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279U - Wiper blade carrier - Google Patents

Wiper blade car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279U
KR19980025279U KR2019980007983U KR19980007983U KR19980025279U KR 19980025279 U KR19980025279 U KR 19980025279U KR 2019980007983 U KR2019980007983 U KR 2019980007983U KR 19980007983 U KR19980007983 U KR 19980007983U KR 19980025279 U KR19980025279 U KR 199800252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arrier
support
wiper blade
suppor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98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길선
Original Assignee
신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길선 filed Critical 신길선
Publication of KR19980025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279U/en

Link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윈드 실드 스크린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지지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길이를 임의로 신축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상된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재사용할 수 있으며, 캐리어의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r blade carrier for supporting a wiper blade assembly for wiping a wind shield screen, which can be easily combined and detached, can be arbitrarily adjusted in length, and can reuse a damaged wiper blade assembly. The aim is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f the system.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와이퍼 아암에 중간부가 결합됨과 아울러 양단에 핀 파지고리(13)들이 차례로 형성된 지지아암(1)과; 상기 지지아암의 핀 파지고리에 결합되는 결합핀부(31)가 중간부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양단에 블레이드 파지고리(35,35)가 형성된 양쪽 지지링크홀더(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지지아암(1)과 지지링크홀더(3)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링크홀더(5)가 더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핀부 및 핀 파지고리의 채용에 의하여 캐리어를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리어의 길이를 임의로 신축조절할 수 있다. 또한, 착탈 및 신축조절 구조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7)의 손상된 부분을 절단하여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리어가 일부 구성요소가 손상된 경우 손상된 구성요소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support arm (1), which is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to the wiper arm and the pin grip ring (13) is formed in turn at both ends; The coupling pin portion 31 coupled to the pin grip of the support arm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middle portion, and comprises both support link holders 3 and 3 having blade grips 35 and 35 formed at both ends thereof.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connection link holder 5 may be further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arm 1 and the support link holder 3. Therefore, by employing the coupling pin portion and the pin grip ring, not only the carrier can b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but also the length of the carrier can be arbitrarily adjusted. In addition, by the detachable and elastic structure, not only the damaged part of the wiper blade assembly 7 can be cut and reused, but also the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because only the damaged component needs to be replaced when the carrier is damaged. .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Wiper blade carrier

본 고안은 자동차의 윈드 실드 스크린에 접촉하여 이를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지지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쉽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하여 조립을 쉽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캐리어의 길이를 임의로 신축조절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r blade carrier for supporting a wiper blade assembly which contacts and wipes a windshield screen of an automobile, and in particular,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can be easily assembled and separated by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detached and combined. A wiper blade carrier can be arbitrarily adjusted.

