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451U -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451U
KR19980025451U KR2019960038246U KR19960038246U KR19980025451U KR 19980025451 U KR19980025451 U KR 19980025451U KR 2019960038246 U KR2019960038246 U KR 2019960038246U KR 19960038246 U KR19960038246 U KR 19960038246U KR 19980025451 U KR19980025451 U KR 199800254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attached
support
barrel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8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수
Original Assignee
김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수 filed Critical 김재수
Priority to KR2019960038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5451U/ko
Publication of KR199800254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45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65F1/143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having a waste receptacle withdrawn upon opening of the en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92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safety means, e.g. for children trapped inside the refuse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각 구성 부품들을 분리할 수 있어 이동시키기에 편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광고물을 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통을 쉽게 이탈시킬 수 있어 쓰레기 수거가 용이하고 우천시에 빗물이 들어가지 않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소정 높이에 걸림 부재가 부착되어 있고 필요한 장소에 세워둘 수 있는 지주, 걸림부재에 착탈 가능케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단에는 뚜껑 결합부와 걸림단이 형성되어 있는 통 및 뚜껑 결합부에 회동 가능케 결합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돌기를 기준으로 일측이 무겁게 구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측은 걸림단에 걸리어 무거운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쓰레기통에 관한 고안.

Description

쓰레기통
본 고안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동인구가 많은 버스 정류장 횡단보도 부근, 공원 등에 설치되어 행인이나 행락객 등이 휴지를 비롯한 각종 쓰레기를 버릴 수 있도록 해주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가 등 사람이 많이 다니는 장소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쓰레기통이 설치되어 있는데 그 일례를 제1도를 통해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 쓰레기통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 쓰레기통(10)은 받침판(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받침판(12)은 대부분 콘크리트로 만들며 무게가 많이 나간다. 이 받침판 위에는 두 개의 지주(14)가 나란하게 세워져 있다. 지주(14)의 상단에는 수평되게 돌기(16)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16)에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18)이 부착되어 있다. 통(18)은 상단이 돌기(16)에 지지되어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는 데, 이는 통(18)에서 쓰레기를 수거할 때 통(18)만은 회동시켜 내용물을 쏟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통(10)은 무거워서 이동시키기가 어려우며 통(18)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쓰레기 수거 시에 통(18)을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자리에서 회동시켜 내용물을 길바닥 또는 소정 용기에 쏟아 부은 다음 이를 다시 쓰레기 수거차로 옮겨야 하는 등 불편함이 매우 크다. 그 외 우천 시에는 빗물이 쓰레기통으로 들어가 내부에 고여 내용물을 부패시키고 청소하기도 곤란하게 만든다는 단점도 있다.
제1도에 나타낸 것 외에 통을 직육면체로 구성하고 상면에 재떨이를 설치한 것이 있으나 이 역시 제1도 쓰레기통과 동일한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쓰레기가 채워지는 형태에 따라 통이 한 쪽으로 기울어지고 또한 재떨이도 기울어져 통의 개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다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각 구성 부품들을 분리할 수 있어 이동시키기에 편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광고물을 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통을 쉽게 이탈시킬 수 있어 쓰레기 수거가 용이하고 우천 시에 빗물이 들어가지 않는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쓰레기통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2도 지지판의 단면도,
제4도는 제2도 통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뚜껑 결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제5도는 제2도 뚜껑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의 단면도,
제6도는 제2도 뚜껑의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의 결합 사시도이고
제8도는 제7도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지지판112,154:돌출부
113,155:나사공116:쐐기
120:지주122:나사구멍
124:볼트126:걸림부재
128:홈130:통
132:걸림턱133:목
134:날개136:뚜껑 결합부
138:걸림단139:쓰레기 투입구
140:뚜껑142:장공
144:돌기147:받침판
150:광고대152:몸통
156:테두리
본 고안의 목적은 쓰레기통에 있어서, 소정 높이에 걸림부재가 부착되어 있고 필요한 장소에 세워둘 수 있는 지주, 걸림부재에 착탈 가능케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단에는 뚜껑 결합부와 걸림단이 형성되어 있는 통 및 뚜껑 결합부에 회동 가능케 결합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돌기를 기준으로 일측이 무겁게 구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측은 걸림단에 걸리어 무거운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제2도에는 지지판(1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지지판(110)의 상면은 곡면을 이루고 있으며 그 상면에는 위쪽으로 돌출되게 돌출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12)로는 무게의 경감을 위해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 돌출부(112)에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나사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110)의 하면에는 쐐기(116)가 부착되어 있다. 이 쐐기(116)는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부착되어 있으며 땅에 박히어 지지판(110)에 측 방향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지지판(110)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지지판(110)의 단면 모습은 제3도를 보면 알 수 있다.
