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6752U - Automatic ejection device for finished workpiece - Google Patents

Automatic ejection device for finished workpie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6752U
KR19980026752U KR2019960039654U KR19960039654U KR19980026752U KR 19980026752 U KR19980026752 U KR 19980026752U KR 2019960039654 U KR2019960039654 U KR 2019960039654U KR 19960039654 U KR19960039654 U KR 19960039654U KR 19980026752 U KR19980026752 U KR 199800267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spring
guide
floating locator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965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53196Y1 (en
Inventor
한연순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60039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196Y1/en
Publication of KR199800267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75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196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6Ej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pu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Turning (AREA)

Abstract

서브 스핀들에서 배면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을 콜릿 척의 언클램프와 동시에 신속히 배출되게 하여 가공 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의 자동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서브 스핀들 내부 측에 공작물을 배출하는 플로팅 로케이터(floating locator)와, 상기 플로팅 로케이터와 나사 결합되어 플로팅 로케이터의 전후진을 가이드 하는 푸시 로드와, 상기 플로팅 로케이터와 푸시 로드를 안내하는 푸시 로드 가이드와, 상기 푸시 로드 가이드와 나사 결합되어 스프링이 설치되는 스프링 홀더와, 상기 스프링 홀더의 단 부에 조절 너트로 조립되어 스프링을 안내하고 플로팅 로케이터의 장력을 조절하는 스프링 가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provides an automatic ejection device for finished workpieces that improves productivity through shortening of machining time by quickly discharging the workpiece with the rear machining completed on the sub spindle simultaneously with the unclamp of the collet chuck. A floating locator, a push rod that is screwed with the floating locator to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loating locator, a push rod guide that guides the floating locator and the push rod, and a screw coupled with the push rod guide. The spring holder is installed with the spring, and the end of the spring holder is assembled with an adjustment nu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pring guide for guiding the spring and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floating locator.

Description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의 자동 배출 장치Automatic ejection device for finished workpiece

본 고안은 선반에 설치되어 배면 가공을 하는 서브 스핀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브 스핀들에서 배면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을 콜릿 척에서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의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pindle installed on a lathe for back machin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ejection device for a finished workpiece that enables the collet chuck to automatically eject a workpiece having completed back-processing from the sub spindle.

일반적으로 CNC 선반 가공에서 주축대에서 전면 가공을 하고 배면 가공까지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심압대의 위치에 서브 스핀들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in the CNC lathe machining, the sub spindle is installed at the tailstock position in order to perform the front machining at the headstock and the back machining at the same time.

다시 말해서, 주축대에서 공작물의 전면을 가공하고 난 다음 서브 스핀들이 보디 측에 설치된 볼 스크루에 의해 주축대 측으로 이송하여 서브 스핀들의 전면에 설치된 콜릿 척이 공작물의 전면을 클램핑시킨 후 볼 스크루의 역동작에 의해 서브 스핀들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배면 가공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fter machining the front side of the workpiece on the spindle, the sub spindle is transferred to the spindle side by a ball screw installed on the body side, and the collet chuck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sub spindle clamps the front side of the workpiece. By operation, the sub spindle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performs back machining.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서브 스핀들을 통해 공작물의 배면 가공이 완료되면, 콜릿 척이 언클램프된 이후 손으로 공작물을 파지하여 배출하였다.Conventionally, when the back surface of the workpiece is completed through the sub spindle as described above, the collet chuck is unclamped and then the workpiece is gripped and discharged by hand.

상기와 같이 서브 스핀들에서 배면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을 수작업에 의해 배출시킴으로서 가공 시간의 지연 및 손으로 공작물을 배출함에 따른 안전에 위험이 있어 왔다.As described above, by manually discharging the workpiece having completed the back surface processing on the sub spindle, there is a risk of delay in machining time and safety of discharging the workpiece by hand.

따라서 본 고안은 배면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을 콜릿 척의 언클램프와 동시에 자동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서 가공 시간의 단축 및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machining time and safety accidents by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 workpiece is completed with the back clamp unclamping at the same time.

