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6976A - 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6976A
KR19980026976A KR1019960045588A KR19960045588A KR19980026976A KR 19980026976 A KR19980026976 A KR 19980026976A KR 1019960045588 A KR1019960045588 A KR 1019960045588A KR 19960045588 A KR19960045588 A KR 19960045588A KR 19980026976 A KR19980026976 A KR 19980026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unication
heavy equipment
modul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5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46687B1 (en
Inventor
조장욱
이창수
이장명
이석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1019960045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687B1/en
Publication of KR19980026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9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687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71Packet processing; Packet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굴착기 등과 같은 각종 중장비에서 각종 제어신호 및 센서 들의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배선 선로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중장비의 구동부를 기능과 위치에 따라 다수의 모듈로 구분하고, 이들 모듈은 각기 독립된 제어기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게 하며, 각각의 모듈은 전송 선로로 연결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며, 데이터의 전송 선로는 광 화이버를 버스 구조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데이터는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한다.It is to reduce the number of wiring lines used to transmit various control signals and signals of sensors in various heavy equipment such as excavators. The driving unit of the heavy equipmen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functions and positions, and each module is an independent controller. Independently controlled by each module, each module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line to transmit data to each other, the data transmission line is used by connecting the optical fiber in a bus structure, and the data is converted into packet data and transmitted. .

Description

중장비 제어 시스템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굴삭기 등과 같은 각종 중장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중장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used to control various heavy equipment such as excavators and the like.

다수의 액츄에이터 등을 비롯하여 각종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중장비는 각각의 구동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부를 각각의 구동 수단에 구비하고 있다.Heavy equipment equipped with various driving means including a plurality of actuators and the like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made of a microprocessor or the like in each driving means in ord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driving means.

그리고 중장비의 운전석 내부에서 수행되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가 각각의 구동 수단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전달된다.And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river's operation performed in the driver's seat of the heavy equipmen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driving means.

또한 각각의 구동 수단의 구동 상태 등을 감시하는 각종 센서들의 신호가 각각의 제어부에 전달된다.In addition, signals of various sensors for monitoring the driving state of each driving means and the like are transmitted to each control unit.

이러한 각종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각각의 신호에 대한 전용의 배선 선로를 연결하고, 이들 각각의 신호를 전용의 배선 선로를 통해 개별적으로 전송하였다.In order to transmit these various signals, a dedicated wiring line for each signal is conventionally connected, and each of these signals is individually transmitted through a dedicated wiring line.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배선 선로의 수가 적을 경우에 중장비의 설계 및 제조가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is conventional technique is simple and effective to design and manufacture heavy equipment when the number of wiring lines is small.

그러나 중장비에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이들 요구되는 기능이 증가됨에 따라 배선 선로의 수가 증가되고 있다.However, various functions are required for heavy equipment, and the number of wiring lines increases as these required functions increase.

그러므로 중장비를 설계 및 제작할 경우에 증가되는 상기 배선 선로를 위치시킬 여유 공간을 확보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고, 중량이 증가됨은 물론 전체 체적이 증가하게 되며, 연결한 배선 선로는 구부리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when designing and manufacturing heavy equipment, there is a lot of difficulty in securing a space for locating the wiring line, which increases, and the weight is increased as well as the total volume, and the connected wiring line is very difficult to bend. there was.

또한 배선 선로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 배선 선로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다.Also, as the number of wiring lines increases, the number of connectors for connecting these wiring lines increases rapidly.

그러므로 배선 선로의 단자대에, 각각의 배선 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 등을 기재하는 라벨을 붙여놓지 않을 경우에 어느 배선 선로가 어느 부위에 연결되는지를 판단하기가 어려웠으며, 배선 선로를 잘못 연결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wiring line is connected to which part when a label describing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each wiring line is not attached to the terminal block of the wiring line, and it is difficult to connect the wiring line incorrectly. Occurred frequently.

이와 더불어 배선 선로에 접촉불량 또는 단선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어느 부위에서 어떠한 연유로 접촉불량 또는 단선이 발생하였는 지를 인식하기가 매우 어려웠다.In addition, when contact failure or disconnection occurred in the wiring line, it was very difficult to recognize which contact fault or disconnection occurred at which part.

이러한 배선 선로의 배치 및 연결의 어려움은 중장비의 새로운 모델을 개발할 경우에 전장 부위의 처리에 대하여 염두해야 되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This difficulty in laying out and connecting the wiring lines has to be kept in mind for the treatment of the electric field when developing a new model of heavy equipment.

중장비의 모델이 소비자의 기호와 편이를 고려하여 다양화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고려할 경우에 굴삭기의 제어는 부분별로 독립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하고, 기능의 추가 및 확장이 용이해야 된다.When considering the necessity to diversify the model of heavy equipment in consideration of consumers' preferences and conveniences, the control of the excavator should be able to perform independent control of parts, and the function should be easily added and expanded.

그러나 종래의 중장비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제어부로 전송되는 신호가 각각의 전용 배선 선로를 통해 전송되므로 기능의 추가 및 모델의 변경이 용이하지 않으며, 또한 전체적으로 굴삭기의 생산 원가를 증가시키고, 유지 및 보수가 복잡함은 물론 난해하여 애프터 서비스의 소요 시간과 소비자의 불만이 증가되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eavy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signals transmitted to each control unit are transmitted through respective dedicated wiring lines, so that it is not easy to add functions and change models, and to increase, maintain, and increase the production cost of the excavator as a whole. The maintenance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and the time required for after-sales service and consumer complaints increase.