일반적으로 와이퍼 시스템은 와이퍼 모터와, 상기 와이퍼 모터에 의하여 크랭크 운동을 하도록 이루어진 링크와, 상기 링크에 하단이 연결되어 좌우선회하는 와이퍼 아암과, 상기 와이퍼 아암의 자유단에 중앙부가 결합되어 와이퍼 아암의 선회에 따라 좌우선회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와, 그리고 상기 캐리어에 윈드 실드 스크린과 접촉하도록 결합되어 윈드 실드 스크린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Generally, a wiper system includes a wiper motor, a link configured to crank by the wiper motor, a wiper arm connected to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link, and a center portion coupled to a free end of the wiper arm. And a wiper blade assembly that swings from side to side in pivot, and a wiper blade assembly coupled to the carrier in contact with the wind shield screen to wipe the wind shield screen.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는 양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결합홈이 캐리어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캐리어와는 반대쪽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2결합홈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제2결합홈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윈드 실드 스크린과 접촉하는 쪽에 세척리브가 형성된 고무재 블레이드를 가진다.The wiper blade assembly includes a support member in which a first coupling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ends is slidably coupled to the carrier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carrier, the second coupling groove being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It has a rubber blade formed with cleaning ribs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wind shield screen.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는 와이퍼 아암에 중간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아암과; 상기 지지아암의 양단에 중간부가 각각 스윙가능하게 결합되고, 바깥쪽 단부에 각각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양쪽 제1결합홈을 슬라이딩가능하게 파지하기 위한 파지고리가 형성된 제1링크홀더 및 제2링크홀더와; 상기 링크홀더들의 각 안쪽 단부에 중간부가 스윙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에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양쪽 제1결합홈을 슬라이딩가능하게 파지하기 위한 파지고리가 각각 형성된 제3링크홀더 및 제4링크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wiper blade carrier includes a support arm detachably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wiper arm; A first link holder and a second link holder having an intermediate portion swing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arm, respectively, and having grippers for slidingly holding both first coupling grooves of the blade supporting member at outer ends thereof; ; A third link holder and a fourth link holder, each of which has an intermediate portion swingably coupled to each inner end of the link holders, and grippers for slidingly holding both first coupling grooves of the blade supporting member, respectively; Is done.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캐리어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결합할 경우 제1링크홀더의 파지고리에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양쪽 제1결합홈 끝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우고 다음에 제3링크홀더 및 제4링크홀더의 파지고리들, 제2링크홀더의 파지고리에 차례로 양쪽 제1결합홈의 끝을 슬라이딩 결합하면 블레이드 지지부재가 캐리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 지지부재를 캐리어에 결합하면, 지지부재의 일단에 설치된 후크의 양쪽 파지고리가 제2링크홀더의 파지고리에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걸리는 상태에 놓이므로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가 분리할 수 없는 상태로 고정된다.When the wiper blade assembly is coupled to the carrier made as described above, both ends of the first coupling grooves of the blade supporting member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gripper of the first link holder, and then the third link holder and the fourth link holder Sliding coupling the ends of both first coupling grooves in turn to the gripping rings, the gripping links of the second link holder, the blade support member can be coupled to the carrier. When the blade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the carrier as described above, the wiper blade assembly is inseparable because both grips of the hook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are caught from the outside to the gripper of the second link holder. It is fixed.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분리할 경우에는 후크의 파지고리들을 서로 안쪽으로 누르면 이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제2링크홀더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므로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wiper blade assembly is removed, the grippers of the hooks are pressed inwards to each other, thereby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second link holders and thus removing the wiper blade assembly.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와이퍼 시스템에 따르면, 비가 올 경우 와이퍼 모터를 구동하면 링크의 크랭크 운동에 의하여 와이퍼 아암이 좌우선회하고 이에 따라 캐리어 및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도 함께 좌우선회함으로써 블레이드의 윈드 실드 스크린에 대한 접촉이동에 의하여 윈드 실드 스크린을 흐르는 빗물을 닦아 자동차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wiper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iper motor is driven in the rain, the wiper arm is turned left and right by the crank movement of the link, and thus the carrier and the wiper blade assembly are also turned left and right to contact the windshield screen of the blade. As a result of the movement,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windshield screen is cleaned to secure a forward view of the vehicl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에 있어서는, 지지아암에 대한 제1링크홀더 및 제2링크홀더의 결합구조와, 제1링크홀더 및 제2링크홀더에 대한 제3링크홀더 및 제4링크홀더의 결합구조가 공히 핀결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조립하는 일이 힘들고, 뿐만 아니라 이들을 서로 분리하는 일은 더욱 힘들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iper blade carrier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link holder and the second link holder to the support arm, and the third link holder and the fourth link to the first link holder and the second link holder, respectively. Sinc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holders is all made of pin coupling, it is difficult to assemble them together, as well as to separate them from each other.

따라서, 캐리어를 구성하는 어느 한 구성요소가 손상되었을 경우에는 손상된 구성요소를 교환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캐리어 자체를 교환해야만 하므로 자원낭비를 초래하게 된다.Therefore, when any one component constituting the carrier is damaged, it is impossible to replace the damaged component, and thus, the carrier itself must be replaced, resulting in waste of resources.

또한, 제1링크홀더 및 제2링크홀더의 안쪽에 제3링크홀더 및 제4링크홀더가 결합됨으로써 캐리어의 길이는 제1링크홀더 외측단 및 제2링크홀더의 외측단 사이의 거리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캐리어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차량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른 길이 및 크기를 가진 캐리어를 사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도 각 캐리어에 알맞는 규격을 가진 것을 사용해야만 한다. 이러한 점 때문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의 끝단 일부분이 손상된 경우 손상된 부분을 절단하여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 전체를 교환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third link holder and the fourth link holder are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link holder and the second link holder, the length of the carrier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first link holder and the outer end of the second link holder. 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carrier cannot be arbitrarily adjusted. Therefore, in addition to using a carrier having a different length and size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vehicle, the wiper blade assembly must also use a standard having a size suitable for each carrier. Because of this, if the end portion of the wiper blade assembly is damaged, the damaged part cannot be cut and used, so the entire wiper blade assembly must be replaced.

또한, 종래 캐리어는 전체 구성요소들이 공히 금속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무게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가격도 비싸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arrier is not only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vehicle, but also expensive because all components are made of metal.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per blade carrier that can be easily coupled and detache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길이를 임의로 신축조절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per blade carrier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length.

본 고안 또 다른 목적은 손상된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리어의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per blade carrier which can not only reuse the damaged wiper blade assembly, but als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f the carrier.

