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249U - Vehicle headlight device - Google Patents

Vehicle headligh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249U
KR19980024249U KR2019960037638U KR19960037638U KR19980024249U KR 19980024249 U KR19980024249 U KR 19980024249U KR 2019960037638 U KR2019960037638 U KR 2019960037638U KR 19960037638 U KR19960037638 U KR 19960037638U KR 19980024249 U KR19980024249 U KR 199800242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vehicle
signal
unit
head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63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노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7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4249U/en
Publication of KR199800242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249U/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헤드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간 시내 주행 중에 신호 대기로 차량을 정지시키거나 출발시킬 경우에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자동으로 오프시키거나 온시키도록 한 차량의 헤드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light devic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light device of a vehicle to automatically turn off or turn on the headlight of a vehicl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or started by waiting for a signal while driving at night. will be.

본 고안에 의해 속도 감지부에서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를 감지하고 속도 비교부에서 해당 속도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주행 속도와 임계 속도를 비교하여 릴레이부를 제어하므로써, 종래와 같이 운전자가 직접 헤드라이트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오프하거나 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d sensing unit detects the current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compares the driving speed and the threshold speed applied from the speed sensing unit in the speed comparing unit to control the relay unit, so that the driver directly controls the headlight switch as in the prior art. The vehicle's headlights can be turned off or on automatically even without operation.

Description

차량의 헤드라이트 장치Vehicle headlight device

본 고안은 차량의 헤드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간 시내 주행 중에 신호 대기로 차량을 정지시키거나 출발시킬 경우에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자동으로 오프거나 온시키도록 한 차량의 헤드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light devic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light device of a vehicle to automatically turn off or on the headlight of a vehicl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or started by waiting for a signal while driving at night city. .

일반적으로, 차량이 야간 시내 주행 중에 신호 대기로 정지하였을 경우에 해당 차량의 헤드 라이트의 불빛이 앞차량에 반사되어 생기는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직접 헤드라이트 스위치를 조작하여 오프시켜야 하고 출발하면 다시 온시켜야 하므로, 신호등이 많은 시내를 운전할 시에 자주 헤드라이트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러운 문제가 있었다.In general, when the vehicle is stopped by waiting for a signal while driving at night, the driver should manually turn off the headlight switch to prevent glare from the reflection of the headlights of the vehicle on the front vehicle. Because of the need to turn on, there was a cumbersome problem of frequently operating the headlight switch when driving in a city with a lot of traffic lights.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야간 시내 주행 중에 신호 대기로 차량을 정지시키거나 출발시킬 경우에 운전자가 직접 헤드라이트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온하거나 오프하도록 한 차량의 헤드라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automatically turn on or off the headlights of a vehicle even when the driver does not directly operate the headlight switch when the vehicle is stopped or started by waiting for a signal while driving at nigh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light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헤드라이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시내 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와; 상기 모드 설정부의 시내 주행 모드 설정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고, 차량의 속도계로부터 현재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된 속도값에 대응하는 신호의 세기로 인가하는 속도 감지부와; 상기 속도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세기를 임계 속도의 세기에 비교하여 해당 임계 속도의 세기 이하이면 `로우' 레벨의 신호를 인가하고 해당 임계 속도의 세기 이상이면 `하이' 레벨의 신호를 인가하는 속도 비교부와; 상기 속도 비교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레벨에 따라 접점이 오프되거나 온되어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거나 헤드라이트에 인가하는 릴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ode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city driving mode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on / off of the headlights; A speed detecting unit which performs an operation by setting the mode of the city driving mode of the mode setting unit, detects the current driving speed from the speedometer of the vehicle, and applies the signal with the strength of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peed value; Compare the strength of the signal applied from the speed sensing unit with the strength of the threshold speed and apply the signal of the "low" level if the strength of the threshold speed or less, and apply the signal of the "high" level if the strength of the threshold speed or more A speed comparator;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ignal applied from the speed comparison unit, the contact is turned off or 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lay unit for cutting off the battery power applied or applied to the headlight.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라이트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eadlight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모드 설정부 20 : 속도 감지부10: mode setting unit 20: speed detection unit

30 : 속도 비교부 40 : 릴레이부30: speed comparison unit 40: relay uni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라이트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설정부(10)와, 속도 감지부(20)와, 속도 비교부(30)와, 릴레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a headlight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e setting unit 10, a speed detecting unit 20, a speed comparing unit 30, and a relay unit 40. It is made, including.