그리고 중장비는 작업 환경이 열악한 조건에서 운전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신호들을 전용의 배선 선로 및 커넥터를 통해 전송함에 따라 기계적 신뢰성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heavy equipment has a problem in that the mechanical reliability is drastically degraded as the above-mentioned signals are transmitted through dedicated wiring lines and connectors as operating in a poor working environm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장비의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제어신호 및 센서 들의 검출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배선 선로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장비 제어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wiring lines used to transmit various control signals and detection signals of sensor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heavy equipmen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장비 제어 시스템는, 중장비 내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액츄에이터와 센서들의 위치 및 동작 기능을 고려하여 중장비의 전체 제어 시스템을 다수의 분할된 모듈로 정의한다. 각각의 모듈은 그 모듈에 할당된 제어 및 자체 진단 기능을 수행하고, 각 모듈간에는 필드 버스(Field Bus)를 활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도록 한다. 그리고 분할한 모듈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상호간에 전송한다.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e overall control system of the heavy equipment is defined as a plurality of divided modules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and operation functions of the various actuators and sensors provided in the heavy equipment. Each module performs the control and self-diagnostic functions assigned to the module, and makes use of a field bus between each module to share necessary information. The data is then transmitted over the bus so that the divided modules can share the data.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중장비에 소정의 기능이 추가될 경우에 전체 배선 선로의 재배치 및 배선 선로의 증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소정의 기능을 추가할 경우에 그 기능을 추가할 모듈만을 검토하여 설계하면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edetermined function is added to heavy equipment, problems such as rearrangement of the entire wiring line and increase of the wiring line can be solved, and only a module to add the function when adding a predetermined function is examined. The design is good.

그리고 모듈간의 신호 전송은 디지털 버스를 사용하여 행해지므로, 안정되고 신뢰성이 높은 통신을 확보할 수 있고, 전송되는 정보는 각 모듈의 유기적인 결합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모듈 자체의 이상 유무를 다른 모듈에서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므로 전체 시스템의 보수 및 유지에 편리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signal transmission between modules is performed using a digital bus, stable and reliable communication can be secured, and the information transmitted not only promotes organic coupling of each module but also checks for abnormality of the module itself from other modules. It provides the ability to analyze, providing convenience for th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of the entire system.

또한 중장비의 제작 및 제어가 용이하게 되고, 유지/보수를 간편히 할 수 있게 하면서 모델의 변경 및 기능 추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heavy equipmen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controlled, and the maintenance and repair can be simplified, and the model can be easily changed and added.

도 1은 본 발명의 중장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운전 모듈 및 엔진/유압 제어모듈을 보인 상세 블록도.Figure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module and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of Figure 1;

도 3a는 운전 모듈로 입력되는 신호를 보인 도표.Figure 3a is a diagram showing a signal input to the operation module.

도 3b는 운전 모듈의 출력신호를 보인 도표.3b is a diagram showing an output signal of a driving module;

도 3c는 엔진/유압 제어모듈의 입력신호를 보인 도표.Figure 3c is a diagram showing the input signal of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도 3d는 엔진/유압 제어모듈의 출력신호를 보인 도표.Figure 3d is a diagram showing the output signal of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도 4a는 엔진 모듈에서 엔진/유압 제어모듈로 출력하는 패킷 데이터의 구조를 보인 도표.Figure 4a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acket data output from the engine module to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도 4b는 엔진/유압 제어모듈에서 엔진 모듈로 출력하는 패킷 데이터의 구조를 보인 도표.Figure 4b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acket data output from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to the engine module.

도 5는 운전 모듈과 엔진/유압 제어모듈이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보인 신호 흐름도.5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operation module and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transmit packet data.

도 6은 운전 모듈과 엔진/유압 제어모듈이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보인 신호 흐름도.6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a driving module and an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receive packet data.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운전 모듈10: driving module

11, 21 : 주제어기11, 21: Main controller

12, 22 : 통신 제어기12, 22: communication controller

13, 23 : 입력/출력 포트13, 23: input / output port

14 : 와이퍼 제어기14 wiper controller

15 : 스위치부15: switch unit

16 : 경보부16: alarm unit

17 : 계기 표시부17 instrument display

18 : 지시등18: indicator light

20 : 엔진/유압 제어모듈20: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4 : 엔진 제어부24: engine control unit

25 : 유압/엔진 신호 입력부25: hydraulic / engine signal input

26 : 릴레이/솔레노이드 구동부26: relay / solenoid drive unit

31 : 메모리 및 입력/출력 소자31: memory and input / output devices

32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2: Digital to Analog Converter

121, 122 : 제 1 통신 제어기121, 122: first communication controller

122, 222 : 제 2 통신 제어기122, 222: second communication controll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중장비 제어 시스템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중장비 중에서 굴삭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중장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의 전체 시스템에 대한 기능 및 설치 위치에 따라 운전 모듈(10)과, 엔진/유압 제어모듈(20)로 분할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aking an excavator from among heavy equipment as an example. As shown here, the driving module 10 and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entire system of the excavator.

운전 모듈(10)은 중장비의 운전에 관련된 각종 스위치의 상황을 알리는 표시장치와, 와이퍼에 관련된 장치들의 제어와, 안전 솔레노이드 및 운전자의 편의 시설들이 포함된 부분으로서 운전석에 위치한다.The driving module 10 is located in the driver's seat as a part including a display device for indicating the status of various switch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heavy equipment, control of devices related to the wiper, safety solenoids, and driver's convenience facilities.

엔진/유압 제어모듈(20)은 엔진 계통에 관련된 각종 센서, 밸브 및 모터 들과 유압 계통에서 주행과 작업에 관련된 각종 솔레노이드 및 센서 들이 연결된 부분으로서 엔진실의 인접 위치에 위치한다.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is connected to various sensors, valves and motors related to the engine system, and various solenoids and sensors related to driving and work in the hydraulic system, and is located in an adjacent position of the engine compartment.

운전 모듈(10) 및 엔진/유압 제어모듈(20)은, 소정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주제어기(11)(21)와,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기(12)(22) 및 데이터를 입력 및 출력하는 입력/출력 포트(13)(23)가 구비되고, 통신 제어기(12)(22)를 통해 운전 모듈(10) 및 엔진/유압 제어모듈(20)이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연결된다.The driving module 10 and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are main controllers 11 and 21 for processing predetermined data, communication controllers 12 and 22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data. The input / output ports 13 and 23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the control unit are provided, and the driving module 10 and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2 and 22. Is connected.

그리고 운전 모듈(10)은, 와이퍼에 관련된 장치들을 동작시키는 와이퍼 제어기(14)와,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시키는 스위치부(15)와,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부(16)와,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계기 표시부(17) 및 지시등(18)이 입력/출력 포트(13)를 통해 연결된다.The driving module 10 includes a wiper controller 14 for operating devices related to the wiper, a switch unit 15 for inputting a signal according to a driver's operation, an alarm unit 16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and an operation. An instrument display 17 and indicator light 18 indicating status are connected via an input / output port 13.

