기와 모양이 다양한 인간들의 콧등에 항시 적합하게 사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안경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키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안경테(100)의 윗쪽 중앙으로는 끝에 걸림턱(2)이 돌출된 돌출부(1)를 대칭되게 형성시키고 끝에 고리(4)를 가지는 연결쇠(3)를 상하로 위치케 하여 각 돌출부(1) 윗면에 나사(5)로 고정시키되 아래쪽의 연결쇠(3)에는 스프링(6)을 탄지시키고 각 연결쇠(3)는 각각의 고리(4) 속으로 삽입되도록 하여서, 스프링(6)이 가장 압축되는 상태까지 양측의 안경테(100) 사이의 거리가 벌어지며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다시 원위치될 수 있도록 함이 특징인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안경테사이의 거리가 자유롭게 조정됨으로서 양측의 콧등협지물이 콧등사이를 비교적 강하게 협지하여 주기 때문에 코의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여도 탄력있게 거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땀이 나거나 분비물이 콧등을 적시더라도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콧등협지물이 콧등의 살을 협지하여 주기 때문에 쉽사리 안경이 미끄러져 내려오지 않아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안경테(100)의 윗쪽 중앙으로는 끝에 걸림턱(2)이 돌출된 돌출부(1)를 대칭되게 형성시키고 끝에 고리(4)를 가지는 연결쇠(3)를 상하로 위치케 하여 각 돌출부(1) 윗면에 나사(5)로 고정시키되 아래쪽의 연결쇠(3)에는 스프링(6)을 탄지시키고 각 연결쇠(3)는 각각의 고리(4) 속으로 삽입되도록 하여서, 스프링(6)이 가장 압축되는 상태까지 양측의 안경테(100) 사이의 거리가 벌어지며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다시 원위치될 수 있도록 함이 특징인 안경다리가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안경테사이의 거리가 조정되는 안경테.
KR2019960045207U 1996-11-29 1996-11-29 안경다리가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안경테사이의 거리가 조정되는 안경테 KR199800319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207U KR19980031910U (ko) 1996-11-29 1996-11-29 안경다리가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안경테사이의 거리가 조정되는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207U KR19980031910U (ko) 1996-11-29 1996-11-29 안경다리가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안경테사이의 거리가 조정되는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910U true KR19980031910U (ko) 1998-08-17

Family

ID=5398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5207U KR19980031910U (ko) 1996-11-29 1996-11-29 안경다리가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안경테사이의 거리가 조정되는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91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7994A1 (en) * 2013-10-16 2015-04-23 Kaji Masamune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headsets having adjustable interpupillary distanc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7994A1 (en) * 2013-10-16 2015-04-23 Kaji Masamune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headsets having adjustable interpupillary distance
CN105829953A (zh) * 2013-10-16 2016-08-03 奇跃公司 具有可调节的瞳距的虚拟或增强现实头戴设备
US9470906B2 (en) 2013-10-16 2016-10-18 Magic Leap, Inc.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headsets having adjustable interpupillary distance
US10073272B2 (en) 2013-10-16 2018-09-11 Magic Leap, Inc.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headsets having adjustable interpupillary distance
CN105829953B (zh) * 2013-10-16 2019-05-28 奇跃公司 具有可调节的瞳距的虚拟或增强现实头戴设备
US10649219B2 (en) 2013-10-16 2020-05-12 Magic Leap, Inc.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headsets having adjustable interpupillary distance
US11487123B2 (en) 2013-10-16 2022-11-01 Magic Leap, Inc.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headsets having adjustable interpupillary distance
US11714288B2 (en) 2013-10-16 2023-08-01 Magic Leap, Inc.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headsets having adjustable interpupillary dist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6349A (en) Temples-less eyeglass frame
US4152051A (en) Eyeglasses
US3394980A (en) Spectacles with adjustable length temples
US6224209B1 (en) Eyeglasses frame allowing replacement of lenses
US2280666A (en) Frame for spectacles
JPH1138369A (ja) 眼鏡装着用マスク紐掛け手段
US5583586A (en) Mounting supports for eyeglass frames
US5120119A (en) Spectacles having head retainers
KR19980031910U (ko) 안경다리가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안경테사이의 거리가 조정되는 안경테
CA2321318A1 (en) Eyeglass frame with magnetic hinges
JP2001201721A (ja) 眼鏡枠
EP1299765A1 (en) Eyewear
US5956118A (en) Eyeglasses with flexible attachment lace
JP2759561B2 (ja) メガネのための改良されたイヤステム
KR200174265Y1 (ko) 눈꺼풀 받침형 안경
KR20100131090A (ko) 이중 힌지부와 길이조절부를 갖는 브릿지 분할형 안경
WO2017206712A1 (zh) 眼镜
KR840001590Y1 (ko)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틀
US2117383A (en) Ophthalmic mounting
JP2003107414A (ja) 眼鏡装着補助具および該補助具を備える眼鏡フレーム
CN211478788U (zh) 一种挤压式镜腿与镜框连接结构
KR0117247Y1 (ko) 코걸이 높이 조절핀이 결합된 안경테
KR20000024274A (ko) 안경테
JP2002055314A (ja) ずり落ち防止眼鏡フレームの製造法
KR200184182Y1 (ko) 선글라스렌즈 착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