도 1은 본 고안의 공작물 자동 배출 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the automatic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작용 상태도.2 is a state diagram of the operation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서브 스핀들12 : 콜릿 척10: sub spindle 12: collet chuck

14 : 플로팅 로케이터16 : 푸시 로드14: floating locator 16: push rod

18 : 푸시 로드 가이드24 : 스프링18: push rod guide 24: spring

26 : 스프링 홀더28 : 조절 너트26: spring holder 28: adjustment nut

30 : 스프링 가이드32 : 핀30: spring guide 32: pin

34 : 가이드 홈36 : 보디34: guide groove 36: body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서브 스핀들 내부 측에 공작물을 배출하는 플로팅 로케이터(floating locator)와, 상기 플로팅 로케이터와 나사 결합되어 플로팅 로케이터의 전후진을 가이드 하는 푸시 로드와, 상기 플로팅 로케이터와 푸시 로드를 안내하는 푸시 로드 가이드와, 상기 푸시 로드 가이드와 나사 결합되어 스프링이 설치되는 스프링 홀더와, 상기 스프링 홀더의 단 부에 조절 너트로 조립되어 스프링을 안내하고 플로팅 로케이터의 장력을 조절하는 스프링 가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 floating locator for discharging the workpiece inside the sub-spindle, and a screw coupled with the floating locator to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loating locator A rod, a push rod guide for guiding the floating locator and a push rod, a spring holder screwed with the push rod guide and a spring installed thereon, and an adjustment nut at the end of the spring holder to guide and float the spring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pring guide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locator.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공작물 자동 배출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용 상태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utomatic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스핀들(10)의 내부 측에 콜릿 척(12)에 있는 공작물(W)과 접촉되는 플로팅 로케이터(14)를 설치하고, 이 플로팅 로케이터(14)의 후단부를 통해 푸시 로드(16)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플로팅 로케이터(14)를 전후진 안내되게 하고, 상기 플로팅 로케이터(14)와 푸시 로드(16)를 안내하는 푸시 로드 가이드(18)를 전방에 형성된 나사부를 통해 너트(20) 및 볼트(22)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하고, 상기 푸시 로드 가이드(18)의 후방부를 통해 나사 결합되어 스프링(24)이 설치되는 스프링 홀더(26)를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 홀더(26)의 단 부에 조절 너트(28)로 조립되어 스프링(24)을 안내하고 플로팅 로케이터(14)의 장력을 조절하는 스프링 가이드(30)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As shown, a floating locator 14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ub spindle 1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W in the collet chuck 12, and push rods 16 through the rear end of the floating locator 14. The screw 20 to guide the floating locator 14 back and forth, and the push rod guide 18 for guiding the floating locator 14 and the push rod 16 through a nut formed through the nut 20. And a spring holder 26 fixed with the fixing means of the bolt 22 and screwed through the rear portion of the push rod guide 18 to install the spring 24, and the end of the spring holder 26. It is configured by installing a spring guide 30 for guiding the spring 24 and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floating locator 14 is assembled to the adjustment nut 28 in the part.

상기에서 플로팅 로케이터(14)와 나사 결합된 푸시 로드(16)가 푸시 로드 가이드(18)에서 직선 운동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푸시 로드 가이드(18)에 핀(32)이 설치되고, 푸시 로드(16)에 상기 핀(32)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34)이 형성되어 있다.The pin rod 32 is installed on the push rod guide 18 so that the push rod 16 screwed with the floating locator 14 ensures linear motion in the push rod guide 18, and the push rod 16 ), A guide groove 34 for guiding the pin 32 is 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공작물 배출 장치는 플로팅 로케이터(14)와 푸시 로드(16) 및 스프링 가이드(30)는 전후진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고, 나머지 푸시 로드 가이드(18)와 스프링 홀더(26)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립되어 있다.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sembled with the floating locator 14, the push rod 16, and the spring guide 30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remaining push rod guide 18 and the spring holder 26. ) Is assembled to remain fix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물(W)이 콜릿 척(12)에 물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플로팅 로케이터(14)와 푸시 로드(16)가 전진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플로팅 로케이터(14)의 전면 위치는 대략 콜릿 척(12)의 전단면과 일치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floating locator 14 and the push rod 16 are in an advanced state when the workpiece W is not bitten by the collet chuck 12. At this time, the front position of the floating locator 14 approximately coincides with the front face of the collet chuck 12.

도 2는 공작물 배출장치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실선으로 표시된 플로팅 로케이터(14)와 푸시 로드(16)의 위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콜릿 척(12)이 공작물(W)을 물기 전 상태이고, 가상선으로 표시된 플로팅 로케이터(14)와 푸시 로드(16)는 콜릿 척(12)이 공작물(W)을 물어 클램핑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2 shows the working state of the workpiece discharging device, and the positions of the floating locator 14 and the push rod 16 indicated by solid lines are as described above before the collet chuck 12 bites the workpiece W. The floating locator 14 and the push rod 16, which are represented by phantom lines,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collet chuck 12 is clamped by biting the workpiece W.

