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933U - 볼트(bolt) - Google Patents

볼트(bol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933U
KR19980027933U KR2019960040917U KR19960040917U KR19980027933U KR 19980027933 U KR19980027933 U KR 19980027933U KR 2019960040917 U KR2019960040917 U KR 2019960040917U KR 19960040917 U KR19960040917 U KR 19960040917U KR 19980027933 U KR19980027933 U KR 199800279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ead
groove
screw portion
fasten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용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0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7933U/ko
Publication of KR199800279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933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F16B35/044Specially-shaped ends
    • F16B35/045Specially-shaped ends for retention or rotation by a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25B15/001Screwdriv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of the tool bit
    • B25B15/004Screwdriv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of the tool bit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
    • B25B15/005Screwdriv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of the tool bit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 with cross- or star-shaped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트를 보다 용이하게 죄이거나 풀 수 있도록 한 볼트에 관한 것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나사부와, 나사부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체결공구와 접속되는 머리와, 상기 머리가 위치한 나사부 타단의 중심에 체결공구와 접속되도록 형성한 홈 또는 볼트 머리를 포함하여, 볼트의 양부위에서 체결공구를 사용하여 볼트의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이나 볼트머리의 파손시에도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볼트(bolt)
제 1A 도 및 제 1B 도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볼트의 구조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볼트의 구조도;
제 3A 도와 제 3B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볼트11, 14 : 볼트머리
12 : 나사부13 : 홈
13a : -자 홈13b : +자 홈
본 고안은 설비자 장치의 체결용으로 사용되는 볼트를 보다 용이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적인 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들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체결방법으로는 용접, 리벳, 볼트나 너트 및 스크류 등을 사용하여 왔다. 이들 중에서 용접과 리벳을 이용한 체결구조는 반영구적인 고정을 원하는 부위에 사용되며, 볼트와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는 필요에 따라 분리를 요하는 부위에 사용된다.
따라서 조립된 장비에 있어서 부품의 교체나 점검 및 보수를 원하는 부위는 통상 볼트나 너트 또는 스크류가 사용되어 체결 및 분리하는 작업을 수 없이 반복하여 왔었다.
볼트의 구조는 몸체의 외주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체결공구와 접속되는 머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머리의 구조에 따라서 렌치용 볼트와 소켓렌치용 볼트로 구분된다. 이 볼트는 머리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의 모양이 홈의 모양에 따라 사각 렌치용 볼트와 육각 렌치용 볼트로 구분되며, 머리 외형에 따라 사각 볼트 및 육각 볼트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볼트 또는 렌치용 볼트를 필요한 위치에 체결 또는 분리하기 위해서는 체결구의 머리방향에서 상기 공구를 조작하여 왔었다.
따라서, 볼트머리의 위치가 체결공구를 조작하기에 협소한 공간내에 있을 경우 불가피하게 근접한 부품을 분해하거나 장비를 이동시켜 작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그렇지 않고 무리하게 작업하게 되면 다른 부위에 부품이나 장비의 부위에 손상을 가져오거나 안전한 체결을 할 수 없게 되어 장비의 운전시 이탈되거나 고정된 위치의 변동을 가져오게 된다. 만약, 고정이나 조립을 필요로 하는 장비가 정밀을 요하는 작업에 필요로 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는 공정의 진행이나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주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볼트의 체결부위를 양측에 둠으로써 장소에 따른 볼트의 체결 및 분리의 번거로움을 개선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볼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으로는 기계적인 결합관계를 갖는 구조물 또는 부품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하여 나사공에 체결되는 소정길이를 갖는 나사부와, 나사부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 1 체결공구와 접속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 대향하는 나사부의 단부 중심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여, 제 2 체결공구를 상기 홈에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홈은 상기 홈은 렌치에 의해 접속되는 렌치 홈, -자형 드라이버에 접속되는 홈, +자형 드라이버에 접속되는 홈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볼트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각각 렌치용 볼트와 소켓렌치용 볼트의 하단에 드라이버에 접속되는 홈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 1A 도 및 제 1B 도에 나타낸 볼트(10)는 나사부(12) 하단의 중심에 드라이버가 접속되는 -자 홈(13a) 또는 +자 홈(13b)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 외에 또다른 실시예로 상기 나사부 하단에 형성되는 홈을 -자 와 +자 드라이버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도시되어 있지 않음).
따라서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볼트(10)는 머리부와 나사부의 양부위에 렌치와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체결 또는 분리 동작된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볼트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제 1 동에 도시된 볼트의 각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조를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볼트(10)는 나사부(12) 하단의 중심에 나사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볼트머리(14)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볼트는 상·하부에서 렌치와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볼트의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A 도와 제 3B 도에 도시된 것은 본 고안의 볼트가 체결공구를 사용하여 머리 부분에서 용이하게 죄이거나 풀기에 어려운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관통된 체결부위를 통하여 볼트머리(11)의 타측방향인 나사부 일단에 형성된 홈(13a, 13b, 14)을 통하여 드라이버(20) 또는 렌치(30)를 사용하여 볼트(10)를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동작을 갖는 본 고안은 볼트의 조립 및 분리시간을 단축시켜 줄 뿐만 아니라 볼트의 머리부가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마모되어 체결용 공구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도 볼트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 작업시간을 단축시켜주며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체결이 용이함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산업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기계적인 결합관계를 갖는 구조물 또는 부품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하여 나사공에 체결되는 소정길이를 갖는 나사부(12)와, 나사부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 1 체결공구와 접속되는 머리부(11)와,
    상기 머리부(11)에 대향하는 나사부(12)의 단부 중심에 형성된 홈(13)을 포함하여, 제 2 체결공구를 상기 홈에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한 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자형 드라이버에 접속되는 홈(13b)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자형 드라이버에 접속되는 홈(1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4. 나사공에 체결되는 소정길이를 갖는 나사부(12)와,
    나사부 양단에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체결공구와 접속되는 제 1 머리부(11) 및 제 2 머리부(14)를 포함하는 볼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머리부(11)는 상기 나사부(1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제 2 머리부(14)는 상기 나사부(1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볼트.
KR2019960040917U 1996-11-20 1996-11-20 볼트(bolt) KR199800279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917U KR19980027933U (ko) 1996-11-20 1996-11-20 볼트(bo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917U KR19980027933U (ko) 1996-11-20 1996-11-20 볼트(bol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933U true KR19980027933U (ko) 1998-08-05