지지판(110) 위쪽에는 지주(12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지주(120)로는 돌출부(112)를 내부로 삽입할 수 있는 직경의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지주(120)의 상단과 하단에는 2개씩의 나사구멍(1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웃하는 두 나사구멍(122)의 간격은 돌출부(112)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113)의 배치간격과 동일하여야 된다. 이 나사구멍(122)은 볼트(124)를 이용하여 돌출부(112)등과 결합하고 또한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지주(120)에는 걸림부재(126)가 부착되어 있다. 이 걸림부재(126)는 하단이 지주(12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상부는 지주(120)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어 얇은 물체를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좌·우 중앙부에는 위쪽이 개방된 상·하 방향의 긴 홈(128)이 형성되어 있다.
지주(120) 옆쪽에는 통(130)이 도시되어 있다. 이 통(130)은 휴지 등 쓰레기가 투입되는 곳으로 외주면에는 걸림턱(132)이 결합되어 있다. 이 걸림턱(132)은 걸림부재(126)의 홈(128)에 삽입되는 목(133)과 목(133)에 연결되고 걸림부재(126)와 지주(120)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날개(134)를 구비하고 있다. 즉, 걸림턱(132)은 위에서 아래쪽으로 끼우므로써 걸림부재(126)에 걸리게 되어 있고,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위쪽으로 이동시켜 걸부재(126)에서 이탈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130)의 상단에는 뚜껑 결합부(136)와 걸림단(138)이 설치되어 있다. 뚜껑 결합부(136)는 그 위쪽에 도시된 뚜껑(140)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된 홈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고, 걸림단(138)은 뚜껑 결합부(136)에 결합된 뚜껑(140)이 한쪽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뚜껑 결합부(136)는 제4도에 확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통(130)의 일측에는 휴지 등 쓰레기를 쉽게 통(13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해주는 쓰레기 투입구(139)가 설치되어 있다.
뚜껑(140)은 대략 원판모양을 하고 있으며 담뱃재를 털 수 있도록 해주는 다수의 장공(14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장공(142) 아래쪽으로는 장공(142)을 통해 떨어지는 담배꽁초, 담뱃재 등을 일시적으로 받쳐주기 위한 받침판(147)이 전면에서 뒤쪽으로 연장되어 대량 수평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는 담뱃재 등이 통(130) 내부로 떨어져 화재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치우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뚜껑(140)은 하면 양측에 마주보고 부착된 돌기(144)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144)는 뚜껑 결합부(136)에 삽입되어 뚜껑(140)을 회동 가능케 지지하여 주는 것으로 수직 방향의 치수보다 수평 방향의 치수가 큰 장타원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돌기(144)의 단면모습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돌기(144)를 이와 같이 구성하면 결합 시에는 뚜껑(140)을 약 90°정도로 세운 상태에서 돌기(144)를 뚜껑 결합부(136)에 삽입하고 돌기(144)가 뚜껑 결합부(136)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다시 원래의 수평상태로 복귀시켜야 한다. 이렇게 해두면 뚜껑(140)이 수평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뚜껑(140)을 통(130)에서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뒤쪽으로 90°회동시켜 뚜껑을 세운 다음 위쪽으로 들어올려야 된다. 이러한 뚜껑(140)은 양쪽 돌기(144)를 기준으로 앞쪽이 무겁게 구성되어 있어 항상 앞쪽으로 기울어지려고 하는 상태를 유지하며, 뒤쪽 끝단 부근은 걸림단(138)에 걸리어 뚜껑(140)이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뚜껑(140)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뚜껑(140)의 돌기(144)뒤쪽 부분을 누르면 뚜껑(140)은 뒤쪽으로 기울어진다.