본 고안의 부가적인 목적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무게를 줄임과 아울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addition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per blade carrier which can be made of synthetic resin to reduce the weight of the vehicle and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와이프 블레이드 캐리어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iper blade assembly is coupled to a wipe blade carri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iper blade assembly.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가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per blade assembly is supported by a wiper blad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per blade assembly is coupled to the wiper blade carr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per blade assembly is coupled to the wiper blade carrier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다.6 is a partial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iper blade assembly is coupled to the wiper blade carrier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지지아암 3 : 지지링크홀더1: support arm 3: support link holder

5 : 연결링크홀더 7 :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5: link link holder 7: wiper blade assembly

11, 32, 52 : 노치부 12 : 연결부재11, 32, 52: notch 12: connecting member

13, 56 : 핀 파지고리 31, 51 : 핀결합부13, 56: pin grip ring 31, 51: pin coupling portion

33, 53 : 결합핀 35, 55 : 블레이드 파지고리33, 53: coupling pin 35, 55: blade gri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는, 와이퍼 아암에 중간부가 결합됨과 아울러 양단에 핀 파지고리들이 차례로 형성된 지지아암과; 상기 지지아암의 핀 파지고리에 스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핀부가 중간부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양단에 블레이드 파지고리가 형성된 양쪽 지지링크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iper blad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arm is coupled to the middle of the wiper arm and the pin grip ring is formed on both ends; A coupling pin portion that is swingably coupled to the pin grip of the support arm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middle portion, and comprises both support link holders formed with blade grips at both ends.

상기 블레이드 파지고리들은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면서 하단이 안쪽으로 굴곡된 2개의 돌기로 이루어짐으로써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양쪽 결합홈을 착탈 및 슬라이딩가능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blade grips are formed by two projections having a lower end bent inward while facing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both coupling grooves of the blade support member can be detachably and slidably gripped.

상기 핀 파지고리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호형 돌기로 이루어지고, 이들 호형돌기들은 탄력성을 가짐으로써 결합핀부를 착탈가능하게 파지할 수 있다.The pin gripping ring is formed of two arc-shaped protrusions fac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se arc-shaped protrusions can be detachably gripped by the coupling pin part by having elasticity.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는, 와이퍼 아암에 중간부가 결합됨과 아울러 양단에 핀 파지고리가 차례로 형성된 지지아암과; 상기 지지아암의 핀 파지고리에 스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핀부가 중간부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바깥쪽 단부에 핀 파지고리가 형성됨과 아울러 안쪽 단부에는 블레이드 파지고리가 형성된 양쪽 연결링크홀더와; 그리고, 상기 연결링크홀더의 핀 파지고리에 스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핀부가 중간부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 블레이드 파지고리가 차례로 형성된 양쪽 지지링크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iper blad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arm is coupled to the middle of the wiper arm and the pin grip ring is formed on both ends; Both connecting link holders having a coupling pin portion that is swingably coupled to the pin gripper of the support arm in a width direction at a middle portion thereof, having pin grips formed at an outer end thereof, and blade grips formed at an inner end thereof; In addition, the coupling pin portion that is swingably coupled to the pin grip of the connection link holder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middl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both support link holders formed with blade grips in turn at both ends.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캐리어의 규격에 따라 상기 연결링크홀더와 지지링크홀더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링크홀더가 더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부가되는 연결링크홀더의 결합핀부를 지지아암에 결합된 연결링크홀더의 핀 파지고리에 결합하고, 지지링크홀더의 결합핀부를 부가되는 연결링크홀더의 핀 파지고리에 결합함으로써 연결링크홀더가 더 부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connection link holder may be further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on link holder and the support link holder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carrier. In this case, the coupling link holder is coupled to the pin grip of the coupling link holder coupled to the support arm, and the coupling pin holder of the coupling link holder is coupled to the pin grip of the coupling link holder to be added. May be further added.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에 의하면, 지지아암의 핀 파지고리들에 양쪽 지지링크홀더들의 결합핀부들을 끼우기만 하면 캐리어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캐리어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또한, 캐리어의 길이를 늘이고자 할 경우에는 지지아암에 연결링크홀더들을 차례로 결합한 다음 양쪽의 최종 연결링크홀더에 양쪽 지지링크홀더를 결합함으로써 캐리어의 길이를 간단하게 늘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리어를 조립한 다음 와이퍼 아암에 캐리어를 결합하고, 다음에 각 블레이드 파지고리에 차례로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양쪽 결합홈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결합한다.According to the wiper blade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the carrier because the carrier can be assembled simply by inserting the coupling pins of both support link holders to the pin grips of the support arm.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carrier, the length of the carrier can be simply increased by combining the link link holders in turn with the support arms, and then combining the support link holders with both end link link holders. Assemble the carrier as described above and then engage the carrier to the wiper arm, and then engage the wiper blade assembly by slidingly engaging both engagement grooves of the blade support member in turn to each blade gripper.

