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8563U - 텐션 웨이트 박스 부착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텐션 웨이트 박스 부착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8563U
KR19980028563U KR2019960041582U KR19960041582U KR19980028563U KR 19980028563 U KR19980028563 U KR 19980028563U KR 2019960041582 U KR2019960041582 U KR 2019960041582U KR 19960041582 U KR19960041582 U KR 19960041582U KR 19980028563 U KR19980028563 U KR 199800285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eight box
wheel
tension weight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명
진종진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60041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8563U/ko
Publication of KR199800285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563U/ko

Links

Landscapes

  • Drives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송중 벨트에서 이탈되어 텐션 웨이트 박스에 부착된 원자재를 쉽게 제거하여 그로 인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는 텐션 웨이트 박스 부착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의 컨베이어 시스템에 안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축의 선단에 고정되어 그 외주면이 로울러에 감겨진 벨트와 접촉되는 휠과, 상부가 휠에 편심되게 고정되는 연결수단과, 연결수단에 고정됨과 아울러 벨트 장력 조절용 텐션 웨이트 박스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를 더 설치함으로서 벨트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휠의 회전에 따라 커버가 상하향 이동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커버 상에서 이탈된 원자재를 외부로 떨어트림으로서 고형화된 원자재에 의한 벨트의 손상 및 구동부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텐션 웨이트 박스 부착물 제거장치
본 고안은 철광석 등의 원자재를 작업위치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송중 벨트에서 이탈되어 텐션 웨이트 박스에 부착된 원자재를 쉽게 제거하여 그로인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는 텐션 웨이트 박스 부착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시스템은 구동 로울러와 다수의 로울러 및 벨트로 구성되어 있다. 각 로울러에 감겨진 벨트는 구동 로울러를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며, 이때 다수의 로울러는 벨트와의 마찰력으로 회전한다 벨트는 구동 로울러와의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장력이 필요하며, 만일 장력이 부족하여 벨트가 처지는 경우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아 원자재를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없다. 벨트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텐션 웨이트 박스(tension weight box)는 어느 한 로울러에 고정되어 로울러의 위치를 상하로 변화시킴으로서 벨트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로울러(1), 다수의 로울러(2A 내지 2D), 벨트(3) 및 텐션 웨이트 박스(4)를 도시하고 있다. 텐션 웨이트 박스(4)는 어느 한 로울러(2C)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로울러(2C)는 텐션 웨이트 박스(4)의 하중에 의하여 하향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만일 어떠한 이유(예를 들어 장시간 가동으로 인한 벨트의 신장 등)로 인하여 벨트(3)의 장력이 감소, 즉 벨트(3)의 처짐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텐션 웨이트 박스(4)로 인하여 로울러(2C)가 하향 이송됨으로서 벨트(3)의 장력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변화되는 벨트(3)의 장력을 보상하기 위한 이러한 텐션 웨이트 박스(4)의 사용으로 인하여 벨트(4) 및 로울러(2C)에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 A부의 상세도로서, 로울러(2C), 벨트(3) 및 텐션 웨이트 박스(4)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원자재(예를 들어 철광석)의 이송 과정에서 원자재는 함유된 수분과 접착성질로 인하여 벨트(3) 표면에 고착되며, 고착된 원자재는 벨트(3)의 회전과정에서 하부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중 일부는 텐션 웨이트 박스(4) 위로 떨어져 굳어버리게 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웨이트 박스(4) 표면에 굳어버린 원자재(P)는 회전하는 벨트(3)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굳어버린 원자재(P)와의 마찰로 인하여 벨트(3)가 손상되며, 또한 마찰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경우 구동부에 과부하가 걸려 시스템 전체의 에러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텐션 웨이트 박스(4)상에 굳어버린 원자재(P)를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제거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인력낭비 및 안전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텐션 웨이트 박스와 로울러 간에 부착물 제거장치를 구성하여 텐션 웨이트 박스에 떨어진 원자재를 주기적으로 제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존의 컨베이어 시스템에 안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축의 선단에 고정되어 그 외주면이 로울러에 감겨진 벨트와 접촉되는 휠과, 상부가 휠에 편심되게 고정되는 연결수단과, 연결수단에 고정되어 벨트 장력 조절용 텐션 웨이트 박스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를 더 설치함으로서 벨트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휠의 회전에 따라 커버가 상하향 이동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커버상에 떨어진 원자재를 외부로 떨어트림으로서 고형화된 원자재에 의한 벨트의 손상 및 구동부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일반적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 A부의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이 설치된 어느 한 로울러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 3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 가이드 포스트 11A, 11B : 안내부재
20 : 로울러 33 : 휠
41 및 42 : 제 1 및 제 2 수평 바