지주(120)위쪽에는 광고대(15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광고대(150)는 시정광고 등을 게시해두고 또한 빗물이 통(1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몸통(152)과 몸통(152)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154) 및 몸통(152) 상면에 열고 닫을 수 있게 결합되는 테두리(156)로 구성되어 있다. 광고대(150)의 돌출부(154)에는 일정 간격으로 나사공(155)이 형성되어 있어 광고대(1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154)는 지주(1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파이프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제3도는 제2도 지지판의 단면도이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110)은 소정 직경의 원호형태의 단면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중앙부 하면에 쐐기(116)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쐐기(116)의 하단부는 땅에 박히어 지지판(1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판(11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지주의 하단에 결합되는 돌출부(112)가 설치되어 있다.
제4도는 제2도 통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뚜껑 결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제5도는 제2도 뚜껑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결합부(136)는 통(130)의 상면에서 역 T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제5도 단면모양을 갖는 돌기(144)가 삽입된 후에는 수평상태로는 빠지지 않도록 해준다. 물론, 뚜껑 결합부(136)와 돌기(144)는 필요에 따라 여타의 다른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6도는 제2도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40)에는 장공(142)이 형성되어 있고 장공(142) 아래쪽으로는 받침판(147)이 수평 되게 설치되어 있다. 받침판(147)은 담뱃재 등이 통 내부로 직접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뚜껑(140)의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치우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의 결합 사시도이고, 제8도는 제7도 쓰레기통의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7,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110)의 돌출부(112)는 지주(120)의 하단에 삽입되어 볼트(124)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지주(120)의 높낮이 조정은 볼트(124)를 풀고 자주(120)의 높이를 맞춘 다음 제2도에 도시된 나사공(122)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면 된다.
지주(120)의 외주면에 부착된 걸림부재(126)에는 통(13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걸림턱(132)이 위쪽으로부터 삽입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통(130)을 위쪽으로 들어올리면 통(130)은 지주(120)에서 쉽게 이탈되고, 결합은 그 역과정으로 하면 된다. 즉, 통(130) 내부에 있는 내용물을 수거하기가 매우 편리하다.
뚜껑(140)은 평상시에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제7도상태에서 담뱃재 등은 장공(142)을 통해서 통(130) 내부로 수거되고, 휴지등 일반 쓰레기는 쓰레기 투입구(139)를 통해 투입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뚜껑(140)의 뒤쪽부분을 눌러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통(130)내부로 휴지 등을 투입하여도 된다. 휴지 등을 투입 후 뚜껑(140)을 놓으면 뚜껑(140)은 자중에 의해 제7도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때 뚜껑(140)의 뒤쪽 끝단은 걸림단(138)에 걸리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뚜껑(140)을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뚜껑(140)을 뒤쪽으로 90°회전시킨 다음 위쪽으로 잡아당기면 되고, 결합 시에는 그 역과정으로 하면 된다.