또한 엔진/유압 제어모듈(20)은, 엔진을 구동시키는 엔진 제어부(24)와, 유압 및 엔진의 구동에 따른 신호를 입력시키는 유압/엔진 신호 입력부(25)와, 릴레이 및 솔레노이드를 구동시키는 릴레이/솔레노이드 구동부(26)가 입력/출력 포트(23)를 통해 연결된다.In addition,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includes an engine control unit 24 for driving an engine, a hydraulic / engine signal input unit 25 for inputting signals according to hydraulic pressure and engine driving, a relay for driving a relay and a solenoid The solenoid driver 26 is connected via the input / output port 23.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중장비 제어 시스템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스위치부(15)에서 출력되는 각종 스위치의 신호를 운전모듈(10)이 입력/출력 포트(13)를 통해 입력하고, 관련된 데이터는 통신 제어기(12)(22)를 통해 엔진/유압 제어모듈(20)의 주제어기(21)로 전송하며, 또한 엔진/유압 제어모듈(20)은 유압/엔진 신호 입력부(25)를 통해 입력되는 유압 및 엔진 제어의 관련 신호 데이터를 통신 제어기(22)(12)를 통해 운전모듈(1)로 전송한다.In the 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operation module 10 inputs signals of various switches output from the switch unit 15 according to the driver's operation through the input / output port 13, and the related data is The main controller 21 of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2 and 22, and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is input through the hydraulic / engine signal input unit 25. The relevant signal data of the hydraulic pressure and engine control ar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module 1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lers 22 and 12.

운전 모듈(10)은 미리 정의되어진 어드레스에 따라 입력/출력 포트(13)를 통해 경보부(16), 계기 표시부(17) 및 지시등(18)을 동작시켜 중장비의 운전 상태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The operation module 10 operates the alarm unit 16, the instrument display unit 17, and the indicator light 18 through the input / output port 13 according to a predefined address so that the driver can know the operation state of the heavy equipment. .

이를 위하여 엔진/유압 제어모듈(20)은, 운전 모듈(10)에서 전송된 지령에 따라, 유압/엔진 신호 입력부(25)의 신호를 주제어기(21)가 입력/출력 포트(25)를 통해 엔진 제어신호와 각종 릴레이 및 솔레노이드 제어신호들을 출력하고, 출력한 엔진 제어신호와 각종 릴레이 및 솔레노이드 제어신호에 따라 엔진 제어부(24)가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고, 릴레이/솔레노이드 구동부(26)가 릴레이 및 솔레노이드를 제어하여 각종 액츄에이터를 동작시킨다.To this end,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transmits a signal of the hydraulic / engine signal input unit 25 to the main controller 21 through the input / output port 25 according to a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module 10. Outputs the engine control signal and various relay and solenoid control signals, the engine control unit 24 controls the driving of the engine according to the output engine control signal and the various relay and solenoid control signals, and the relay / solenoid drive unit 26 relays And various solenoids to operate various actuators.

엔진 및 액츄에이터이의 구동에 따른 신호를 각종 센서들이 검출하고, 센서들이 검출한 데이터들을 엔진/유압 제어모듈(20)이 유압/엔진 신호 입력부(25)를 통해 입력하며, 운전모듈(10)과 공유하여야 할 데이터는 통신 제어기(22)를 통해 운전 모듈(10)로 전송한다.Various sensors detect the signal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engine and the actuator, and the data detected by the sensors are input by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through the hydraulic / engine signal input unit 25 and shared with the operation module 10. Data to be transmitted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modul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22.

본 발명에서 예시한 제어 시스템은 제어에 관한 전반적인 명령이나 시스템의 상태 표시를 나타내기 위한 역할을 운전모듈(10)에서 전담하고 있다.The control system exempl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dicated to the operation module 10 for displaying a general command on the control or a status indication of the system.

운전 모듈(10)과 엔진/유압 제어보듈(20)의 2개로 구분하였으므로 이들 모듈(10)(20)의 연결구조는 전체적인 면에서 보았을 때, 포인트 투 포인트(POINT TO POONT)로 연결되며, 모듈(10)(20)간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복합전선 시스템의 일예인 CAN(Controlier Area Network) 콘트롤러를 사용하였는데, 이 CAN콘트롤러는 기존의 데이터 전송에서 오는 여러 가지의 한계를 극복하고,높은 데이터의 전송률과 발생되는 에러는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므로 데이터 전송 에러가 적으며, 안정성을 바탕으로 분산된 실시간(REAL TIME) 제어를 효율적으로 지원한다.Since the driving module 10 and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are divided into tw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se modules 10 and 20 is connected in a point-to-point view as a whole. In order to share information between 10 and 20, we used a CAN (Controlier Area Network) controller, which is an example of a mixed-wire system, which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data transmission and Since the data rate and error are handled by hardware, there are few data transmission errors, and the system efficiently supports distributed real time control based on stability.

중장비의 기능이 다양하게 추가되는 현재의 추세에 따라 모듈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 정보 교환의 대역폭이 커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동축 케이블이나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스타(star)또는 버스(bus) 토폴로지(topology)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As the number of modules increases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trend of the addition of various functions of heavy equipment, the bandwidth of information exchange increases, thus using star or bus topology using coaxial or optical cables. Is appropriate.

CAN 콘트롤러는 소정의 인식(Identification) 신호를 사용하여 여러 모듈들이 있을 경우 자신의 메시지인가의 여부를 확인하고, 우선권을 부여하므로써 메시지가 충돌할 경우에 우선 순위가 높은 인식 신호를 가진 메시지가 계속 전송되고, 사용되는 모든 모듈들은 동등한 제어권을 가지는 멀티마스터(multi-master)의 원칙을 가지고 있다.The CAN controller uses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signal to check whether it is its own message when there are several modules, and gives priority to messages with higher priority identification signals in case of conflict. All modules used have the principle of multimaster with equal control.

각각의 모듈(10)(20)의 주제어기(11)(21)는 수신된 패킷 데이터을 해석하고, 해석한 결과에 따라 모듈(10)(20)에 연결된 각종 액츄에이터를 동작시키는 제어알고리즘을 수행한다.The main controllers 11 and 21 of each module 10 and 20 interpret the received packet data and perform a control algorithm for operating various actuators connected to the modules 10 and 20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

이러한 액츄에이터의 작동과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처리는 입력/출력 포트(13)(23)를 통해 입력 및 출력 처리하는 데, 획득된 각종 센서들의 데이터는 다른 모듈로 전송하기 위해 출력 포맷에 따라 하나의 데이터 프레임으로 구성된다.The operation of these actuators and the signal processing from various sensors are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input / output ports 13 and 23, and the data of the various sensors obtained is one according to the output format for transmission to another module. It consists of a data frame.