즉, 도시되지 않은 주축대에서 공작물(W)의 전면을 가공하고 난 다음 서브 스핀들(10)이 보디(36) 측에 설치된 볼 스크루(도시생략)에 의해 주축대 측으로 이송하여 서브 스핀들(10)의 전면에 설치된 콜릿 척(12)이 공작물(W)의 전면을 클램핑시키게 된다. 이때, 공작물(W)이 콜릿 척(12) 내로 삽입되면서 공작물(W)이 플로팅 로케이터(14)를 밀어 후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플로팅 로케이터(14)와 함께 후진된 푸시 로드(16)에 의해 스프링(24)은 압축되어 스프링(24)의 압축력을 유지하게 된다.(도 2 가상선 참조)That is, after machining the front surface of the workpiece (W) in the spindle not shown, the sub spindle 10 is transferred to the spindle head side by a ball screw (not shown) installed on the body 36 side to the sub spindle 10 The collet chuck 12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clamping the front of the workpiece (W). At this time, the workpiece (W) is inserted into the collet chuck 12 and the workpiece (W) pushes the floating locator 14 to the reverse. Accordingly, the spring 24 is compressed by the push rod 16 retracted together with the floating locator 14 to maintain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24 (see FIG. 2).

이후, 볼 스크루의 역동작에 의해 서브 스핀들(1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공작물(W)의 배면 가공을 실시하여 가공이 완료되어 콜릿 척(12)의 언클램프 동작을 취하게 되면, 이와 동시에 스프링(24)의 반발력에 의해 푸시 로드(16) 및 플로팅 로케이터(14)가 전진하여 플로팅 로케이터(14)와 접촉되어 있던 공작물(W)을 콜릿 척(12)의 밖으로 배출시키게 된다.(도 2 실선 참조)Subsequently, when the sub spindle 1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verse action of the ball screw and performs the back machining of the work W, the machining is completed and the unclamping operation of the collet chuck 12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push rod 16 and the floating locator 14 are advanced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spring 24 to discharge the work W, which has been in contact with the floating locator 14, out of the collet chuck 12. 2 see solid line)

한편 플로팅 로케이터(14)의 이송거리는 푸시 로드(16)의 길이를 조정하여 설정할 수 있고, 공작물(W)의 배출을 위한 스프링(24)의 장력 조절은 조절 너트(28)에 의해 조절이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feeding distance of the floating locator 14 may be set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push rod 16, and the tension of the spring 24 for discharging the work W is adjusted by the adjusting nut 28.

또한 상기 플로팅 로케이터(14)와 푸시 로드(16) 및 스프링 홀더(26)의 부품들은 센터를 중심으로 중공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하여 이 중공부를 통해 압축 공기 또는 유체를 불어넣어 공작물(W)의 가공시 칩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mponents of the floating locator 14, the push rod 16 and the spring holder 26 have a hollow shape around the center, compressed air or fluid is blown through the hollow part to process the workpiece W.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chip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면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을 콜릿 척의 언클램프와 동시에 배출장치에 의해 신속히 배출시킴으로서 가공 시간을 단축시키고, 아울러 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chining time and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advance by quickly discharging the workpiece having the back processing completed by the discharge device at the same time as the unclamping of the collet chuck.

서브 스핀들에서 배면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을 콜릿 척의 언클램프와 동시에 신속히 배출되게 하여 가공 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의 자동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o provide an automatic ejection device for a finished workpiece that improves productivity through shortening of machining time by allowing the finished workpiece to be ejected at the same time from the sub spindle at the same time as the unclamp of the collet chuck.

Claims (5)

