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780A -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of car air cleaner - Google Patents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of car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780A
KR19980031780A KR1019960051342A KR19960051342A KR19980031780A KR 19980031780 A KR19980031780 A KR 19980031780A KR 1019960051342 A KR1019960051342 A KR 1019960051342A KR 19960051342 A KR19960051342 A KR 19960051342A KR 19980031780 A KR19980031780 A KR 19980031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take noise
resonator
air clean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3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물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51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780A/en
Publication of KR19980031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780A/en

Links

Landscapes

  •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vacu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주행중 에어 클리너로 유입됨과 동시에 정화되어 엔진의 흡기 다기관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소음을 감소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ducing the noise of air flowing into an air cleaner while driving a vehicle and purged at the same time to be supplied to the intake manifold of the engine.

본 발명의 구성은 리조네이터의 공명 통로 내부에 차량 속도에 따라 상하 동작되는 피스톤을 설치하여서 공명 통로의 길이및 용적을 변화시켜흡기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intake noise by changing the length and volume of the resonance passage by installing a piston that is operat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vehicle speed in the resonance passage of the resonator.

Description

자동차 에어 클리너의 흡기 소음 감소 장치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of car air cleane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중 에어 클리너로 유입됨과 동시에 정화되어 엔진의 흡기 다기관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소음을 감소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 클리너의 에어 아웃렛 덕트에 연결 설치되는 리조네이터의 공명 통로 내부에 피스톤을 수직상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이 피스톤을 엔진 회전수에 따라 상하 동작시켜 리조네이터의 공명 통로 길이 및 용적이 변화되게 하여서, 차량 속도에 따라 에어 인렛 덕트를 통해 에어 클리너에 유입됨과 동시에 정화되어 흡기 다기관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에어 클리너의 흡기 소음 감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ducing noise of air supplied to an air cleaner while being driven into a vehicle and being supplied to an intake manifold of an engine. The piston is installed vertically at the same time, and the piston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engine speed so that the resonance passage length and volume of the resonator can be chang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for an automobile air cleaner that can effectively reduce noise of air supplied to an intake manifold.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기 흡입 계통은 에어 클리너로 들어온 공기가 공기 유량 감지기의 베인을 밀어서 열고 들어와 흡입공기량이 결정되면 드로틀 보디의 열림 정도에 따라 서지 탱크로 들어간다. 드로틀 보디와 공기 유량 감지기에는 공기의 바이패스 통로가 있고, 각 통로에는 통로의 면적을 바꾸어 바이패스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정 스크루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드로틀 밸브가 완전히 닫힌 공전 운전시에도 적은 양의 공기를 공급해 준다. 공기 유입량은 드로틀 밸브의 열림 정도에 따라서 조절되며, 엔진이 공회전할 때에는 드로틀 밸브의 열림은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조절되는 공전 속도 조절기에 의해 조절되는 방식도 있으며, 공전 속도 조절기는 엔진의 감속시 및 워밍업시에도 드로틀 밸브의 열림을 조절해 준다. 즉, 엔진이 차가울 때에는 공전 속도 조절기가 드로틀 밸브의 열림량을 크게 해주고, 엔진이 일정 온도 이상되면 드로틀 밸브를 닫아 엔진의 회전속도를 낮추어 주는 패스트 아이들의 역할을 해준다.In general, the air intake system of a car enters the surge tank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throttle body when the air entering the air cleaner pushes open the vane of the air flow sensor and enters it. The throttle body and the air flow detector have a bypass passage for air, and each passage is provided with an adjusting screw for adjusting the bypass air amount by changing the area of the passage. Thus, a small amount of air is supplied even during idle operation when the throttle valve is completely closed. The air flow rat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throttle valve, and when the engine is idling, the opening of the throttle valve is also controlled by an idle speed regulator controlled b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t controls the opening of the throttle valve even when warming up. In other words, when the engine is cold, the idle speed regulator increases the amount of opening of the throttle valve, and when the engine is above a certain temperature, the idle speed controller acts as a fast idle to lower the engine rotation speed by closing the throttle valve.

다시 설명하면 공기 흡입 계통은 에어 클리너, 공기 유량 감지기, 드로틀 보디, 서지 탱크, 흡기 다기관, 각 실린더 순으로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air intake system consists of an air cleaner, air flow detector, throttle body, surge tank, intake manifold, and each cylinder.

그리고 도 1 에서와 같이 에어 클리너(1)에는 에어 인렛 덕트(6)와 에어 아웃렛 덕트(4)가 각각 설치되며, 이 에어 아웃렛 덕트(4)로는 리조네이터(2)가 설치된다.1, an air inlet duct 6 and an air outlet duct 4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air cleaner 1, and a resonator 2 is installed in the air outlet duct 4.