그리고 주제어기(11)(21)에 통신을 위한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다른 모듈과 통신만을 전담하는 통신 제어기(13)(23)로 CAN 콘트롤러를 추가하였으며, 여기에서 패킷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게 하였다.In order to reduce the load for communication to the main controller (11) (21), a CAN controller was added to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3) (23) dedicated to communication only with other modules, where the packet data was transmitted and received. .

도 2는 도 1에서 운전모듈(10) 및 엔진/유압 제어모듈(20)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10 and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in FIG. 1.

여기서, 주제어기(11)(21)는 6비트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다른 모듈보다 많은 여러 종류의 신호들을 처리하고 16MHz의 수정발진기를 사용하여 속도적인 측면에서도 중장비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하였다.Here, the main controller (11) (21) uses a 6-bit microprocessor to process many different types of signals than other modules, and 16MHz crystal oscillator to be suitable for use in heavy equipment in terms of speed.

프로세서는 주메모리/입력 및 출력 소자(31)에 포함된 외부 램을 사용한다.The processor uses external RAM contained in main memory / input and output elements 31.

본 발명에서 메모리/입력 및 출력 소자(31)로 사용되는 칩 번호 'PSD302'는 2킬로 바이트의 램을 가지고 있으므로 신호 처리 알고리즘에서 내부적으로 처리해야 할 데이터나 플래그의 양들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number 'PSD302' used as the memory / input and output element 31 has 2 kilobytes of RAM so that the signal processing algorithm can sufficiently accommodate the amount of data or flags to be processed internally.

각각의 모듈은 서로 다른 모듈과 통신을 수행하여야 하고, 도 1의 스위치부(15)에서 입력되는 온/오프 신호들을 계속 감시하며, 경보부(16), 계기 표시부(17) 및 지시등(18)을 모두 동작시켜야 한다.Each module must communicate with the other module and continuously monitor the on / off signals input from the switch unit 15 of FIG. 1, and monitor the alarm unit 16, the instrument display unit 17 and the indicator light 18. All should work.

그러므로 각각의 모듈에서는 통신 제어기(12)(22)를 사용하여 주제어기(11)(21)의 통신 부하를 경감시키고, 효율이 향상되게 하였다.Therefore, in each module, communication controllers 12 and 22 are used to reduce the communication load of main controllers 11 and 21 and to improve efficiency.

제 1 통신제어기(121)(221) 및 제 2 통신 제어기(122)(222)는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주제어기(11)(21)로 인터럽트를 출력하고, 주제어기(11)(21)는 제 1 통신 제어기(121)(221) 및 제 2 통신 제어기(122)((222)의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한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 제 1 통신 제어기(121)(221) 및 제 2 통신 제어기(122)((222)의 수신 버퍼에 있는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메모리/입력 및 출력 소자(31)에 저장하게 된다.When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ler 121, 22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controller 122, 222 receive the transmitted data,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ler 121, 22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controller 122, 222 output an interrupt to the main controller 11, 21, and the main controller 11 ( 21 inputs an interrupt signal of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ler 121 (22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controller 122 (222), and according to the input interrupt signal,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ler 121 (221) and The stored data in the receive buffe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controller 122 (222) is stored in the memory / input and output element 31.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신 제어기(12)(22)를 제 1 통신 제어기(121)(221) 및 제 2 통신 제어기(122)(222)로 2개를 사용하는 것은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통신 제어기가 오동작을 할 경우에 대기하고 있던 다른 통신 제어기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use of two communication controllers 12 and 22 as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ler 121 and 221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controller 122 and 222 is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ake of stability, when one communication controller malfunctions,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to another communication controller which was waiting.

각각의 모듈(10)(20)에서는 많은 수의 입력 및 출력 신호를 사용하는 데 이들 신호중에서 아날로그 신호와 빠르게 처리해야 될 신호는 주제어기(10)(20)에 구비되어 있는 각각의 포트, 즉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2)와, 중앙 처리 장치의 처리를 거치지 않는 HSI 및 HSO 단자들에 연결되어 사용된다.Each module 10, 20 uses a large number of input and output signals, among which analog signals and signals that need to be processed quickly are the respective ports provided in the main controller 10, 20, i.e. It is used in connection with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32 and the HSI and HSO terminals that do not undergo processing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그 외의 신호들은 메모리 맵 입력/출력(memory mapped Input/Output) 방식을 사용하여 메모리/입력 및 출력 소자(31)로 입력/출력 포트를 확장하였다.The other signals were extended to the memory / input and output element 31 using the memory mapped input / output method.

메모리/입력 및 출력 소자(31)에서는 주제어기(11)(21)의 어드레스를 메모리/입력 및 출력 소자(31)인 'PSD302'에서 해독하여 제 1 통신 제어기(121)(221) 및 제 2 통신 제어기(122)(222)와, 각각의 아날로그 출력단에 출력 신호를 내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2)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도 함께 발생한다.In the memory / input and output element 31, the addresses of the main controllers 11 and 21 are decoded by the 'PSD302', which is the memory / input and output element 31, to be used for the first communication controller 121,221 and the second. Along with the communication controllers 122 and 222,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32 to be used for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to each analog output is also generated.

또한, 각각의 모듈(10)(20)은 자체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메모리/입력 및 출력 소자(31)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전원의 상태에 관계없이 모듈의 기본 기능을 기억하게 하였다.In addition, each module 10, 20 is stored in the memory / input and output elements 31 to perform its own function, so that the module's basic functions are stored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power supply.

본 발명은 전체 시스템의 구성에 있고, 현재 개별적인 모듈 구성 요소의 기능들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으며, 중장비 기능의 확장 및 변경을 충분히 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16비트 마이크로 프로세서인 인텔(intel)사의 '80C196KC'를 사용하여 엔진/유압 제어모듈(20)를 설계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16-bit microprocessor Intel'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hole system, and can perform faithfully the functions of the individual module components and expand and change the heavy equipment functions sufficiently.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was designed using 80C196KC '.

