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6022U -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6022U
KR19980026022U KR2019960038874U KR19960038874U KR19980026022U KR 19980026022 U KR19980026022 U KR 19980026022U KR 2019960038874 U KR2019960038874 U KR 2019960038874U KR 19960038874 U KR19960038874 U KR 19960038874U KR 19980026022 U KR19980026022 U KR 199800260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ydration
food waste
lid
main bod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8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이동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헌 filed Critical 이동헌
Priority to KR2019960038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6022U/ko
Publication of KR199800260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02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음식물 찌꺼기는 악취 발생과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하여 탈수하여 매립할 것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음식물 찌꺼기를 탈수하여 매립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압축식 및 원심식 탈수방법은 음식물 찌꺼기에 대한 탈수에는 부적합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지지대에 회동 전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에 배수구가 배수밸브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얹혀지며 상부가 개방되고 다수개의 탈수공이 천공된 탈수용기와; 상기 탈수용기의 상부를 덮는 뚜껑과; 상기 탈수용기와 뚜껑의 사이에 설치되어 그 내부를 상부의 가압공간과 하부의 음식물 찌꺼기 투입공간으로 구획하는 가요성 압착막과, 상기 뚜껑과 가요성 압착막사이의 가압공간에 연결되는 가압수단과; 상기 본체와 탈수용기사이의 감압공간에 연결되는 감압수단을 구비하여서 되는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로서, 점도가 높은 음식물 찌꺼기를 포함한 음식물 찌꺼기의 탈수가 효과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압착막에 의하여 전면적으로 압착하는 것이므로 그 압축단면적이 넓어 많은 양의 음식물 찌꺼기를 탈수하는 경우에도 전체적으로 균일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본 고안은 물기가 많은 음식물 찌꺼기를 압축하여 물기를 탈수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식물 찌꺼기는 대부분이 젖은 찌꺼기이며, 이와 같이 젖은 찌꺼기를 그대로 매립할 경우 악취가 발생되고, 많은 양의 침출수가 발생되어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 지방자치화가 정착되는 과정에서 쓰레기 매립장이 있는 자치체에서는 젖은 쓰레기의 매립은 물론 그 반입을 차단하고 있어 사회적 문제점으로 드러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젖은 쓰레기를 압축식 탈수방법이나 원심식 탈수방법에 의하여 탈수하여 매립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압축식 탈수방법과 원심식 탈수방법에서는 우리나라와 같이 밥이나 국수 등 점도가 높은 음식물 찌꺼기기 다량 배출되는 경우에는 탈수망이 막히기 쉬울 뿐만 아니라 음식물 찌꺼기 자체가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탈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많은 양을 탈수할 경우에는 탈수망까지의 거리가 먼곳에 위치하고 있은 음식물 찌꺼기는 거의 탈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탈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무리하게 압력을 가하는 경우 탈수망이 파손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점도가 높은 음식물 찌꺼기를 포함한 음식물 찌꺼기의 탈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압축단면적이 넓어 많은 양의 음식물 찌꺼기를 탈수하는 경우에도 전체적으로 균일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의 종단면도.
도 2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의 1차 탈수과정을 보인 종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의 2차 탈수과정을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지지대20:본체
21:배수구22:배수밸브
30:탈수용기40:뚜껑
50:가요성 압착막60:가압수단
70:감압수단80:압축공기 배기밸브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지대에 회동 전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에 배수구가 배수밸브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얹혀지며 상부가 개방되고 다수개의 탈수공이 천공된 탈수용기와; 상기 탈수용기의 상부를 덮는 뚜껑과; 상기 탈수용기와 뚜껑의 사이에 설치되어 그 내부를 상부의 가압공간과 하부의 음식물 찌꺼기 투입공간으로 구획하는 가요성 압착막과; 상기 뚜껑과 가요성 압착막사이의 가압공간에 연결되는 가압수단과; 상기 본체와 탈수용기사이의 감압공간에 연결되는 감압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0)에 지지되며, 하단에 형성된 배수구(21)가 배수밸브(22)로 개폐되는 깔데기형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지지되며 다수개의 탈수공(31)이 천공된 다공성 탈수용기(30)와, 상기 탈수용기(30)의 상부에 씌워지는 뚜껑(40)과, 상기 탈수용기(30)와 뚜껑(40)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의 가압공간(S1)과 하부의 음식물 찌꺼기 투입공간(S2)로 구획하는 가요성 압착막(50)과, 상기 뚜껑(40)과 압착막(50)사이의 공간부(S1)에 연결되는 가압수단(60)과, 상기 본체(20)와 탈수용기(30)사이의 감압공간(S3)에 연결되는 감압수단(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는 안전된 자세로 세워질 수 있는 프레임(11)과, 이 프레임(11)의 양측 상단에 본체(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힌지축(12)을 가지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상기 본체(20)는 탈수된 수분이 배수구(11)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추면(錐面)을 가지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주벽 상단 양측에는 상기 지지대(10)의 힌지축(1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힌지부(23)를 가진다. 상기 힌지축(12)과 힌지부(23)의 구조는 본체(20)를 완전히 뒤집을 수 있는 구조로 한다. 또한 본체(20), 탈수용기(30), 뚜껑(40), 압착막(50) 등 전체의 무게중심은 상기 힌지축(12)와 힌지부(23)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체(20)의 주벽 상단측 내주면에는 상기 탈수용기(30)를 걸쳐놓을 수 있도록 내측 플랜지부(24)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21)에 설치되는 배수밸브(22)로서는 수동개폐밸브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주벽 상단측에는 상기 뚜껑(40)을 잠그기 위한 다수개의 잠금수단(25)이 설치된다. 여기서 잠금수단(25)으로서는 통상적으로 용기의 뚜껑을 잠그는 데 사용되는 토글클램프형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탈수용기(30)는 다수개의 탈수공(31)이 천공되는 소재를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로 오목한 그릇 모양으로 형성한 것으로, 외주면 상단에는 상기 본체(20)의 내측 플랜지부(24)에 걸쳐질 수 있도록 외측 플랜지부(32)를 가진다.
