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047A -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제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047A
KR19980029047A KR1019960048286A KR19960048286A KR19980029047A KR 19980029047 A KR19980029047 A KR 19980029047A KR 1019960048286 A KR1019960048286 A KR 1019960048286A KR 19960048286 A KR19960048286 A KR 19960048286A KR 19980029047 A KR19980029047 A KR 19980029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hook
fixing device
product
disposable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주
김여경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60048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9047A/ko
Publication of KR19980029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047A/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훅 앤드 루우프 시스템을 부직포 고정장치로 가지므로, 사용시 탈착 편리성과 고정성을 증가시킨 일회용 부직포를 사용하는 마루걸레 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
제 1-1 도는 통상의 일회용 부직포를 사용하는 마루걸레 제품의 사시도
제 1-2 도는 통상의 훅 단면도
제 2-1 도 내지 제 2-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부직포를 사용하는 마루걸레 제품의 사시도
제 3 도의 (가)는 비교예 1에 따른 일회용 부직포를 사용하는 마루걸레 제품의 사시도, (나)는 (가)의 A-A선 단면도
제 4 도의 (가)는 비교예 2에 따른 일회용 부직포를 사용하는 마루걸레 제품의 사시도, (나)는 (가)의 B-B선 단면도, (다)는 부직포 고정장치의 발췌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받침판, 2 : 부직포 고정장치, 3 : 연결조인트, 4 : 손잡이, 5 : 부직포, a : 받침판의 상면, b : 마루걸레 제품의 사용시 진행방향.
본 발명은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하는 마루걸레 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의 거실이나 마루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종래 방식의 물걸레를 대신하여 간편하게 닦을 수 있으면서 물기를 사용하지 않는 마루걸레 받침판에 부직포를 고정하는 마루걸레의 부직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은 부직포를 부직포 결합장치에 의하여 마루걸레 받침판에 간단히 결합함으로써, 마루, 거실, 안방 등 먼지가 있는 장소에 가볍게 밀고 다니면서 청소를 깨끗이 할 수 있고, 청소후에는 물걸레를 빤다든가, 진공청소기로 청소할 경우 별도로 먼지나 오물저장소를 청소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마루걸레 받침판에 고정된 부직포를 떼어내어 버리므로서 위생적이면서 간편하게 청소할 때 사용하는 제품이다.
최근에는 주부의 사회활동이 증가하면서 주부가 가사에 전념할 수 있는 시간이 감소되고 있는 바, 가정내에서 마루 거실 안방 등의 먼지를 물걸레나 진공 청소기와 같은 방법으로 청소하는 방법보다 더욱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연구가 요청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중에는 이미 서서 청소할 수 있는 물걸레제품이나 일회용 부직포를 사용한 마루걸레제품도 이미 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의 제품들은 사용의 편의성과 사용할 때 부직포 고정성이 중요한 특성임에도 불구하고, 물걸레제품의 경우에는 빨아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일회용 부직포를 사용하는 제품의 경우(엘지화학 주식회사 제품의 홈크린큐), 버튼형태의 부직포 고정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탈착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일회용 부직포를 사용하는 마루걸레 제품에 있어서, 훅 앤드 루우프 시스템을 부직포 고정장치로 사용하여 한 번에 부직포를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의 단순함과 편리성을 극대화 시킨 일회용 부직포를 사용하는 마루걸레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부직포를 사용하는 제품은 일회용 부직포(5)와 마루걸레 받침판(1), 부직포 고정장치(2), 그리고 연결조인트(3), 손잡이(4)의 5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훅 앤드 루우프 시스템을 갖는 부직포 고정장치를 사용함으로 우수한 부직포 고정성과 사용 단순성 및 편리성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부직포는 펄프,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면 등의 단일소재나 이들의 복합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조방식에 따라 열융합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마루걸레 받침판이라 함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아크릴수지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류의 플라스틱뿐 아니라 알루미늄, 철, 스텐레스 스틸과 같은 철제류 재질로 이루어지며, 부직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 및 손잡이를 연결시킬 수 있는 조인트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직포나 바닥의 밀착을 위해 평편한 바닥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조인트 마루걸레 받침판과 손잡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90°또는 180°또는 360°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잡이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철, 스텐레스 스틸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긴 막대로 구성되거나, 3~5개의 막대를 조립,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직포 고정장치는 마루걸레 받침판의 구성요소로, 부직포를 쉽게 탈착가능토록 해야하며, 사용할 시 마루걸레 받침판에 밀착되어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훅 앤드 루우프 시스템은 Mechanical 접착 시스템의 일종으로 갈고리 형태의 훅이 직물이나 부직물로 구성되는 루우프 면의 섬유사이에 끼워짐으로 고정되는 접착 시스템을 말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훅 앤드 루우프 시스템은 3M사의 KS-0099 HOOK 을 사용하였으며, 훅 장치는 마루걸레 제품의 상판에 위치하며, 부직포는 그 자체로서 루우프 역할을 하거나 접착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별도의 루우프를 추가, 부착시킬 수 있다. 훅 앤드 루우프 시스템은 특성상 수직방향으로의 힘 작용시에만 탈착이 가능하며, 수평방향으로의 힘 작용시에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마루걸레 사용시 힘의 작용방향은 수평방향으로만 작용하므로 사용할 때 부직포가 분리되는 현상이 없으며, 탈착시 수직방향으로의 힘작용에 의해 쉽게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8