상기 에어 클리너(1)는 에어 인렛 덕트(6)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정화함과 동시에 에어 아웃렛 덕트(4)를 통해 흡기 다기관으로 정화된 공기를 보내주는 것으로, 상기 에어 아웃렛 덕트(4)의 리조네이터(2)는 흡기소음이 전파될 때 공진 하여 실제의 흡기 소음과 상호 간섭파를 일으켜서 흡기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이다.The air cleaner 1 purifies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duct 6 and sends purified air to the intake manifold through the air outlet duct 4. The air outlet duct 4 Resonator (2) is to reduce the intake noise by resonating when the intake noise is propagated, causing the actual intake noise and mutual interference wave.

종래 리조네이터(160)는 도 3 에서와 같이 에어 인렛 덕트(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에어 클리너(100)에서 정화된 후 에어 아웃렛 덕트(140)를 통해 흡기 다기관으로 공급될시 흡기 소음을 저감시키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리조네이터(160)는 공명 통로의 길이나 용적을 변화시킬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엔진 회전수 변화에 따른 대응을 할 수 없어 흡기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없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As shown in FIG. 3, the conventional resonator 160 absorbs intake noise when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let duct 120 is purified by the air cleaner 100 and then supplied to the intake manifold through the air outlet duct 140. Although the conventional resonator 160 has a structure that cannot change the length and volume of the resonance passage, it cannot cope with a change in the engine speed and thus cannot effectively reduce the intake noise. It was supposed to be.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흡기 소음은 엔진 회전수에 따라 변화되는 주파수 성분을 갖으므로 엔진 회전수 변화에 따라 공명 통로의 길이 및 용적을 변화시킬 수 없는 종래의 리조네이터(160)는 효과적으로 흡기소음을 저감시킬 수 없게 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since the intake noise has a frequency component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engine speed, the conventional resonator 160 that cannot change the length and volume of the resonance passage according to the engine speed change effectively reduces the intake noise. It can't be do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에어 클리너의 에어 아웃렛 덕트에 연결 설치되는 리조네이터의 공명 통로 내부에 피스톤을 수직상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이 피스톤을 엔진 회전수에 따라 상하 동작시켜 리조네이터의 공명 통로 길이 및 용적이 변화되게 하여서, 차량 속도에 따라 에어 인렛 덕트를 통해 에어 클리너에 유입됨과 동시에 정화되어 흡기 다기관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에어 클리너의 흡기 소음 감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vertically install the piston in the resonance passage of the resonator connected to the air outlet duct of the air cleaner, and simultaneously install the piston according to the engine speed. Resonator's resonator passage length and volume are changed up and down so that the air flows into the air cleaner through the air inlet duct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which is purged and effectively reduces the noise of the air supplied to the intake manifold. It is to provide a cleaner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리조네이터의 공명 통로 내부에 차량 속도에 따라 상하 동작되는 피스톤을 설치하여서 공명 통로의 길이및 용적을 변화시켜흡기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 클리너의 흡기 소음 감소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 air cleaner to reduce the intake noise by changing the length and volume of the resonance passage by installing a piston that is operat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vehicle speed in the resonance passage of the resonato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By providing an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도 1 은 일반적인 에어 클리너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air cleaner,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체 구성도,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종래 장치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apparatu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에어 클리너 (12) : 에어 인렛 덕트10: air cleaner 12: air inlet duct

(14) : 에어 아웃렛 덕트14: air outlet duct

(16) : 리조네이터 (20) : 스텝 모터(16): Resonator 20: Step Motor

(22) : 축 (24) : 풀리22: axis 24: pulley

(26) : 텐션 스프링 (28) : 돌기(26): tension spring 28: protrusion

(30) : 로드 (32) : 피스톤30: rod 32: piston

(34) : 컨버터 (36) : 신호 처리기(34): Converter 36: signal processor

(38) : 차속 센서38: vehicle speed sensor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Nex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에어 클리너의 흡기 소음 감소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자동차 에어 클리너의 흡기 소음 감소 장치는 에어 인렛 덕트(1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에어 클리너(10)와, 이 에어 클리너(10)에서 정화된 공기를 흡기 다기관으로 보내주는 에어 아웃렛(14)과, 이 에어 아웃렛(14)에 연결 설치되는 흡기 소음을 저감시키는 리조네이터(16)로 구성된다.2 shows an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of an automobil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of an automobile air cleaner includes an air cleaner 10 for purifying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duct 12. ), An air outlet 14 for sending the air purified by the air cleaner 10 to the intake manifold, and a resonator 16 for reducing the intake noise connected to the air outlet 14.

