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096U - 휴대폰용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096U
KR19980025096U KR2019980007140U KR19980007140U KR19980025096U KR 19980025096 U KR19980025096 U KR 19980025096U KR 2019980007140 U KR2019980007140 U KR 2019980007140U KR 19980007140 U KR19980007140 U KR 19980007140U KR 19980025096 U KR19980025096 U KR 199800250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cd
light emitting
emitting means
film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형
Original Assignee
임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형 filed Critical 임재형
Priority to KR2019980007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5096U/ko
Publication of KR19980025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096U/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갖는 장착부(20)와, 상기 장착부(20)의 최하단에 장착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소정 밝기로 발광되는 발광수단(18)과, 상기 발광수단(18)의 상단에 장착되어 각종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LCD(12)와, 상기 LCD(12)에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시키거나 지지하는 지지수단(14)과, 상기 지지수단(14)의 상단에 덮혀지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LCD를 보호하며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보호유리판(10)이 구비된 휴대폰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LCD(12)와 발광수단(18)의 사이에 그림이나 사진이 인쇄 또는 복사된 투명한 필름(16)을 삽입시켜 발광수단의 발광과 동시에 필름의 화상이 LCD 및 투명유리판을 투과하여 가시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용 표시장치
본 고안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표시부의 발광수단과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표시장치)의 사이에 그림 또는 사진이 인쇄된 필름을 삽입시켜 배경화면으로 사용하는 휴대폰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음성 또는 화상 등 각종의 정보를 원격에서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기기의 하나로, 셀룰러폰(Cellular Phone)과 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폰 등이 상용화되어 있다.
종래의 휴대폰은 도 1에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용 안테나(4)와, 각종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2)와, 문자나 숫자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키입력부(3)가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입력되는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로폰(6)과, 수신된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출력시키는 스피커(7)와, 음량 또는 각종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키(8)와, 음량을 반사시켜 마이크로폰(6)으로 인가시켜 주는 플립(5)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휴대폰(1)은 제조회사나 기능에 따라 첨삭되는 구성이 있다.
상기 휴대폰(1)의 기능중에 사용자가 휴대폰(1)의 작동상태나 각종 기능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표시부(2)는 휴대폰(1)에서 중요한 구성의 하나이다. 즉, 표시부(2)는 현재 휴대폰(1)이 있는 공간이나 장소에서 무선통신 기지국이나 중계기로부터 휴대폰(1)에 장착된 송수신용 안테나를 통해 통신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통신감도를 나타내는 표시문자가 있고,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문자가 있으며, 착신을 알리는 알람이나 진동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문자가 있고, 또, 날짜, 요일, 시간 및 각종 기능 등을 나타내는 표시문자가 있다. 이는 화면표시창을 통해 가시적으로 표시되며 휴대폰의 작동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휴대폰의 경우에는 주위의 밝기가 일정 광량이상으로 표시부(2)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경우에는 표시부(2)의 LCD배면에 장착된 발광수단이 오프된 상태가 되고, 주위의 밝기가 일정 광량이하일 때, 즉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는 주위의 광량을 감지하여 발광수단을 자동으로 온시켜 LCD의 표시화면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종래의 휴대폰의 표시부는 휴대폰의 작동 및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표시문자가 가시적으로 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시문자 등은 이미 휴대폰을 제작할 때에 정해져 있다. 따라서, 휴대폰마다 거의 동일한 표시문자를 표시하게 되어 사용자는 단순한 음성통화 및 작동상태만을 볼 수 밖에 없었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을 해소하기 위하여, 표시부로 이루어진 LCD와 발광수단의 사이에 그림 또는 사진 등의 배경화면이 인쇄 또는 복사된 필름을 삽입시켜 발광수단이 발광될 때에 배경화면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휴대폰의 사용에 편의를 증대시킨 휴대폰용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배경화면으로 사용되는 그림 또는 사진을 용이하게 부착 및 떼어낼 수 있도록 한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표시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표시장치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휴대폰 2: 표시부
3: 키입력부 4: 송수신용 안테나
5: 플립 10: 보호유리판
12: LCD 14: 지지수단
16: 필름 18: 발광수단
20: 장착부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갖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최하단에 장착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소정 밝기로 발광되는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의 상단에 장착되어 각종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LCD와, 상기 LCD에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시키거나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의 상단에 덮혀지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LCD를 보호하며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보호유리판이 구비된 휴대폰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LCD와 발광수단의 사이에 그림이나 사진이 인쇄 또는 복사된 투명한 필름을 삽입시킨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표시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사용상태도이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발광수단(18)은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갖는 장착부(20)의 최하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소정 밝기로 발광하는 것이다. 발광수단(18)은 외부의 광량을 감지하여 배터리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켜 주는 감지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인가된 배터리전원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된다. 발광수단(18)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도포된 발광물질이 발광하는 것이다.
LCD(12)는 상기 발광수단(18)의 상단에 장착되어 각종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LCD(12)는 휴대폰(1)으로부터 출력되는 각종의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즉, LCD(12)는 긴 연쇄분자로 된 유기액체로서, 외부에서 전압을 주면 이들이 정렬하여 준결정상의 액체가 되고, 공급전원을 변화시키면 반사율도 변화된다. 또, 온도에 민감한 반응을 하므로 온도에 의해서도 그 색이 변화된다.
