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762A - 탑로딩방식 씨디피 - Google Patents

탑로딩방식 씨디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762A
KR19980024762A KR1019970047726A KR19970047726A KR19980024762A KR 19980024762 A KR19980024762 A KR 19980024762A KR 1019970047726 A KR1019970047726 A KR 1019970047726A KR 19970047726 A KR19970047726 A KR 19970047726A KR 19980024762 A KR19980024762 A KR 19980024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ving
pickup
cove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0124B1 (ko
Inventor
윤희필
Original Assignee
허진호
해태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진호, 해태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허진호
Priority to KR1019970047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12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4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5Positioning by moving the loading st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n containers or t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41Details
    • G11B23/045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 G11B33/1446Reducing contamination, e.g. by dust, debr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며 덮개를 자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케이스에 장착되는 장치프레임과, 장치프레임의 윗면에 조립되고 씨디가 삽입되는 공간인 트레이가 형성되는 트레이프레임과, 트레이프레임 윗면에 한쪽 모서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와, 픽업장치와 씨디회전장치가 장착되고 장치프레임에 한쪽 모서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픽업프레임과, 장치프레임에 설치되고 픽업프레임을 한쪽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덮개를 열고 닫는 로딩장치를 포함하는 탑로딩방식 씨디피를 제공한다.
로딩장치는 장치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에 설치되고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와, 이동부재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고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이동수단에 연동하여 덮개를 열고 닫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탑로딩방식 씨디피
본 발명은 탑로딩방식 씨디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덮개의 열림과 닫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덮개와 로딩장치가 일체로 조립되는 탑로딩방식 씨디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CDP;compact disc player)(이하 씨디피라 한다)는 콤팩트디스크(CD;compact disc)(이하 씨디라 한다)에 저장된 정보 예를 들면 음성정보(소리, 박자, 음정 등)를 재생하는 장치로서, 앞쪽으로 씨디를 로딩(loading)하는 프론트로딩(front loading)방식과 위쪽으로 씨디를 로딩하는 탑로딩(top loading)방식이 있다.
상기에서 탑로딩방식 씨디피는 위쪽으로 씨디를 삽입 및 인출하므로 씨디의 장착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조그다이알(jog dial)을 사용하여 재생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디스코텍의 디스크쟈키나 음악과 관련한 전문가 등이 널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탑로딩방식 씨디피는 위쪽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하부케이스와, 아래쪽이 개방되고 상기한 하부케이스를 감싸면서 조립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한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장치와, 상기한 하부케이스에 설치되고 각종 신호를 처리하며 제어를 행하기 위한 다수의 전자부품이 장착된 기판과, 상기한 상부케이스의 윗면에 형성되고 씨디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트레이와, 상기한 하부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한 전원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상기한 트레이에 씨디를 삽입 및 인출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는 로딩장치가 장착되는 장치프레임과, 상기한 장치프레임에 로딩장치가 작동함에 따라 위아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한 트레이에 안착된 씨디의 정보를 판독하는 픽업(pick up)장치와 상기한 트레이에 안착된 씨디를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씨디회전장치가 장착되는 픽업프레임과, 상기한 하부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한 기판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외부(예를 들면 스피커나 앰프 등)로 출력하는 출력장치와, 상기한 상부케이스 윗면에 한쪽 모서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한 트레이의 위쪽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와, 상기한 상부케이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로딩장치는 사용자가 이젝트버튼(eject button)을 누르면, 정역회전이 가능한 로딩용 모터가 회전하고, 이 회전력을 풀리와 감속기어군을 통하여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상기한 장치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한 픽업프레임의 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캠홈이 형성되는 회전부재가 회전하고, 상기한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한 픽업프레임이 아래로 이동하고 직선이동부재가 수평으로 직선이동하며, 상기한 직선이동부재가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한 덮개가 잠금상태에서 해제되고, 상기한 덮개가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열려 상기한 트레이가 개방된 상태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와 같이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씨디를 교환하거나 새로 삽입하고 상기한 덮개를 닫으면, 상기한 로딩용 모터가 반대로 회전하고, 상기한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상기한 픽업프레임을 위로 이동시키고, 상기한 씨디회전장치가 상기한 트레이에 삽입된 씨디를 상기한 트레이의 바닥으로부터 떨어지게 하며, 재생정지버튼을 조작하면 상기한 씨디회전장치가 씨디를 회전시키고, 상기한 픽업장치에 의하여 씨디에 저장된 음성정보가 판독되어 상기한 기판으로 전송되고, 상기한 기판에서 처리되어 상기한 출력장치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탑로딩방식 씨디피는 로딩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부품이 많으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조립시간이 많이 걸린다.