도 3에서는 운전모듈(10)과 엔진/유압 제어모듈(20)간에 전송되어야 할 신호를 보인 도표이다. 디지털 신호인 온/오프(ON/OFF)신호는 각각 1비트로 인식하고, 아날로그 신호의 경우는 현재 주제어기(11)(21)에 구비되어 있는 8비트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사용하여 256개의 해상도를 가지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전송한다.3 is a diagram show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between the operation module 10 and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The ON / OFF signal, which is a digital signal, is recognized as 1 bit each, and in the case of an analog signal, 256 resolutions are obtained by using an 8-bit analog / digital converter currently provided in the main controllers 11 and 21. Transmit after converting to digital signal with.

도 3a는 운전모듈(10)에서 엔진/유압 제어모듈(20)로 전송되는 신호를 보인 도표로서, 이는 주로 운전자를 위한 각종 편의장치 및 운행을 위한 전기 계통과 직접 연결된 것이다.3A is a diagram show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module 10 to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which is mainly directly connected to various convenience devices for the driver and an electric system for driving.

먼저, 중장비를 운전하여 소정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엔진을 구동시키는 시동 스위치를 온하면, 배터리 릴레이가 구동되어 연료 차단 솔레노이드에 전압을 걸고, 예열기의 제어기에 예열 시작신호를 주게 된다.First, when the start switch for driving the engine to start the predetermined operation by operating the heavy equipment, the battery relay is driven to apply a voltage to the fuel cut-off solenoid, giving a preheat start signal to the controller of the preheater.

브레이커 스위치는 암석을 부수는 작업을 하기 위하여 브레이커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킨다. 파워업스위치는 작업 도중에 파워를 잠시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되는 스위치이다. 연료 예열 스위치는 연료를 예열시키기 위해서 사용되고, 엔진속도 제어장치는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시켜 엔진의 회전수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붐 속도 제어장치는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시켜 붐을 상하로 움직이면서 좌우로 움직일 경우에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된다.The breaker switch activates the breaker solenoid to break the rock. The power-up switch is used when the power needs to be increased for a while. The fuel preheat switch is used to preheat the fuel and the engine speed control is used to generate an analog signal to control the engine speed. The boom speed controller generates an analog signal and is used to adjust the speed when the boom moves up and down while moving left and right.

작동되는 와이퍼모터 스위치, 워셔펌프 스위치, 주행독립 스위치, 브레이커 스위치 및 엔진시동 스위치의 신호를 입력받아 와이퍼 및 워셔펌프를 직접 구동시키고, +24V의 전원을, +12V으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엔진에 관련된 붐/스윙 회전속도, 스위치 보드신호, 연료가열 스위치 및 브레이커와 파워 업 등의 신호를 엔진/유압 모듈(20)로 전송한다.It receives the signals from the wiper motor switch, washer pump switch, independent driving switch, breaker switch and engine start switch, and directly drives the wiper and washer pump, and converts + 24V power to + 12V and outputs them. Signals such as boom / swing rotation speed, switch board signal, fuel heating switch and breaker and power up related to the engine are transmitted to the engine / hydraulic module 20.

도 3b는 엔진/유압 제어모듈(20)에서 운전모듈(10)로 전송하는 신호들을 보인 도표이다. 엔진/유압 제어모듈(20)로부터 엔진 및 펌프에 관련된 센서 신호를 전송받고, 음성 경보장치를 구동하여 운전자에게 엔진 및 펌프의 상태를 인식시키며, 운전모듈(10)의 클러스터에 표시한다. 수위 온도 측정기는 엔진의 냉각수 온도 센서로부터 냉각수의 온도 정보(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하여 게이지를 구동시키고, 음성 경보장치로 엔진이 과열되었음을 알린다. 시간 표시기는 아날로그 신호를 주파수/전압 변환기를 사용하여 장비의 가동시간을 보여준다.3B is a diagram show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to the operation module 10.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receives sensor signals related to the engine and the pump, drives a voice alarm device to recognize the state of the engine and the pump to the driver, and displays them on the cluster of the operation module 10. The water level temperature meter inputs coolant temperature information (analog signal) from the engine's coolant temperature sensor to drive the gauge and informs the engine that the engine has overheated with a voice alarm. The time indicator shows the equipment uptime using an analog signal with a frequency / voltage converter.

충전기는 변환기의 출력단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발전이 되지 않을 경우에 램프를 점등시키고, 음성 경보장치에 충전의 이상 여부를 출력하여 경보한다.The charger receives a signal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verter and turns on the lamp when there is no power generation.

예열기는 온도 센서로부터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고, 시동 스위치의 온/오프 신호와 시간 표시기의 신호를 받아 음성 경보장치로 예열이 다 되었음을 알린다.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기 센서의 압력이 높아지면 온상태로 되어 음성 경보장치에 이를 전송하게 된다.The preheater receives the on / off signal from the temperature sensor, receives the on / off signal of the start switch and the time indicator, and notifies the voice alarm that the preheat has been completed. The air purifier is turned on when the pressure of the air purifier sensor becomes high and transmits it to the voice alarm device.

도 3c는 엔진/유압 제어모듈(20)에서 운전모듈(10)로 전송하는 신호를 보인 도표이다.3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to the operation module 10.

중장비의 핵심 구성 부품인 엔진과 펌프에서, 엔진으로부터의 엔진 오일Engine oil from the engine, in engines and pumps as key components of heavy equipment

압력과, 레벨 엔진 냉각수 온도 및 레벨과, 엔진 예열 작동 상태와 같은 엔진에 관련된 신호와 유압에 관련된 충전지의 충전 상태, 잔존하는 연료량 등의 유압관련 신호들을 검출하여 이를 운전모듈로 전공한다. 엔진오일 압력스위치는 엔진 오일의 압력이 낮아지면 오프되어 표시기의 램프를 소등시키고, 음성경보 장치로 혼 멜로디를 출력한다.The engine detects the pressure, the level engine coolant temperature and level, the engine related signals such as the engine preheating operation state, and the hydraulic pressure related signals such as the state of charg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related to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amount of fuel remaining. The engine oil pressure switch is turned off when the pressure of the engine oil decreases to turn off the lamp of the indicator, and outputs the horn melody to the voice alarm device.