51 : 벨트 61 : 커버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텐션 웨이트 박스 부착물 제거장치가 설치된 로울러의 부분 사시도로서, 벨트(50)이 감겨진 로울러(20)의 양측에는 가이드 포스트(10A, 10B)가 위치하게 되며, 각 가이드 포스트(10A, 10B)에는 안내부재(11A, 11B)가 상, 하이송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각 안내부재(11A, 11B)의 상부에는 로울러(20)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한편, 로울러(20)의 하부에는 로울러(20)에 감겨진 벨트(5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 웨이트 박스(60)가 위치하고 있다. 즉, 각 안내부재(11A, 11B)의 하부에 텐션 웨이트 박스(60)의 양측부가 가 고정되어 있어 텐션 웨이트 박스(60)의 하중에 의하여 안내부재(11A, 11B)는 각 가이드 포스트(10A, 10B)를 따라 하향 이동되며 따라서 안내부재(10A, 10B)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로울러(20) 역시 하향 이송됨으로서 벨트(50)의 장력은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된다. 한편, 텐션 웨이트 박스(60)의 상부에는 커버(61)가 덮여져 있다.
상술한 로울러(20)와 텐션 웨이트 박스(60)간에는 본 고안의 가장 큰 요지인 낙하물 제거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텐션 웨이트 박스 부착물 제거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어느 한 안내부재(11A)에는 베어링 블록(31A, 31B)을 구비한 지지블록(31)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베어링 블록(31A, 31B)에는 일정길이의 축(32)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축(32)의 선단에는 로울러(20)에 감겨진 벨트(50)와 접촉하는 휠(33)이 고정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회전하는 벨트(50)에 의하여 휠(33) 및 축(32)은 회전하게 된다. 한편, 휠(33)의 원주면상에는 다수의 개구(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한 개구(34)에 커버(61)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40)이 설치된다.
연결수단(40)은 일단이 휠(33)의 어느 한 개구(34)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수평 바(41)와, 일단이 텐션 웨이트 박스(60)를 덮는 커버(61)에 고정되는 한쌍의 수직 바(44) 및 베어링(45A, 45B)을 통하여 수직 바(44)의 또다른 일단에 지지되는 제 2 수평 바(42)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 1 수평 바(41)와 제 2 수평 바(42)는 베어링(46A, 46B, 46C, 46D)을 이용한 1쌍의 연결 바(43)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여기서 제 1 수평 바(41)는 휠(33)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벨트(50)의 회전에 의한 휠(33)의 회전시, 제 1 수평 바(41)는 휠(33)의 축(32)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지고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제 1 수평 바(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연결 바(43), 제 2 수평 바(42) 및 수직 바(44)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수직 바(44)에 고정된 커버(61)는 수직의 직선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 3의 측면도로서, 구동 로울러(도시되지 않음)의 회전에 따라 로울러(20)의 회전 및 벨트(50)의 이송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벨트(50)와 접촉하는 휠(33) 역시 회전하게 된다. 휠(33)의 회전에 따라 휠(33)의 외곽원주면에 고정된 제 1 수평 바(41)는 휠(33)의 축(3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연결 바(43), 제 2 수평 바(42) 및 수직 바(44)에 의하여 휠(33)에 연결된 커버(61)는 일정한 경로(휠의 중심을 지나는 개구와 개구간의 간격)의 수직 이송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휠(33)의 1회전시 커버(61)는 1회의 상하 왕복 이송되며, 로울러(20)의 직경이 휠(33)의 직경 보다 크기 때문에 로울러(20)가 1회전하는 경우 커버(61)는 수차례 상하 이동하게 된다.(도 4에서의 점선은 휠의 회전에 의한 커버의 상향이동후의 상태를 도시함)
결과적으로 빠른 속도로 상하 왕복운동 하는 커버(61)상으로 원자재가 떨어지는 경우 원자재는 커버(61)와 충돌하게 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1)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그 양측이 하향 경사진 상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사면을 가지고 상하 이동하는 커버(61)에 원자재가 떨어지는 경우 커버(61)와 충돌한 원자재는 그 경사면을 따라 텐션 웨이트 박스 (60)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을 사용하므로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벨트(23)에서 이탈된 원자재는 벨트의 회전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하 왕복 운동하는 커버 위에 떨어짐과 동시에 커버의 경사면을 따라서 텐션 웨이트 박스(34) 외부로 떨어지기 때문에 원자재가 텐션 웨이트 박스 상에서 굳을 우려가 없으며, 따라서 고착물과 벨트간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아 벨트의 손상방지는 물론 구동부에 과부하가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아 벨트의 교체에 따른 시간을 절약 할 수 있으며, 구동부의 과부하로 인한 컨베이어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 웨이트 박스의 표면에 떨어진 원자재를 제거하기 위한 텐션 웨이트 박스 부착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축의 선단에 고정되어 그 외주면이 상기 로울러에 감겨진 벨트와 접촉되는 휠과,
    상부가 상기 휠에 편심되게 고정되는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에 고정되어 상기 텐션 웨이트 박스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상기 벨트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휠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커버가 상하향 이동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웨이트 박스 부착물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그 원주면에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 수단이 어느 한 개구에 고정됨으로서 상기 연결 프레임이 상기 휠에 편심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웨이트 박스 부착물 제거장치.
KR2019960041582U 1996-11-22 1996-11-22 텐션 웨이트 박스 부착물 제거장치 KR199800285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582U KR19980028563U (ko) 1996-11-22 1996-11-22 텐션 웨이트 박스 부착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582U KR19980028563U (ko) 1996-11-22 1996-11-22 텐션 웨이트 박스 부착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563U true KR19980028563U (ko) 1998-08-05