또 종래의 탑로딩방식 씨디피는 픽업장치와 씨디회전장치가 장착되는 픽업프레임이 상기한 로딩장치의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위아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이동하기 위한 간극이 존재하므로 작동중에 흔들림이 발생할 수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탑로딩방식 씨디피는 덮개와 픽업장치 및 씨디회전장치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에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므로 작동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오작동이 발생할 수가 있고, 조립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 종래의 탑로딩방식 씨디피는 씨디를 인출하거나 삽입한 다음 덮개를 직접 눌러서 닫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덮개와 트레이 및 픽업장치와 씨디회전장치를 일체로 조립하여 케이스에 장착하고 덮개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탑로딩방식 씨디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탑로딩방식 씨디피는 케이스에 장착되는 장치프레임과, 상기한 장치프레임의 윗면에 조립되고 씨디가 삽입되는 공간인 트레이가 형성되는 트레이프레임과, 상기한 트레이프레임 윗면에 한쪽 모서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한 트레이에 삽입된 씨디의 정보를 판독하는 픽업장치와 상기한 트레이에 삽입된 씨디를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씨디회전장치가 장착되고 상기한 장치프레임에 한쪽 모서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픽업프레임과, 상기한 장치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한 픽업프레임을 한쪽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한 덮개를 열고 닫는 로딩장치를 포함한다.
상기한 로딩장치는 상기한 장치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와, 상기한 이동부재에 설치되고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와, 상기한 이동부재에 설치되고 상기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고 상기한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한 이동수단에 연동하여 상기한 덮개를 열고 닫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은 상기한 구동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와, 상기한 구동풀리와 벨트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한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풀리와, 복수의 감속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이동수단은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의 감속기어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한 이동부재에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의 종동풀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한 복수의 감속기어와 상기한 구동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한 장치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한 구동기어가 결합하여 이동하는 래크를 포함한다.
상기한 래크는 직선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와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반원부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감속기어는 종동풀리의 축과 상기한 회전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개폐수단은 상기한 이동수단의 회전부재에 형성되는 구동돌기와, 상기한 덮개에 형성되고 상기한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한 구동돌기가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탑로딩방식 씨디피는 상기한 로딩장치의 이동부재가 이동함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한 픽업프레임의 다른쪽 모서리를 이동시키는 픽업프레임 이동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픽업프레임 이동수단은 상기한 로딩장치의 이동부재에 형성되고 수평부와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캠홈과, 상기한 픽업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한 캠홈에 삽입되는 이동돌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탑로딩방식 씨디피는 사용자가 전원을 온시키고 씨디를 인출하거나 삽입하기 위하여 이젝트버튼을 누르면,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한 로딩장치의 구동모터가 정회전을 하고, 이 회전력을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전달받은 상기한 이동수단의 구동기어가 회전하며, 상기한 구동기어가 상기한 래크의 수평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래크의 수평부를 따라 상기한 이동부재가 이동한다.