따라서, 비가 올 경우 와이퍼 모터를 구동하면 링크의 크랭크 운동에 의하여 와이퍼 아암이 좌우선회하고 이에 따라 캐리어도 좌우선회함으로써 윈드 실드 스크린에 대한 블레이드의 접촉이동에 의하여 윈드 실드 스크린을 흐르는 빗물을 닦아 자동차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rain drives the wiper motor, the wiper arm is turned left and right by the crank movement of the link and thus the carrier is also turned left and right, thereby wiping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wind shield screen by the blade's contact movement with the wind shield screen. A forward vision is secured.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 1Example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에 대하여 설명한다.A wiper blade carri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참조부호 1은 지지아암으로서, 중간부에 노치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부(11)에는 와이퍼 아암(미도시)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아암의 양단에는 아래쪽으로 핀 파지고리(13)가 차례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핀 파지고리(13)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호형 돌기로 이루어진다. 호형 돌기들이 소정의 탄력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아암(1)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support arm, and a notch portion 11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and the notch portion 11 is rotatably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12 connected to a wiper arm (not shown). The pin grips 13 are projected downward in order at both ends of the support arm. The pin gripping ring 13 is composed of two arc-shaped protrusions facing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arm 1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the arc-shaped protrusions have a predetermined elasticity.

참조부호 3은 지지아암(1)의 양단에 결합되어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7)를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링크홀더로서, 대략 중앙부에 지지아암(1)의 핀 파지고리(13)에 착탈 및 스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핀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는 아래쪽으로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7)를 착탈가능하게 파지하여 지지하기 위한 블레이드 파지고리(35,35)가 형성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3 is a support link holder which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arm 1 to detachably support the wiper blade assembly 7, and attaches and detaches and swings the pin grip 13 of the support arm 1 at the center thereof. Coupling pins 31 are form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blade grips 35 and 35 are formed at both ends to detachably grip and support the wiper blade assembly 7 downward.

결합핀부(31)는 중앙에 형성되는 노치부(32)와, 상기 노치부(32)의 중앙에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핀(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링크홀더(3)들은 지지아암(1)의 핀 파지고리(13)들에 결합핀(33)들이 아래에서 위로 결합됨으로써 스윙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하여 캐리어의 길이는 결합핀부(31)로부터 지지링크홀더(3)의 끝까지의 거리의 2배만큼 연장될 수 있다.Coupling pin 31 is preferably composed of a notch 32 formed in the center and a coupling pin 33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notch (32). Thus, the support link holders 3 can be swingabl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pin grips 13 of the support arm 1 by engaging the coupling pins 33 from the bottom up. By this coupling structure, the length of the carrier may extend by twice the distance from the coupling pin portion 31 to the end of the support link holder 3.

그리고, 블레이드 파지고리(35)들은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면서 하단이 안쪽으로 굴곡된 2개의 돌기로 각각 이루어진다. 따라서, 블레이드 파지고리(35)들의 하단 굴곡부들이 블레이드(73)를 지지하는 블레이드 지지부재(71)의 양쪽 결합홈(72,72)에 차례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블레이드 지지부재(71)가 캐리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blade grippers 35 are each formed of two protrusions each of which is bent inward while facing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ly, the lower bends of the blade grip members 35 are slidably coupled to both coupling grooves 72 and 72 of the blade support member 71 supporting the blade 73, so that the blade support member 71 is connected to the carrier. It can be slidably coupled.

실시예 1에 따르면, 지지아암(1)의 상면과, 지지링크홀더(3)들의 상면이 단차없이 서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아암(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지지링크홀더(3)의 상반부는 지지아암(1)의 두께만큼 깍여 절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upper half of the support link holder 3 positioned below the support arm 1 in order to allow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rm 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link holders 3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a step. It is preferable to be cut by cutting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arm (1).

그리고, 지지링크홀더(3)들도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link holders 3 are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1의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에 따르면, 캐리어의 조립시 지지아암(1)의 핀 파지고리(13)들에 양쪽 지지링크홀더(3,3)의 결합핀들(33,33)을 끼우기만 하면 캐리어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캐리어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분해를 할 경우에는 지지아암(1)의 끝단과 이와 대응하는 지지링크홀더(3)의 상면 절취부 사이에 드라이버나 동전 등을 삽입하여 지렛대와 같이 젖히면 지지아암(1)과 지지링크홀더(3)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링크홀더(3)들이나 지지아암(1)의 일부가 손상되면 캐리어 전체를 교환할 필요없이 손상된 지지링크홀더(3)나 지지아암(1)만을 교환하면 된다.According to the wiper blade carrier of the firs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pins 33 and 33 of both the support link holders 3 and 3 to the pin grips 13 of the support arm 1 when the carrier is assembled. The carrier can be assembled simply by inserting the parts so that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carrier is easy. When disassembling, insert a screwdriver or a coin between the end of the support arm 1 and the upper cutout of the corresponding support link holder 3, and flip it like a lever to support the support arm 1 and the support link holder 3 ) Can be easily separated. Therefore, if a part of the support link holders 3 or the support arm 1 is damaged, only the damaged support link holder 3 or the support arm 1 need not be replaced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carrier.