필름(16)은 상기 LCD(12)와 발광수단(18)의 사이에 그림이나 사진이 인쇄 또는 복사된 투명한 박막(薄膜)이다. 필름(16)은 그림이나 사진을 스캐너 등으로 읽은 후에 복사를 하거나 인쇄를 할 수 있는 OHP용 필름이 적용된다. 필름(16)은 인쇄나 복사된 후에 LCD(12) 및 발광수단(18)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잘라 발광수단(18)의 평면에 부착시킨 것이다. 또한, 필름(16)은 흑백 뿐만 아니라 컬러로 복사 또는 인쇄할 수 있어 보다 선명한 배경화면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우선 휴대폰(1)의 표시부(2)내에 발광수단(18)은 외부의 광량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것으로, 주간이나 주위가 밝은 장소에서는 오프상태가 되므로, 발광수단(18)의 평면에 부착된 필름(16)의 그림이나 사진은 잘 나타나지 않지만, 야간이나 주위가 일정 조도이하가 되면 발광수단(18)이 온되어 필름(16)에 인쇄 또는 복사된 그림이나 사진이 선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특히 야간이나 어두운 공간에서 휴대폰(1)으로 무선신호가 착신되면 기본적으로 발광수단(18)은 점등이 되고, 발광수단(18)이 점등된 상태에서는 필름(16)의 화상이 LCD(12) 및 보호유리판(10)을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나타나지게 된다. 이때, 배경화면으로 사용된 필름(16)의 화상은 LCD(12)로부터 표시되는 정보문자보다 엷은 상태로 표시되어 정보문자와 겹쳐지더라도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는 LCD(12)로부터 표시되는 문자는 통상적으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대부분 검은 색으로 표시되므로 필름(16)에 인쇄 또는 복사된 화상보다 더 선명하게 나타나지므로, 필름(16)의 배경화면은 단순히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을 정도이기 때문이다.
한편, 필름(16)을 발광수단(18)과 LCD(12)사이에 삽입시키는 과정은 휴대폰(1)의 배면에 구성된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해제시키면, 휴대폰(1)의 케이스는 내부의 주기판과 용이하게 분리되고, 분리된 상태에서 표시부(2)의 LCD(12)를 지지하는 지지수단(14)을 떼어낸 후에 발광수단(18)의 평면에 필름(16)을 부착시키면 된다. 부착이 완료되면 역순으로 결합하면 간단하게 분리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폰(1)의 사용자는 부착된 필름(16)의 배경화면이 싫증나거나 변경시킬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분리조립과정을 통해 용이하게 부착 및 변경할 수 있다.
한편, LCD(12) 및 발광수단(18)의 사이에 삽입되는 필름(16)은 광학 편광용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광학 편광용 필름은 인가되는 빛의 방향에 따라 빛의 굴절율이 달라지므로, 투명유리판(10)으로 입사되는 되는 빛은 흡수하고, 발광수단(18)으로부터 입사되는 되는 빛은 굴절시켜 필름(16)상의 화상을 선명하게 나타내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휴대폰용 표시장치는 휴대폰의 표시부상에 배경화면을 부착하거나 떼어내기 용이한 구성이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으며, 또, 이러한 구성이 본 고안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폰용 표시장치는 표시부내의 발광수단와 LCD의 사이에 그림이나 사진을 인쇄 또는 복사한 투명한 필름을 삽입시켜 발광수단의 발광과 동시에 필름의 화상이 LCD 및 투명유리판을 투과하여 가시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여 화상통화와 같은 느낌을 주게 되고, 사용자가 필름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배경화면을 즐길 수 있어 휴대폰의 사용에 편의를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갖는 장착부(20)와, 상기 장착부(20)의 최하단에 장착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소정 밝기로 발광되는 발광수단(18)과, 상기 발광수단(18)의 상단에 장착되어 각종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LCD(12)와, 상기 LCD(12)에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시키거나 지지하는 지지수단(14)과, 상기 지지수단(14)의 상단에 덮혀지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LCD를 보호하며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보호유리판(10)이 구비된 휴대폰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LCD(12)와 발광수단(18)의 사이에 그림이나 사진이 인쇄 또는 복사된 투명한 필름(16)을 삽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16)은 OHP용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16)은 광학 편광용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표시장치.
KR2019980007140U 1998-05-02 1998-05-02 휴대폰용 표시장치 KR199800250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140U KR19980025096U (ko) 1998-05-02 1998-05-02 휴대폰용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140U KR19980025096U (ko) 1998-05-02 1998-05-02 휴대폰용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096U true KR19980025096U (ko) 1998-07-25

Family

ID=6950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140U KR19980025096U (ko) 1998-05-02 1998-05-02 휴대폰용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509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117A (ko) * 1998-07-24 2000-12-05 성운기 투명사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117A (ko) * 1998-07-24 2000-12-05 성운기 투명사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0809A (en) Keyboard with multifunction keys and apparatus including such a keyboard
US5857157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JP3157796B2 (ja) 携帯電話機
US6895259B1 (en) Flat screen and mobile telephone with flat screen
US20040082367A1 (en) Electronic apparatus
US20060148425A1 (en) Illuminated interchangeable bezel assembly for a cellular telephone
KR1007248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조도감지 장치
WO2005074236A1 (en) Communication device keypad illumination
CN111464675B (zh) 后盖组件及电子设备
KR19980025096U (ko) 휴대폰용 표시장치
KR1010913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JP4703717B2 (ja) 着信表示用導光板を有する移動通信端末機
US20040204131A1 (en) Interchangeable Cover for a Communication Device
JP2008017402A (ja) 折畳み型携帯電話端末
JP2005109903A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06261721A (ja) 携帯通信端末
KR101270334B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06623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1352379A (ja) 通信端末装置
KR100601927B1 (ko) 복합 액정디스플레이 모듈 및 복합 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을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US20100279746A1 (en) Small Form Factor Communication Device
KR200279637Y1 (ko) 거울기능 겸용 휴대폰
JP3052220U (ja) 携帯物品
GB2319667A (en) Indicating the function of operating elements
JP3050970U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