도 3d는 엔진/유압 제어모듈(20)이 운전모듈(10)로부터 전송받는 신호들을 보인 도표이다. 운전모듈(10)에서 스위치 보드, 엔진, 붐속도 제어신호, 펌프토출 압력신호, 엔진 회전수, 평상시 압력과 작업시의 압력 및 트로듈 위치센서들을 검출하여 장비의 작동과 관련된 엔진 제어량 및 펌프 토출유량 등을 제어한다.3D is a diagram illustrating signals that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receives from the operation module 10. The engine control amount and pump discharg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are detected by detecting the switch board, the engine, the boom speed control signal, the pump discharge pressure signal, the engine speed, the normal pressure and the working pressure and the trolley position sensors in the operation module 10. Control the flow rate, etc.

도 3에 기재된 각각의 신호들은 운전모듈(10) 및 엔진/유압 제어모듈(20)에 구비되어 있는 통신 제어기(12)(22)에서 도 4와 같이 패킷 데이터로 구성되어 전송된다.Each of the signals described in FIG. 3 is configured and transmitted as packet data as shown in FIG. 4 by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2 and 22 provided in the operation module 10 and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도 4에서는 도 3에서 정의한 신호들의 다중화 전송을 위하여 데이터를 할당된 크기의 수로 분할하고, 정해진 형식에 따라 형성한 데이터 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운전모듈(10)에서 엔진/유압 제어모듈(20)로 전송하는 패킷 데이터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FIG. 4 illustrates a data block formed by dividing data into a number of allocated sizes for multiplexed transmission of the signals defined in FIG. Figure 4a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module 10 to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여기서, 엔진속도 제어신호, 붐속도 제어신호 및 페달압력 센서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각각 0 5V까지 변환하는데 256가지의 분해능을 가지는 8비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거치도록 정의하였다. 이는 약 20mV의 분해능을 가지므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engine speed control signal, the boom speed control signal, and the pedal pressure sensor signal are defined as analog signals to undergo 8-bit analog / digital conversion with 256 resolutions for converting up to 0 5V, respectively. It has a resolution of about 20mV and can be used sufficiently.

그리고 시동 스위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3비트를 할당하고, 나머지 신호들은 온/오프에 의해 작동이 가능하므로 1비트씩 할당하였다. 프로그램상의 편의를 위하여 입력포트에 들어오는 8비트를 한 번에 읽어들여 패킷 데이터를 구성하였고, 현재는 사용되지 않으나 필요한 기능이 추가되어 운전모듈(10)에서 엔진/유압 제어모듈(20)로 전송되어야할 신호들은 위해 예비 비트를 할당하였다.In addition, the start switch allocates 3 bits according to the signal type, and the remaining signals are allocated by 1 bit because they can be operated by on / off. For the convenience of the program, packet data was configured by reading 8 bits inputted to the input port at one time. Currently, it is not used, but a necessary function has to be added and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module 10 to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Allocated spare bits for the signals to do.

이와 같이 정의된 패킷 데이터의 길이는 40비트로서 5바이크로 구성되고, 11개의 디지털 신호와 3개의 아날로그 신호로 구성된다.The packet data defined in this manner is composed of 5 bits as 40 bits, and is composed of 11 digital signals and 3 analog signals.

도 4b는 엔진/유압 제어모듈(20)에서 운전모듈(10)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의 구조를 보닌 것이다. 여기서 수위온도 센서와 주파수/전압 변환기를 통해 출력되는 R상의 나오는 시각파는 8비트를 할당하여 충분한 분해능을 갖도록 하였다.4b shows a structure of packet data transmitted from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to the operation module 10. Here, the visual wave coming out of R output through the water level temperature sensor and the frequency / voltage converter is allocated 8 bits to have sufficient resolution.

엔진오일 압력스위치는 고전위 및 저전위의 2상태 논리연산을 수행하기 위하여 1비트로 할당하였고, 그외의 신호들도 1비트씩 할당하였다.The engine oil pressure switch was assigned one bit to perform two-state logic operation of high potential and low potential, and other signals were also assigned one bit.

여기에서는 엔진/유압 제어모듈(20)에서 입력되는 신호들을 임의로 배열하였고 이와 같은 정의에 따라 패킷 데이터의 길이는 24비트 3바이트로서 7개의 디지털 신호의 2개의 아날로그 신호로 구성되고, 앞으로의 기능 확장을 위해 1비트의 예비 비트를 두었다.In this case, the signals input from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are arbitrarily arrang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the packet data has a length of 24 bits, 3 bytes, consisting of two analog signals of seven digital signals, and extended functions in the future. 1 bit is reserved for

운전모듈(10)과 엔진/유압 제어모듈(20)이 상호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도 4와 같이 정의된 패킷 데이터를 적절한 절차에 따라 송신 및 수신해야 된다.In order to transmit data between the operation module 10 and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packet data defined as shown in FIG. 4 must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ccording to an appropriate procedure.

도 5와 도 6은 운전모듈(10)과 엔진/유압 제어모듈(20)이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로서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하고 과정과, 운전모듈(10)과 엔진/유압 제어모듈(20)간의 데이터 통신에 있어 각 모듈(10)(20)의 고장이나 이상여부를 검출하는 기능을 통신 제어기(12)(22) 자체에서 수행한다. 이를 사용하므로써 본 발명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따른 에러를 줄이고,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5 and 6 are signal flow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operation module 10 and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perform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operation module 10 and the engine.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2 (22) itself performs a function of detecting a failure or abnormality of each module (10, 20) in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By using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errors in transmitting data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system.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0)에서 운전모듈(10) 및 엔진/유압 제어모듈(20)은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고, 단계(S11)에서 전송할 신호가 있을 경우에 도 4의 도표와 같이 패킷 데이터를 구성한다.In the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packet data, as shown in FIG. 5, the operation module 10 and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perform an initialization operation in step S10, and when there is a signal to be transmitted in step S11. In Fig. 4, packet data is constructed.

전송할 패킷 데이터가 구성되면, 단계(S12)에서 메모리 및 입력/출력소자(31)의 램의 일부 영역에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고, 단계(S13)에서 송신 버퍼의 사용 여부를 확인 즉, 통신 제어기(12)(22)의 송신 버퍼에 전송할 패킷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When the packet data to be transmitted is configured, the packet data is stored in some areas of the RAM of the memory and the input / output element 31 in step S12, and in step S13, whether the transmission buffer is used or not is used. 12)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packet data to be transmitted can be stored in the transmission buffer of (22).