지주(120) 상단에는 광고대(150)가 결합되어 있다. 이 광고대(150)는 시정홍보, 시민의식 개혁 등 공익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광고물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열고 닫을 수 있는 테두리(156)를 부착하여 액자형으로 구성하였다. 그 광고대(150)는 우천시에 통(130)으로 빗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광고대(150) 역시 볼트(124)를 이용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은 지지판(110), 지주(120), 통(130), 광고대(150) 등을 쉽게 분해, 결합할 수 있어 옮기기에 편하며 하나의 구성부품이 파손되더라도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통(130)의 착탈이 아주 간단하여 통(130) 내부에 있는 쓰레기의 수거가 아주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우천 시에는 광고대(150)가 통(130)으로 들어가는 빗물을 막아주므로 통(130)내부에 물이 거의 고이지 않는다. 그외 공익광고 등 필요한 각종 광고를 게재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이에 더하여 통(130)이 한쪽으로 기울어진다 하더라도 뚜껑(140)은 항상 닫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내부의 쓰레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Claims (4)

  1. 쓰레기통에 있어서,
    소정 높이에 걸림 부재가 부착되어 있고 필요한 장소에 세워둘 수 있는 지주;
    상기 걸림부재에 착탈 가능케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단에는 뚜껑 결합부와 걸림단이 형성되어 있는 통; 및
    상기 뚜껑 결합부에 회동 가능케 결합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돌기를 기준으로 일측이 무겁게 구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측은 걸림단에 걸리어 무거운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상단에는 광고물을 넣어둘 수 있는 광고대가 높이 조절 가능케 설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상기 지주가 높이 조정 가능케 결합될 수 있게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와 땅에 박히어 상기 지주가 넘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쐐기를 갖는 지지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하단이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상부는 상기 지주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좌·우 중앙부에 위쪽이 개방된 상·하 방향의 긴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홈에 삽입되는 목과 상기 목에 연결되고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지주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날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결합부는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구성된 홈이며, 상기 돌기는 수직 방향의 치수보다 수평 방향의 치수가 크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KR2019960038246U 1996-11-04 1996-11-04 쓰레기통 KR199800254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246U KR19980025451U (ko) 1996-11-04 1996-11-04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246U KR19980025451U (ko) 1996-11-04 1996-11-04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451U true KR19980025451U (ko) 1998-08-05

Family

ID=5398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8246U KR19980025451U (ko) 1996-11-04 1996-11-04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545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741A (ko) * 2001-10-10 2003-04-16 이재복 높이 및 입구 크기 조절이 가능한 쓰레기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741A (ko) * 2001-10-10 2003-04-16 이재복 높이 및 입구 크기 조절이 가능한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4729A (en) Molded plastic mailbox
US3306486A (en) Waste receptacle
EP0249619B1 (fr) Mobilier urbain d'au moins six faces publicitaires avec receptacles tels que poubelles ou boite a lettre et jardinieres
US4339048A (en) Garbage bag holder
US5772063A (en) Waste receptacle with changeable art display capability
US4741494A (en) Universal garbage can holder
US5678757A (en) Mailbox unit
KR19980025451U (ko) 쓰레기통
US4694972A (en) Apparatus for refuse collection and disposal
JPH03238201A (ja) ごみ容器
US5908132A (en) Trash receptacle with advertisement display
US7171968B1 (en) Cigarette disposal assembly
KR101712058B1 (ko) 부착형 분리 수거함
US5454535A (en) Lawn refuse bag holder
KR920006886Y1 (ko) 쓰레기통
FR2646837A1 (fr) Corbeille a papier cylindrique
EP0777620B1 (en) Waste container
KR101883293B1 (ko) 음식물쓰레기통 거치장치
KR960009364Y1 (ko) 쓰레기통
KR940007983Y1 (ko) 쓰레기통
US20100038370A1 (en) Garbage container and holder therefore
JP2005213022A (ja) 連結自在・着脱式分別用ごみ箱
KR200230021Y1 (ko) 기둥구조물에 부착되는 다기능 쓰레기통
KR980008052U (ko) 전신주에 매달아 사용하는 쓰레기통
KR200243909Y1 (ko) 공중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