상기 리조네이터(16)에는 차량 속도에 따라 상하 동작되는 피스톤(32)이 설치되고, 이 피스톤(32)은 스텝 모터(20)의 축(22)에 축설되는 풀리(24)에 일단부가 굴신되면서 감합되는 로드(30)의 선단부에 연결 설치된다.The resonator 16 is provided with a piston 32 which is ver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and one end portion of the piston 32 is bent by a pulley 24 formed on the shaft 22 of the stepper motor 20. It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rod 30 is fitted.

상기 풀리(24)는 스텝 모터(20)에 일체로 설치되는 돌기(28) 및 이 풀리(24)에 일체로 설치되는 돌기(28)에 설치되는 텐션 스프링(26)에 의해 동작시 탄력을 지니게 된다.The pulley 24 is elastic in operation by the projection 28 integrally installed on the step motor 20 and the tension spring 26 installed on the projection 28 integrally installed on the pulley 24. do.

상기 스텝 모터(20)는 차속 센서(38)의 센싱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신호 처리기(36) 및 이 신호 처리기(36)의 주파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컨버터(34)에 의해 동작된다.The step motor 20 is operated by a signal processor 36 which receives the sensing signal of the vehicle speed sensor 38 to generate a frequency and a converter 34 which converts the frequency of the signal processor 36 into a voltage.

상기 스텝 모터(20)는 차속 센서(38)의 센싱 신호 및 이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신호 처리기(36) 그리고 신호 처리기(36)의 주파수를 전압을 변환시키는 컨버터(34)에서 나오는 전압으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The step motor 20 receives the sensing signal of the vehicle speed sensor 38 and the signal from the signal processor 36 for generating the frequency and the converter 34 for converting the voltage of the signal processor 36 to generate a frequency. Will work.

상기 리조네이터(16)는 동일 지름의 원형 통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피스톤(32)이 구비되며, 이 피스톤(32)은 스텝 모터(20)의 동작으로 길이 및 용적이 변화되는 것이다.The resonator 16 is formed of a circular passage of the same diameter, the piston 32 is provided inside, the piston 32 is a length and volume is changed by the operation of the step motor 20.

상기 차속 센서(38)의 파형 신호는 신호 처리기(36)에서 조절함과 동시에 이 신호 처리기(36)가 주파수를 발생시키고, 이어서 발생된 주파수에 따라 컨버터(34)가 적절한 전압으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텝 모터(20)에 전압을 송출하여 동작시키는 것이다.The waveform signal of the vehicle speed sensor 38 is adjusted by the signal processor 36 and the signal processor 36 generates a frequency, and then the converter 34 converts the signal into an appropriate voltage according to the generated frequency. The voltage is sent to the stepper motor 20 and operated.

상기 컨버터(34)는 차량 속도가 저속 영역일 경우 전압이 적게 발생되어 피스톤(32)을 적게 움직이게 하여 리조네이터(16)의 공명 통로를 길게 형성시키고, 고속 영역일 경우에는 전압이 크게 발생되어 피스톤(32)을 많이 움직이게 하여 리조네이터(16)의 공명 통로를 짧게 형성되게 하여서 각 구간에 따라 적절하게 흡기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converter 34 generates less resonance when the vehicle speed is in a low speed region, thereby making the piston 32 move less so that the resonance passage of the resonator 16 is formed longer, and in the high speed region, the voltage is largely generated. By moving the 32 a lot, the resonance passage of the resonator 16 is formed short, so that the intake noise can be appropriately reduced according to each section.

다시 설명하면 에어 인렛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에어 클리너에서 정화한 후 에어 아웃렛 덕트를 통해 흡기 다기관으로 공급될 시 전파되는 흡기 소음을 저감시키는 리조네이터에 있어서, 상기 리조네이터(16)의 공명 통로 내부에 차량 속도에 따라 상하 동작되는 피스톤(32)을 설치하여서 공명 통로의 길이 및 용적을 변화시켜 흡기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상기 피스톤(32)은 차속 센서(38)의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처리기(36)가 차량 속도에 따른 주파수를 컨버터(34)에 보냄과 동시에 이 컨버터(34)가 주파수에 따른 전압을 발생시켜 스텝 모터(20)에 전원을 인가하며, 이 스텝 모터(20)의 작동과 동시에 축(22)의 풀리(24)에 일단부가 권취되는 로드(30)의 동작으로 상하 동작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resonator for purifying the outsid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let duct in the air cleaner and then reducing the intake noise propagated when supplied to the intake manifold through the air outlet duct, the resonator 16 of the By installing a piston 32 that is operat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vehicle speed in the resonance passage to reduce the intake noise by changing the length and volume of the resonance passage, the piston 32 receives a signal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38 The signal processor 36 sends a frequency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to the converter 34 and the converter 34 generates a voltage according to the frequency to supply power to the stepper motor 20, and this step motor 20 Simultaneously with the operation of the pulley 24 of the shaft 22, one end is woun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rod 30 is wound.