상기 탈수공(31)은 윗부분이 좁고 아랫부분이 넓은 역삼각형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40)은 판재를 상부로 볼록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잠금수단(25)이 걸리는 걸림부(41)가 형성된다.
상기 탈수용기(30)와 뚜껑(40)사이에 설치되는 가요성 압착막(50)은 고무와 같이 비통기성과 가요성 및 복원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가장자리에는 상기 탈수용기(30)의 외측 플랜지부(32)에 얹혀짐과 아울러 상면에 상기 뚜껑(40)의 가장자리가 얹혀지는 기밀유지부(51)를 가진다.
상기 기밀유지부(51)는 단순히 평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례와 같이 상면이 오목한 홈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이 홈에 뚜껑(4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수단(60)은 통상적인 콤프레서가 사용되며, 뚜껑(40)에 형성된 압축공기 유입구(42)에 호스 등의 연결관(61)으로 연결된다.
상기 감압수단(70)은 통상적인 진공펌프가 사용되며, 본체(20)의 주벽에 형성된 진공배기구(26)에 호스 등의 연결관(71)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뚜껑(40)의 상면에는 탈수완료 후 뚜껑(40)과 압착막(50)사이의 가압공간(S1)의 압축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기구(43)가 천공되고 이 배기구(43)에는 압축공기 배기밸브(80)가 설치된다.
상기 배기밸브(80)는 가압수단(60)의 오동작으로 가압공간(S1)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 압축공기를 배기할 수 있는 안전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하여 음식물 찌꺼기를 탈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음식물 찌꺼기(1)를 투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잠금수단(25)을 해제하고 뚜껑(40)을 개방하고 압착막(50)을 꺼낸 상태에서 탈수용기(30)내에 음식물 찌꺼기(1)를 투입한다.
이때, 음식물 찌꺼기(1)는 그 자체 그대로 투입하거나 비닐봉투에 담긴 경우에는 비닐봉투에 구멍을 내어 투입할 수 있으며, 또는 음식물 찌꺼기(1)를 망사로 된 자루에 넣어 투입할 수도 있다.
음식물 찌꺼기(1)의 투입이 완료되면 탈수용기(30)을 압착막(50)으로 덮어 압착막(50)의 기밀유지부(51)가 탈수용기(30)의 내측 플랜지부(32)에 얹혀지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압착막(50)위에 뚜껑(40)을 덮어 그 가장자리가 기밀유지부(51)위에 얹혀지도록 한 다음, 잠금수단(25)을 뚜껑(40)의 걸림부(41)에 걸어 잠그는 것에 의하여 뚜껑(40)과 압착막(50)사이의 가압공간(S1)과 탈수용기(30)와 압착막(50)사이의 음식물 찌꺼기 투입공간(S)이 압착막(50)에 의하여 기밀한 상태로 차단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1차 탈수공정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0)의 하단에 설치된 배수밸브(22)를 개방하고, 그 하부에 수거용기(9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압수단(60)을 가동시켜 압축공기가 연결관(61)을 통하여 뚜껑(40)과 압착막(50)사이의 가압공간(S1)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가압공간(S1)에 압축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그 가압공간(S1)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착막(50)은 하방으로 팽창하면서 그 하부에 있는 음식물 찌꺼기(1)를 압착하게 된다.
압착막(50)에 의한 압착력에 의하여 음식물 찌꺼기(1)로부터 나오는 수분은 본체(20)와 탈수용기(30)사이의 감압공간(S3)으로 배출되고, 여기서 본체(20) 하단의 배수구(21)를 통하여 그 하부에 놓여진 수거용기(90)에 떨어져 수거된다.