상기 모드 설정부(10)는 헤드라이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시내 주행 모드로 설정한다.The mode setting unit 10 sets the city driving mode to automatically turn on / off the headlights.

상기 속도 감지부(20)는 상기 모드 설정부(10)의 시내 주행 모드 설정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고, 차량의 속도계로부터 현재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된 속도값에 대응하는 신호의 세기로 인가한다.The speed detecting unit 20 performs an operation by setting the downtown driving mode of the mode setting unit 10, detects a current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from a speedometer of the vehicle, and then uses a strength of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peed value. Is applied.

상기 속도 비교부(30)는 상기 속도 감지부(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세기와 차량을 정지하기 위한 임계 속도의 세기를 비교하며, 상기 인가된 신호의 세기가 해당 임계 속도의 세기 이하이면 `로우' 레벨의 신호를 인가하고 차량을 출발시켜 해당 임계 속도의 세기 이상이 되면 `하이' 레벨의 신호를 인가한다.The speed comparison unit 30 compares the strength of the signal applied from the speed detection unit 20 with the strength of the threshold speed for stopping the vehicle. If the strength of the applied signa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trength of the threshold speed, When the low level signal is applied and the vehicle starts and the strength of the corresponding critical speed is greater than the high level signal, the signal is applied.

상기 릴레이부(40)는 상기 속도 비교부(3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레벨에 따라 접점이 오프되거나 온되어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B+)을 차단하거나 헤드라이트에 인가한다.The relay unit 40 cuts off or applies the battery power B + applied to the headlight by turning the contact off or o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ignal applied from the speed comparator 30.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라이트 장치의 동작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headlight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운전자가 헤드라이트의 온/오프 동작 수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를 원하여 모드 설정부(10)를 온시키면, 해당 모드 설정부(10)는 헤드라이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시내 주행 모드로 전환시켜 준다.First, when the driver wants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headlight to be automatically performed and turns on the mode setting unit 10, the corresponding mode setting unit 10 may automatically perform the on / off of the headlight. Switch to city driving mode.

이에, 속도 감지부(20)는 상기 모드 설정부(10)의 시내 주행 모드 설정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는데, 차량의 속도계로부터 현재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된 속도값에 대응하는 신호의 세기로 생성하여 속도 비교부(30)에 인가한다.Accordingly, the speed detecting unit 20 performs an operation by setting the city driving mode of the mode setting unit 10. The speed detecting unit 20 detects the driving speed of the current vehicle from the speedometer of the vehicle and perform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peed value. The intensity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speed comparison unit 30.

그러면, 차량이 야간 시내 주행 중에 신호 대기로 정지할 경우에 해당 차량의 헤드 라이트의 불빛이 앞차량에 반사되어 생기는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차량이 정지할 시점에 해당하는 임계 속도의 세기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속도 비교부(30)는 상기 속도 감지부(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세기와 비교하는데, 상기 인가된 신호의 세기가 해당 임계 속도의 세기 이하이면 `로우' 레벨의 신호를 릴레이부(40)에 인가한다.Then, in order to prevent the glare caused by the reflection of the headlights of the vehicle's headlights when the vehicle is stopped by waiting for a signal while driving at night, the strength of the threshold speed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is stored. The speed comparator 30 compares the signal with the strength of the signal applied from the speed sensor 20. If the strength of the applied signa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speed, the signal having a 'low' level is relayed ( 40).

이에 따라, 상기 릴레이부(40)는 상기 속도 비교부(30)로부터 인가되는 `로우' 레벨의 신호에 의해 접점이 오프되어 외부로부터 헤드라이트에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B+)을 차단하므로써 헤드라이트를 오프시킨다.Accordingly, the relay unit 40 turns off the contact by the 'low' level signal applied from the speed comparator 30 and cuts off the headlight by blocking the battery power B + applied to the headlight from the outside. Turn it off.

한편, 해당 차량을 다시 출발시키면, 상기 속도 비교부(30)는 상기 속도 감지부(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세기와 상기 임계 속도의 세기를 비교하는데, 상기 임계 속도의 세기 이상이 되면 `하이' 레벨의 신호를 상기 릴레이부(40)에 인가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is started again, the speed comparison unit 30 compares the strength of the signal applied from the speed detection unit 20 with the strength of the threshold speed, and when the strength of the threshold spe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high' Level signal is applied to the relay unit 40.