Family

ID=5398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917U KR19980027933U (ko) 1996-11-20 1996-11-20 볼트(bol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793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1496A (en) Reusable and adjustable fastener for use with power tool applicator
EP0213479A1 (en) Bolt
KR101500263B1 (ko) 풀림방지용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KR20100038303A (ko) 겹쳐진 플레이트 및/또는 부품의 작업편 조립용 마운팅/조립 요소
KR19980027933U (ko) 볼트(bolt)
CN108443288B (zh) 紧固件
KR20190119403A (ko) 길이 연장형 양방향 체결 볼트
US20040013494A1 (en) Fastener having solid driving structure
KR200460066Y1 (ko) 풀림 방지용 볼트 장치
KR20040040680A (ko) 볼트
KR200409130Y1 (ko) 육각날개렌치
CN215596142U (zh) 一种螺栓连接紧固件
KR200309465Y1 (ko) 체결볼트
KR200335772Y1 (ko) 조립식앵글용 볼트와 너트
KR20010059806A (ko) 체결볼트
KR19980042290U (ko) 드라이버(driver)
KR20210094239A (ko) 전단 렌치 볼트
KR0122045Y1 (ko) 볼트체결용 공구
KR0137405Y1 (ko) 스크류볼트 분리용 치공구
KR19980037299U (ko) 전동공구의 연장형 소켓
KR920006473Y1 (ko) 수동공구의 회동보조구
KR0122209Y1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축의 결합구조
KR0152494B1 (ko) 볼트 및 너트의 체결기구
JP2716321B2 (ja) 締結具及び締付工具
KR19980033811U (ko) 스터드볼트(Stud Bolt)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