이 때, 송신 버퍼에 먼저 저장되어 있는 패킷 데이터들이 모두 전송되지 않고, 대기하고 있을 경우에는 단계(S11)에서 다시 입력 신호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구성하는 과정부터 반복 수행하고, 송신 버퍼가 비어있어 사용이 가능할 경우에는 단계(S14)에서 전송할 패킷 데이터를 송신 버퍼에 저장한다.At this time, all the packet data stored in the transmission buffer is not transmitted first, and if it is waiting, the process is repeated from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packet data from the input signal again in step S11. If possible, the packet data to be transmitted is stored in the transmission buffer in step S14.

송신 버퍼에 전송할 패킷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면, 단계(S15)에서 송신 레지스터를 세트시켜 통신 제어기(12)(22)에 전송할 패킷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고, 통신 제어기(12)(22)에서는 이를 인식하여 다른 모듈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storage of the packet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buffer is completed, the transmission register is set in step S15 to inform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2 and 22 that there is packet data to be transmitted,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2 and 22 recognizes this. To transmit the packet data to another module.

통신 제어기(12)(22)에서는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고, 단계(S16)에서 패킷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다시 단계(S11)로 복귀하여 다음의 데이터를 전송할 준비를 한다.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2 (22) continues to transmit data, and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packet data is completed in step S16,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1 again to prepare for transmission of the next data.

운전 모듈(10)과 엔진/유압 제어보듈(20)은 상기한 도5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모듈(10)(20)간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게 되는 데, 데이터를 전송하는 도중에 에러가 발생하게 되면, 통신 제어기(12)(22)가 자체적으로 에러를 인식하고, 통신 제어기(12)(22)에 포함되어 있는 에러 카운터를 증가시키면서 패킷 데이터를 송신한 모듈에 에러가 발생한 패킷 데이터를 다시 전송하도록 요구한다.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는 모듈(10)(20)의 통신 제어기(12)(22)에서는 에러가 발생한 패킷 데이터의 재전송 요구가 입력되면, 그 패킷 데이터를 다시 수신측 모듈(10)(20)로 전송하고, 수신측의 통신 제어기(12)(22)에서는 재 전송된 패킷 데이터를 에러가 발생됨이 없이 수신하게 될 경우에 에러 카운터의 값을 감소시켜 가는 기능을 수행하므로써 전송상의 에러를 방지한다.The operation module 10 and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perform data transfer between the modules 10 and 20 by performing the same process as shown in FIG. 5, so that an error occurs during data transmission. If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2 (22) recognizes an error by itself, the error counter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2 (22) is increased and the error packet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is transmitted again to the module that has transmitted the packet data. To ask. In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2 (22) of the module 10 (20) for transmitting the packet data, when a request for retransmission of an errored packet data is input, the packet data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side module (10) 20 again.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2 (22) on the receiving side prevents transmission errors by performing a function of decreasing the value of the error counter when the retransmitted packet data is received without causing an error.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 모듈(10) 및 엔진/유압 제어모듈(20)의 주제어기(11)(21)는 단계(S20)에서 통신 제어기(12)(22)가 수신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지의 여부를 감시하여 수신된 패킷 데이터가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통신 제어기(12)(22)의 수신 버퍼에 패킷데이터가 입력되면, 통신 제어기(12)(22)는 수신 인터럽트를 주제어기(11)(21)로 출력하여 패킷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고, 주제어기(11)(21)에서는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단계(S21)에서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통신 제어기(12)(22)의 수신 버퍼에서 리드하여 메모리 및 입력/출력 소자(31)의 램에 저장하고, 단계(S22)에서 통신 제어기(12)(22)의 수신 레지스터를 세트시키며, 단계(S23)에서 주제어기(11)(21)는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해석하여 그에 따른 필요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6, the operation of receiving the packet data is performed by the main controller 11 and 21 of the operation module 10 and the engine / hydraulic control module 20. 22) monitors whether or not a receive interrupt is generated to check whether there is received packet data. When packet data is input to the reception buffer of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2 (22),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2 (22) outputs a reception interrupt to the master controller (11) 21 to inform that the packet data has been received, and the master controller. In the case of the interrupt signal (11) and (21), the packet data received in step S21 is read from the receiving buffer of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2 and 22 to the RAM of the memory and the input / output element 31 when the interrupt signal is generated. Save, set the receiving registers of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2, 22 in step S22, and in step S23 the main controller 11, 21 interprets the received packet data and performs the necessary functions accordingly. Done.

수신된 패킷 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되면, 통신 제어기(12)(22)의 수신 레지스터를 리세트시켜 다음의 패킷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processing of the received packet data is completed, the receiving registers of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2 and 22 are reset so that the next packet data can be received.

본 발명에서는 중장비의 제어 시스템을 2개의 모듈(10)(20)로 구분하므로 네트워크의 구조를 모듈(10)(20)별로 보게 되면, 포인트 투 포인트로 구성되어 있고, 통신 제어기(12)(22)로 CAN 콘트롤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면서 발생되는 에러를 하드웨어적으로 직접 처리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rol system of heavy equipment is divided into two modules 10 and 20, the structure of the network is viewed by the modules 10 and 20, and is composed of point-to-point, communication controllers 12 and 22. It plays a big role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the system by directly handling the errors generated during data communication using CAN controller.

그리고 메모리 및 입력/출력 소자(31)로 'PSD302'를 사용하므로 모듈(10)(20)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게 되고, 고장 진단 및 수리에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PSD302' is used as the memory and the input / output element 31, the configuration of the modules 10 and 20 becomes very simple, and provides convenience in troubleshooting and repairing the fault.

또한 시스템의 성능 향상과 기능의 추가를 위하여 모듈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 네트워크의 구조를 버스 형이나 스타 형으로 사용할 수 있고, 모듈의 설계를 변경할 경우에는 서로 다른 모듈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해당 모듈만을 변경하여 시스템을 재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number of modules is increased to improve system performance and add functions, the network structure can be used as bus type or star type, and if the module design is changed, it is not affected by different modules. Only changes can be made to reconfigure the system.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패킷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배선 선로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능의 확장이 매우 용이하게 되며, 조립이 편리하고 기능의 추가와 확장시 별도의 전신을 추가하지 않고, 해당되는 모듈만을 수정 설계하면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data in a packet transmission method so that the wiring line can be efficiently used, the function can be expanded very easily, and the assembly is convenient and additional functions are not added when adding and expanding the function. Only the relevant module needs to be modified.