1차 탈수공정이 완료되면, 가압수단(60)의 가동을 중지하고, 2차 탈수공정으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밸브(22)를 잠그고, 감압수단(70)를 가동시키면, 본체(20)와 탈수용기(30)사이의 감압공간(S3)의 공기가 진공배기구(26)와 연결관(71)을 통하여 배기되면서 상기 감압공간(S3)내의 압력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감압공간(S3)내부의 압력이 저하되면, 탈수용기(30)내의 음식물 찌꺼기(1)에 대한 진공흡입력에 의하여 탈수가 이루어져 본체(20)내에 수분이 고이게 된다.
2차 탈수공정이 완료되면, 배수밸브(22)를 열어 본체(20)에 고여 있는 수분이 배수구(21)를 통해 수거용기(90)로 떨어져 회수되도록 한다.
배수가 완료되면, 압축공기 배기밸브(80)를 개방하여 가압공간(S1)내의 압축공기를 배출하여 대기압상태로 되도록 한 다음, 잠금수단(25)를 해제하고 뚜껑(40)과 압착막(50)를 들어내고, 힌지축(12)과 힌지부(23)를 중심으로 하여 본체(20)와 탈수용기(30)를 전도(顚倒)시켜 탈수된 음식물 찌꺼기를 취출한다.
이상에서는 탈수과정을 가압수단(60)에 의한 1차 탈수공정과 감압수단(70)에 의한 2차 탈수공정으로 구분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로써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가압수단(60)과 감압수단(70)을 동시에 가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가압에 의한 탈수작용과 감압에 의한 탈수작용에 의하여 상승 효과를 얻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는 탈수용기와 뚜껑 사이에 압착막을 사용하고 그 윗부분에 대한 가입 과/또는 아랫부분에 대한 감압에 의하여 압착막에 의하여 음식물 찌꺼기를 전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여 탈수하는 것이므로 점도가 높은 음식물 찌꺼기를 포함한 음식물 찌꺼기의 탈수가 효과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압착막에 의하여 압착하는 것이므로 그 압축단면적이 넓어 많은 양의 음식물 찌꺼기를 탈수하는 경우에도 전체적으로 균일한 탈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지지대에 회동 전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에 배수구가 배수밸브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얹혀지며 상부가 개방되고 다수개의 탈수공이 천공된 탈수용기와; 상기 탈수용기의 상부를 덮는 뚜껑과; 상기 탈수용기와 뚜껑의 사이에 설치되어 그 내부를 상부의 가압공간과 하부의 음식물 찌꺼기 투입공간으로 구획하는 가요성 압착막과; 상기 뚜껑과 가요성 압착막사이의 가압공간에 연결되는 가압수단과; 상기 본체와 탈수용기사이의 감압공간에 연결되는 감압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뚜껑사이에는 뚜껑을 본체에 대하여 견고하게 잠글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압축공기 배기밸브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KR2019960038874U 1996-11-07 1996-11-07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KR199800260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874U KR19980026022U (ko) 1996-11-07 1996-11-07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874U KR19980026022U (ko) 1996-11-07 1996-11-07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022U true KR19980026022U (ko) 1998-08-05

Family

ID=5398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8874U KR19980026022U (ko) 1996-11-07 1996-11-07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602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173B1 (ko) * 2007-05-02 2007-09-12 양현식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공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173B1 (ko) * 2007-05-02 2007-09-12 양현식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공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6022U (ko)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JPH10235218A (ja) 生ごみ処理機
KR200454709Y1 (ko) 씽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KR200453545Y1 (ko) 변기압축 기능이 부가된 좌변기
US3984320A (en) Vacuum filter leg for clarifying vessel
KR19980063642U (ko) 싱크대의 개수대용 잔반 탈수장치
KR100723358B1 (ko) 싱크대에 적합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
JPS6022953Y2 (ja) 洗濯機の絞り機
CN108217022B (zh) 一种抽气压缩垃圾桶
KR200255822Y1 (ko) 주방쓰레기의 탈수장치
KR101203878B1 (ko) 쓰레기의 탈수 시스템 및 방법
KR100189497B1 (ko) 잔반 탈수장치
KR20100063318A (ko) 복합식 방사성 폐기물 압축기 및 이의 압축방법
KR101696542B1 (ko)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JP4037980B2 (ja) 濡れ傘脱水装置
KR200168309Y1 (ko) 싱크대용 잔반 압축장치
KR102655017B1 (ko)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쓰레기 압착 및 탈수장치
JPH0315277Y2 (ko)
KR20090009581A (ko) 좌변기용 밀폐식 압축기
KR200161687Y1 (ko) 씽크대의 오물 탈수장치
KR20110039263A (ko) 블래더를 구비한 탈수 장치
KR200276642Y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97286A (ko) 진공 흡입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9990000301U (ko)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음식쓰레기 탈수기
JP2511998Y2 (ja) 真空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