상기에서 이동부재가 상기한 래크의 수평부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한 이동부재에 형성된 캠홈에 상기한 픽업프레임에 형성된 이동돌기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캠홈의 경사부를 따라 상기한 이동돌기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상기한 픽업프레임은 한쪽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한 씨디회전장치와 픽업장치를 상기한 트레이에 삽입된 씨디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재가 이동하여 상기한 구동기어가 상기한 래크의 반원부에 도달하여 상기한 래크의 반원부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한 이동부재의 이동은 정지되고 상기한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한 회전부재가 상기한 종동풀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부재가 회전하면, 상기한 구동돌기가 상기한 덮개에 형성된 개폐부재에 삽입되어 상기한 개폐부재를 회전시키고, 상기한 덮개가 상기한 트레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쪽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씨디를 인출하거나 삽입하고 다시 이젝트버튼을 누르면, 상기한 로딩장치의 구동모터가 역회전을 하고, 이를 전달받은 상기한 이동수단의 구동기어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한 래크의 반원부를 따라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기어가 상기한 래크의 반원부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한 회전부재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한 구동돌기에 결합된 상기한 개폐부재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덮개가 닫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덮개가 닫히고 상기한 구동기어가 래크의 반원부에 연결된 수평부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한 회전부재의 회전은 정지되고 상기한 이동부재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재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한 이동부재에 형성된 캠홈에 상기한 픽업프레임에 형성된 이동돌기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캠홈의 경사부를 따라 상기한 이동돌기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상기한 픽업프레임은 한쪽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한 씨디회전장치와 픽업장치를 상기한 트레이에 삽입된 씨디에 밀착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방식 씨디피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방식 씨디피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로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방식 씨디피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로딩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방식 씨디피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로딩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방식 씨디피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동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방식 씨디피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트레이를 나타내는 저면도.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방식 씨디피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방식 씨디피의 일실시예는 케이스(2)에 장착되는 장치프레임(10)과, 상기한 장치프레임(10)의 윗면에 조립되고 씨디가 삽입되는 공간인 트레이(42)가 형성되는 트레이프레임(40)과, 상기한 트레이프레임(40) 윗면에 한쪽 모서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20)와, 상기한 트레이(42)에 삽입된 씨디의 정보를 판독하는 픽업장치(62)와 상기한 트레이(42)에 삽입된 씨디를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씨디회전장치(64)가 장착되고 상기한 장치프레임(10)에 한쪽 모서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픽업프레임(60)과, 상기한 장치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기한 픽업프레임(60)을 한쪽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한 덮개(20)를 열고 닫는 로딩장치(70)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방식 씨디피의 일실시예는 케이스(2) 윗면에 복수의 스위치를 설치한다. 예를 들면, 덮개(20)를 열어 씨디를 인출하거나 삽입할 때에 사용하는 이젝트버튼(4)과,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전원버튼(7)과, 씨디의 트랙을 탐색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복수의 탐색버튼(5)과, 씨디의 회전속도를 자유롭게 조정하기 위한 조그다이알(6)과, 전후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대응되는 다양한 기능을 선택하여 조작할 수 있는 조이스틱스위치(8) 등을 설치한다.
상기한 트레이프레임(40)에 형성되는 트레이(42)에는 씨디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씨디회전장치(64)가 삽입되는 씨디회전홈(46)을 중앙에 형성하고, 씨디에 수록된 정보를 상기한 픽업장치(62)가 판독하기 위한 픽업홈(48)을 상기한 씨디회전홈(46)에 연결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로딩장치(70)는 상기한 장치프레임(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72)와, 상기한 이동부재(72)에 설치되고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80)와, 상기한 이동부재(72)에 설치되고 상기한 구동모터(8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고 상기한 이동부재(72)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한 이동수단에 연동하여 상기한 덮개(20)를 열고 닫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은 상기한 구동모터(80)의 축(81)에 설치되는 구동풀리(82)와, 상기한 구동풀리(82)와 벨트(86)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한 이동부재(7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풀리(84)와, 복수의 감속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복수의 감속기어는 상기한 종동풀리(84)의 축(85)에 설치되는 감속기어(89)와, 상기한 감속기어(89)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하나이상의 감속기어(87)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이동부재(72)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디긋자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윗면을 이루는 수평부(73)와, 상기한 수평부(73) 한쪽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캠홈(75)이 형성되는 캠부(74)와, 상기한 캠부(74)의 반대쪽에서 상기한 수평부(73)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한 구동모터(80)가 설치되는 모터장착부(7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이동수단은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의 감속기어(87)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구동기어(88)와, 상기한 이동부재(72)에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의 종동풀리(84)의 축(8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한 하나이상의 감속기어(87)와 상기한 구동기어(8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90)와, 상기한 장치프레임(10)에 형성되고 상기한 구동기어(88)가 결합하여 이동하는 래크(14)를 포함한다.
상기한 래크(14)는 직선으로 형성되는 수평부(15)와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반원부(1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개폐수단은 상기한 이동수단의 회전부재(90)에 형성되는 구동돌기(92)와, 상기한 덮개(20)에 형성되고 상기한 회전부재(9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한 구동돌기(92)가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개폐부재(24)를 포함한다.
