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036U - 모니터에 있어서 b+ 과전류 보호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에 있어서 b+ 과전류 보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036U
KR19980030036U KR2019960043116U KR19960043116U KR19980030036U KR 19980030036 U KR19980030036 U KR 19980030036U KR 2019960043116 U KR2019960043116 U KR 2019960043116U KR 19960043116 U KR19960043116 U KR 19960043116U KR 19980030036 U KR19980030036 U KR 199800300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urned
overcurrent
transistor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윤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60043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0036U/ko
Publication of KR199800300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036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9Arrangements or assemblies in supply circuits for the purpose of withstanding high volta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3Rectifying Diode
    • H01L2924/12035Zener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B+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이를 검출하여 직류-직류 컨버터를 셧 다운(shutdown)시켜서 과전류에 의해 회로소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B+ 과전류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회로는 소정의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PWM제어기의 동작에 따라 스위칭소자를 스위칭하여 B+전압을 FBT로 출력하고, FBT의 3차권선에서 유기된 전압을 궤환입력받아 고압을 안정화시키도록 된 직류-직류 컨버터가 구비된 모니터에 있어서, B+ 선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압검출저항(R21)과, 상기 전압검출저항(R21)이 과전압을 검출하면 턴온되는 제1 트랜지스터(Q21); 상기 제1 트랜지스터(Q21)가 턴온되면 베이스에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21)가 도통되고, 이 제너다이오드(ZD21)가 도통되면 턴온되어 PWM 제어기(102)를 셧다운시키는 제2 트랜지스터(Q22)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B+ 과전류 보호회로는 B+선로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를 검출하여 직류-직류 컨버터의 동작을 일시 셧다운시키므로써 과전류에 의해 회로소자들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에 있어서 B+ 과전류 보호회로
본 고안은 모니터에 있어서 직류-직류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B+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이를 검출하여 직류-직류 컨버터를 셧 다운(shutdown)시켜서 과전류에 의해 회로소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B+ 과전류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의 전원계통은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정류한 후 트랜스포머를 통해 2차측으로 유도하여 회로에서 요구되는 각종 전원을 제공하는 주전원(SMPS)부와, 주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FBT에 B+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DC-DC 컨버터, 및 CRT에서 필요로 하는 고전압, 스크린전압, 제어그리드전압 등을 제공하는 고압발생기(FBT)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직류-직류 컨버터는 낮은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큰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승압형(이를 '부스트업 컨버터'라고도 한다)과, 높은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낮은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강압형 컨버터(이를 '벅 컨버터'라고도 한다), 및 트랜스를 이용한 플라이백 타입의 컨버터가 있다.
강압형 컨버터의 일예로서 모니터에서 B+ 전압을 발생하는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 입력전압(DCin)을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스위칭소자(Q1)와, 이 스위칭소자(Q1)를 통해 전류가 흐를 때 에너지를 축적하기 위한 인덕터(L1), 스위칭소자(Q1)가 오프될 경우에 온되어 인덕터(L1)에 대한 전류 통로를 제공하는 다이오드(D1), 반전버퍼(104), 상기 스위칭소자(Q1)를 온오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PWM제어기(102), 리플을 제거하기 위한 전해 커패시터(C1)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PWM 제어기(102)는 FBT(110)의 3차 코일에서 유도된 전압을 정류 다이오드(D2)와 커패시터(C2)에서 정류 및 평활화한 후 분할저항(R2,R3)을 통해 입력받고, 이 궤환입력에 따른 PWM펄스를 발생하여 반전버퍼를 구동하여 스위칭소자(Q1)를 온/오프하므로써 고압을 안정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강압형 컨버터의 동작을 도 2에 도시된 파형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A)는 스위칭소자(Q1)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PWM 제어신호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스위칭소자의 드레인과 소스 사이의 전압(VQ1)을 도시한 것이고, (C)는 다이오드(D1)의 양단간 전압(VD1)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D)는 인덕터(L1)에 흐르는 전류(IL)를 도시한 것이고, (E)는 스위칭소자(Q1)를 통해 흐르는 전류(IQ1)를 도시한 것이다.
제어신호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가 되면 반전버퍼(104)를 통해 스위칭소자(Q1)가 턴온되어 스위칭소자(Q1)의 드레인과 소스간 전압(VQ1)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0'으로 떨어지고, 스위칭소자(Q1)를 통해 흐르는 전류(IQ1)는 도 2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다이오드(D1)에는 역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되어 다이오드(D1)가 턴오프되고, 따라서 다이오드(D1) 양단간에는 도 2의 (C)와 같이 높은 전압이 인가되며, 인덕터(L1)에는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차(DCin-B+)가 인가되어 인덕터(L1)에 흐르는 전류(IL)가 스위칭소자의 턴온기간 동안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때 인덕터 전류의 증가율()은 인덕터(L1)에 인가되는 전압(VL)과 인덕턴스(L)에 의해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정해진다.