캐리어를 조립한 다음 조립된 캐리어를 와이퍼 아암에 결합하고, 각 블레이드 파지고리(35)에 차례로 블레이드 지지부재(71)의 양쪽 결합홈(72,72)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블레이드 지지부재(71)의 양쪽 결합홈(72,72)을 블레이드 파지고리(35)들의 하단 굴곡부들에 차례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하여 지지시킨다. 예컨대 블레이드 지지부재(71)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완전히 슬라이딩하여 밀어넣으면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우단부에 설치된 후크(74)의 양쪽 파지고리(75,75)가 우측 지지링크홀더(3)의 우측 파지고리(35)를 파지하게 됨으로써 블레이드 지지부재(71)가 좌측으로 인출되는 일이 방지되고,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7)는 블레이드 파지고리(35) 4개에 의하여 4점에서 지지된다.After assembling the carrier, the assembled carrier is coupled to the wiper arm, and the respective coupling grooves 72 and 72 of the blade support member 71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blade gripper 35 in turn. That is, both coupling grooves 72 and 72 of the blade support member 71 are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bends of the blade grip members 35 in order to support the blades. For example, when the blade support member 71 is slid completely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both grips 75 and 75 of the hook 74 provided at the right end of the blade support member are gripped to the right of the right support link holder 3. Gripping the 35 prevents the blade support member 71 from being pulled out to the left, so that the wiper blade assembly 7 is supported at four points by four blade grips 35.

이와 같이 캐리어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7)를 결합한 다음 캐리어의 연결부재(12)를 와이퍼 아암에 연결한다. 이와는 달리 와이퍼 아암에 캐리어를 먼저 연결한 다음 캐리어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7)를 연결하여도 좋다.As such, the wiper blade assembly 7 is coupled to the carrier, and then the connecting member 12 of the carrier is connected to the wiper arm. Alternatively, the carrier may be connected first to the wiper arm and then the wiper blade assembly 7 to the carrier.

이와 같이 와이퍼 시스템을 구성한 다음, 비가 올 경우나 윈드 실드 스크린 앞면이 오염되어 이를 닦고자 세척액을 뿌린 경우 와이퍼 모터를 구동하면 링크의 크랭크 운동에 의하여 와이퍼 아암이 좌우선회하고 이에 따라 캐리어도 좌우선회함으로써 윈드 실드 스크린에 대한 블레이드(73)의 접촉이동에 의하여 윈드 실드 스크린을 흐르는 빗물이나 세척액을 닦아 자동차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게 된다.When the wiper system is configured in this way and the rain shield or the front of the windshield screen is contaminated and sprayed with a cleaning solution to clean it, when the wiper motor is driven, the wiper arm is turned left and right by the crank movement of the link. By moving the blade 73 to the windshield screen by wiping the rain water or the cleaning liquid flowing through the windshield screen to secure the front view of the vehicle.

윈드 실드 스크린을 닦는 과정에서 윈드 실드 스크린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지만 지지링크홀더(3)들이 스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73)의 윈드 실드 스크린에 대한 접촉 면압에 의하여 지지링크홀더(3)들이 소정의 각도로 스윙됨으로써 상기 곡률에 충분히 적응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wiping the wind shield screen, since the wind shield screen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but the support link holders 3 are swingably coupled, the support link holder 3 is formed by the contact surface pressure of the blade 73 against the wind shield screen. Swinging at a predetermined angle can sufficiently adapt to the curvature.

또한, 블레이드(73)를 장기간 사용하여 블레이드(73)가 한 쪽으로 휨변형이 일어난 때에는 후크(74)의 양쪽 파지고리(75,75)가 우측 지지링크홀더(3)의 우측 파지고리(35)를 파지하고 있는 것을 해제함으로써 캐리어로부터 블레이드 어셈블리(7)를 분리하고, 분리된 블레이드 어셈블리(7)를 방향을 바꾸어 캐리어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블레이드 어셈블리(7)를 장기간 재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lade 73 is deflected to one side using the blade 73 for a long period of time, both grips 75 and 75 of the hook 74 have the right grip 35 of the right support link holder 3. It is possible to reuse the blade assembly 7 for a long time by separating the blade assembly 7 from the carrier by releasing the gripping, and using the separated blade assembly 7 in a direction changed to the carrier.

실시예 2Example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에 대하여 설명한다.A wiper blade carrier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실시예 2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는 지지아암(1)과, 상기 지지아암(1)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양쪽 연결링크홀더(5,5)와, 그리고 상기 양쪽 연결링크홀더(5,5)에 차례로 결합되는 양쪽 지지링크홀더(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wiper blade carr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support arms 1, both link link holders 5 and 5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arm 1, and both link link holders 5 and 5, respectively. It consists of both support link holders (3, 3) coupled in turn.