상기한 개폐부재(24)는 상기한 덮개(20)의 아래쪽에 형성되고, 상기한 구동돌기(92)가 삽입되는 개폐홈(25)을 형성한다.
또 상기한 개폐부재(24)는 상기한 덮개(20)가 열리는 각도를 감안하여 수평면과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회전부재(90)가 회전할 때에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한 이동부재(72) 모터장착부(76)의 상기한 종동풀리(84)가 장착되는 부분에 반원형의 안내부(77)를 형성하고, 상기한 회전부재(90)에는 상기한 안내부(77)에 접하여 미끄럼이동하는 안내돌기(94)를 형성한다.
상기한 안내돌기(94)는 상기한 안내부(77)를 감싸도록 대략 기억자 형상 또는 디긋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상기한 회전부재(90)의 회전을 원활하게 안내하므로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덮개(20)의 아랫면에는 걸림돌기(38)를 돌출하여 형성하고, 상기한 이동부재(72)의 수평부(73)에는 상기한 이동부재(72)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한 걸림돌기(38)에 걸리거나 해제되는 잠금돌기(78)를 위쪽으로 돌출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방식 씨디피의 일실시예는 상기한 로딩장치(70)에 의하여 상기한 덮개(20)가 열리고 닫힐 때에 갑작스럽게 빠른 속도로 작동하여 충격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한 덮개(20)의 열리는 속도와 닫히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정속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정속수단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덮개(20)의 한쪽 옆면에 형성되는 부채꼴기어(30)와, 상기한 부채꼴기어(30)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스퍼어기어(32)와, 상기한 트레이프레임(40)에 설치되고 상기한 스퍼어기어(32)의 축이 연결되며 소정 압력의 유체가 채워져 있는 댐퍼(34)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정속수단은 상기한 덮개(20)가 열리고 닫힐 때에 상기한 부채꼴기어(30)가 상기한 댐퍼(34)에 설치되는 상기한 스퍼어기어(32)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덮개(20)의 열리고 닫히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방식 씨디피의 일실시예는 상기한 로딩장치(70)의 이동부재(72)가 이동함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한 픽업프레임(60)의 다른쪽 모서리를 이동시키는 픽업프레임 이동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픽업프레임 이동수단은 도 4∼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로딩장치(70)의 이동부재(72) 캠부(74)에 형성되고 위아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한 수평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캠홈(75)과, 상기한 픽업프레임(60)에 형성되고 상기한 캠홈(75)에 삽입되는 이동돌기(68)를 포함한다.
상기한 캠홈(75)의 경사부는 상기한 이동부재(72)가 후진(도 5에서 보아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상기한 이동돌기(68)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상기한 이동부재(72)가 전진(도 5에서 보아서 왼쪽으로 이동)하면 상기한 이동돌기(68)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방식 씨디피의 일실시예는 상기한 덮개(20)가 열릴 때에 상기한 트레이(42)에 형성된 씨디회전홈(46)과 픽업홈(48)을 막아 이물질이 상기한 씨디회전홈(46)과 픽업홈(48)을 통하여 상기한 씨디회전장치(64) 및 픽업장치(62)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픽업보호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픽업보호수단은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트레이프레임(40)의 밑면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막대(100)와, 상기한 회전막대(100)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한 트레이(42)의 씨디회전홈(46)과 픽업홈(48)을 열거나 막는 픽업보호판(110)과, 상기한 트레이프레임(40)의 밑면에 설치되고 상기한 픽업보호판(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막대(114)와, 상기한 덮개(20)의 한쪽 옆면에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한 덮개(20)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상기한 회전막대(1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28)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회전막대(100)의 한쪽 끝부분은 핀(102)이나 볼트 등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한 트레이프레임(40)의 밑면에 고정되고, 상기한 회전막대(100)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소정 길이로 이동홈(104)을 형성하며, 상기한 픽업보호판(110)에는 상기한 회전막대(100)의 이동홈(104)에 삽입되어 미끄럼이동하는 이동돌기(112)를 형성한다.
또 상기한 픽업보호판(110)에는 스위치돌기(116)를 형성하고, 상기한 트레이프레임(40)의 밑면에는 상기한 스위치돌기(116)에 의하여 작동하는 로터리스위치(120)를 설치하여 상기한 픽업보호판(110)이 열리거나 닫힌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로터리스위치(120)에는 상기한 픽업보호판(110)에 형성된 스위치돌기(116)에 의하여 회전하는 감지부재(122)를 설치한다.