이에 따라, 상기 릴레이부(40)는 상기 속도 비교부(30)로부터 인가되는 `하이' 레벨의 신호에 의해 접점이 온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B+)을 헤드라이트에 인가하므로써 헤드라이트를 온시킨다.Accordingly, the relay unit 40 turns on the headlight by applying the battery power B + a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headlight by the 'high' level signal applied from the speed comparing unit 30, thereby applying the headlight. Turn on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해 속도 감지부에서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를 감지하고 속도 비교부에서 해당 속도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주행 속도와 임계 속도를 비교하여 릴레이부를 제어하므로써, 운전자가 직접 헤드라이트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오프하거나 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iver detects the current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n the speed sensing unit and controls the relay unit by comparing the driving speed and the threshold speed applied from the speed sensing unit in the speed comparing unit so that the driver directly switches the headlights. The vehicle's headlights can be turned off or on automatically even if the vehicle is not operated.

Claims (1)

차량의 헤드라이트 장치에 있어서, 헤드라이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시내 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10)와; 상기 모드 설정부(10)의 시내 주행 모드 설정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고, 차량의 속도계로부터 현재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된 속도값에 대응하는 신호의 세기로 인가하는 속도 감지부(20)와; 상기 속도 감지부(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세기를 임계 속도의 세기에 비교하여 해당 임계 속도의 세기 이하이면 `로우' 레벨의 신호를 인가하고 해당 임계 속도의 세기 이상이면 `하이' 레벨의 신호를 인가하는 속도 비교부(30)와; 상기 속도 비교부(3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레벨에 따라 접점이 오프되거나 온되어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B+)을 차단하거나 헤드라이트에 인가하는 릴레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라이트 장치.A headlight apparatus of a vehicle, comprising: a mode setting unit (10) configured to set a city driving mode to automatically turn on / off a headlight; The speed detecting unit 20 performs an operation by setting the city driving mode of the mode setting unit 10, detects the current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from the speedometer of the vehicle, and applies the signal with the strength of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peed value 20. )Wow; Compare the strength of the signal applied from the speed sensor 20 to the strength of the threshold speed and apply a signal of "low" level if i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speed, and if it is more than the strength of the threshold speed, the signal of "high" level. A speed comparing unit 30 for applying a;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ignal applied from the speed comparison unit 30, the contact point is turned off or 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lay unit 40 for blocking or applying the applied battery power (B +) to the headlights Headlight device.
KR2019960037638U 1996-10-31 1996-10-31 Vehicle headlight device KR1998002424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638U KR19980024249U (en) 1996-10-31 1996-10-31 Vehicle headligh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638U KR19980024249U (en) 1996-10-31 1996-10-31 Vehicle headligh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249U true KR19980024249U (en) 1998-07-25

Family

ID=5398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638U KR19980024249U (en) 1996-10-31 1996-10-31 Vehicle headligh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4249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4249U (en) Vehicle headlight device
KR100427233B1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position-sensing lamp
KR200224277Y1 (en) Head Lamp Auto On / Off Device
KR200252009Y1 (en) Fog light flasher
KR0124134Y1 (en) A combination switch
KR0166285B1 (en) Headlamp control device
KR1999000561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operation state of headlight during night driving
KR0141393B1 (en) Foglamp of controllerable brightness
KR100231540B1 (en) High beam of a car
KR0141397B1 (en) Fog lamp
KR100385510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light of vehicle
KR0135518Y1 (en) Automatic turn-on lighting system
KR19980052777A (en) Emergency light auto lighting device
KR0133753B1 (en) Tail lamp auto-off device
KR19980048231A (en) Car light power supply
KR970074240A (en) Automatic flicker control device for automobile headlights
KR19980049827U (en) Car Headlights Auto On / Off Control Device
KR19980060480A (en) Drive of main switch
KR19990002446A (en) Auto brake system
KR980001303A (en) Automatically lights and turns off the headlights when the vehicle is stopped or starts
KR19980049653A (en) Vehicle traffic light control device
KR19990001650A (en) Fog Light Automatic Light Off
KR19990047615A (en) Taillight
KR19980038512A (en) Lamp lighting status warning device during daytime driving of vehicle
KR97006956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ontrol of vehicle lam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