즉, 지지아암(1) 및 지지링크홀더(3)들은 지지아암(1)에 지지링크홀더(3)들이 바로 결합되지 않고 연결링크홀더(5)들을 개재하여 결합된다는 것만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 1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것이 그대로 채용되므로 여기서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at is, the support arm 1 and the support link holders 3 a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support link holders 3 are not directly coupled to the support arm 1 but are coupled through the link link holders 5. Since the same thing as what was disclosed in 1 is employ | adopted as it is, the same part as Example 1 mentioned above is attached | subjected with the same code | symbol here,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연결링크홀더(5)의 대략 중앙부에는 지지아암(1)의 핀 파지고리(13)에 스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핀부(51)가 형성된다. 결합핀부(51)는 지지링크홀더(3)의 결합핀부(31)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결합핀부(51)는 지지링크홀더(3)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는 노치부(52)와, 상기 노치부(52)에 지지아암(1)의 핀 파지고리(13)에 아래에서 위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핀(53)을 가진다.A coupling pin portion 51 which is swingably coupled to the pin grip 13 of the support arm 1 is formed at an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link link holder 5. Coupling pin portion 51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upling pin portion 31 of the support link holder (3). That is, the coupling pin portion 51 is formed from the bottom of the notch portion 52 form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link holder 3 and the pin grip ring 13 of the support arm 1 on the notch portion 52. It has a coupling pin 53 that is detachably coupled.

연결링크홀더(5)들도 그 상면이 지지아암(1)의 상면과 단차없이 서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아암(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연결링크홀더(5)의 상반부는 지지아암(1)의 두께만큼 깍여 절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half of the link link holder 5, which is positioned below the support arm 1, is connected to the link arm holder 5 so that its upper surface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rm 1 without any step. It is preferable to be cut by cutting the thickness of.

연결링크홀더(5)의 바깥쪽 단부에는 핀 파지고리(56)가 아래쪽으로 돌출형성되고, 연결링크홀더(5)의 안쪽 단부에는 블레이드 파지고리(55)가 형성된다. 연결링크홀더(5)의 핀 파지고리(56)는 지지아암(1)의 핀 파지고리(13)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결링크홀더(5)의 블레이드 파지고리(55)는 지지링크홀더(3)의 블레이드 파지고리(35)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Pin gripping link 56 protrudes down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link link holder 5, and blade gripping link 55 is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link link holder (5). The pin gripping ring 56 of the link link holder 5 preferably has the same shape as the pin gripping ring 13 of the support arm 1, and the blade gripping ring 55 of the link link holder 5 is supported. It is made the same as the blade grip ring 35 of the link holder (3).

그리고, 연결링크홀더(5)들도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link holders 5 also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실시예 2의 캐리어에 따르면, 캐리어의 조립시 지지아암(1)의 핀 파지고리(13)들에 양쪽 연결링크홀더(5)들의 결합핀(53)들을 끼우고, 다음에 연결링크홀더(5)들의 핀 파지고리(56)들에 지지링크홀더(3)들의 결합핀(33)들을 끼우기만 하면 캐리어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캐리어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또한, 캐리어의 전체 길이는 연결링크홀더(5)들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예 1의 캐리어보다 더욱 길어진다.According to the carrier of the second embodiment made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pins 53 of both connecting link holders 5 are fitted to the pin grips 13 of the support arm 1 when the carrier is assembled. The carrier can be assembled simply by inserting the coupling pins 33 of the support link holders 3 into the pin grips 56 of the connection link holders 5, thereby facilitating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carriers. In addition, the overall length of the carrier is made longer by the connecting link holders 5 than the carrier of Embodiment 1 described above.

실시예 2에 따른 캐리어를 분해를 할 경우에도 지지아암(1)의 끝단과 이와 대응하는 연결링크홀더(5)의 상면 절취부 사이 또는 연결링크홀더(5)의 끝단과 이와 대응하는 지지링크홀더(3)의 상면 절취부 사이에 드라이버나 동전 등을 삽입하여 지렛대와 같이 젖히면 지지아암(1)과 연결링크홀더(5), 또는 연결링크홀더(5)와 지지링크홀더(3)가 쉽게 분리될 수 있고, 이와 같이 구성요소들을 임의로 분해 및 결합함으로써 캐리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링크홀더(3)들이나 지지아암(1)의 일부가 손상되면 캐리어 전체를 교환할 필요없이 손상된 지지링크홀더(3)나 지지아암(1)만을 교환하면 된다.Even when disassembling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between the end of the support arm 1 and the upper cutout of the corresponding link link holder 5 or the end of the link link holder 5 and the corresponding support link holder. Inserting a screwdriver or a coin between the upper cutouts of (3) and flipping it like a lever, the support arm 1 and the link link holder 5, or the link link holder 5 and the support link holder 3 are easily separated. In this way, the length of the carrier can be adjusted by arbitrarily disassembling and combining the components. Therefore, if a part of the support link holders 3 or the support arm 1 is damaged, only the damaged support link holder 3 or the support arm 1 need not be replaced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carrier.

