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6856U - 공기관을 내장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공기관을 내장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6856U
KR19980026856U KR2019960039770U KR19960039770U KR19980026856U KR 19980026856 U KR19980026856 U KR 19980026856U KR 2019960039770 U KR2019960039770 U KR 2019960039770U KR 19960039770 U KR19960039770 U KR 19960039770U KR 19980026856 U KR19980026856 U KR 199800268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ir tube
tube
float
upper r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9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택
Original Assignee
박민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택 filed Critical 박민택
Priority to KR2019960039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6856U/ko
Publication of KR199800268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85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뚜껑부의 상측 후측에 공기관을 뚜껑 입구부와 일체와 형성 설치하고 이 공기관을 용기내부 후측상부로 연장시켜서 되는 공기관을 내장하는 용기임.
공기관은 폴리에틸렌관 등을 사용하여 용기 뚜껑 입구부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부착하고 이 관을 용기내부 후측 상부로 연장시켜 고정 부착시키거나 또는 부구(플로오트)를 사용 공기관이 내용물 위에 떠오르게 하여 내용물을 따를 때 외부 공기가 들어가서 원활하게 배출된다.

Description

공기관을 내장하는 용기
본 고안은 주로 액체를 담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뚜껑부의 입구에 공기관을 일체로 설치한, 공기관을 내장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액체를 담는 용기에는 뚜껑이 하나 뿐이며, 이 뚜껑을 열고 내용물을 사용할 때, 내용물을 따르기가 어려우며, 꿀렁 꿀렁하여 쏟아지기 일쑤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예의 구성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기2. 입구부3. 공기관
본 고안은 용기뚜껑부의 상부 후측에 공기관을 뚜껑 입구부와 일체로 형성 설치하고 이 공기관을 용기내부 후측상부로 연장시켜서 되는 공기관을 내장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때, 공기관은 폴리에틸렌관 등을 사용하여 용기 뚜껑 입구부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부착하고 이 관을 용기내부 후측 상부로 연장시켜 고정 부착시키거나 또는 부구(플로오트)를 사용하여 공기관이 내용물 위에 떠오르게 한다.
본 고안을 양호한 실시예의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용기(1)의 상부 뚜껑 입구부(2)의 뒤쪽에 PE로 형성된 공기관(3)을 입구부(2)와일체로 형성한다. 이 공기관(3)을 용기 내부 후측 상부(4)로 연장시켜 고정부착수단(5)으로 부착시키거나(제2도 참조) 또는 부구(6)를 사용하여(제1도 참조) 공기관(3)이 내용물(9) 위로 떠오르게 한다. 미설명 부호(8)은 마개 캡이다.
이리하여 본 고안 용기에 내장되는 공기관은 내용물을 쏟아 낼 때 원활하게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게 되어 용기에 담긴 내용물이 꿀렁 꿀렁 흔들리거나 튀지 않고 방출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 예를 들면 말통, 기름통 등의 상부뚜껑부의 입구에 공기관을 일체로 설치하여 용기에서 내용물을 따를 때 원활하게 따루어 지도록 하기 위한 공기관을 내장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Claims (1)

  1. 용기(1)의 상부 뚜껑 입구부(2)의 뒤쪽에 공기관(3)을 입구부(2)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공기관(3)을 용기내부 후측 상부(4)로 연장시켜서 된 공기관을 내장하는 용기
KR2019960039770U 1996-11-13 1996-11-13 공기관을 내장하는 용기 KR199800268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770U KR19980026856U (ko) 1996-11-13 1996-11-13 공기관을 내장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770U KR19980026856U (ko) 1996-11-13 1996-11-13 공기관을 내장하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856U true KR19980026856U (ko) 1998-08-05

Family

ID=5398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9770U KR19980026856U (ko) 1996-11-13 1996-11-13 공기관을 내장하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685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403406T2 (de) Flaschenfilter und Ausgiessvorrichtung
KR890012867A (ko) 자가배수용기 및 패키지
ATE260822T1 (de) Ausgiesser für flüssigkeitsbehälter
KR20050097517A (ko) 병의 스파우트
FR2732880B1 (fr) Recipient culinaire avec couvercle presentant une fonction de versage
KR19980026856U (ko) 공기관을 내장하는 용기
US5765604A (en) Gasoline spill eliminator
DE60015876D1 (de) Ausgusstülle zur Befestigung an einem Behälter
YU49152B (sh) Posuda za piće sa siskom na otvaranje i podnožje za ulaganje ispod poklopca
US4105148A (en) Self-venting spout
JPH09118338A (ja) 吸気口を備えた壜およびその補助口
EP0662914B1 (en) Vessel for containing liquid
US5794824A (en) Vessel for containing liquid
RU2002116662A (ru) Пробка для разлива вязких жидкостей
AU2002211595B2 (en) Barrel-like container with cover designed for complete drainage
EP0767104A1 (en) Container
KR910001907Y1 (ko) 물통의 뚜껑
ES1039082U (es) Recipiente perfeccionado para liquidos.
ES2138766T3 (es) Recipiente de fundicion y dispositivo de fundicion que lo emplea.
KR970042281A (ko) 정수 공급 장치
KR200184657Y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KR950000627Y1 (ko) 액체수납용기
JPH0986579A (ja) ポンプ容器
KR200206990Y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
KR950000527A (ko) 액체 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