그러면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Nex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본 발명에 따른 리조네이터(16)의 길이 및 용적은 차량 속도에 따른 피스톤(32)의 동작 거리에 의해 가변 되는 것으로, 엔진 회전수에 따라 공명 통로의 길이가 변화되어 전구간에서 흡기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차량 속도가 저속 영역일 경우 전압이 적게 발생되어 피스톤(32)을 적게 움직이게 하여 리조네이터(16)의 공명 통로를 길게 형성시키고, 고속 영역일 경우에는 전압이 크게 발생되어 피스톤(32)을 많이 움직이게 하여 리조네이터(16)의 공명 통로를 짧게 형성되게 하여서 각 구간에 따라 적절하게 흡기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length and volume of the resonator 1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varied by the operating distance of the piston 32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and the length of the resonance passag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engine speed to effectively reduce the intake noise in all the sections. When the vehicle speed is a low speed region, less voltage is generated to make the piston 32 move less so that the resonance passage of the resonator 16 is formed longer, and in the high speed region, a large voltage is generated so that the piston ( 32) by moving a lot of the resonator passage of the resonator 16 is formed to be short, so that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reduce the intake noise according to each section.

따라서, 흡기 소음을 차량 속도에 따라 적절하게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광범위한 영역에서 흡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intake noise can be appropriately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vehicle speed, and the intake noise can be reduced in a wide range.

Claims (2)

에어 인렛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에어 클리너에서 정화한 후 에어 아웃렛 덕트를 통해 흡기 다기관으로 공급될 시 전파되는 흡기 소음을 저감시키는 리조네이터에 있어서;A resonator for purifying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an air inlet duct in an air cleaner and then reducing intake noise propagated when supplied to the intake manifold through the air outlet duct; 상기 리조네이터의 공명 통로 내부에 차량 속도에 따라 상하 동작되는 피스톤을 설치하여서 공명 통로의 길이및 용적을 변화시켜흡기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 클리너의 흡기 소음 감소 장치.An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for an automobile air cleaner, wherein a piston that is ver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a vehicle speed is installed inside the resonance passage of the resonator to reduce the intake noise by changing the length and volume of the resonance passag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피스톤(32)은 차속 센서(38)의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처리기(36)가 차량 속도에 따른 주파수를 컨버터(34)에 보냄과 동시에 이 컨버터(34)가 주파수에 따른 전압을 발생시켜 스텝 모터(20)에 전원을 인가하며, 이 스텝 모터(20)의 작동과 동시에 축(22)의 풀리(24)에 일단부가 권취되는 로드(30)의 동작으로 상하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 클리너의 흡기 소음 감소 장치.The piston 32 is a signal processor 36 receiving the signal of the vehicle speed sensor 38 sends a frequency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to the converter 34 and the converter 34 generates a voltage according to the frequency step Applying power to the motor 20, the vehicle 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operation by the operation of the rod 30, one end of which is wound on the pulley 24 of the shaft 22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of the step motor 20 Cleaner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KR1019960051342A 1996-10-31 1996-10-31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of car air cleaner KR199800317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342A KR19980031780A (en) 1996-10-31 1996-10-31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of car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342A KR19980031780A (en) 1996-10-31 1996-10-31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of car air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780A true KR19980031780A (en) 1998-07-25

Family

ID=6652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342A KR19980031780A (en) 1996-10-31 1996-10-31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of car ai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78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11336B1 (en) Reson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H0544503Y2 (en)
US5706790A (e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intake air flow of a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148782A (en) Airflow device
JPH05272421A (en) Air intake device for engine
KR19980031780A (en)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of car air cleaner
JPH0988568A (en) Exhaust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20074508A (en) Device for operating a turbocharger and a turbocharger
KR19980015206A (en) Air Duct Air Injection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 Suction Machine
KR100412680B1 (en) Back pressure controlling device of engine and method thereof
KR100213568B1 (en) Intake noises reduction structure
KR200197202Y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intake for automotive engines
JPH0231227B2 (en)
KR100200111B1 (en) Apparatus and its method for intake control in an internal combustion chamber
KR19980015134U (en) Variable Intake Manifold For Cars
KR970045200A (en) Suction Noise Reduction System in Intake Unit
CN114576051A (en) Single air inlet channel type air inlet adjusting structure
JPH09195896A (en) Intake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410744B1 (en) intercooler fan control system for diesel engine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KR100231334B1 (en) Variable intake system for automotive engines
KR19980016744A (en)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of car
KR960008026A (en) Variable Silencer for Intake Manifold of Automobile
JPH0237160A (en) Recirculation apparatus for exhaust gas of diesel engine
KR19990015167A (en) Engine Alphm interlocking type intake noise reduction device
KR20000016206A (en) Airflow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