캐리어를 조립한 다음 조립된 캐리어를 와이퍼 아암에 결합하고, 각 블레이드 파지고리(35,55)들에 차례로 블레이드 지지부재(71)의 양쪽 결합홈(72,72)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블레이드 지지부재(71)의 양쪽 결합홈(72,72)을 블레이드 파지고리(35,55)들의 하단 굴곡부들에 차례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하여 지지시킨다. 실시예 2의 캐리어에 따르면, 2개의 연결링크홀더(5,5) 및 2개의 지지링크홀더(3,3)에 의하여 6점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7)가 지지될 수 있으므로 실시예 1의 경우보다 견고한 지지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After assembling the carrier, the assembled carrier is coupled to the wiper arm, and the respective engagement grooves 72 and 72 of the blade support member 71 are slidably coupled to the respective blade grippers 35 and 55 in turn. That is, both coupling grooves 72 and 72 of the blade supporting member 71 are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bends of the blade grippers 35 and 55 in order to support the sliding grooves. According to the carrier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wiper blade assembly 7 can be supported at six points by two connecting link holders 5 and 5 and two supporting link holders 3 and 3, so that Stronger support can be maintained.

이와 같이 캐리어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7)를 결합한 다음 지지아암(1)의 연결부재(12)를 와이퍼 아암에 연결한다. 이와는 달리 와이퍼 아암에 지지아암(1)의 연결부재(12)를 먼저 연결한 다음 캐리어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7)를 연결하여도 좋다.In this manner, the wiper blade assembly 7 is coupled to the carrier, and then the connecting member 12 of the support arm 1 is connected to the wiper arm. Alternatively, the connecting member 12 of the support arm 1 may be connected to the wiper arm first, and then the wiper blade assembly 7 may be connected to the carrier.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퍼 시스템을 구성한 다음, 와이퍼 모터를 구동하면 링크의 크랭크 운동에 의하여 와이퍼 아암이 좌우선회하고 이에 따라 캐리어도 좌우선회함으로써 윈드 실드 스크린에 대한 블레이드(73)의 접촉이동에 의하여 윈드 실드 스크린을 흐르는 빗물이나 세척액을 닦아 자동차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게 된다.After the wiper system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iper motor is driven, the wiper arm is turned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crank movement of the link, and accordingly, the carrier is also turned left and right, so that the wind shield is moved by the contact of the blade 73 to the wind shield screen. Wiping the screen with rain or cleaning fluid will give you a clear view of the car.

이와 같이 와이퍼 시스템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7)가 일부 손상된 경우에는 이를 버리지 않고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7)의 손상된 부분을 자른다. 이에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7)의 길이는 짧아지므로 이와 대응하여 한쪽 연결링크홀더(5) 및 지지링크홀더(3)을 분리한 다음 지지아암(1)으로부터 분리된 지지링크홀더(3)를 결합하거나, 연결링크홀더(5)를 모두 분리한 다음 지지아암(1)에 지지링크홀더(3)들만을 결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같이 캐리어를 구성한 다음 길이가 짧아진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7)를 캐리어에 결합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If the wiper blade assembly 7 is partially damaged in the process of using the wiper system as described above, the damaged portion of the wiper blade assembly 7 is cut without discarding it. 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wiper blade assembly 7 is shortened, so that one link link holder 5 and the support link holder 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n the support link holder 3 separated from the support arm 1 is coupled. Alternatively, remove all the link link holders (5), and then combine only the support link holders (3) to the support arm (1) to form a carri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n shorten the wiper blade assembly (7) Can be reused by binding to the carrier.

실시예 3Example 3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3에 따른 캐리어는 지지아암(1)의 양단과 지지링크홀더(3)들 사이에 연결링크홀더(5)가 2개씩 개재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그 구성 및 작용이 전술한 실시예들과 모두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여기서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여러개의 연결링크홀더(5)가 채용되면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7)의 다양한 길이에 따라 캐리어의 길이변형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A wiper blade carrier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the sam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xcept that two link link holders 5 are interposed between both ends of the support arm 1 and the support link holders 3. Since all are the same, the same parts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such, when a plurality of connection link holders 5 are employed, the carrier can be freely deformed according to various lengths of the wiper blade assembly 7.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에 따르면, 결합핀부 및 핀 파지고리의 채용에 의하여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따라서 다수의 연결링크홀더(5)들 및 양쪽 지지링크홀더(3)가 함께 적용된 경우 캐리어의 길이를 임의로 신축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iper blad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by the adoption of the engaging pin portion and the pin grip ring, so that a plurality of link link holders (5) and both support link holder (3) ) Together with the carrier length can be arbitrarily adjusted.

상기한 바와 같이 착탈 및 신축조절 구조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의 손상된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여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리어의 일부 구성요소가 손상된 경우 손상된 구성요소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chable and flexible structure can be used to cut and remove damaged parts of the wiper blade assembly to reuse the wiper blade assembly, and to replace only the damaged component when some components of the carrier are damaged. Reduce costs

또한, 윈드 실드 스크린의 크기에 따라 별도 규격의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연결링크홀더(5)만을 더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규격의 캐리어들을 만들 필요가 없어 자동차 부품의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ind shield screen, it is possible to further use only the link link holder 5 separately or without using a carrier of a separate standard,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make carriers of various specifications, thereby enabling the common use of automobile parts. .