상기한 감지부재(122)는 상기한 픽업보호판(110)이 픽업홈(48)을 닫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한 스위치돌기(116)에 의하여 회전하고, 상기한 픽업보호판(110)이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한 스위치돌기(116)의 미는 힘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복귀하도록 비틀림스프링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방식 씨디피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전원버튼(7)을 조작하여 전원을 온시키고 씨디를 인출하거나 삽입하기 위하여 이젝트버튼(4)을 누르면,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한 로딩장치(70)의 구동모터(80)가 정회전하고, 이 회전력을 동력전달수단인 구동풀리(82)와 종동풀리(84) 및 감속기어(87), (89)를 통하여 전달받은 상기한 이동수단의 구동기어(88)가 도 3에서 보아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기어(88)가 회전하면, 상기한 구동기어(88)가 상기한 래크(14)의 수평부(15)에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한 구동기어(88)가 상기한 래크(14)의 수평부(15)를 따라 회전하면서 전진(도 3에서 보아서 왼쪽으로 이동)하고, 상기한 구동기어(88)가 설치된 상기한 회전부재(90) 및 상기한 이동부재(72)가 전진 이동(도 3 및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이동)한다.
상기에서 이동부재(72)가 상기한 래크(14)의 수평부(15)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한 이동부재(72)의 캠부(74)에 형성된 캠홈(75)에 상기한 픽업프레임(60)에 형성된 이동돌기(68)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캠홈(75)의 경사부를 따라 상기한 이동돌기(68)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상기한 픽업프레임(60)은 한쪽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한 씨디회전장치(64)와 픽업장치(62)를 상기한 트레이(42)에 삽입된 씨디로부터 분리시킨다.
또 상기한 이동부재(72)에 형성된 잠금돌기(78)가 상기한 덮개(20)에 형성된 걸림돌기(38)에 걸려 있던 상태로부터 벗어난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재(72)가 계속 이동하여 상기한 구동기어(88)가 회전하면서 상기한 래크(14)의 반원부(16) 시작점에 도달하여 상기한 래크(14)의 반원부(16)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한 이동부재(72)의 이동은 정지되고 상기한 이동부재(7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한 회전부재(90)가 상기한 종동풀리(84)의 축(85)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부재(90)가 회전하면, 상기한 구동돌기(92)가 상기한 덮개(20)에 형성된 개폐부재(24)의 개폐홈(25)에 삽입되고, 상기한 회전부재(90)의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한 개폐부재(24)를 회전(도 3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개폐부재(24)가 회전되면, 상기한 덮개(20)가 상기한 트레이프레임(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쪽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게 된다.
이 때 상기한 덮개(20)에 형성된 구동부재(28)가 상기한 회전막대(100)를 도 6에서 보아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도 6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회전)시키고, 상기한 픽업보호판(110)이 상기한 안내막대(114)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한 트레이(42)에 형성된 픽업홈(48)과 씨디회전홈(46)을 막게 되며, 상기한 스위치돌기(116)가 상기한 로터리스위치(120)의 감지부재(122)를 밀어 로터리스위치(120)를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제어장치가 상기한 구동모터(80)를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덮개(20)가 열린 상태에서 씨디를 인출하거나 삽입하고 다시 이젝트버튼(4)을 누르면, 상기한 로딩장치(70)의 구동모터(80)가 역회전(도 3에서 보아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를 전달받은 상기한 이동수단의 구동기어(88)가 도 3에서 보아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한 래크(14)의 반원부(16)를 따라 도 3에서 보아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기어(88)가 상기한 래크(14)의 반원부(15)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한 회전부재(90)가 상기한 종동풀리(84)의 축(85)을 중심으로 도 3에서 보아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한 구동돌기(92)가 결합된 상기한 개폐부재(24)가 도 3에서 보아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한 덮개(20)가 닫히게 된다.
이 때 상기한 상기한 덮개(20)에 형성된 구동부재(28)가 상기한 회전막대(100)를 도 6에서 보아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한 픽업보호판(110)이 상기한 안내막대(114)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한 트레이(42)에 형성된 픽업홈(48)과 씨디회전홈(46)을 열리게 하며, 상기한 스위치돌기(116)가 상기한 로터리스위치(120)의 감지부재(122)로부터 떨어진다.