그리고 각각의 모듈은 서로로 독립된 기능을 수행하면서 모듈간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므로 각각의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간단하고, 통합된 환경에서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며, 모듈화된 구조로 시스템을 정비할 경우에 각기 개별적인 모듈의 자체적 기능 진단과 원인 분석의 기능까지 수행하므로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조치방법까지 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each module performs the functions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shares the necessary information among the modules, it is simple to control each driving means, an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more efficient system in an integrated environment, and to maintain the system with a modular structure. In this case, each module's own function diagnosis and cause analysis can be performed, and even a fault can be suggested.

또한 각각의 모듈은 중장비가 위치된 장소에 관계없이 정상으로 동작하므로 작업 환경이나 기능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부착하여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구동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each module operates normally regardless of the location where the heavy equipment is located, so it can be attached to the proper location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or function to operate the system normally.

Claims (9)

중장비의 전장부를 설치된 위치 및 기능에 따라 각기 독립된 모듈로 구분하고, 각각의 독립된 모듈이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면서 정보를 공유하며, 각각의 독립된 모듈은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공유하는 정보에 따라 전장부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제어 시스템.According to the installed location and function of the heavy equipment, each module is divided into independent modules, and each independent module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o share information, and each independent module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input signal for sharing. Control system for heav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field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독립된 모듈은, 신호의 입력, 데이터 통신 및 전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기와, 상기 주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다른 독립된 모듈과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기와, 데이터를 입력 및 출력하는 입력/출력 포트와, 상기 주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처리할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입력 및 출력 소자(31)와, 상기 주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출력할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제어 시스템.The controller of claim 1, wherein the independent module includes a main controller for controlling signal input, data communication, and operation of an electric component, a communication controlle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nother independent modul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and inputting data. And an input / output port for outputting, a memory / input and output element 31 for storing and outputting data to be processed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and converting data to be output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into an analog signal. Control system for heav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digital to analog converter (32). 청구항 2에 있어서, 통신 제어기는 2개를 구비하고, 하나의 통신 제어기로 통신을 수행하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기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 다른 하나의 통신 제어기로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제어 시스템.The communication controll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comprises two, performs communication with one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nother communication controller when an error occurs in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performing communication. Heavy machinery control system.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은 전송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로 형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제어 시스템.The control system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ata communication forms and transmits transmission data as packet data.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은 광 화이버를 사용하고, 버스 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제어 시스템.The control system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a bus type using an optical fib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은 광 화이버를 사용하고, 스타 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제어 시스템.The control system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a star form using an optical fib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은, 전송할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로 형성하여 저장하고, 송신 버퍼의 사용이 가능할 경우에 상기 패킷 데이터를 송신 버퍼에 저장한 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제어 시스템.The control of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ata communication forms and stores the data to be transmitted as packet data, and stores the packet data in the transmission buffer and transmits the data when the transmission buffer is available. system.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은, 수신 인터럽트가 발생할 경우에 수신 패킷 데이터를 입력하고 수신 레지스터를 세트시킨 후 처리하며, 패킷 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될 경우에 수신 레지스터를 리세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제어 시스템.The dat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ata communication inputs received packet data when a reception interrupt occurs, sets a receiving register, and then processes the data, and resets the receiving register when the processing of the packet data is completed. Heavy machinery control systems. 청구항 8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패킷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여 재전송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제어 시스템.The control system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when an error occurs in the received data, a request for retransmission of packet data is received and retransmitted.
KR1019960045588A 1996-10-12 1996-10-12 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KR1004466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588A KR100446687B1 (en) 1996-10-12 1996-10-12 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588A KR100446687B1 (en) 1996-10-12 1996-10-12 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976A true KR19980026976A (en) 1998-07-15
KR100446687B1 KR100446687B1 (en) 2005-04-06

Family

ID=3730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588A KR100446687B1 (en) 1996-10-12 1996-10-12 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68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58B1 (en) * 2005-12-30 2008-01-17 화남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display and keypad of heavy equipment's operat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0658A (en) * 1985-09-04 1990-03-20 Eaton Leonard Technologies, Inc. Real time process controller with serial I/O bus
KR100188886B1 (en) * 1995-08-31 1999-06-01 토니 헬샴 Decentralization control system for heavy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58B1 (en) * 2005-12-30 2008-01-17 화남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display and keypad of heavy equipment's opera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6687B1 (en)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59420B2 (en) System for integrating a plurality of modules using a power/data backbone network
JP4785680B2 (en) Wireless electrical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ry and maintenance system using the same
CN101728725B (en) Pluggable bases with different levels of redundancy
JP4704073B2 (en) Connec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equipment
JPS6189144A (en) Trouble diagnosing apparatus for car
CN101793944A (en) Fault simulation system used for developing, marking and testing battery management system
EP1248713B1 (en) Current distribution system for a vehicle
JP6607903B2 (en) System for operating a boat equipped with an electric motor
US6411866B1 (en) Digital transmission and control system for vehicles
WO1990002366A1 (en) System for diagnosing cnc
KR19980026976A (en) Heavy equipment control system
CN210534551U (en) Control system capable of directly driving actuating mechanism and control switch panel
US8406927B2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drilling devices
CN2864760Y (en) Monitoring circuit board for diesel engine
JP3385828B2 (en)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equipment
KR100188886B1 (en) Decentralization control system for heavy equipment
JPH08136411A (en) Failure diagnostic equipment
JPH04275740A (en) On-vehicle multiplex transmission device
CN211856899U (en) Automatic parking auxiliary positioning equipment
CN220234721U (en) Protocol conversion system and generator set parallel controller
CN216118498U (en) Extended monitoring device for contactor, contactor assembly and monitoring system
CN215927577U (en) Electronic control marine engine rotating speed control system
KR200267251Y1 (en) water supply control system employing multi-motor
CN111724609A (en) Traffic sig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30062100A (en) device and method for action controlling of car using Local Net 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