[수학식 1]
한편, 제어신호가 '로우'가 되어 스위칭소자(Q1)가 턴오프되면 스위칭소자(Q1)의 드레인과 소스간에는 전압(VQ1)이 나타나게 되고, 인덕터(L)에 역기전력이 발생하여 다이오드(D1)는 도통하게 되어 스위칭소자(Q1)를 통해 흐르던 전류가 다이오드(D1)를 통해 흐르게 된다. 이때 인덕터(L1)에 유기된 전압은 스위칭소자(Q1)가 온된 경우와 반대 방향이 되므로,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터(L)에 흐르는 전류가 점차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칭소자(Q1)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도 2의 (E)와 같이 '0'이 되게 된다.
이와 같은 강압형 컨버터에서 출력전압(Vo=B+)의 크기는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입력직류전압(Vi=DCin)의 크기와 스위칭소자의 턴온시간(Ton) 및 턴오프시간(Toff)에 의해 정해진다.
[수학식 2]
상기 수학식 2가 의미하는 바와 같이, 스위칭소자(Q1)의 턴온기간(Ton)이 길수록 출력전압(Vo)은 높아지게 되며, 게속 온되어 있을 경우 출력전압은 입력전압과 같아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직류-직류 컨버터에서 과도한 B+ 전류가 흐를 경우에 스위칭소자와 같은 회로소자들이 번아웃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B+ 선로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이를 검출하여 직류-직류 컨버터를 셧다운시키므로써 회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된 과전류 보호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회로는, 소정의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PWM제어기의 동작에 따라 스위칭소자를 스위칭하여 B+전압을 FBT로 출력하고, FBT의 3차권선에서 유기된 전압을 궤환입력받아 고압을 안정화시키도록 된 직류-직류 컨버터가 구비된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B+ 선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압검출저항과; 상기 전압검출저항이 과전압을 검출하면 턴온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Q21)가 턴온되면 베이스에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21)가 도통되고, 이 제너다이오드(ZD21)가 도통되면 턴온되어 상기 PWM 제어기(102)를 셧다운시키는 제2 트랜지스터(Q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모니터에 있어서 B+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직류-직류 컨버터를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도 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파형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과전류 보호회로가 적용된 직류-직류 컨버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직류-직류 컨버터102: PWM제어기
104: 반전버퍼110: 고압발생기(FBT)
120: 수평출력부200: 과전류 보호회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과전류 보호회로가 적용된 모니터의 전원공급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전류 보호회로(200)와, 과전류 보호회로가 과전류를 검출하면 셧다운되는 DC-DC 컨버터(100)와, 이 DC-DC 컨버터(100)가 제공하는 B+ 전압이 일차권선으로 연결되고 수평출력부(12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이차권선측에 고압을 유도함과 아울러 3차권선에 고압 레귤레이션을 위한 궤환전압을 유도하는 FBT(11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과전류 보호회로(200)는 B+ 선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압검출저항(R21)과, 이 전압검출저항(R21)이 과전압을 검출하면 턴온되는 제1 트랜지스터(Q21), 이 제1 트랜지스터(Q21)가 턴온되면 베이스에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21)가 도통되고, 이 제너다이오드(ZD21)가 도통되면 턴온되어 PWM 제어기(102)를 셧다운시키는 제2 트랜지스터(Q2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사용되는 PWM 제어기(102)는 예컨대, 3842칩으로서 구현될 수 있는데, 이 3842칩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에러 앰프(error amp), 전류 센스 비교기(current sense comparator), PWM 래치, 발진기, 저전압록아웃부(UVLO), 토템 폴 출력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DC-DC 컨버터(100)의 PWM 제어칩인 3842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① 번단자는 에러 앰프(error amp)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루프 보상 단자(loop compensation)이고, ②번 단자는 에러 앰프의 반전입력에 연결되는 전압궤환(Voltage Feedback)단자로서 통상 FBT(110)를 통해 궤환되는 전압을 분할저항(R2,R3)을 통해 입력받는다. ③번 단자는 전류 센스(current sense) 단자로서 컨버터의 인덕터(L1)에서 궤환되는 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이 연결되고, ④번 단자는 발진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저항과 커패시터가 연결되는 RT/CT단자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수평출력단(H.out)이 연결된다. ⑤번 단자는 접지 단자이고, ⑥번 단자는 스위칭소자(Q1)를 구동하기 위한 출력단자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반전버퍼(104)를 통해 스위칭소자(Q1)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⑦번 단자는 칩을 동작시키기 위한 Vcc전원단자이고, ⑧번 단자는 기준전압(VREF) 단자이다.