Family

ID=5398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582U KR19980028563U (ko) 1996-11-22 1996-11-22 텐션 웨이트 박스 부착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856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069A (ko) * 2018-10-17 2020-04-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배출장치
KR20210096378A (ko) * 2020-01-28 2021-08-05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069A (ko) * 2018-10-17 2020-04-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배출장치
KR20210096378A (ko) * 2020-01-28 2021-08-05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861B1 (ko) 스크린의 낙하수송물 분산유도장치
KR20090040824A (ko) 컨베이어 벨트에 의한 상품운반장치
US4174030A (en) Vibratory cleaner for endless belt conveyor
KR19980028563U (ko) 텐션 웨이트 박스 부착물 제거장치
KR100608299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수평대차 이탈 방지장치
KR101221144B1 (ko) 브랜딩라인의 컨베이어 벨트 표면 브러쉬 회전장치
KR20030054514A (ko) 벨트콘베어 장력 및 사행 자동 조정장치
EP0569073B1 (en) A conveyor
KR19980043347U (ko) 벨트콘베어용 낙광자동 처리장치
KR100544656B1 (ko) 정량 절출장치
KR200208272Y1 (ko) 벨트 컨베이어 상부의 빗물제거장치
KR100623357B1 (ko) 벨트 컨베이어 미세분진 제거장치
KR100878626B1 (ko) 벨트사행에 따른 벨트 편중 방지장치
KR0176292B1 (ko) 벨트콘베이어용 중추식 벨트 클리닝장치
KR20050005624A (ko) 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안내장치
KR200216724Y1 (ko) 가역 벨트콘베어의 자동착탈식 크리너
KR100779669B1 (ko) 벨트컨베이어 설비에서 수송물의 적재위치 가변장치
KR200176544Y1 (ko) 텐션 웨이트 낙하방지장치
KR100762428B1 (ko) 이동식 크리너 제어장치
KR10093115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웨이트 스토퍼 장치
KR0125433Y1 (ko) 벨트 콘베이어의 낙광 검출장치
KR100300519B1 (ko)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
KR20010001857U (ko) 벨트콘베어 및 슈트의 과적원료 수거장치
KR19990008774U (ko) 벨트 컨베어의 부상벨트 지지장치
KR0130871Y1 (ko) 콘베이어벨트 설비의 리턴 벨트에 장착되는 낙광 제거 검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