서브 스핀들(10)의 내부 측에 콜릿 척(12)에 있는 공작물(W)과 접촉되는 플로팅 로케이터(14)를 설치하고, 이 플로팅 로케이터(14)의 후단부를 통해 푸시 로드(16)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플로팅 로케이터(14)를 전후진 안내되게 하고, 상기 플로팅 로케이터(14)와 푸시 로드(16)를 안내하는 푸시 로드 가이드(18)를 전방에 형성된 나사부(18a)를 통해 고정 수단으로 고정하고, 상기 푸시 로드 가이드(18)의 후방부에 나사 결합되어 스프링(24)이 설치되는 스프링 홀더(26)를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 홀더(26)의 단 부에 조립되어 스프링(24)을 안내하는 스프링 가이드(30)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의 자동 배출 장치.On the inner side of the sub spindle 10 is installed a floating locator 14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W in the collet chuck 12, and screwing the push rod 16 through the rear end of the floating locator 14. To guide the floating locator 14 back and forth, and to secure the push rod guide 18 for guiding the floating locator 14 and the push rod 16 with a fixing means through a screw portion 18a formed at the front. And a spring holder 26, which is screw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push rod guide 18 and installed with a spring 24, is assembled to an end of the spring holder 26 to guide the spring 24. Automatic discharge device of the finished work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guide 30 is installed and configur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16)가 푸시 로드 가이드(18)에서 직선 운동하기 위해 상기 푸시 로드 가이드(18)에 핀(32)을 설치하고, 이와 대응되는 푸시 로드(16)에 가이드 홈(3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의 자동 배출 장치.The pin rod (32) of the push rod guide (18) for the linear movement of the push rod guide (18) and the push rod (16) corresponding thereto. Automatic discharge device of the finished work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34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플로팅 로케이터(14)의 이송거리는 이와 나사 결합된 푸시 로드(16)의 길이 조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의 자동 배출 장치.2. The automatic dispensing device for machining finished work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ying distance of the floating locator (14) is mad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push rod (16) screwed thereto. 제 1항에 있어서, 스프링 홀더(26)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 가이드(30)의 일단부에 조절 너트(28)를 설치하여 상기 조절 너트(28)의 조정에 의해 스프링(24)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의 자동 배출 장치.The tension nut of the spring 24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djustment nut 28 by installing the adjustment nut 28 at one end of the spring guide 30 installed in the spring holder 26. Automatic ejection device of the finished workpie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압축 공기 또는 유체를 서브 스핀들(10) 내로 공급하기 위해 플로팅 로케이터(14)와 푸시 로드(16) 및 스프링 홀더(26)의 부품을 중공 형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의 자동 배출 장치.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onents of the floating locator 14, the push rod 16, and the spring holder 26 are hollowed out to supply compressed air or fluid into the sub spindle 10. Automatic ejection of the finished workpiece.
KR2019960039654U 1996-11-12 1996-11-12 Automatic processed workpiece discharge device KR20015319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654U KR200153196Y1 (en) 1996-11-12 1996-11-12 Automatic processed workpiece dischar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654U KR200153196Y1 (en) 1996-11-12 1996-11-12 Automatic processed workpiece discharg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752U true KR19980026752U (en) 1998-08-05
KR200153196Y1 KR200153196Y1 (en) 1999-08-02

Family

ID=1947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9654U KR200153196Y1 (en) 1996-11-12 1996-11-12 Automatic processed workpiece discharg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19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596B1 (en) 2006-04-25 2007-06-14 (주)마이키 Workpiece discharge device for a machine to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596B1 (en) 2006-04-25 2007-06-14 (주)마이키 Workpiece discharge device for a machine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3196Y1 (en)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4618B2 (en) Numerically controlled lathe with guide bush, and method of processing workpiece by using the numerically controlled lathe
KR20090106230A (en) Autometically extracting type chuck for a lathe
EP0385315B1 (en) Remaining bar material machining method for NC lathe
KR200153196Y1 (en) Automatic processed workpiece discharge device
KR20160106416A (en) Length adjustment structure of machine workpiece
JP2007118163A (en) Lathe
JP2656759B2 (en) High precision nut manufacturing equipment
JP2001025902A (en) General purpose jig for lathe machining and machining method as its application
JPH0790405B2 (en) Deep hole machining method
JP2003211335A (en) Work support device for machine tool
CN213794250U (en) Feeding device on numerical control lathe
KR102626345B1 (en) Chucking Devices for CNC Lathes
KR200142428Y1 (en) Work clamping feed device for machine tool
KR0177625B1 (en) Work stack devcie of cnc lathe sub spindle
KR20050066714A (en) Spindle collet mechanism for hallow taper shank tool
RU1811441C (en) Collet
KR890008892Y1 (en) Automatic chip removing device of nc lathe
JP3296029B2 (en) Collet type chuck device
KR200142427Y1 (en) Work clamping feed device for machine tool
JPH07246504A (en) Processing method for pipe bar material and its device
KR200261176Y1 (en) Workpiece ejecting apparatus for sub- spindle unit
KR100203810B1 (en) Work device of cnc lathe
KR920004013Y1 (en) Vise
JPS6216247Y2 (en)
KR890003722Y1 (en) Work clamping device in nc lath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