상기와 같이 덮개(20)가 닫히고 상기한 구동기어(88)가 상기한 래크(14)의 반원부(16)에 연결된 수평부(14)를 따라 후진(도 3에서 보아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상기한 회전부재(90)의 회전은 정지되고 상기한 이동부재(72)가 도 3에서 보아서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재(72)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상기한 이동부재(72)의 캠부(74)에 형성된 캠홈(75)에 삽입된 상기한 픽업프레임(60)에 형성된 이동돌기(68)가 상기한 캠홈(75)의 경사부를 따라 도 5에서 보아서 위쪽으로 이동하고, 상기한 픽업프레임(60)은 한쪽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한 씨디회전장치(64)와 픽업장치(62)를 상기한 트레이(42)에 삽입된 씨디에 밀착시키고, 상기한 구동모터(80)는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지한다.
이 때 상기한 트레이(42)에 삽입된 씨디는 상기한 씨디회전장치(64)와 상기한 덮개(20)의 밑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부재(22)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한 씨디회전장치(64)에 의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탑로딩방식 씨디피에 의하면, 덮개와 트레이가 장치프레임에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 케이스에 조립되므로 조립작업이 단순해지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이 절감된다.
그리고 씨디를 장착한 다음 이젝트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자동으로 로딩장치가 작동하여 덮개를 닫으므로 매우 편리하고 부품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 기어결합에 의하여 덮개를 열고 닫음으로 종래 스프링을 이용하여 덮개를 열고 손으로 닫는 것에 비하여 갑작스런 힘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안정적이다.
더욱이 정속수단인 댐퍼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덮개의 열리고 닫히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부품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고 수명이 길어진다.

Claims (16)

  1. 케이스에 장착되는 장치프레임과, 상기한 장치프레임의 윗면에 조립되고 씨디가 삽입되는 공간인 트레이가 형성되는 트레이프레임과, 상기한 트레이프레임 윗면에 한쪽 모서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한 트레이에 삽입된 씨디를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씨디회전장치와 정보를 판독하는 픽업장치가 장착되고 상기한 장치프레임에 한쪽 모서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픽업프레임과, 상기한 장치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한 픽업프레임을 한쪽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한 덮개를 열고 닫는 로딩장치를 포함하는 탑로딩방식 씨디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로딩장치는 상기한 장치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와, 상기한 이동부재에 설치되고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와, 상기한 이동부재에 설치되고 상기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고 상기한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한 이동수단에 연동하여 상기한 덮개를 열고 닫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탑로딩방식 씨디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은 상기한 구동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와, 상기한 구동풀리와 벨트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한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풀리와, 복수의 감속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탑로딩방식 씨디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복수의 감속기어는 상기한 종동풀리의 축에 설치되는 감속기어와, 상기한 종동풀리의 축에 설치되는 감속기어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하나이상의 감속기어로 이루어지는 탑로딩방식 씨디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부재는 윗면을 이루는 수평부와, 상기한 수평부 한쪽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캠홈이 형성되는 캠부와, 상기한 캠부의 반대쪽에서 상기한 수평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한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모터장착부로 이루어지는 탑로딩방식 씨디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덮개의 아랫면에는 걸림돌기를 돌출하여 형성하고, 상기한 이동부재의 수평부에는 상기한 이동부재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한 걸림돌기에 걸리거나 해제되는 잠금돌기를 위쪽으로 돌출하여 형성하는 탑로딩방식 씨디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수단은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한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한 구동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한 장치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한 구동기어가 결합하여 이동하는 래크를 포함하는 탑로딩방식 씨디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래크는 직선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와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반원부로 이루어지는 탑로딩방식 씨디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개폐수단은 상기한 이동수단의 회전부재에 형성되는 구동돌기와, 상기한 덮개의 밑면에 형성되고 상기한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한 구동돌기가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개폐홈을 형성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탑로딩방식 씨디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부재 모터장착부의 상기한 종동풀리가 장착되는 부분에 반원형의 안내부를 형성하고, 상기한 회전부재에는 상기한 안내부를 감싸면서 접하여 미끄럼이동하는 안내돌기를 형성하는 탑로딩방식 씨디피.