실시예 1
제 2-1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회용 부직포와 마루걸레 받침판, 부직포 고정장치, 연결조인트, 손잡이로 구성된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의 구성요소중 부직포 고정장치가 훅 앤드 루우프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훅이 마루걸레 받침판 상면에서 각 진행방향면 전체 길이(ℓ)를 따라 부착되어진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 2-2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회용 부직포와 마루걸레 받침판, 부직포 고정장치, 연결조인트, 손잡이로 구성된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의 구성요소중 부직포 고정장치가 훅 앤드 루우프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훅이 마루걸레 받침판 상면에서, 각 진행방향면의 중앙에서 각 진행방향면 전체 길이(ℓ)의 ⅔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1개의 훅으로 구성된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 2-2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회용 부직포와 마루걸레 받침판, 부직포 고정장치, 연결조인트, 손잡이로 구성된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의 구성요소중 부직포 고정장치가 훅 앤드 루우프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훅이 마루걸레 받침판 상면에서, 각 진행방향면의 중앙에서 각 진행방향면 전체 길이(ℓ)의 ½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1개의 훅으로 구성된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제 2-2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회용 부직포와 마루걸레 받침판, 부직포 고정장치, 연결조인트, 손잡이로 구성된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의 구성요소중 부직포 고정장치가 훅 앤드 루우프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훅이 마루걸레 받침판 상면에서, 각 진행방향면의 중앙에서, 각 진행방향면 전체 길이(ℓ)의 ⅓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1개의 훅으로 구성된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제 2-3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회용 부직포와 마루걸레 받침판, 부직포 고정장치, 연결조인트, 손잡이로 구성된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의 구성요소중 부직포 고정장치가 훅 앤드 루우프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훅이 마루걸레 받침판 상면에서, 각 진행방향면의 양끝부분에, 각 진행방향면 전체 길이(ℓ)의 ⅓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2개의 훅으로 구성된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제 2-3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회용 부직포와 마루걸레 받침판, 부직포 고정장치, 연결조인트, 손잡이로 구성된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의 구성요소중 부직포 고정장치가 훅 앤드 루우프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훅이 마루걸레 받침판 상면에서, 각 진행방향면의 양끝부분에, 각 진행방향면 전체 길이(ℓ)의 ¼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2개의 훅으로 구성된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제 2-3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회용 부직포와 마루걸레 받침판, 부직포 고정장치, 연결조인트, 손잡이로 구성된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의 구성요소중 부직포 고정장치가 훅 앤드 루우프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훅이 마루걸레 받침판 상면에서, 각 진행방향면의 양끝부분에, 각 진행방향면 전체 길이(ℓ)의 1/6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2개의 훅으로 구성된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제 2-4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회용 부직포와 마루걸레 받침판, 부직포 고정장치, 연결조인트, 손잡이로 구성된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의 구성요소중 부직포 고정장치가 훅 앤드 루우프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훅이 마루걸레 받침판 상면에서, 각 진행방향면에, 각 진행방향면 전체 길이(ℓ)의 1/12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3개의 훅으로 구성된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 3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회용 부직포와 마루걸레 받침판, 부직포 고정장치, 연결조인트, 손잡이로 구성된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의 구성요소중 부직포 고정장치가 버튼 형태로 이루어진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제 4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회용 부직포와 마루걸레 받침판, 부직포 고정장치, 연결조인트, 손잡이로 구성된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의 구성요소중 부직포 고정장치가 2단계로써 부직포를 홈에 끼운 후 닫아 고정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진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을 사용하였다.
* 일회용 부직포를 사용한 마루걸레 제품의 탈착 편리성 및 고정성 판정
각 실시예 및 비교예 당 50개의 마루걸레 제품을 사용하여 사용 편리성 및 고정성을 다음에 따라 실시하였다.
- 탈착 편리성 시험
각 마루걸레 제품을 50명에 배부하여 한달간 사용하게 한 후, 다음의 판정 기준에 따라 판정하여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 판정
++ : 탈착시 불편함을 전혀 못 느낀다.
+ : 탈착시 가끔 불편함을 느낀다.
± : 탈착시 불편함을 느낀다.
- : 탈착시 매우 불편하다.