이러한 PWM 제어기는 궤환전압(VFB)에 따라 듀티비가 가변되는 스위칭 구동신호를 발생하는데, ①번단자에 소정 기준전압(예컨대, 1V) 이하가 걸리거나 ③번 단자에 소정 기준전압(예컨대, 1V) 이상이 인가되면 PWM 제어기(102)의 동작이 셧다운되고, 이에 따라 DC-DC 컨버터의 전체 동작이 중지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과전류가 발생될 경우에 이를 검출하면 PWM제어기(102)의 ①번 단자를 접지 레벨로 홀딩하여 PWM제어기(102)를 셧다운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B+ 선로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선로에 직렬 연결된 과전류검출 저항(R21)에 강하되는 전압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PNP 트랜지스터(Q21)의 에미터-베이스간에 순방향의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1)가 턴온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21)가 턴온되면 분할저항(R22,R23)을 통해 제너 다이오드(ZD21)의 정격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제너다이오드(ZD21)에 인가되어 제너다이오드를 도통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너다이오드(ZD21)가 도통되면 NPN 트랜지스터(Q22)의 베이스에 순방향의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2)가 턴온되고, 트랜지스터(Q22)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Q22)의 콜랙터에 연결된 PWM제어기(102)의 ①번 단자가 접지 레벨로 홀딩되어 PWM 제어기(102)가 셧다운되게 되고, 이에 따라 B+ 전압이 일시 차단되어 B+ 과전류로부터 회로소자들을 보호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B+ 과전류 보호회로는 B+선로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를 검출하여 직류-직류 컨버터의 동작을 일시 셧다운시키므로써 과전류에 의해 회로소자들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정의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PWM제어기의 동작에 따라 스위칭소자를 스위칭하여 B+전압을 FBT로 출력하고, FBT의 3차권선에서 유기된 전압을 궤환입력받아 고압을 안정화시키도록 된 직류-직류 컨버터가 구비된 모니터에 있어서,
    B+ 선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압검출저항(R21)과,
    상기 전압검출저항(R21)이 과전압을 검출하면 턴온되는 제1 트랜지스터(Q21);
    상기 제1 트랜지스터(Q21)가 턴온되면 베이스에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21)가 도통되고, 이 제너다이오드(ZD21)가 도통되면 턴온되어 PWM 제어기(102)를 셧다운시키는 제2 트랜지스터(Q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에 있어서 B+ 과전류 보호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Q21)가 PNP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에 있어서 B+ 과전류 보호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2)가 NPN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에 있어서 B+ 과전류 보호회로.
KR2019960043116U 1996-11-28 1996-11-28 모니터에 있어서 b+ 과전류 보호회로 KR199800300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116U KR19980030036U (ko) 1996-11-28 1996-11-28 모니터에 있어서 b+ 과전류 보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116U KR19980030036U (ko) 1996-11-28 1996-11-28 모니터에 있어서 b+ 과전류 보호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036U true KR19980030036U (ko) 1998-08-17

Family

ID=5398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116U KR19980030036U (ko) 1996-11-28 1996-11-28 모니터에 있어서 b+ 과전류 보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003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252B1 (ko) 과전류 보호 스위치 모드 전원
KR100296635B1 (ko) 저전압보호회로를갖는스위칭모드전원공급장치
KR100521112B1 (ko) 보조 전원 장치의 제어 회로
JP3381769B2 (ja) 自励発振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215305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US6256179B1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US10615681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KR19980030036U (ko) 모니터에 있어서 b+ 과전류 보호회로
KR19980064869U (ko) 모니터에 있어서 b+ 과전류 보호회로
KR19990027225U (ko) 모니터에 있어서 b+ 과전류 보호회로
KR19990027208U (ko) 모니터에 있어서 펄스전류 보호회로
KR100202951B1 (ko) 모니터에 있어서 수평편향 전원의 과전류 보호회로
KR100520090B1 (ko) 과전압 보호회로를 갖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KR200156377Y1 (ko)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 보호회로
KR19990003603U (ko) 모니터에 있어서 b+ 과전류 보호회로
KR0122729B1 (ko)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 검출회로
KR19990003585U (ko) 모니터에 있어서 직류-직류 컨버터의 안정화 회로
KR100275070B1 (ko) 전원공급장치의저전압보호회로
KR100215631B1 (ko)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smps)에서의 스위칭턴-온시 초기손실 방지회로
KR200172696Y1 (ko) 과전압보호회로
JP4167311B2 (ja) 複合出力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9980066106U (ko) 모니터의 과전압 보호 회로
KR100895014B1 (ko) 링거 전원 장치의 과전류 보호 회로
KR19990052751A (ko) 모니터의 직류/직류 컨버터 보호회로
KR100330638B1 (ko) 스위칭전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