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로딩장치의 이동부재가 이동함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한 픽업프레임의 다른쪽 모서리를 이동시키는 픽업프레임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탑로딩방식 씨디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픽업프레임 이동수단은 상기한 로딩장치의 이동부재에 형성되고 위아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한 수평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캠홈과, 상기한 픽업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한 캠홈에 삽입되는 이동돌기를 포함하는 탑로딩방식 씨디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덮개의 한쪽 옆면에 형성되는 부채꼴기어와, 상기한 부채꼴기어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스퍼어기어와, 상기한 트레이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한 스퍼어기어의 축이 연결되며 소정 압력의 유체가 채워져 있는 댐퍼로 이루어지는 정속수단을 더 포함하는 탑로딩방식 씨디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덮개가 열릴 때에 상기한 트레이에 형성된 씨디회전홈과 픽업홈을 막아 이물질이 상기한 씨디회전홈과 픽업홈을 통하여 상기한 씨디회전장치 및 픽업장치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픽업보호수단을 더 포함하는 탑로딩방식 씨디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픽업보호수단은 상기한 트레이프레임의 밑면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쪽 끝부분에는 소정 길이로 이동홈이 형성되는 회전막대와, 상기한 이동홈에 삽입되어 미끄럼이동하는 이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한 회전막대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한 트레이의 씨디회전홈과 픽업홈을 열거나 막는 픽업보호판과, 상기한 트레이프레임의 밑면에 설치되고 상기한 픽업보호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막대와, 상기한 덮개의 한쪽 옆면에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한 덮개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상기한 회전막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탑로딩방식 씨디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픽업보호판에는 스위치돌기를 형성하고, 상기한 트레이프레임의 밑면에는 상기한 스위치돌기에 의하여 작동하는 로터리스위치를 설치하여 상기한 픽업보호판이 열리거나 닫힌 것을 감지할 수 있는 탑로딩방식 씨디피.
KR1019970047726A 1997-09-19 1997-09-19 탑로딩방식 씨디피 KR100240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726A KR100240124B1 (ko) 1997-09-19 1997-09-19 탑로딩방식 씨디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726A KR100240124B1 (ko) 1997-09-19 1997-09-19 탑로딩방식 씨디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62A true KR19980024762A (ko) 1998-07-06
KR100240124B1 KR100240124B1 (ko) 2000-01-15

Family

ID=1952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726A KR100240124B1 (ko) 1997-09-19 1997-09-19 탑로딩방식 씨디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1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758B1 (ko) * 2003-07-18 2010-01-15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파워 스위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758B1 (ko) * 2003-07-18 2010-01-15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파워 스위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0124B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407B1 (ko) 미니디스크겸용 콤팩트디스크플레이어
KR100240124B1 (ko) 탑로딩방식 씨디피
US6459671B1 (en) Disk tray shifting device for an optical disk player
KR100240123B1 (ko) 탑로딩방식 씨디피
KR100231718B1 (ko) 탑로딩방식 씨디피
KR100255843B1 (ko) 회전형 씨디피
KR100255844B1 (ko) 벽걸이용 오디오의 씨디피
JP3175627B2 (ja) 扉開閉装置
US5673244A (en) Disk loading and magnetic head lifting mechanism using a single power source for a minidisk player
JPH064612Y2 (ja) 車載用電子機器
KR100255845B1 (ko) 탁상용 오디오의 씨디피
GB2328781A (en) Push-sensitive compact disc transport mechanism.
KR960006238Y1 (ko) 레이저디스크플레이어
KR0141279B1 (ko) 광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로딩장치
JPH10208347A (ja) 記録再生装置のシャッタ駆動装置
KR930012159B1 (ko)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체인저(Disk Changer)구동장치
KR0141056B1 (ko)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
KR0137712Y1 (ko)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카트리지 출입안내장치
KR100260933B1 (ko) 트레이방식자기기록재생기의카세트홀더안착장치
KR100260925B1 (ko) 트레이방식자기기록재생기의테이프카세트리드록킹해제장치
JP3653432B2 (ja) ディスク装置
JP3354393B2 (ja) ディスク装置
JP4340910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3749057B2 (ja) ディスク装置
JP4340909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