- 고정성 시험
각 마른걸레 제품을 50명에게 배부한 후 한달간 사용하게 한 후, 다음의 판정기준에 따라 판정하여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 판정
++ : 사용시 떨어지거나 형태변형이 전혀 없다.
+ : 사용시 형태변형이 조금 있다.
± : 사용시 가끔 떨어진다.
- : 사용시 심하게 떨어진다.
상기 표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실시예 1 내지 8과 비교예 1 내지 2에서 훅 앤드 루우프 시스템의 부직포 고정장치를 갖는 마루걸레의 경우, 버튼 형식이나 2단계 고정식보다 탈착 편리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각 진행방향에 대해 한개의 훅으로 구성되며 훅의 길이가 각 진행방향 전체 길이(ℓ)의 ⅔ 이상인 경우 고정성은 우수하나 탈착 편리성이 떨어지며, 각 진행방향에 대해 한 개의 훅으로 구성되며, 훅의 길이가 각 진행방향 전체 길이(ℓ)의 ½이하인 경우 탈착 편리성은 우수하나 고정성이 낮게 평가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실시예 5 내지 6에서 볼 수 있듯이, 훅이 각 진행방향의 양끝부분에 위치하며, 각각의 훅이 각 진행방향면 전체길이(ℓ)의 1/6, 1/12인 경우, 부직포 고정성 및 탈착 편리성이 더욱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9)

  1. 일회용 부직포와 마루걸레 받침판, 부직포 고정장치를 기본요소로 갖는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 제품에 있어서, 마루걸레 제품의 구성요소중 부직포 고정장치가 훅 앤드 루우프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장치의 훅이 마루걸레 받침판의 상면에 위치하며, 1개로 구성되어 각 진행방향을 따라 부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제품.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장치의 훅이 마루걸레받침판의 상면에 위치하며,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각 진행방향을 따라 부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제품.
  4. 제 2 항에 있어서, 고정장치의 훅이 마루걸레 받힘판의 상면에 위치하며, 훅의 길이가 각 진행방향면 전체 길이의 ⅔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제품.
  5. 제 2 항에 있어서, 고정장치의 훅이 마루걸레 받침판의 상면에 위치하며, 훅의 길이가 각 진행방향면 전체 길이의 ½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제품.
  6. 제 2 항에 있어서, 고정장치의 훅이 마루걸레 받침판의 상면에 위치하며, 훅의 길이가 각 진행방향면 전체 길이의 ⅓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제품.
  7. 제 3 항에 있어서, 고정장치의 훅이 마루걸레 받침판의 상면에 위치하며, 훅의 전체길이가 각 진행방향면 전체 길이의 ⅔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제품.
  8. 제 3 항에 있어서, 고정장치의 훅이 마루걸레 받침판의 상면에 위치하며, 훅의 전체길이가 각 진행방향면 전체 길이의 ½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제품.
  9. 제 3 항에 있어서, 고정장치의 훅이 마루걸레 받침판의 상면에 위치하며, 훅의 전체길이가 각 진행방향면 전체 길이의 ⅓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제품.
KR1019960048286A 1996-10-25 1996-10-25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제품 KR19980029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286A KR19980029047A (ko) 1996-10-25 1996-10-25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286A KR19980029047A (ko) 1996-10-25 1996-10-25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047A true KR19980029047A (ko) 1998-07-15

Family

ID=66316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286A KR19980029047A (ko) 1996-10-25 1996-10-25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90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25309B (ko)
JP5514202B2 (ja) 周囲に捕獲シートを伴う床掃除用具
US7841040B2 (en) Absorbent cleaning pad with extended portion for use with a cleaning implement
US6119298A (en) Disposable wiping sheet
US8281451B2 (en) Cleaning sheets
TWI617275B (zh) Sweeping tool
US5140717A (en) Cleaning device
MXPA06006876A (es) Herramienta de limpieza para remover particulas de tamano grande y pequeno.
EP2359732B1 (en) Mop head cover for use with a flat mop device
CA2252819A1 (en) Tiltable mop frame for cleaning floors, etc.
KR19980029047A (ko) 일회용 부직포를 이용한 마루걸레제품
JP2002165740A (ja) 清掃用具
JP3917580B2 (ja) 綿布雑巾掃除機
JP3270645B2 (ja) 不織布製乾式モップ用拭布
JPWO2006011234A1 (ja) 清掃具及び清掃具を構成する保持部材
BE725528A (ko)
JP3034285U (ja) 清掃具
KR102625838B1 (ko) 벨크로가 구비된 부직포용 연결패드
EP1287778B1 (en) Surface cleaning cloth
JPH1066671A (ja) ぞうきん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33445A (ja) 清掃具
KR100536137B1 (ko) 교체 사용이 용이한 청소기
US5858115A (en) Cleaning device cleaning system and method related thereto
JPH09313417A (ja) ワイピングクロス
JP2006068208A (ja) 清掃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