또한, 캐리어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arrier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vehicle and also to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Claims (5)

와이퍼 아암에 중간부가 결합됨과 아울러 양단에 핀 파지고리(13,13)들이 차례로 형성된 지지아암(1)과;A support arm 1 having an intermediate portion coupled to the wiper arm and having pin gripping rings 13 and 13 formed on both ends thereof in turn; 상기 지지아암의 핀 파지고리들에 스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핀부(31)가 중간부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양단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착탈가능하게 파지하기 위한 블레이드 파지고리(35,35)가 형성된 양쪽 지지링크홀더(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Coupling pins 31 swingably coupled to the pin grips of the support arm ar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middle portion, and blade grips 35 and 35 for detachably holding the wiper blade assembly at both ends are provided. A wiper blade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both support link holders (3,3)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아암(1)의 상면과, 지지링크홀더(3)들의 상면이 단차없이 서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아암(1)의 아래쪽에서 위치하는 지지링크홀더(3)의 상반부는 지지아암(1)의 두께만큼 깍여 절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2. The upper half of the support link holder (3)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rm (1)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link holders (3) are positioned below the support arm (1)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a step. The wiper blade carrier, which is cut by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arm (1). 와이퍼 아암에 중간부가 결합됨과 아울러 양단에 핀 파지고리(13,13)가 차례로 형성된 지지아암(1)과;A support arm (1) having an intermediate portion coupled to the wiper arm and a pin grip ring (13, 13) formed on both ends thereof in turn; 상기 지지아암의 핀 파지고리에 착탈 및 스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핀부(51)가 중간부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바깥쪽 단부에 핀 파지고리(56)가 형성됨과 아울러 안쪽 단부에는 블레이드 파지고리(55)가 형성된 양쪽 연결링크홀더(5,5)와; 그리고,A coupling pin portion 51 detachably and swingably coupled to the pin grip of the support arm is formed in the middl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pin grip 56 is formed at the outer end and a blade grip is formed at the inner end thereof. Both link link holders 5 and 5 formed with 55; And, 상기 연결링크홀더의 핀 파지고리에 착탈 및 스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핀부(31)가 중간부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 블레이드 파지고리(35,35)가 차례로 형성된 양쪽 지지링크홀더(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Both support link holders (3) having a coupling pin portion (31) which is detachably and swingably coupled to the pin gripper of the connection link holder in a width direction in the middle portion, and blade grippers (35, 35) are formed in both ends in turn. And 3) a wiper blade carri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링크홀더(5)와 지지링크홀더(3)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링크홀더(5)가 각각 더 착탈 및 스윙가능하게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4. The wiper blade carri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connection link holder (5) is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on link holders (5) and the support link holders (3), respectively.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아암(1), 지지링크홀더(3)들 및 연결링크홀더(5)들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캐리어.4. The wiper blade carri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upport arm (1), the support link holders (3) and the link link holders (5)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KR2019980007983U 1997-06-16 1998-05-14 Wiper blade carrier KR19980025279U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417U KR970051561U (en) 1997-06-16 1997-06-16 Car wipers
KR1997-14417 1997-06-1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417A Division KR100334468B1 (en) 1996-05-29 1997-04-18 Switch mountin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279U true KR19980025279U (en) 1998-07-25

Family

ID=6093204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417U KR970051561U (en) 1997-06-16 1997-06-16 Car wipers
KR2019980007983U KR19980025279U (en) 1997-06-16 1998-05-14 Wiper blade carrier
KR2019980007982U KR19980025278U (en) 1997-06-16 1998-05-14 Wiper blade assembly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417U KR970051561U (en) 1997-06-16 1997-06-16 Car wiper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982U KR19980025278U (en) 1997-06-16 1998-05-14 Wiper blad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970051561U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278U (en) 1998-07-25
KR970051561U (en)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1216B1 (en) Windshield wiper device
KR200436909Y1 (en) A flat wipe blade for the vehicle
EP1876074B1 (en) Windshield wiper device
EP2103490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WO2017190762A1 (en) Vehicle provided with at least two windscreen wiper devices of the flat blade type
KR200437875Y1 (en) Adaptor of wiper blade
KR200442554Y1 (en) Adaptor of wiper blade
US20140130282A1 (en) Wiper coupler assembly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GB2103075A (en) Plastic wiper blade
KR19980025279U (en) Wiper blade carrier
KR100694517B1 (en) Wiper blade
EP3416859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0705663B1 (en) Wiper blade
RU2012507C1 (en) Windshield wiper and method of its assembly
KR100373008B1 (en) Double edge type wiper blade
EP3353018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200384348Y1 (en) Combined structure of clamp to combine with wiper blades
US11420596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0778571B1 (en) A wiper ahm assembly improved assembly structure
KR20050042337A (en) Structure for assembling a wiper blade
KR20050108104A (en) Joint structure of wiper blade
KR20020016149A (en) Wiper blade for an automobile
KR970006771Y1 (en) Windshield wiper
KR0138774Y1 (en) Wiper device
KR960005559Y1 (en) Blade for wi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